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숫자 배열의 맥락단서효과가 사용자의 숫자 탐색 시간에 미치는 영향 : PIN 인증 시스템을 중심으로

        장유리,정고은,민윤기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5

        When using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authentication method in a mobile environment, several security vulnerabilities might occur. To remedy this vulnerabilities, we investigated whether users can be authenticated by PIN authentication adopting contextual cueing effect. In the study 1, we tested whether the contextual cueing effect would takes place when numbers from 0 to 9 randomly appeared in the 8 x 4 matrix. In the study 2, after the training phase, we compared search reaction times on repeated display with that on nonrepeated displays when repeated and nonrepeated displays randomly appeared in the test phase. The results showed that contextual cueing effect for configuration of numbers was found in the study 1,2. Further, participants found the target numbers more faster on repeated displays than on the nonrepeated displays when repeated and nonrepeated displays randomly appeared in test phase. In recognition phase, participants were able to access the location of target numbers on repeated displays explicitly.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contextual cueing effect can be found in the PIN input display where the numbers were randomly presented. 모바일 환경에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인증 방식을 사용할 경우, 보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취약점이 있다. 이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PIN 입력 시 나타나는 숫자 배열에 맥락단서효과(contextual cueing effect)를 활용하여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8×4 행렬에 0~9까지의 10개의 숫자가 무선적으로 배열될 때 맥락단서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훈련 단계를 통해 숫자 배열의 맥락을 학습한 후, 검사 단계에서 반복 화면과 새로운 화면이 무선적으로 제시될 때, 표적숫자를 찾을 때 탐색 시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후 재인 단계에서는 참가자들이 표적숫자의 위치에 의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연구 1과 2를 통해 숫자 배열에 대한 맥락단서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 2를 통해 반복 화면과 새로운 화면이 무선적으로 제시되는 경우에도 탐색 시간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참가자들이 반복 화면의 표적숫자의 위치에 외현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맥락단서효과를 적용한 PIN입력이 사용자를 인증하는 추가 요인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탐색 자극의 시각적 특징이 공간적 배열의 맥락 단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장유리(Yuri Jang),정고은(Koeun Jung),민윤기(Yoonki Mi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4

        방해 자극들 사이에 표적 자극이 제시되는 시각 장면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우리는 표적의 위치와 방해 자극의 공간적 배열 사이의 연합을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을 탐색하는 속도는 새로운 화면보다 반복 화면에서 더 빠르며, 이러한 탐색 시간의 이득을 맥락 단서 효과(Contextual cueing effect)라고 한다. TL 탐색 과제를 사용한 맥락 단서 효과는 주로 자극들의 공간적 배열로 정의되어 왔으나, 실제 물체 탐색 과제를 사용한 최근 연구들에서는 맥락이 자극들의 공간적 배열과 시각적 특징의 합으로 정의된다고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배열맥락이 시각적 특징 맥락보다 더 강할 때, 시각적 특징 맥락이 공간적 배열 맥락 단서의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물체 탐색)과 연구 2(TL 탐색)는 공간적 배열의 독립적 학습과 이에 시각적 특징 맥락이 더해지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맥락 단서의 학습은 두 과제에서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과제에 따라 맥락 단서의 학습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표적의 위치를 예측해주고 연합장벽(associative blocking)이 발생하지 않을 때 맥락 단서에 대한 학습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hen visual displays in which a target is presented among distractors are repeatedly presented, we able to lear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distractors and target’s location. Search speed is faster in the repeated displays than in the novel displays. This benefit of search time is called the Contextual cueing effect. The contextual cueing effect using the TL search task has been defined primarily as a spatial configuration of stimuli, but the recent studies by Makovski(2016, 2018), using the real-world object search task, suggest that the context is the sum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visual features of stimuli.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ontext of visual features affects the learning of context of spatial configuration when the context of spatial configuration is stronger than the context of visual features. Study 1(using the real-world search task) and Study 2(using the TL search task) showed the independent learning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additive effect of the context of visual features. Also, the learning of contextual cu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tas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arning of contextual cue not depends on task, but it is possible when the contextual cues can predict the target location and associative blocking does not occur.

      • KCI등재

        맥락정보로서 얼굴표정이 정서강도판단에 미치는 영향: 얼굴표정의 개수, 강도, 제시시간에 따른 맥락정보의 효과 비교

        서유민,정경미,정우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9 No.3

        Understanding others’ facial expression is a key component of emotion recognition and social functioning. Contextual cues are known to have important influence on the emotion perception via faces. The aim is to examine 1) the role of others’ faces as contextual cues in emotion perception, and 2) the influence of different variables(number, intensity, and present time) of face on the contextual effect.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each variables.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the intensity of the facial on the target face.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the contextual cues have significant effect on judging the intensity of the target face, whereas the intensity had relatively small influence. The present time of the stimuli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judgement on the intensity of the target emotion.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s further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맥락정보로서 얼굴표정의 특성이 목표얼굴에 대한 정서강도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얼굴표정의 개수와 정서 강도 및 제시시간을 변수로 세 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과제는 ‘기쁨’ 표정과 ‘화남’ 표정의 목표얼굴의 정서 강도를 판단하는 것이었고, 맥락정보로 제시된 얼굴표정은 목표얼굴의 얼굴표정과 불일치하는 정서를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맥락정보의 개수가 목표얼굴의 정서 강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맥락정보로 제시된 얼굴표정의 정서 강도가 목표얼굴의 정서 강도 판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실험 3에서는 맥락정보로서 얼굴표정이 제시되는 시간에 따라 목표얼굴에 대한 정서 강도 판단이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모든 실험에서 기쁨과 화남의 조건 각각에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쁨과 화남 조건 모두에서 맥락정보로서 얼굴자극의 개수는 목표얼굴의 강도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맥락정보로 제시된 얼굴표정의 정서 강도의 차이나, 맥락정보로 제시된 얼굴표정의 제시시간에 따른 응답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목표얼굴에 대한 정서강도판단은 정서의 종류에 관련 없이 주변에 제시된 얼굴의 수가 많을수록 영향을 받음을 보여주나, 추후 연구에서 얼굴표정을 맥락정보로 사용하는 경우, 이 과제변수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조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맥락 단서 효과를 활용한 PIN 인증 시스템 제안

        장유리(Yuri Jang),민윤기(Yoonki Min)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은 과거부터 금융거래에서 개인을 인증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아직까지 사용자에게 가장 익숙한 인증 방식이다. 그러나 PIN 인증 방식은 모바일 특성상 훔쳐보기(Shoulder-surfing)에 취약하며, PIN 번호만 알고 있다면 누구든지 접근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맥락 단서효과(contextual cueing effect)를 활용하여 비사용자의 접근이 불가능한 새로운 PIN 인증시스템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