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 R&D 기관의 기술 상용화 과정에 관한 시스템 사고 분석

        김순선 ( Soon Sun Kim ),김동환 ( Dong Hwan Kim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7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8 No.2

        Nowadays almost nations try to promote the competition of n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cience technology. Also Korea has been engaging in this race of through public research&development institute. But recently the commercialization of R&D products appears a poor result in the royalty of technology according weak technology transfer toward I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ven If we have been trying to find the problems and causes, as yet it is true that we don`t solve clearly the problem, make a diagnosis about it.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of commercialization in public R&D research institute(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hrough system thinking and researches an interrelationship among government agency, public R&D research institute, and enterprise. This one can find the fact that between research fund and R&D products, transfer technology and royalty, and enterprise`s operating profit and active technology transfer like adding technology development is a positive feedback loop. This positive feedback loop in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D research institute carries out very important role in examining problems in R&D product`s commercialization. Also this paper looks forward to being a guide in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D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공공연구기관의 R&D 성과 확산을 위한 지원 방안

        백승희,정도범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5 산업혁신연구 Vol.31 No.4

        우리나라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지속적 투자를 통해 논문, 특허 등 R&D 성과의 양적 성장을 이루었지만, 연구개발 생산성, 기술이전·사업화 등은 주요국 대비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연구기관에서 창출한 R&D 성과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D 성과 확산에 관한 정책 및 국내외 문헌을 조사·분석하였고, R&D 성과 확산 관련 실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R&D 성과 확산을 위한 기반 인프라 및 ‘기획→창출·보호→관리·활용→사후관리’로 구성된 프로세스에 대한 이슈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대규모 성공사례의 적극적 확산, 기술이전 기여자에 대한 실질적인 성과 배분, 공공연구기관의 기술마케팅 연계, 구체적인 표준 업무 매뉴얼 제작, 성과평가 방식의 개선 등 기타사항 등 국가 차원의 지원 방안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R&D 성과의 활용·확산을 위한 지원 방안을 통해 앞으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사업화가 촉진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R&D 성과 확산에 대한 인식 제고 및 기반 마련, 기존의 정책과 연계하여 창조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 continued investment of national R&D projects has achieved the quantitative growth of R&D performance such as paper and patent.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however, R&D productivity,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pose a support method for diffusion of R&D performance from public research institutes. R&D policy and literature on diffusion of R&D performance are investigated, and it is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a practitioner of this field. It is derived from the issues of the underlying infrastructure and ‘planning→ creation and protection → management and utilization → post-management’ processes for diffusion of R&D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upport method at the national level: active proliferation of large-scale success stories, substantial profit sharing for technology transfer contributors, associated technology marketing of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production of specific standard operating manuals,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nd oth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promotion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by setting up a support method for diffusion of R&D performance. In addition, awareness and foundation of diffusion of R&D performance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creative economy in conjunction with existing policies.

      • KCI등재후보

        상용화 정책에 관한 조직 메타포 분석

        김순선 ( Soon-Sun Kim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08 국가정책연구 Vol.22 No.1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들이 과학기술 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를 인식하고 공공R&D기관을 통한 과학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최근 공공R&D기관의 연구개발 결과물의 상용화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산업체 기술이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여러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미지수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조직 메타포를 활용하여 공공R&D기관을 통한 상용화 정책을 분석하였다. 상용화 정책을 입안하는 정부기관과 이를 시행하는 공공R&D기관이 자신 및 서로를 어떤 조직 메타포로 바라보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공무원과 공공R&D기관의 연구원들의 언어를 분석하였다. 정부기관과 공공R&D기관의 조직 메타포를 통해, 상용화 정책에 있어서 정책입안자(정부기관)와 정책의 수행자(공공R/D기관)의 견해를 알 수 있었다. 서로를 바라보는 메타포를 통해 상용화 정책을 보다 객관적으로 조망하였다. 이는 상용화 정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Nowadays almost nations try to promote the competition of n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cience technology. Also Korea has been engaging in this race of through public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But recently the commercialization of R&D products appears a poor result in the royalty of technology according weak technology transfer toward I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ven If we try to find the problems and causes, as yet it is true that we don`t solve the problem, make a diagnosis about it. Therefore this paper researches the point of view of organization and its member through metaphor, try to analyze different viewpoint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R&D research institute related with commercialization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language. The result of the paper will be the guide to make decision and effectively implement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D research institute`s products.

      • KCI등재

        출연(연)의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요인 분석

        정혜진(Hye-Jin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9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해 연구개발 특구 내에 설립된 기업으로서, 정부 R&D 투자의 결과물이 연구소기업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에 체화되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일반 창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생존율과 고용창출의 효과를 보이는 연구소기업은 지금까지 특허와 기술이전에만 초점을 두어 온 공공연구기관의 사업화에 비해 공공 연구투자의 경제적 성과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연구소기업의 긍정적인 기여도에 비해 연구소기업 자체에 대한 연구 뿐 만 아니라, 연구소기업의 설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기술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조직, 연구역량, 기술, 지역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네 가지 요인들이 2006부터 2015년까지 각 출연연구기관의 연구소기업의 설립여부와 연구소기업의 숫자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 로짓과 음이항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6년 연구소기업 제도 실시 이후 과학기술계 출연(연) 기관 중 연구인력과 특허 출원이 많은 기관일수록, 대전 연구개발특구내에 위치하는 기관일수록 연구소기업의 설립확률과 기업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출연(연) 기관의 기술요소와 기술사업화 담당 인력규모를 통제할 경우, 최근 5년간 정부 출연 기관의 인력 규모와 개발단계 기술에 집중도가 높을수록 연구소기업을 설립할 가능성과 기업 수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The term research institute spin-offs refers to new firms created by public research institutes. These spin-offs are different from other start-ups in two respects: on the one hand, they should be located in the Special Research and Development Zones and, on the other hand, these firms are supposed to commercialize the results of public R&D activities. These spin-off firms show higher rates of survival and job creation than general new firms, which means that their contribution to economic growth is not negligible.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research institute spin-offs using a random effect panel logit model and negative binomial model. From previous studies, four elements are identified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D through spin-offs, namely their organizational character, research capability, technological character, and geographical location.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with more researchers and patents are more likely to create new firms.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institutes significantly affects the probability of their creating spin-offs and their number. When the technological stage and TLO size are considered, however, it turns out that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technological stage play important roles in the spin-of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