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towards Community POLICING, Socio-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olice in KOREA

        Kim Ja-eun,Kim Eun-ju J-INSTITUTE 2016 Regulations Vol.1 No.2

        Community policing has been accepted as new paradigm of policing in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JAPAN, U.K., FRANCE. In KOREA, there has also been a growing awareness towards importance of community policing,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adopt and establish community policing. However, com-munity policing has not yet been fully established. Therefore, the study intended to compare differences in awareness towards community policing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olice as part of measures to establish community policing.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study set the community policing awareness factors as the goals and entity of community policing. Survey was conducted to the life safety departments, patrol divi-sions, and precinct stations of the police stations in Seoul, Gyeonggi-do, Incheon. The results were examined for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t-test and ANOVA using the SPSS21.0, a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objectives of community polic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4 items, i.e., age of police officers,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rvice, type of local urban area in service, and working period of police officers. The entity of community policing was found to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5 items, i.e., gender, ag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rvice, type of local urban area in service, and organization in service. Among the item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3 times, i.e., ag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rvice, and type of local urban area in service were found to be common to community policing awareness factors. By age, extent of awareness was higher in those in their 20s and 40s than in those in their 50s. Meanwhile, those serving in Incheon had higher extent of awareness in terms of the 2 factors in connection with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rvice. Moreover, extent of awareness was higher in industrial regions and agricultural/fishery regions in connec-tion with type of local urban area in service. Based on that, various types of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awareness towards community policing, depending on working environment, region of work and age of the police officers, in order to increase awareness towards community policing. In addition, right community policing should take root through im-provement of awareness towards community policing by the police force.

      • A Study on People’s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Community POLICING on Crime Prevention in KOREA: Focus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Kim Ja eun J-INSTITUTE 2017 Regulations Vol.2 No.2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crime have required the appearance of new forms of police activ-ities. Community policing appeared to meet these requirements and has been introduce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USA, UK and Japan and is now in use. Community policing has also been introduced here in Korea. The police in Korea have accepted it as the new paradigm for the police to prevent crime in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people’s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community policing on crime prevention, which is its ultimate goal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people’s recognition of its effect on crime prevention from the sociodemographic perspective in order to provide the police with basic data for improvement in their com-munity policing. For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factors such as ‘reduction in the fear of crime’, ‘reduc-tion in crime occurrence’ and ‘reduction in disorder in the local community’ were selected to measure people’s recognition of its crime prevention effect. The research using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from Nov. 20, 2013 to Dec. 31, 2013 and administered to 303 people. The SPSS 21.0 program was us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tool and the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points in the factors of reduction in the fear of crime, reduction in crime occurrence and reduction in disorder in the local community were all below 3 points, thus indicating that people do not recognize the positive effect of community policing on crime prevention. For checking the difference in citizen’s recognition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people’s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community policing on crime prevention has been researched depending on 5 factors such as the sex, age, urban residential area, period of residence and job. It was found in this research that the job factor (1) make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reduction in the fear of crime, the job factor (1) make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reduction in crime occurrence and the three factors (3) such as job, form of urban residence and period of residence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reduction in disorder in the local community. Company workers show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in all respects such as the reduction in the fear of crime, reduction in crime occurrence and the reduction in disorder in the local community than those in technology and production fields. In addition, those who live in the residential area show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of the reduction in disorder in the local community than those living in industrial areas and others. In terms of period of residence, those who lived for at least 1 year but less than 3 years and those for 9 years or above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the reduction in disorder in the local community than those who lived for at least 6 years but less than 9 years did. Thes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a more diversified community policing in consideration of the people’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ir job, urban residential area and period of residence and there should also be a continuous effort for change in community policing through the periodic evaluation of commu-nity policing to improve people’s positive recognition toward community policing.

