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유공자를 간호하는 보훈병원 간호사의 자기자비, 적극적 대처 및 소극적 대처가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보람 ( Lee¸ Boram ),안숙희 ( Ahn¸ Sukhee ) 부산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1 글로벌 건강과 간호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levels of self-compassion, active coping, passive coping, and compassion fatigue and satisfaction, and explore the influence of self-compassion,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on compassion fatigue and satisfaction among nurses working at veterans’ hospitals. Methods: A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respondents were 148 staff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a year in the general ward of four veterans’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pril 2019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respondents’ mean age was 31.49±6.85 and clinical experience 8.82±6.67 years. While compassion fatig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urses having veterans in the family (t=-2.59, p=.010), compassio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aged 41 and above (F=4.18, p=.018), married (t=-2.38, p=.018), having a higher monthly income (t=-2.59, p=.010), and having a hobby (t=-3.34,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fatigue and satisfaction (r=.21, p=.010).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mpassion fatigue score was higher when nurses had veterans in the family(β=.21, t=2.68, p=.008), with a 4.8% explained variance. Nurses engaging in more active coping (β=.34, t=3.70, p<.001) and less passive coping (β=-.24, t=-2.89, p=.004), and having a hobby (β=.19, t=2.50, p=.013) reported higher levels of compassion satisfaction. Conclusion: More active coping and less passive coping impacted compassion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us, there is a need to provide support to nurses so that they can utilize effective ways of coping with stress to improve their compassion satisfaction.

      • KCI등재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의사소통효능감을 중심으로

        김경희,이종은 한국재활간호학회 2019 재활간호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s of compassion fatigue/satisfaction, communication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mong integrated nursing and care services (INCS) unit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 1 and February 15, 2019 with 174 nurses working at INCS units.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3.0. Results: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total clinical career, and job position.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passion satisfaction (r=.72, p<.001) and communication efficacy (r=.52, p<.001)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passion fatigue (r=.-25, p<.001).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compassion satisfaction (β=.61, p<.001) and communication efficacy (β=.18, p=.004). Overall, approximately 58.9% of the variability in job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these two variables in this study. Conclusion: Compassion satisfac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n emotional balance in the nurse's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High communication efficacy among professionals in the INCS ward is a necessary factor to increase nurses'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grams to improv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efficacy are needed to enhance nurses' job satisfaction.

      • KCI우수등재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과 연민피로에 관한 연구

        김용석(Kim, Yong-Se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2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고통을 공감하고 고통 속에 있는 클라이언트를 걱정하며 그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해 노력한다. 이를 연민(compassion)이라고 하며 연민은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연민은 사회복지사에게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결과를 주기도 하고 만족감 같은 긍정적 결 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긍정적 결과를 연민만족, 부정적 결과를 연민피로라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민만족과 연민피로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한국어판 ProQOL을 평가한 다음, 사회복지사의 연민만 족도와 연민피로도를 파악하고, 연민만족도와 연민피로도를 조합하여 사회복지사들을 군집으로 분류하 는데 있다. 본 연구에는 수도권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 284명이 참여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어판 ProQOL은 기존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2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신뢰도와 타당도 또한 양호하 여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과 연민피로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사 회복지사의 연민만족도는 보통 이상 수준이었고 연민피로도는 보통 이하 수준이었다. 연령이 상대적으 로 많고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거나, 또는 직급이 높은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도가 높았다. 군집분석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들은 3개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군집1은 연민만족은 중간수준이고 연민피로는 가장 낮은 군집이었고, 군집2는 연민만족도는 가장 낮았고 연민피로도는 중간수준이었으 며, 군집3은 연민만족도와 연민피로도 모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Social workers empathized with clients’distress, feel concerned for clients in distress, and try to reduce their distress. This is called compassion. Compass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social work practice. However, compassion results in both positive results and negativ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Korean version of ProQOL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of helping professionals, to identify levels of compassion satisfaction/fatigue of the participants, and to divide the participants into clusters by clustering variables which are compassion satisfaction/fatigue. A total of 284 social workers residing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 version of ProQOL is composed of compassion satisfaction factor and compassion fatigue factor as reported in a previous stud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satisfactory. The level of participants’compassion satisfaction was above moderate and their level of compassion fatigue was below moderate. Those who are older, have graduate education, have more years of work experience, or have higher positions have more compassion satisfaction. Cluster analysis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3 clusters. Cluster 1 is characterized by moderat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low compassion fatigue, Cluster 2 is characterized by low compassion satisfaction and moderate compassion fatigue, and Cluster 3 is characterized by high compassion satisfaction and high compassion fatigue.

