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중학생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유현,정소희,최웅용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6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peer relationship that both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01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171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eer relationship. It was analyzed by the methods of correlations among sub-factors, t-test and a regress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er relationship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positive refocusing, which is a sub-factor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eco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positive reappraisal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 amo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ird, positive refocusing, positive reappraisal, acceptance, and catastrophizing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otal score of peer relationship; and positive refocusing, positive reappraisal, and other-blaming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otal score of peer relationship. These results showed gender difference i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well as i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peer relationship. The result indicates that different strategies by gender difference are necessary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also can be used to set up effec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promote peer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중학생이 지각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학생 여학생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남자 중학생 101명과 여자 중학생 171명을 대상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또래관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변인의 하위 요인 간에 상관분석과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중학생의 또래관계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초점변경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여자 중학생이 남자 중학생보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긍정적 재평가와 긍정적 또래관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남자 중학생의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수용, 파국화는 또래관계 총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고, 여학생은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타인비난이 또래관계 총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남녀 중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차이가 있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중학생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하여 성별에 따라 상이한 개입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래관계증진을 위해 효과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수립하는데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의 관계

        윤정임,정남운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1

        본 연구는 낙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낙관성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를 인지적 정서조절이 매개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상담 관련 기관에서 상담을 하고 있는 총 224명의 상담자였으며, 각 연구대상자는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상담자 소진, 그리고 상담자 개인사항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낙관성은 인지적 정서조절, 더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과 상담자 소진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상담자 소진은 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낙관성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중 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으며, 매개비율은 약 24%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담자 소진을 완화하기 위한 보호요인으로써 낙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또한, 낙관성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담자 소진의 예방 경로에 대해 탐색한 점이다 The goals of present study were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optimis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counselor burnout and to identify how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ounselor burnout. The participants in the present study were 224 counselors working in counseling centers i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ptim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mor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s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counselor burnout. Counselor burno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s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econd, les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a significant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counselor burnout. About 24% of total effect of optimism on counselor burnout is mediated by les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 KCI등재

        외상적 사건과 자해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조절의 매개효과와 적응적 인지조절의 조절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구훈정,우성범,이종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4 No.1

        The present study, using university students as participants, investigated how traumatic life events affect self-harm by going through the steps of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The study further examined how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s interactions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respectively, influence self-harm.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hypothesized that traumatic life events would affect self-harm through a dual mediation of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We also hypothesized that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will moder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on self-harm. This study additionall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hypothetical path model using Multi-Group analysis. A total of 415 university students who signed consent form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Life Event Checklist,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he Hospitalized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Scale, and the Self-Harm Inventor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showed a very good fit for the data. The paths of how traumatic life events lead to self-harm by dual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was found to affect self-harm by interacting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In other words, when the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were over average,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lowered the severity of self-harm. Finally, the hypothetical model presented by the current study showed variation in different gender groups. We further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형길자,하진의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adaptive, maladaptive) somatization symptom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omatization symptoms i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546 middle school student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s analysis were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somatization symptoms, and somatization symptom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bu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omatization symptoms,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ut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thods to improve the somatization symptom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인지적 정서조절(적응적, 부적응적), 신체화 증상의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적응적, 부적응적)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546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있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신체화 증상과는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신체화 증상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정서조절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중학생의 신체화 증상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범불안장애 성향 집단의 정서변화가능성의 신념과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김형택,현명호 대한스트레스학회 2019 스트레스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정서변화가능성의 신념과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알아보고자 범불안장애 성향을 보이는 성인 103명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정서변화가능성의 신념과 우울, 정서변화가능성의 신념과 불안 간의 관계를 각각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동일한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범불안장애 성향을 보이는 사람에게 정서가 변화 가능한 것이라는 신념을 갖게 하는것이나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교육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으므로, 정서조절 전반에 대한 실제적인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depression, and between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and anxiety in Individuals with GA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mptoms. Methods: The 103 individuals with GAD symptoms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measuring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depression, anxiety. Results: Data from this study show tha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mediates the effect of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on depression and anxiety.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s no mediating effect on them.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king the individuals with GAD have emotion malleability beliefs or educating them o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may not be enough. Therefore, practical intervention is needed in the overall emotion regulation. Finally, this paper include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 KCI등재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박윤조,송하나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at mother’s daily hassles,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are prospectively related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to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between mother’s daily hassles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Also in particular children’s sex. This study used data from 273 preschooler and their mot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as processed by SPSS 24.0 and Mplus 6.0. Pearson’s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ulti group analysis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hassle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However, mother’s hassles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cognition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life habit and attitude. Second,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cognition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And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ird, children’s cognitive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hassles and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cognition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of school readiness. Also, children’s emotive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hassles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school readiness. Forth, mother’s hassles had a little effect on boy’s cognitive regulation, but boy’s cognitive regulation had effect on physical health and motor development of school readiness stronger than girl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을 통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아동의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송파구, 경기도 용인시 및 분당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4곳에 재원 중인 만5세반 취학전 아동 273명과 그들의 어머니 27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Mplus 6.0(Muthén & Muthén, 2010)을 사용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적합도 지수를 통해 가설의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성별에 따른 경로의 통계적 유의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집단분석(multi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에 직접적으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인지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정서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아동의 정서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아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이 여아의 경우보다 적은 반면에, 인지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에 미치는 영향은 여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 : 자아탄력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매개효과