      • KCI등재

        지역사회경찰활동과 경찰신뢰의 관계: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경찰활동을 중심으로

        손동철,남재성 한국치안행정학회 202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8 No.2

        Of a variety of factors constituting community policing, this study verified which sub-factors of policing for solving community affairs that are composed of three main areas such as community affairs, policing, reduction of disorder and crimes in communities and solution of community affairs have the greatest impact on confidence in police.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factors related to policing for solution of community affairs out of elements of community policing affect confidence in police in order of community affairs and policing, problem solving, reduction of disorder and crime in communities. Such analysis result means that being faithful to the so-called basics of police that activities of preventing crimes and arresting criminals, securing traffic safety within local communities, receiving and handling civil petitions rapidly while activating community policing is the most important value for policing to win support and confidence of citizens. Therefore, it is considered desirable for Korean national police to create joint police service through citizen-police partnership by giving priority to the basic, traditional and essential behaviors and activities of police while inheriting and maintaining the root ideology of community policing, and proceeding with construction of partnership through reduction of disorder of citizens and communities, comprehensive problem solving and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that community policing emphasize in addition to the foregoing activities.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중에서도 지역사회 문제와 경찰활동, 지역사회 무질서 및 범죄감소, 지역사회 문제해결 등 크게 세 영역으로 구성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위한 경찰활동의 세부 요인들 가운데 과연 어떠한 요인들이 경찰에 대한 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경찰활동의 구성요소 중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경찰활동과 관련된 요인들은 지역사회 문제와 경찰활동, 문제해결, 지역사회 무질서 및 범죄감소의 순으로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을 활성화하는 가운데에서도 범죄를 예방하고 범인을 검거하는 활동, 그리고 지역 내 교통안전을 확보하고 시민들의 민원을 신속하게 접수하고 적극적으로처리하는 소위 경찰의 기본에 충실한 경찰활동이야말로 시민의 지지와 신뢰를 받을 수 있는 경찰활동의 가장 중요한 가치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한국경찰은 지역사회경찰활동의 근본적 이념을 계승하고 유지하는 가운데 경찰의 기본적, 전통적, 본질적 작용과 활동에 대하여 우선성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과 더불어 지역사회경찰활동이 강조하는 시민과 지역사회의 무질서 감소 및 포괄적 문제해결, 적극적 시민참여를 통한 파트너십 구축활동도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진정한 민경친선을 통한 공동의 치안서비스가 창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지역사회경찰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역치안협의회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재운(Kim Jae Wo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No.3