      • KCI등재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공감피로, 공감만족에 양육유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이연희 ( Lee Yeon-hee ),황순영 ( Hwang Soon-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influencing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n the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336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sked to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vestigating the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three 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f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on the averag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nd so was between the compassion of fatigue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s well,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assion of satisfaction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was on the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presented that to reduce compassion fatigue in the relation of between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moth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For this, for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improv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through various support of personal and social aspect.

      • KCI등재

        자녀의 장애진단 시기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 분석

        이연희 ( Yeon Hee Lee ),황순영 ( Hwang Soon 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moment of diagnosis of disability. 117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on compassion fatigue and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overall level of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was showed on average level. For the level of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ccording to the moment of diagnosis of disability, compassion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that consisted of mothers with children diagnosed with disabilities 3 years ago or more.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of early and systematic support systems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crucial to increase their compassion satisfaction and decrease the compassion fatigue.

      • KCI등재

        간호사의 공감만족에 대한 국내 연구 분석

        이순늠(Soon-Neum Lee),김정아(Jung-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는 간호사의공감만족에 대한 국내 연구의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에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조사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정보서비스, 국회도서관, KISS, NDSL을 이용하였다. 주요어는 간호사, 공감만족, 전문직 삶의 질 로 검색하여 최종 18편의 논문을 분석 하였다. 연구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 위주였고, 연구 대상은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나타났다. 공감만족과 관련이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직위, 경력, 교육상태 등이었으며, 관련변수로는 소진, 공감피로, 직무만족, 극복력 등으로 나타났다. 공감만족과 관련이 있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나이가 어리고 경력이 짧은 미혼인 간호사의 공감만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조직적 차원에서 지지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간호사의 공감만족은 임상실무에서 간호의 질 향상과 간호인력 관리에 기여 할 것이다. 따라서, 간호사가 간호를 하면서 높은 공감만족을 가질 수 있도록 간호 관리자의 관심과 노력이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 간호사에게 적합한 도구개발 연구, 간호사의 공감만족에 대한 본질적인 실체를 밝히는 질적 연구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중재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review and summarize the trends in research pertaining to the compassion satisfaction of nurses in Korea and to mak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study, RISS, KISS, NDSL,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the key words "nurs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r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nurse". Eighteen papers on compassion satisfaction of nurses were reviewed. This was a non-experimental study (100%), and included hospital nurses (100%).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terest pertaining to compassion satisfaction were age, position, career, educational status, and etc. The variables with respect to compassion satisfaction were burn out, compassion fatigue, job satisfaction, resilience, and etc.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reliminary data on research trends in the compassion satisfaction of nurses. Nursing managers need to maximize strategies to enhance compassion satisfaction of nurses. A qualitative study and a development of a program focused on compassion satisfaction are recommend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특수교사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 및 관계 분석

        백주현,황순영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vel of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nd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conditions. For this, the author took a survey of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iming 194 teachers in special-education school and class in Busan and Gyeng-nam province, and the result was analysed through t-test and F-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Following beneath are results. First, Compassion fatigu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of average level, bu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happened among gender. Second, compassion satisfact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of average level. Last, in case of correlation between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which belong to sub-factor of secondary compassion fatigue. Meanwhile, highly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Thus, for displaying their ability as teacher, researchers put forward opinion of offering educational environment by reducing compassion fatigue having ability to give negative influence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expanding compassion satisfaction having ability to give gratification and positive feeling.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을 알아보고 이 두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시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평균차검증(t/F)과 상관 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특수교사의 공감피로 수준은 평균 수준이었고,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공감만족 수준 역시 평균 수준이었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공감피로와 하위영역인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소진이 높은 정적관계를 나타냈으며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은 높은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특수교사에게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공감피로는 줄이고 만족감과 긍정적인 감정을 줄 수 있는 공감만족을 확대하여 교사로서의 역할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적 환경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Jung Min Lee),염영희(Young Hee Yom) 한국간호행정학회 2013 간호행정학회지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268 nurses from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Scheffe,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Compassion fatig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rnout, while Compassion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The explained variance for burnout was 49% and compassion satisf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burnout of nurs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nurses` burnout are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Therefore strategies to decrease work stress and compassion fatigue and to enhance compassion satisfaction for nurses are needed.

