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료관객 수에 따른 클래식 음악 공연의 특성 분석 - 예술의 전당 음악당 콘서트홀 공연을 중심으로

        최연식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8

        While most of precedent studies on classical music concert audiences focus on motives and consumption patterns of the audience, they rarely show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s.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s that have charged audience, this study is to give a hint for developing classical music concert audience. To achieve this goal, data from a total of 1,156 concerts in 3 years from 2010 to 2012 of the Concert Hall of Seoul Arts Center i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classical music conerts. Those concerts are classified by 5 types; host, musicians, programming, genre and sales, and each types are categorized by small items. With this analysis, the concerts divided by two groups; the more charged audience and the less charged one.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certs hosted by cultural foundation or public sector has more charged audiences, foreign orchestra, soloist or ensemble has more the audiences than local musician’s. Daytime concerts of omnibus style and education program for the students have lots of charged audience, on the other hands, chamber music of strings or wind, and vocal and choral are the genres that has a difficulty to gather the audien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concerts, with the reference points of number of audience, average ticket price and the total sales, the analysis has been executed for classification on the concerts of the more charged audience group by nine characteristics such as daytime concerts, local or foreign, symphony orchestra, recitals or chamber music, and crossover. As for the research result, the 4 characteristics of the more audience group shows the concerts like daytime or education program, Seoul Philharmonic Orchestra’s, visiting concerts hosted by local presenter in private sector, and local chamber music.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s from the number of charged audiences which can be used for classifies and ultimately develop aud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s from the number of charged audiences which can be used for classifying and ultimately developing audiences. Howev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rts, more substantial approach on the charged audiences will be required 클래식 음악 관객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대부분 관람동기 및 소비형태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공연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관객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실제 유료관객이 존재하는 클래식 음악 공연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공연에 따라 다른 클래식 음악 관객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클래식 음악 전용공간인 예술의 전당 음악당 콘서트홀의 2010∼2012년 까지 3년간 총 1,156회의 공연사례를 분석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주최형태, 연주형태, 기획형태, 장르형태, 판매형태의 총 5개 항목으로 해당 공연을 비교 분류 하였고, 각 형태별 소 항목으로 구분하여 개별 공연의 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이를 유료관객이 많은 공연과 그렇지 않은 공연 두 그룹으로 나누어 유료관객에 따른 공연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단법인·공공에서 주최하는 공연이 많은 유료관객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 단체보다는 해외단체 및 해외 독주·실내악 연주가 상대적으로 높은 유료관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옴니버스식으로 해설이 가미된 낮 공연 및 교육프로그램은 높은 유료관객율을 보였지만 기악·관악·실내악은 합창·성악과 더불어 유료관객을 모으기 어려운 장르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유료관객이 많은 그룹의 공연을 유료관객과 티켓단가, 매출액을 기준으로, 낮 공연·교육프로그램, 국내외 교향악단 공연, 독주·실내악, 크로스오버 등 총 9개의 특징적인 공연 항목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료관객이 많은 공연의 특성은 낮 공연 및 교육프로그램, 서울시립교향악단 공연, 민간 기획사 주최의 해외 초청공연, 국내 실내악 연주자의 공연으로, 4가지의 공연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유료관객 실적을 중심으로 공연별 특성을 설명하고, 관객개발을 위한 관객세분화의 기초 작업으로서 공연특성을 도출했다는 의의가 있다. 하지만 향후에는 각 공연별 특성을 바탕으로 공연에 따른 관객의 특징을 마케팅과 같은 공연외적인 요소와 작품적 특성과의 연계 연구를 통하여 실제 클래식 음악 유료관객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동화(同化)와 이화(異化)의 문화정치, 1925년의 음악계

        김은영 ( Kim Eun Young ),신혜승 ( Shin Hye Seung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4