        전통적으로 경찰은 순찰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고 사회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경찰의 노력만으로는 범죄를 예방할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타났으며, 경찰은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범죄와 무질서에 대처하려는 인식의 전환이 일어났다. 경찰활동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하기 위해 지역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려는 접근방식이 지역사회 경찰활동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다기관 협력방식의 지역치안활동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즉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경찰과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지방의회, 교육기관, 언론기관, 민간단체 등이 참석하여 법질서를 확립하고 치안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지역치안협의회'를 발족하였다.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종합적인 치안협력 네트워크 기구인 지역치안협의회가 지역사회경찰활동이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전략지향 경찰활동, 이웃지향 경찰활동, 문제지향 경찰활동, 그리고 경찰활동의 분권화라는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지역치안협의회는 관계자 대부분이 지역사회의 기관장이나 단체장의 정기적인 친목 모임정도로 여기고 있는 실정이며, 지역사회의 범죄와 무질서를 통제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적 차원의 경찰활동은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지역치안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참여 기관별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정기적으로 진행사항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경찰과 지역사회의 원활한 치안협력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범죄와 무질서에 관한 전문적 식견이 있는 경찰관을 자치단체에 파견하고, 전국적인 지역치안전략 수립을 상담지원하고, 관련 공무원을 교육하며, 정보공유를 담당한 중앙단위의 전략지원팀의 설치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치안협의회 운영에 있어서 경찰과 지역주민과의 의사소통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으며 지역주민들은 경찰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등 이웃지향경찰활동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 관변단체장 위주의 협의위원에 지방의원이나 이ㆍ통장 등 지역주민을 대표하는 인사가 위촉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하며, 중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지역치안협의회에서 지역주민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여 지역사회의 문제점을 공유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치안협의회는 지역사회에서 범죄와 무질서에 관한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보다는 기관장의 치안활동이나 성과를 지역사회에 홍보하는데 치중하고 있어 문제지향 경찰활동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협의위원들이 순차적으로 소관업무에 관한 지역사회의 치안문제를 발굴하여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회의진행을 실질화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치안협의회는 지역사회내 기관과 단체간의 네트워크 형성에만 치중하여 내부 직원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경찰활동과 같이 공식적인 명령에 의한 준군대적 조직체계를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치안협의회를 통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경찰의 의사결정체계를 중간관리층에 위임함으로써 지역실정에 맞는 경찰활동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경찰활동을 수행하는 내부 경찰관의 직무만족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점이 보완된다면 지역치안협의회는 경찰과 지역사회의 협력방식에 의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주민들에게 범죄와 사고로부터 안전한 삶을 보장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olice have traditionally played a role of preventing crime through patrol and maintaining public safety and order in society. However, many studies since 1970's indicated that the mere efforts of police cannot completely prevent crimes and the police started to cope with crimes and chaos in cooperation with community. An approach to prevent crimes in cooperation with comm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olicing is called community policing, which is recently presented as nation-wide community-based local security activities in Korea supported by multiple agencies. In this respect, 'Community Safety Committee' launched to establish law and order as well as infrastructure of public order with the participation of local council, educational institution, press, and private organizations, led by the police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with the advent of Lee Myung-Bak's administration in 2008. For community safety committee,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of Korean societies, to be in international step with community policing,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followings within the framework of essential elements of community policing, including strategy-oriented policing, neighborhood-oriented policing, problem-oriented policing, and decentralization of policing. Firstly, most of the people concerned with community safety committee consider this meeting as a regular social gathering hosted by chief or head of local communities, and are not serving to integrated and systematic community policing to control crimes and disorder. Regular check up on the progress of community public safety plan by each participating agency is required to work on an improvement to the above issues. Meanwhile, it is imperative to dispatch police with professional knowledge in community crime and order to local governments, offer counseling service for establishment of community safety plan, train related public officials, and found central strategy team in charge of information sharing for successful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community. Secondly, neighborhood-oriented policing is not in full operation due, in large part, to the little interest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police and local residents as well as the failure of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policing. Then the present consultative committee, mainly comprised of heads of aided organizations from government, is supposed to hire those who represent local residents such as town foreman, so that they could directly listen to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at the community safety committee to share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Thirdly, community safety committee pays more attention to show off tangible results of chief of organization rather than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community crime and disorder, which leads to another failure to perform problem-oriented policing. Members of consultative committee will have to find out the loopholes of community safety in regular series to substantialize the meeting. Fourthly, community safety committee takes paramilitary form of organization led by official commands for internal employees, mainly focusing on networking local community for organization. However, it is indispensable to perform policing activities suited to local situations by delegating decision-making system of the police to middle management for revitalization of community policing through community safety committee, and then take internal police's level of job satisfaction into consideration. Provided that the above issues are settled down successfully, community safety committee will be able to promise local residents a high level of safety from crimes and accidents, serving to core roles of community policing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community.

      • KCI등재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경찰과 시민의 인식 비교 연구

        김자은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5 경찰학논총 Vol.10 No.1

        지역사회경찰활동의 도입이 이루어진 1990년대부터 우리나라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정착을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노력이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주체인 경찰, 시민 모두의 입장을 반영하지 못한 채 경찰의 입장에 한정되어 지역사회경찰활동 평가와 개선이 이루어져 왔음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경찰과 시민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경찰과 시민의 인식차이 를 토대로 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온전한 정착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경찰과 시민의 인식비교는 지역사회와의 관계, 지역사회 무질서 및 범죄감소, 경찰 이미지를 인식요인으로 하여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요인에 있어서 경찰이 시민에 비해 높은 인식정도를 보이고 있었다. 경찰과 시민의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난 정도를 비교하면 경찰이미지, 지역사회와의 관계, 지역사회 무질서 및 범죄감소 순으로 나타났다. 경찰과 시민 모두 지역사회경찰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무질서 및 범죄감소가 이루 어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반면, 경찰이미지와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경찰은 경찰이미지와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는 반면 시민은 경찰이미지와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대해 부정적 인 인식을 취해 경찰과 시민의 인식격차를 줄이기 위한 현실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개선방향은 첫째, 지역사회경찰활동 기획단계에서부터 평가단계의 전 과정에 걸쳐 경찰과 시민이 주체가 되어 참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 모색, 둘째, 경찰과 시민을 대상으 로 한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 방안의 강구, 셋째, 지역사회경찰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주기적・지속적 평가 실시를 제시할 수 있다. Since the 1990s,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policing in the country made an effort has been made in many areas for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policing. However, most of the effort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community policing came evaluation on the part of the police can not be deni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improved way for the full establishment of community policing wa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the police and citizens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the police and the citizens of the community policing. The police and citizen awareness comparison of Community policing has the awareness factor: community relationship, disorder and crime reduction, police image. The result of awareness comparison between the police and citizens seemed to be a big difference in order of police relations with the police image, community relation, reducing the disorder and crime .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ing the degree of awareness comparison shown by the police and civil police imag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crime reducing, disorder and civil order police and all communities reduce community disorder and crime reduction through the police activity whereas that in mind, the image with the local police in the case of social relations and the perception of the police and citizens was higher. Through these results, improvement of community policing: First, seeking the practical way about community policing from the planning stage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evaluation phase s to get involved police and citizens, second, making the proactive education and publicity about community policing to target the police and citizens, and the third, conducting the periodic, ongoing evaluation of community policing programme.

