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산업클러스터의 개념과 범위

        권오혁(Ohyeok Kwon)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1

        이 논문은 산업클러스터의 개념과 요건을 밝히고 이러한 요건에 비추어 산업클러스터의 범위를 구체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산업클러스터와 관련된 용어들을 전반적으로 비교·검토하여 그것들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그 차이를 규명하려 한다. 필자는 M. Porter의 클러스터 개념이 전문화된 산업집적지를 설명하는 가장 간명하고 적실한 개념으로서, 산업지구와 신산업지구, 유연적 생산집적지를 포괄하는 광의적 개념이라고 파악한다. 하지만 그것이 집적과 동일한 의미나 범주를 갖는다고는 보지 않는바, 클러스터 현상은 집적 중에서 산업집적에 해당하며 산업집적 중에서 동종 혹은 연관 산업의 집적과 연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필자는 이 특징적인 산업집적 현상에 대해 클러스터 보다는 산업클러스터라는 용어가 적실하다고 판단한다. 클러스터라는 용어는 그 개념에 비해 지나치게 포괄적이어서 오해와 오용의 소지가 적지 않은 것이다. 클러스터는 산업클러스터 이외에 정치·행정클러스터, 예술클러스터, 과학연구클러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연구는 산업클러스터와 비산업클러스터 사이에 준산업클러스터 개념을 도입하여 산업클러스터의 범주를 보다 구체화하려 하였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산업클러스터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This paper points out the semantic unclearness of the jargon “cluster” and suggests the substitution of “industrial cluster” for “cluster”. Industrial cluster is the intersection of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cluster phenomenon while the actual concept of cluster includes not only industry cluster but also political administration cluster, science research cluster, art cluster, religion cluster, education cluster, etc. Partially reconstructing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industry cluster, industrial cluster is a geographic agglomeration of interconnected productional businesses in a particular industry, forming close industrial networks. The advantage of the agglomeration includes reducing the transaction cost between the businesses, promo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dispersion, facilitating the utilization of the professional workforce, sharing and connecting the external customer. Moreover, this paper discusses the range of the industrial cluster and its distinctness from the other similar concepts. There is a need to discriminate it from the other related jargons and to clarify their relationship. In particular, there is a task to eradicate the mixed usage of industrial cluster with the jargons related to space for learning and innovation.

      • KCI등재

        유럽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독일과 이탈리아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김종욱(Jongwook KIM)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유럽 해양산업클러스터 사례 분석을 통해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국내 해양산업클러스터를 위한 시사점을 주고자 이루어졌다. 해양산업클러스터의 개념과 범위는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으며, 국가와 연구자들에 따라 다르게 설명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이론적 검토를 위해 해양산업과 클러스터 이론을 동시에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정의를 “해양산업 및 연관산업 분야의 기업과 기관, 육성 제도들이 항만 및 해안을 중심으로 집적하여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양한 경제활동을 통해 성장을 하는 것”으로 정의해보았다. 사례 연구의 대상은 독일의 브레머하펜 클러스터와 이탈리아의 비아레지오 클러스터로 정했으며 공통적 성공요인은 ① 국가 전략산업의 지역산업화, ② 유휴 산업인프라 활용, ③ 클러스터 네트워크 구축으로 나타났으며, 차별적 성공요인은 ① 핵심 지원조직, ② 전문적인 인력양성, ③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의 융복합화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국내 해양산업클러스터에 대한 시사점은 ① 혁신 네트워크 구축, ② 교육기관 클러스터링, ③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융복합화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success factors through case analysis of European marine industry clusters and to give implications for domestic marine industry clusters.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marine industry cluster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and it is sometimes explained differently by countries and researchers. For this reason, for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marine industry cluster, the marine industry and the cluster theory were examined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e definition of the marine industry cluster was defined as “companies, institutions and fostering systems in the marine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are integrated around ports and coasts to establish a close network and grow through various economic activities”. The subject of the case study was the Bremerhaven cluster in Germany and the Viareggio cluster in Italy. The common success factors were ① regional industrialization of national strategic industries, ② utilization of idle industrial infrastructure, and ③ establishment of cluster networks. ① Core support organization, ② cultiv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③ convergence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ccordingly, the implications for the domestic maritime industry cluster were found to be: ① establishment of an innovation network, ② clustering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③ convergence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 KCI등재후보