        본고는 1920년대 문화통치기의 음악사회를 고찰하였다. 3.1운동 이후 일제는 식민통치의 방식을 무단통치에서 문화정치로 바꾸었고 조선어 신문의 발행을 허용했다. 민족주의자들은 신문 및 잡지를 정치적 담론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한편, 일제에 의해 허용된 범위 내에서 문화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대의 문화운동은 특히 일본 유학생 출신의 지식인들이 주도하였고 서구 근대예술을 모델로 하는 신문화운동의 전개와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은 예술 활동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식민지 지식인들의 문화운동에 김영환, 홍난파, 윤심덕, 한기주 등 동경 유학파 출신 음악가들의 참여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1925년의 음악회를 중심으로 1920년대의 음악사회를 고찰하였다. 1925년은 최초의 음악전문잡지 『음악계』가 출판된 해로, 홍난파는 전문음악회를 표방하였다. 그가 생각하는 “음악회다운 음악회”는 동정음악회나 자선음악회와 같은 사회구제 성격의 음악회가 아닌 ‘음악을 위한 음악회’, 다시 말해 서구음악을 주요 레퍼토리로 하는 음악회였다. 그러나 1925년의 대홍수로 한반도는 엄청난 피해를 입었고 이 사건으로 일제의 동화정책의 허구와 민족차별의 실체가 드러나게 된다. 수해구제를 위한 음악회는 경성을 넘어 전국에 걸쳐 개최되었으며 당국은 수해구제를 명시하는 음악회를 금지함으로써 음악회는 민족 공동체의 일체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1920년대 음악회의 또 다른 양상으로 음악무도의 유행이 있었다. 천도교 소년회에서 시작된 어린이/소년운동은 사회주의의 영향으로 건강한 신체의 단련을 표방했고 음악무도는 이 시대를 특징짓는 하나의 음악현상이 되었다. 음악무도의 유행은 1925년의 음악회에도 반영되어 당대의 대표적 음악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어린이 및 소년회, 각 교회의 주일학교, 유치원 등에서 주최하는 경우가 많았다. 1925년의 음악회를 통해 문화통치기 일제의 동화주의 정책의 이면에는 배제와 차별의 이화(異化)가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가 문화통치를 위해 노린 것은 민족주의 내부의 분열과 이를 통한 친일파의 양성에 있었고 음악계도 문화통치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 society under the cultural rule during 1920s.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Japanese changed the way of colonial rule to cultural politics and allowed the publication of Korean newspapers. Nationalists used newspapers and magazines as spaces for political discourse, while carrying out cultural movements within the limits allowed by the Japanese. The cultural movement of the 1920s was especially led by intellectuals who studied in Japan, and was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a new cultural movement modeled on Western modern art and artistic activities influenced by socialism. Musicians from Tokyo, such as Kim Young-hwan, Hong Nan-pa, Yoon Shim-deok, and Han Ki-joo, also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movement led by colonial intellectuals.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 society during 1920s, mainly focusing on music concerts in 1925. 1925 was the year when the first music magazine ‘The Musical World (Um-Ak-Gye)’ was published, and Hong Nan-pa advocated a professional music concert. He thought of “concert-like concerts” as “concerts for music,” in other words, a concert with Western music as its main repertoire, not a concert of social relief such as sympathetic concerts or charity concerts. However, it was also the year when the great flood in 1925 that caused tremendous damage to the Korean Peninsula, revealing unsubstantiality of imperialism’s assimilation policy and national discrimination of Japan. Concerts about flood relief took place across the country beyond Gyeongseong, and by banning concerts specifying flood relief, concerts become an important medium for forming a sense of unity in the national community. There was a trend of music and dance, as another aspect of music concerts during 1920s. The children’s/boys movement, which began at the Cheondogyo Juvenile Association, advocated the training of a healthy body, and music and dance became a musical phenomenon characterizing this era. Music concerts in 1925 were hosted by children’s and juvenile associations, Sunday schools of each church, and kindergartens. The participation of all musicians active at the time stands out. Through the concert in 1925,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litics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behind the assimilationist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at the Japanese imperialism aimed at for cultural rule was the division within nationalism and was to make pro- Japanese group through it, and the music community could not escape from the influence of cultural rule. History proves this.