        서지은(Seo, Jieun),박은영(Park, Eunyoung)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위험회피 기질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지역의 대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위험회피 기질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 내재화 문제 척도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위험회피 기질은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이 있으며, 자아탄력성은 적응적 인지정서조절과 정적 상관,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은 내재화 문제와 부적 상관이 있으며,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은 내재화 문제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위험회피 기질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위험회피 기질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위험회피 기질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m avoidance temperament on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 access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y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them.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harm avoidance had negative effect on ego resiliency. Ego resiliency had positive effect o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negative effect 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negative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positive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s.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harm avoidance and internalizing problems. Third, ego resilienc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harm avoidance and internalizing problems. Finally, ego resilie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harm avoidance and internalizing problem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직장인 정서인식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및 부하가 지각한 상사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정지현,탁진국 한국코칭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s emotional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recognition and negative feedback acceptance of employe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73 non-managerial workers in various domestic compani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MOS 22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were examined using SPSS Process Macro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 recognition of employees indirectly affects the acceptance of negative feedback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econd, the effect of emotion recognition on negative feedback acceptance is moderated by supervisor’s emotion regulation.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supervisor’s emotional control is low,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and negative feedback acceptance becomes strong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oneself and others’ emotions was psychological process of accepting performance-related feedback, and the importance of supervisor’s emotional regulation in positively accepting negative feedback.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mplications in coaching practi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정서인식이 부정적 피드백 수용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와 부하가 지각한 상사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비관리자 직장인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7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2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을 매개로 하여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상사의 정서조절은 정서인식과 부정적 피드백 수용의 관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정서조절이 낮을 때 정서인식과 부정적 피드백 수용 관계가 더 강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이 자신과 타인의 정서에 대한 인식 수준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그리고 부정적 피드백을 받아들이는 심리적 과정을 확인하고, 부정적 피드백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데 있어 상사의 정서조절이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코칭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정서조절을 통한 다문화 이주민에 대한 정서 변화

        김민영,한규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2 No.3

        In the era of multicultural society, one of the social issues in Korea is hatred toward immigrants. This study suggested emotion regulation as a way to resolve this issue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on changing emotions toward immigrants. In study 1, 236 participants completed online survey in which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ognitive reappraisal, emotion suppression) and emotional experiences (sympathy, fear, hostility, and anger) toward immigrant workers were asked. Results showed that when age, gender, right-wing authoritarianism,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were controlled, sympathy was explained by cognitive reappraisal and emotion suppression. In addition, hostility was explained by emotion suppression. Study 2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ining on the change of emotional experience toward immigrants. In the training session, participants exercised cognitive reappraisal for 15 minutes upon the exposure to a series of emotion-eliciting pictures. Participants in control group were instructed to accept aroused emotions as it is for the same time amount of time. Participants completed three times of emotion ratings including post-training session (Time 1) and two times of online follow-up sessions for the following two months (Times 2 and 3). Result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 in which three times of emotion ratings are entered as within-person variables and group conditions as a between-person variable, showed that training group (n = 27) reported higher sympothy than the control (n = 27). The changing rate in the sympathy across times did not differ across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of short-term effect of cognitive reappraisal training in reducing negative emotions toward immigrants in Korea.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이주민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정서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 모색의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서조절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 연구자들은 20대에서 50대의 성인남녀 236명의 기질적 정서조절 정도를 측정한 후 그들이 외국인 노동자에게 가지는 정서(동정심, 두려움, 적대감, 분노)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회귀분석 결과, 나이, 성별, 우익권위주의, 적대적 귀인 편향 정도를 통제하였을 때 정서조절의 전략 중 하나인 인지적 재평가가 높은 동정심을, 또 다른 형태의 정서조절 전략인 정서억압이 낮은 동정심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억압은 또한 높은 적대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정서조절의 훈련을 한 후 정서조절이 다문화 이주민(외국인 노동자, 결혼 이주민, 외국인 범죄자)에 대한 정서 경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추적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훈련 세션에는 총 87명이 훈련 집단 또는 통제 집단에 참가하여 인지적 재평가에 대한 훈련을 받거나 대조적으로 정서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지시사항을 들었다. 참가자는 훈련 직후와 그 후 두 달간 한 달 간격으로 총 3회차에 걸쳐 다문화 이주민에 대한 정서를 보고하였다. 3회차에 걸친 정서의 변화를 개인 내 변인으로 하고, 훈련 여부를 개인 간 변인으로 하여 위계적 선형 모델을 통해 분석해 본 결과, 훈련 집단(n = 27)의 동정심 평균이 통제 집단(n = 27)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차에 따른 동정심의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연구 1과 2의 결과는 외국인 노동자를 포함한 다문화 이주민 집단에 대한 개인의 정서 변화에 인지적 재평가를 통한 정서조절이 다양한 정서 중 동정심 변화에 단기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우울 증상과 관련한 정서 조절의 어려움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

        배민재,장성만,이상원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2022 精神病理學 Vol.26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iculties of emotion regulat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at are related to depression in young adults in Korea. Methods: We recruited 344 young adults without a history of acute/chronic internal medicine/surgery, psychiatric treatment, head injury, and drug/alcohol abuse. An online survey includ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Studies Depression (CES-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Trait (STAI-T) was conducted on participants. Results: Among 344 participants, the 80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depression group (CES-D 25 or above). The depression group reported greater scores in all sub-scales of DERS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CERQ compared to the non-depression group. The depression group represented higher scores in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rumination’ after controlling for anxiety symptoms. Whe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backward elimination method was applied,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ack of emotional awareness’, ‘positive reappraisal’, and ‘rumination’ were also evaluated as significant factors to predict depression groups. Conclusions: The depression group ha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It may be beneficial to help people suffering from depression to choose appropriat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ovide clear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useful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