      • How to reduce the resistance of implementing community policing

        Jiunn-cherng Chiou,Wen-Ling Hung,Shyue-Ren Teng 아시아경찰학회 2006 아시아경찰학회 국제학술회의 Vol.2006 No.-

        The roots of community policing can be traced to Wilson and Kelling’s “broken windows” theory. Since then, community policing has been quite popular among politicians, police managers, and citizens. However, community policing leaves some unanswered questions about its impact: Can it be implemented as its plan? Will it be the prevailing paradigm for policing in the future? In fact, some police organizations succeeded and the others failed when they implemented community policing. It depends on whether the police organization is qualified to implement this strategy. This paper tries to explore how to reduce the resistance of implementing community policing. On this paper, the shortcomings of the traditional policing system are introduced first. Second, the obstacles of implementing community policing are addressed. Third,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policing to the real world is presented. Last section is the conclusion.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뉴테러리즘 시대의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새로운 모색 -"Intelligence-Led Policing"을 중심으로-

        이상훈 ( Sang Hun Lee ) 한국경찰학회 2009 한국경찰학회보 Vol.11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 경찰활동(community policing)이 범죄에 대한 사후적 대응이 아니라 사전적 예방이 중요하다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서 전통적 경찰활동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최근에도 여전히 경찰활동의 중심철학임에는 틀림없다는 입장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지난 2001년에 있었던 911 테러 이후에 미국을 비롯한 서양의 여러 나라에서는 테러정보를 포함한 범죄정보의 사전획득에 비중을 둔 정보중심 경찰활동(intelligence-led policing)에 대한 논의를 통해 기존의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재평가하면서 급변하고 있는 지역사회 환경에 최적의 경찰활동을 도출해 내기 위한 논의가 한창이다. 즉,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평가를 통해 경찰활동에서 상당부분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하는 동시에,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911 테러 이후에 community policing의 원형을 정보화 시대의 환경에 부합하도록 변형 내지 적응시키는 몇 가지 연구 성과들을 내 놓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중심 경찰활동은 지역사회를 범죄정보원(犯罪情報源)으로서의 성격을 부각하여 각종 범죄정보 특히 테러정보를 획득하려는 관점에서, 기존의 지역사회경찰활동을 포용하는 보다 광범위한 경찰활동 철학이라고도 소개되고 있으며, 동시에 적지 않은 부분에서 지역사회경찰활동 철학의 몇 가지 핵심요소와는 상충하는 요소도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엇갈리는 시각 속에서 지역사회경찰활동 철학이 정보중심경찰활동과의 관계정립을 통해 보다 시대환경에 걸 맞는 새로운 역할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기본적 요건을 충족시켜 나가는 가운데 경찰활동 중 범죄관련업무의 비중을 단계적으로 축소하면서 경찰서비스의 비중을 점차 확대해 나가는 경찰정책의 기조변화를 요구한다. 테러정보의 수집을 위해 종래의 방범심방을 다시 활성화하고, 정보분석능력을 향상하고 대테러활동에서의 지역주민들의 참여기회를 오히려 확대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익명의 제보전화(crimestoppers)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경찰이 테러정보를 포함하여 범죄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을 다각화해야 한다. 이것이 정보화 시대에 있어서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새롭게 모색하여야 할 방향이라고 본다. The role of police has recently broken from conventional category and it is extending day by day. This extension is from the needs of citizen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paradigm in community policing. Contrary to conventional police activity, the role of community policing is not to response to the occurred crime rapidly but to realize society without crime. This study aims to challenge the dominant view of community policing since the last decade of the twentieth century are fundamentally new. Community policing is needed to think newly because of the new aspects of terrorism, such as the transnational nature of the perpetrators and their organizations, their religious inspiration and fanaticism, their us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their indiscriminate targeting. That is New Terrorism, which is the emergence of a new, religiously motivated terrorism that neither relies on the support of sovereign states nor is constrained by limits on violence. This study looks at `Intelligence-Led Policing` - since 9·11 seen as one of the more positive contributions that policing can make to crime prevention and reduction. And al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Intelligence-Led Policing and identifies the key tenets of intelligence-led policing. Intelligence-led policing is a business model and managerial philosophy where data analysis and crime intelligence are pivotal to an objective, decision-making framework that facilitates crime and problem reduction, disruption and prevention through both strategic management and effective enforcement strategies that target prolific and serious offenders. Intelligence-Led Policing is a crime reduction strategy or operation as well as management tool. This study calls for more thorough conceptional investigations in order to appreciate truly new concept of Intelligence-Led Policing and could contribute on exploring the methods of advanced community policing in this intelligent age.