      • KCI등재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Development of Online Concerts between Creators and Viewer Audiences

        이영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6 No.5

        This study began with question of whether online concerts are still interested in creators and viewer audiences in post COVID-19 era. This is also important to ensure the industrial direction and sustainability of online concerts, which are expected to be conducted as immersive virtual concerts by utilizing various new technologies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with investigated the comparison of preference between creators and viewer audiences. In terms of creators were divided into industrial field working groups such as executive production, production, promotion, distribution and artists/songwriters. Viewer audiences were also divided into music-related and educated viewers and general audience. For the results of futures wheel technique which is fit well with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in-depth interviews by 20 people, 2 times combined groups' FGI and a survey by 80 people. The result showed that the viewers group preferred online concerts to the creators group, which seems to be due to accessibility and cheaper price than offline concerts. Viewer audiences in this study mainly commented on quality and price. And creators mainly mentioned changes in production systems and distribution platforms. In particular, complaints have been raised on both sides that new technologies have not yet been completed or commercialized rather than threats to new technologies. Regarding the development plan for this, opinions on immersive technology development, rendering and differentiated planning and directing for only online concerts were expressed.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the pop music concerts, which have a structure that is very vulnerabl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OVID-19, should need to develop technology with accurate demand from creators and viewer audiences. In addition,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various predictable dispute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후보

        한국 대중음악산업 뉴패러다임 전망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콘서트 분야를 중심으로

        이영주(Young Joo Lee),박은실(Eun sil Park)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1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7 No.2

        목적 오프라인 콘서트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동영상 송출의 온라인 콘서트로 포맷을 바꿔 명맥을 유지해나가는 중이다. 하지만, 정부는 2021년 7월부터 단계적인 거리두기 규제의 완화로 오프라인 콘서트에 5,000명의 관객까지는 다시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그렇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1년 넘게 기술과 경험을 축적해놓은 온라인 콘서트는 사라지는 것인지? 아니면 오프라인 콘서트의 보조적 기능으로 유지될지? 혹은 공연, 콘서트 감상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인지? 다양한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향후 콘서트 음악 산업이 나아갈 길을 예측하고 제언하는 목적이 있다. 방법 대한민국이 인정하는 콘서트 업계 전문가들의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와 공연, 페스티벌, 및 콘서트 분야의 업계, 학계 최고 전문가분들을 모셔서 진행한 FGI (Focus Group Interview)에 따른 미래바퀴 (Future s Wheel)기법을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결과 콘서트 관련 전문가 14인의 심층 인터뷰 결과 기획, 제작, 홍보/마케팅, 유통, 저작권, 교육/정책 및 아티스트와 관객의 일곱 개의 큰 카테고리로 의견이 분할 개진되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콘서트 관련 미래바퀴 기법 분석 결과에 대하여 4차 산업혁명, 디바이스, 공연 플랫폼 등의 빈출 단어들이 출현하였다.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콘서트들을 기 경험한 5인의 콘서트업계 최고 기획자들을 통한 FGI에서 온라인 콘서트의 새로운 중심점들이 도출되었다. 더불어, 인지도에 따른 주류 아티스트와 비주류 아티스트 간 상반된 온라인 콘서트의 시각차를 새로운 근거 이론의 기초로 제시할 수 있었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대중음악 콘서트 분야의 미래 예측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학술적, 실무적, 정책적인 분야의 결과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과 그에 따른 시사점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기존 콘서트 분야의 큰 카테고리였던 기획, 제작, 홍보/마케팅, 유통 부문이 온라인 콘서트 시대로 접어들며 테크놀로지, 디바이스, 플랫폼, 콘텐츠의 새로운 구도로 재편되는 뉴패러다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데 큰 의의가 있다. Purpose Due to the coronavirus outbreak, the offline concert is being reformatted into the online concert with video transmission. The people in the concert industry are just curious and wonder what happens next. Through the opinions of various industry experts, the purpose is to predict and suggest the future path of the concert music industry. Methods The Futures Wheel techniques were used as the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Depth interviews by Korea-recognized concert industry experts and FGI (Focus Group Interview) by Koreas’ famous concerts and music festivals’ executive producers. Result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by 14 concert-related experts, opinions were divided into seven large categories: Planning, Production, Promotion/Marketing, Distribution, Education/Policy, Artists and Audiences. Frequent words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vices, and platforms appeared in the analysis of future wheel techniques related to online concerts during the post-Corona era.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views of online concerts between major artists and indie artists could be presented as the basis for the new grounded theory. Conclusion As a result, the planning, production, promotion/marketing, and distribution sectors, which were large categories of existing concerts industr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tecting changes in new paradigms that are reorganized into new compositions of Technology, Devices, Platforms and Contents.