        클러스터 진화의 단계적 고찰과 새로운 글로벌 연계 클러스터의 생성

        문휘창(Hwy Chang Moon),정진섭(Jin Sup Jung) 한국경영사학회 2008 經營史學 Vol.46 No.-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은 국가 또는 지역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클러스터에 관한 연구들은 시간에 따른 다양한 클러스터와 그들의 진화를 만족스럽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정책관련자들이나 학계에 제한적인 시사점만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실리콘밸리, 시스타 등 주요 클러스터의 사례고찰을 통해 시간에 따른 클러스터의 발달과 성공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전통적인 지역클러스터 개념의 확장으로서 지역연계 클러스터(regional-linking cluster), 글로벌연계 클러스터(global-linking cluster) 등과 같은 새로운 클러스터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클러스터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해외직접투자의 중요성을 고찰하였으며, 결론부분에서는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orming clusters is a very efficient way of enhancing national or reg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existing studies on cluster are not satisfactory in explaining the variety of clusters and their evolution over time, thereby they provide only limited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academicians. First, this article investigates some case studies of major clusters, such as Silicon Valley, Kista Science City, and so on, in order to explain their historical developments and success factors over time. This article then introduces new concepts, i.e., regional-linking cluster and global-linking cluster, as extensions to the classical regional cluster. We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s a strategy to sustain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clusters. Som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will then be provided.

      • 정부클러스터 정책이 기업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료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박기원(Kiwon Park),최현도(Hyundo Cho) 한국경영학회 2019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8

        정부의 적극적인 첨단의료산업 육성정책에 따라 각 지역에 위치한 의료산업클러스터가 초기 조성단계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운영단계에 들어섬에 따라 효율적인 클러스터 활성화 정책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여 의료클러스터의 질적 성과에 대한 측정방법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정하고, 클러스터에 입주한 기업들의 성과와 형태의 다양성을 분석 하여 향후 정부의 클러스터 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클러스터 성과에 대한 측정항목과 기업의 활동 유형에 관한 명제를 도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표는 기존문헌에서 논의했던 클러스터 활동의 유형구분과 성과측정에 대한 논의를 종합하여 새로운 연구 프레임을 도출 한 후, 각 클러스터에서 제공된 현황자료와 특허자료를 이용해 발굴한 기업들의 분석을 통해 적용함으로써 설명 할 수 있었다. 여기서 도출된 세 가지 명제는 클러스터의 진화에 따른 성과 측정을 체계적으로 도출하여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클러스터 육성정책 수립과 클러스터내 기업의 기술혁신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방법에 대한 방법적인 선택에 도움을 줄 것이다. According to Korean government"s aggressive policy to foster high-tech medical industry, medical industry clusters located in each region have entered a full-scale operation phase moving away from an initial phase of development. Taking this into account, this study sets up the measurement method of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cluster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analyzes the performance and type diversity of the corporations in the clusters in order to present improvement ways for future government support of the clusters. The proposition of the paper is about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cluster performances and the activity types of the enterprises. The research goal can be reached by examining the types of the cluster activities and their performance measurement discus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designing a new research framework, and applying the corporate analysis that has been discovered using the status reports and patent data provided by each cluster. These findings, systematically derived from the evolution of the clusters, will help to establish policies to foster clusters of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and select an effective method for technical innovation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 KCI등재