      • KCI등재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경찰의 역할

        제갈돈(Jae gal Don),제갈욱(Jae gal Uk),장석헌(Chang Suk He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0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0 No.-

        급속한 사회변화는 경찰의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경찰은 과거의 단순한 역할에서 탈피하여 경찰서비스를 질적으로 개선하려고 노력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성공적인 지역사회경찰활동과 연관된 경찰조직의 특징을 경험적으로 파악하며, 실무자들에게 어떤 변수들이 성공적인 지역사회경찰활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조사에서는 문제해결과정에서 일선경찰관의 재량권 허용이 13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성공적 집행과 관련된 변수들 중에서 가장 저조한 참여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집행을 외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시행 이전에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성공을 위한 근본적인 조직문화의 변화가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성공적 집행을 보장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재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A rapidly changing society needs new functions and roles of police. Corresponding to this demands, police must change simple roles of police in the past and try to improve the quality of police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mmunity policing.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clude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community policing, empiricall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police departments that are associated with successful community policing, and providing practitioners with an understanding of how characteristics influence successful community policing. Research findings say that, among 13 factors related to the success of community policing, policemen's discretion resolving community problems appears the major problem for the successful community policing. Prior to implementing community policing program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mmunity policing, it can be essential to change fundamental organization culture and to improve reeducation programs of community policing.

      • 지역사회와 대테러경찰활동

        정우일(Jung, Woo-Il) 한국테러학회 2009 한국테러학회보 Vol.2 No.2

        There are so many definitions of community policing but largely they appear to have three common characteristics: police-community partnership, a problem-solving approach and organizational decentralization. Historically explained four counter-terrorism strategies as traditional counter-terrorism model, community intelligence model, belonging model, social cohesion model. It is thus proposed that counter-terrorism strategies are based in established networks within the community and proactively seeks to continually renew thes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munity and police. This approach must embrace an explicit recognition of multiculturalism and its political imperative and drive in a policing organization explicitly committed to social cohesion and human rights in both discourse and practice(Pickering et al., 2008). Therefore, we suggests three counter-terrorism policing approaches with which community policing is connected. 1) community intelligence model, 2) belonging model, 3) social cohesion model These models are on the basis of Pickering et al.’s counter-terrorism models, which by using community policing to boot socially cohesion police are better able to position themselves as mediators to negotiate settlements between the competing demands of different social groups. 2004년 국제연합(UN)에서 발행한 한 보고서에 따르면, 테러리즘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들로 외세의 지배, 빈곤, 실업 등을 제시하고 있다. 어느 사회에서나 이러한 원인들은 늘 존재하여 왔고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사회에도 계속 존재할 것이기 때문에 테러리즘에 대한 완전한 해결책이 제시될 수 없다는 점은 어떻게 보면 너무나도 명백한 사실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테러리즘은 늘 우리 곁에서 일어날 수 있다. 지역사회 테러리즘이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그 지역사회의 관습적인 규범에 순응하거나 동화되지 못하고 여러 가지 사회적 제반 요인들에 기인하여 테러리즘을 일으키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테러리즘을 예방하기 위한 경찰활동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접근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경찰은 지역사회와의 신뢰관계 구축을 통해 지역사회의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테러 사건들을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다. 둘째, 경찰은 지역주민의 입장에서 비록 지역사회 소수 구성원들이라고 할지라도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여 지역사회에 소속감을 높이는 경찰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셋째, 경찰은 인종, 민족, 계층 그리고 성별의 차이에 따라 지역사회의 분열을 조장하거나 강제하는 경찰활동을 전개해서는 안 되고 사회적 통합을 위해 지역사회 구성원 각계각층과 접촉하면서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시민사회 중심적 거버넌스