      • KCI등재

        동반 소비의 종류와 구매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김주호,이은정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5 마케팅관리연구 Vol.20 No.1

        Classical music concert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products” of today. However, until now, we have not been able to view them as common goods and properly assess their commercial value. In this study, I took the standpoint of viewing classical music concerts as cultural products and examined the consumers’ determinants for purchasing classical music concert tickets as satisfying their needs for sociability. In order to do so, I have classified individuals with their corresponding co-consuming types and examined factors considered to have effect on the purchasing behavior and verified whether the co-consuming types had influence on the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Consumers purchasing out of their own needs emphasized more on central attributes (e.g. content of the performance), and consumers purchasing out of high sociability needs emphasized more on peripheral attributes (e.g. marketing elements) when making purchasing decisions. We also found differences in motivation when regarding whom the consumers were going to the concerts with. For example, we find high in personal motivation among those who go to concerts alone while high in sociability needs among those who accompanied classic music experts to concerts. In this study, I have clarified what consumers considered when evaluating the quality of a performance by looking at their co-consuming types. The results suggest that consideration of appropriate concert elements with respect to co-consuming types can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evaluation and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certs. 본 연구는 제품을 누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구매하는지, 함께 사용하는 사람이 누구인지와 같이 동반 소비하는 사람에 대한 영향력에 따라 구매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는 동반성에 주목하여 동반 소비와 동반 소비자(co-consuming consumer)라는 소비자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클래식 음악공연을 관람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클래식 음악공연은 클래식 음악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바탕으로 스스로 즐기기 위한 소비자도 있지만 학습을 통해 제품을 이해해야하는 추가적 노력이 필요하고 관람 자체를 타인과의 관계에 속에서 니즈를 충족시키는 사회적 성향의 제품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클래식 음악공연의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소비욕구와 제품선택 및 평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제품적 가치와 관계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 의미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제품적 가치에서는 바로크시대 음악공연과 목관 음악에서 동반소비자에 따른 니즈의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공연 선택속성에서도 가격요인과 제품의 품질의 외재적 차원인 명성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계적 가치에서는 동반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개인적, 관계적, 과업중심적 동기가 나타났으며, 라이프스타일은 타인지향적, 자기주도적, 상징적, 이성적 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혼자 공연을 관람하는 소비자들은 개인중심적 동기가 높았으며, 전문가와 연인이 동반소비자인 경우에는 관계중심적 동기가, 가족과 동반소비하는 경우는 과업지향적 동기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타인지향적 라이프스타일에서 연인, 전문가, 친구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통해 본 연구 개념들 간의 일맥상통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동반 소비를 개념화하고, 동반 소비자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써 학술적이며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동반 소비자의 유형별 특성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제품적 가치 및 관계적 가치를 통한 마케팅 전략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act of Modern Technological Development on the Form of Music Concerts

        Yifan Cui,Xinyi Shan,정진헌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15 No.3

        In the era of continuous progress, concerts have emerged as a significant medium for music performance, providing audiences with both musical enjoyment and a means of relaxation. The study examines pivotal moments and milestones in concert history, highlighting the emergence of novel elements such as visual presentations, integration of multimedia, virtual reality experiences, and metaverse concerts. By scrutinizing the repercussions of these changes on the concert experience,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transformative influence of technology on concert formats, audience engagement, and artistic expression. Moreover, it delves into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rising from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the contemporary concert landscape.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research contribute to a comprehensive comprehension of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echnology and concert forms,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future scholarly discourse and advancements within the field.