      • KCI등재

        Type D 성격 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 피로, 소진, 공감 만족 및 직무 스트레스

        김성렬(Sung Reul Kim),김혜영(Hye Young Kim),강정희(Jeong Hee Kang) 한국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Type D 성격 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 피로,소진, 공감 만족 및 직무 스트레스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 만족도 및 이직의도와 관계가 깊으므로 직무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25].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Type D 성격 유형과 관련이 있으므로,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전략을 사용함에 있어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개인적 특성인 스트레스에 민감한 성격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중재하는 것은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결과 상급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TypeD 유형의 간호사는 전체의 79.7%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도구를 이용하여 간호사의 Type D 성격 유형을 조사한 연구가 거의 없으므로 직접적인 비교가 불가능하나 한국어판 DS14의 타당도 연구[23]에서 Type D 유형은 건강한 성인에서 27.8%, 고혈압 환자에서 24.7%, 심부전 환자에서26.1%로 나타난 결과 및 20~30대의 건강한 성인에서 TypeD 성격 유형의 빈도가 51.0%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본 연구대상자들의 type D 성격 유형의 빈도는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또한 40~60대 중년 직장인을 대상으로 typeD 성격 유형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에서 대상자의24.3%가 type D 성격 유형으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하여 보아도 본 연구결과는 높은 수치이다[26].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가간호사라는 특성 상 여자 대상자가 많은 점 등으로 절대적인 비교는 불가능하므로 간호사의 type D 성격 유형 빈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type D 성격 유형은 불안이나 우울,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인 정서뿐만 아니라 혈압 상승, 맥박 수 증가, 염증 반응의 전구물질인 사이토카인 분비 증가를 통한 면역력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5,6,27,28], type D 성격 유형은 간호사의 정신적 건강 뿐 아니라 신체적 건강에도 악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본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공감 피로 및 소진의 수준이 42점 이상의 높은 대상자는 없었고 모두 보통 및 낮은 수준의 공감 피로 및 소진을 보였으며, 공감 만족은 4명만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동일한 도구를 이용한 국내 다른 연구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공감 피로 및 소진의 수준이 비슷한 점수이며 공감 만족만 약간 낮은 점으로 보아 42점 이상인 경우 높은 수준으로 판단하는 절단점(cutoff)과 22점 이하의 경우낮은 수준으로 판단하는 절단점(cutoff)이 국내 간호사에게 적용하는 경우 적절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타당성과 관련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간호사의 공감 피로, 소진, 공감만족의 수준은 각각 30.7±5.2, 29.0±4.5, 26.5±4.9로 이것은 동일한 도구로 국내 종양간호사의 공감 피로, 소진, 공감 만족을 측정한 Kim 등의 연구에서 공감 피로 30.0±6.1, 소진31.4±4.8, 공감 만족 30.1±6.5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하여볼 때 공감 피로와 소진은 비슷한 수준인 것과 달리 공감 만족은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19]. 그러나 국외에서 호스피스 간호를 담당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동일한 도구로 측정했을때 공감 피로 20.1±2.0, 소진 22.3±2.2, 공감 만족 43.4±4.3로 나타난 연구결과에 비해 본 연구에서의 공감 피로와 소진 수준은 높고 공감 만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29]. 또한국외 연구에서의 간 및 신장 이식 코디네이터 간호사의 공감피로, 소진, 공감 만족에 관한 연구결과와 비교하여도 본 연구 대상자들의 공감 피로와 소진의 수준은 높고 공감 만족 수준은 낮았다[30]. 이것은 우리나라 간호사들이 외국 간호사에 비하여 공감 피로 및 소진의 수준이 높고 공감 만족이 낮은 것을 보여주는 사례 일 수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대규모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대상자들의 공감 만족은 연령, 임상 경력, 결혼 상태와 직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령 및 임상 경력에 따른 공감 만족의 차이는 Kim 등[19]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수간호사와 책임간호사의 공감 만족이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점 또한Kim 등[19]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본 연구 및 Kim등의 연구에서 책임간호사 및 수간호사의 수가 적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기존 연구에서 공감 피로와 소진은 암 환자를 돌보는 종양 간호사나 호스피스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사회 심리적 결과로 알려져 왔으나[8,10,19], 본 연구결과 공감 피로와 소진은 근무 부서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오히려Type D 성격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암 환자를 돌보는 종양간호사나 호스피스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 이외에도 간호사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모든 부서의 간호사가 공감 피로나 소진의 수준이 높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간호사 중 종양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수가 적었으므로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결과 Type D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ype D 성격유형의 간호사에서 연령이 다소 낮았고 임상경력이 낮았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의 Type D 성격 유형에 따른 공감 피로, 소진, 공감 만족,직무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ype D성격 유형의 간호사는 type D 성격 유형이 아닌 간호사들에 비해 더 높은 공감 피로, 소진, 직무 스트레스를 보고하였고 더낮은 공감 만족을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공감 피로와 소진의 수준을 낮추고 공감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간호사의 성격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되며, 공감 피로와 소진의 수준을 낮추고 공감 만족을 높이는 전략은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는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에서 공감 피로와 소진이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감 만족은 직무 스트레스나 공감 피로와 관련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Lee[20]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호스피스를 담당하는 의료인과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29]에서 공감 만족이 공감 피로와 역 상관관계를 보인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으며, 공감 만족이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한 다른 연구결과[19]와도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므로, 추후 공감 만족과 다른 변수들과의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국외의 경우 간호사의 공감 피로 및 소진에 관한 관심은 이에 대한 중재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Aycock와 Boyle은 종양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공감 피로 중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공감 피로와 소진은 간호사가 임상 현장을 떠나게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로 하여금 공감 피로및 소진의 증상 및 위험 인자를 스스로가 알게 하고 간호사의 감정적 표현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며 공감 피로를 경험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전략을 실시하는 것과 동료들의 지지가 중요하다고 하였다[10]. 우리나라에서도 공감 피로 및 소진의 수준을 사정하여 공감 피로와 소진의 수준이 높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 현장에 맞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평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Type D성격 유형의 간호사는 공감 피로, 소진,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므로 Type D 성격 유형의 간호사를 선별해내고 이들의 공감 피로와 소진을 관리하는 것이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며 공감 만족은 소진과 관련되어 있었다.따라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감피로, 소진의 수준을 적절히 사정하고 이를 중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ype D personality 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172 clinical nurses working in two tertiary hospitals.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ed Type D personality scale,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job stress scales. Results: About 79.7% of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Type D personality group. The Type D personality was not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The Type D personality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job stress and lower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non-Type D personality group. In addi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and compassion fatig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However, compassion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Conclusion: As the prevalence of Type D personality is high in clinical nurses, it is necessary to assess stress-related personality. In addition, management for the nurse with Type D personality is required to alleviate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job stress and to improve compassion satisfaction.