        양문승 東國大學校 行政大學院 2005 행정논집 Vol.32 No.-

        이 논문은 현대 경찰활동의 총아라고 일컬어지는 지역사회 경찰활동 전략과 참여주의 및 공동체주의를 그 기본이념으로 하고 있는 시민사회 중심적 거버넌스의 동질적 가치를 통합하고, 거버넌스라는 프리즘을 통하여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모순과 한계 등 그 허실을 검토함과 아울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발전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지역사회 경찰활동 전략을 더 공고히 하는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골간은 문제해결, 협동, 새로운 접근방법, 범죄 이상의 사회문제를 다루는 것에 두고 있기 때문에 이 활동은 경찰과 시민 개개인, 시민단체, 그리고 이 밖에도 다양한 지역사회 후원단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요구하며, 이에 기초한 수평적 파트너십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이 활동의 결정적 구성요소는 자치성이 강한 경찰활동에 걸맞으며, 경찰이 진정으로 이러한 개념 하에 거듭나기를 원한다면 경찰이 지역사회의 일부가 되어야 하고, 철학과 정책 기조, 그리고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기본적인 변화가 전제조건이라고 강조되고 있다. 한편 시민사회 중심적 거버넌스는 강력하고 다원화된 시민사회가 책임 있게 시민을 대변할 수 있는 정부기관의 형성을 유도할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시민사회 중심적 거버넌스의 기본 원리는 참여주의와 공동체주의로 집약되며, 이 원리들은 시민사회에 열린 기회를 제공하고, 시민의 권한을 강화해 나가는 밑거름을 제공한다. 즉, 시민들 스스로 정부기관의 관리대상이 아니고 고객이자, 실질적인 주인으로 거듭나 능동적인 시민이 되어 공공 담론을 주도하고, 공공 영역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 두개의 전략과 가치, 이념들을 위상 배열하고,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거버넌스 이념으로 승화해보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향후 우리나라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추구하고, 더 다져나가야 할 정책적 대안으로 총질관리(TQM)체제 지향, 시민육성 주체로서의 경찰 역할을 강조하는 공동생산적 학습 기반조직 구축, 정보 공유에 대한 경찰-시민 간 공감영역 개발, 시민사회 중심적 리더십 함양 및 조직적 가치의 상위 개념화 등을 제시한다. In this article I will seek to outline the meaningful homogeneous values of the community policing approach and the civil society - centered governance which recent issue of appeals to citizen participation and communitarianism within contemporary worldwide crime policy and practice. In order to trace and explain why basic concepts and elements of the community policing and the civil society - centered governance have emerged same framework at the threshold of the 21st century, We must consider a number of historical strands. A review of the community policing literature reveals the concept has a variety of definitions and meanings. But it is certain that community policing is a philosophy and organizational strategy that promotes a new partnership between people and their police.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both the police and the community must work together to identify, prioritize, and solve contemporary problems such as crime, fear of crime, social and physical disorder, and overall neighborhood decay,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n the area. Community policing requires a department - wide commitment from everyone, civilian and sworn, to the community policing philosophy. It also challenges all personnel to find ways to express this new philosophy in their jobs. Meanwhile, it will be argued that appeals to community, partnership and communitarianism make up an important element in the recalibration of what constitutes the legitimate responsibilities of individuals, groups, and the nation. That is the essence of civil society - centered governance. In order to comprehend fully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at governance, we need to review to locate them within, and connect them to, more extensive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an feasible alternatives, that is total quality management(TQM), co-productive learning organization, civil society - centered leadership, shift into upper concept of police organizational value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mmunity policing model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