      • KCI등재

        A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r Experience on the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of Online Concert Users - Taking TME Live Users as an Example -

        이소예,김현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5

        Drawing upon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concert user experience (stimulus)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respons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rganism). In the context of the growing integration of the internet and concert experiences, understanding these dynamics is vital for advancing the development of online concerts. This research constructs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 centering on three primary dimensions of user experience: information experience, entertainment experience, and interactive experience, alongsid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s mediators. Employing extensive questionnaire surveys and detail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unveils that information and interactive experiences significantly enhance users'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both of which positively influence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Contrary to conventional beliefs, however, it was found that entertainment experience does not significantly impact perceived usefulness. This notable discovery holds substantial implications for optimizing online concert platforms, particularly in enhancing user experience. Furthermore, this study enriches the theoretical discourse on online concert user behavior, introducing novel insights and methodologies for probing and understanding this domain.

      • KCI등재

        증강현실 기반 온라인 콘서트 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조항민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2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ugmented reality-based online concert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365 consumers who experienced an augmented reality-based online concert. The main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AMOS 21.0 program.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augmented re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activity (β=.06, p>.05), but informativeness (β=.44, p<.001) and relative innovativeness (β=.20, p<.001) had a positive effect. Second, interactivity (β=.04, p>.05)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but informativeness (β=.32, p<.001) and relative innovativeness (β=.41, p<.001)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online concert, it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informativeness and relative innovativeness of consumers based on the perceived augmented reality.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 온라인 콘서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증강현실 기반 온라인콘서트의 성장과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증강현실 기반 온라인 콘서트를 경험한 소비자 365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경로분석을통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각된 증강현실이 정보성과 상호작용성, 상대적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지각된 증강현실은 상호작용성(β=.06, p>.05)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정보성(β=.44, p<.001)과 상대적 혁신성(β=.20, p<.001)에 대해서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정보성과 상호작용성, 상대적 혁신성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성(β=.04, p>.05)을 제외한 정보성(β=.32, p<.001)과 상대적 혁신성(β=.41, p<.001)이 참여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증강현실 기반 온라인 콘서트에 대한 참여의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지각된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소비자에 대한 정보성과 상대적 혁신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The Rise of Augmented Reality in Live Music Events: The Cases of Snapchat and Gorillaz

        Melanie Fernandes,Nicole Mallmann,신상우 한국경영커뮤니케이션학회 2024 Business Communica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7 No.1

        Objectives: Augmented reality (AR) has been often used in live music events with an intentio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wo such cases. This paper also discusses some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AR in live music events and its practical implications. Method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R technologies used in live music events are explored through two cases: Snapchat and Gorillaz. The two cases introduced in this paper showcase the cutting-edge AR technologies used in eXtended Reality concerts. Results: Both Snapchat and Gorillaz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innovative use of AR technologies in live music performances. The transformative power of AR in the XR live concerts brings a new level of excitement to the concert experience by incorporating virtual elements into the physical stage. The real-time AR effects that are synchronized with a band’s music foster deep engagement and interactivity among attendees, showing the potential of AR to be an effective communication vehicle in the context of live music concerts and festivals. Conclusions: The success of the AR-assisted music events exemplifies the power of collaboration between artists, animators, and technology experts. This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embraci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to unlock the full potential of AR technology.