      • KCI등재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 대상 ProQOL(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연구

        장현석 ( Jang Hyun Seok ),이상훈 ( Lee Sang Hun ),양소남 ( Yang So Nam ),박소연 ( Park So Youn ) 한국경찰학회 2017 한국경찰학회보 Vol.19 No.3

        Persons, who work professionally to provide assistance for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the sudden disasters or accidents, can experience various kinds of emotional status. Among them,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have been recently received attention by the scholars. Those concepts were proposed by Figley(1995). Compassion fatigue can be experienced among professional helpers as a negative emotional status. While the professional helpers assist people with trauma condition, as the symptom of compassion fatigue they can indirectly experience the customer`s hardship as well as go through the burnout status. In the case of compassion satisfaction, it represents an emotional satisfaction experienced by the professional helpers by helping people who went through the tragic incidents. Generally speaking, police officers are known with arresting criminal and preventing crimes as their main duty. So, the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re not related to police officers. However, the first responding professional on the crime victimization is a police officer. Also, recentl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established the crime-victim support police officer system(victim officers). There are special police officers who support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refore, those police officers, who specialized in supporting victims of crimes, can be considered professional helpers. The concept of compassion fatigue was introduced very recently in South Korea. Few studies examined the compassion fatigue of nurses and special teachers. In 2016, several studies on the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ProQOL scale for social welfare professional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However, there is no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on the ProQOL for the police officer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ProQOL 5 scale applied to the victim offic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Korean ProQOL scale for the police officer was appropriate to measure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3 factor ProQOL, current study found 2 factor structure was better for the victim officers. Each factor was named a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