      • KCI등재

        식민지 근대 문학에 나타난 ‘음악’의 의미 고찰 - 계몽·개화로서의 ‘음악’과 미적 근대성의 실현 -

        이미나(Lee Mi Na)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9 No.-

        식민지 근대 ‘예술’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서구음악은 근대 예술을 대표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계몽‧개화의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교양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당시 서구음악을 선호하는 세대가 등장하면서 음악은 미적 감수성을 자극하는 예술로 향유의 대상이 되었으며, 음악을 듣고 감상하는 행위를 통해 근대적 감각을 체득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1920년대 전문교육기관에 ‘음악과’가 신설되어 음악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서구음악은 근대적 삶을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9세기 말 서구음악이 본격적으로 수용되면서 ‘음악(音樂)’과 관련된 용어도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음악’이라는 용어는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변역어로서 ‘music’을 의미하는 ‘음악’은 식민지 근대 서양음악이 본격적으로 유입된 시기에 고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식민지 근대 통용되기 시작하였던 ‘음악’이라는 용어는 ‘music’의 번역어로 일본을 경유하여 들어왔으며 ‘서양음악’에 한정된 의미였다. 이러한 ‘음악’의 의미는 홍난파가 1919년 2월 발간한 최초의 음악잡지 『三光』에 실린 글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홍난파는 「音樂이란 何오」에서 암흑과도 같은 조선의 상황을 극복하고 서구와 같은 신문명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음악의 힘’을 길러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청자로 하여금 쾌감과 감흥을 일으킬 수 있는 음악의 요건을 제시하면서 감정을 발로할 수 있는 음악을 진정한 음악으로 보고 있다. ‘音樂小說’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홍난파의 「金牌의 行方」은 1910년대 서구로부터 유입된 ‘음악’의 개념과 근대 예술로서의 음악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박영희의 「結婚 前日」은 음악으로 표상되는 예술적 삶과 타율적인 현실과의 괴리감을 주인공의 ‘감정’을 통해 묘사하고 있다. 나도향의 「젊은이의 시절」은 음악을 통해 감정의 역동적인 국면들을 표출하고 있으며, 초월적인 음악 세계의 일면을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민태원의 「음악회」와 현진건의 「까막잡기」는 서양음악을 감상하고 향유하는 서구식 실내음악회의 풍경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처럼 서구음악에 열망하는 시대적 상황과 음악가로서 미적 삶을 향유하는 당대 ‘호모 무지쿠스((Homo musicus)’들의 삶은 1910∼1920년대 창작된 다수의 소설에서 근대적 풍경으로 재현되고 있다. As the concept of colonial modern ‘art’ rose to the surface, western music started to be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modern art and was seen as culture when it was utilized for enlightenment and repentance. The appearance of a generation which preferred western music at the time turned music into a subject of enjoyment that stimulates aesthetic sentiments, and the audience began to learn modern sensations through the act of listening to and appreciating music. Furthermore, systematic musical education with the installation of music major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1920s became a trigger that helped western music play a key role in forming the modern life. The acception of western music in earnest in the late 19th century brought birth to the word ‘音樂.’ It originated in China, but the translation of ‘音樂’ as music was fixed when colonial modern western music flew in. A translation of the word music generally used in modern colonies, ‘音樂’ entered through Japan and meant ‘western music.’ Articles in the very first music magazine “三光” published by Hong Nan-Pa in February 1919 give details to the meaning of such ‘music.’ In “音樂이란 何오” Hong Nan-Pa emphasizes the ‘power of music’ to overcome the dark situation of Joseon at the time and establish a new civilization like the western ones. He also suggests the conditions for music in which the audience can experience pleasure and inspiration, seeing music that reveals emotion as authentic music. Subtitled ‘音樂小說,’ Hong Nan-Pa’s ‘金牌의 行方’ illustrates the concept of ‘music’ coming from the west in the 1910s and the genuine meaning of music as modern art. Park Young-Hee’s ‘結婚前日’ describ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rtistic life represented by music and the heternomous reality through the ‘emotions’ of the protagonist. Na Do-Hyang’s “Season of Youth” expresses dynamic sides of emotion through music and pictures world. Min Tae-Won’s “Music Concert” and Hyun Jin-Geon‘s “Blindman’s Buff” realistically displays scenes of western indoors music concerts where western music is appreciated and enjoyed. Like such, the periodic situation with longing for western music and the lives of homo musikus who enjoy aesthetic lives as modern audience are recreated in the modern way in multiple fictions from the 1910s and the 192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