        루트(Route)분석을 통한 전라남도의 동계전지훈련 클러스터 개발

        김민철 ( Min Cheol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루트분석을 활용해 동계전지훈련기간 동안 도시 간 이동경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라남도의 경쟁력 있는 동 계전지훈련 클러스터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8∼2009년 전라남도를 방문한 전지훈 련 팀의 세부정보를 입수하였고 루트분석을 위해 종목별·도시별로 자료를 재분류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결론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남도는 목포시-해남군-강진군-완도군로 이어지는 서부권과 구례군-순천시-광양시로 이어지는 동부권 의 축구클러스터, 강진군-순천시-여수시로 이어지는 야구클러스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종목의 클러스터개발 에서 육상은 목포시와 해남군, 광양시와 여수시에서 개발 가능하며, 태권도는 강진군과 광양시, 씨름은 영암군과 광양시, 유도 는 목포시와 영암군, 사이클은 나주시, 강진군, 장흥군, 그리고 테니스는 영암군, 강진군, 여수시에서 개발 가능한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해양스포츠 클러스터는 카누와 수영이 목포시, 요트가 여수시에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단일지역의 동계 전지훈련 클러스터는 순천시가 정구, 영암군이 검도, 여수시가 인라인과 농구, 함평군은 레슬링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 섯째, 구축된 전남지역의 동계전지훈련 클러스터는 종목별 경쟁력확보와 중복투자의 최소화, 지자체간의 경쟁 최소화, 지역 간 네트워크 형성, 다양한 종목의 클러스터 구축이라는 강점이 있으나 지자체간 갈등, 취약종목의 발전가능성 미흡, 클러스터 접 근성 취약 등의 약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구축된 클러스터는 동계전지훈련 브랜드 구축과 전지훈련과 연계된 스포츠이벤트 개최, 지역의 신 동력산업, 스포츠관광 등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무분별한 스포츠시설의 건설과 경상남도의 동계전지훈련 확대정책, 그리고 한정된 동계전지훈련 자원의 위협요소에는 대비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WOT분석을 바 탕으로 한 SWOT matrix결과 강점/기회전략은 긍정적인 브랜드확보, 중복투자 및 경쟁 최소화로 지역스포츠산업 성장, 스포 츠 관광산업 활성화로 지역경제발전, 클러스터와 스포츠이벤트 접목으로 스포츠산업 도시이미지 구축이며, 강점/위협전략은 도시의 무분별한 투자억제로 재정위험성 감소, 긴밀한 네트워크형성과 공동마케팅으로 경쟁지역의 동계전지훈련 효과감소, 종 목별, 도시별 맞춤형 표적마케팅 가능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약점/기회전략으로는 스포츠이벤트 활성화로 클러스터 약점보완, 서비스강화, 인근 도시와의 스포츠관광 프로그램 공유이며, 약점/위협전략으로는 추가적인 스포츠시설 도입으로 과열된 경쟁 관계형성 우려 및 한정된 자원과 경쟁지역의 스포츠시설 개발전략으로 클러스터의 지속적인 투자필요 등이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winter training route among cities and through the analysis to develop winter training cluster.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e informations of teams which visited in Jeollanam-do in 2008 through 2009 are used and such informations were reclassified in each sport and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n Jeollanam-do it``s possible to form soccer cluster in western area that involves Mokpo-Haenam-Gangjin-Wando and eastern area that involves Gurye-Suncheon-Gwangyang. And it``s good to form baseball cluster in Gangjin-Suncheon-Yeosu. Second, for individual sports, track and field is good to be developed in Mokpo, Haenam, Gwangyang and Yeosu. Taekwondo is suited for Gangjin and Gwangyang, ssireum-Korean wrestling- is proper in Yeongam, Gwangyang, Judo is suited for Mokpo and Yeongam, bicycle race is possible to hold in Naju, Gangjin, Jangheung and tennis is suited for Yeongam, Gangjin, Yeosu. Third, for water sports cluster it``s possible to hold canoe and swimming race in Mokpo and yacht race in Yeosu. Fourth, for winter training cluster of a single city, Suncheon is suited for softball tennis, Yeongam is proper in kendo-Japanese fencing-, Yeosu is suied for inline skating and basketball, Hampyeong is possible to hold wrestling. Lastly, there are some advantages in winter training cluster of Jeollanam-do. By developing cluster, for each sport, its competitiveness can be enhanced and it``s possible to prevent overlapping investments and to minimize competition with other cities and to formulate network with other cities and to develop many kinds of clusters. But there are some weakness like that: it``s possible to create a conflict with other cities, and it``s difficult to develop weak sports and access to cluster. But cluster that are constructed successfully could make winter training brand and hold sports event that is connected with winter training. Such a cluster will be a new motive power of cities and enable people to enjoy sports tourism. And it``s necessary to prevent local government from constructing sports facilities indiscreetly and to prepare a countermeasure about winter training policy of Gyeongsangnam-do and about limited winter training resources.

      • 중국과 한국의 산업클러스터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박문수,유정제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19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3 No.1

        저성장, 고령화, 인구감소시대 지역 간 성장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국가별로 강구하고 있다. 중국은 혁신형 산업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세계 시장을 주도 하고 있으며 최근 주목받는 중관춘, 선전, 난징 등의 클러스터 역시 세계적인 첨단산업 단지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 역시 국가혁신클러스터의 형태로 2018년 국가혁신융복합단지에 관한 법률에서 지역별 중복·분산되어 있는 혁신 기능을 조정하고, 통합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목표는 국가의 행정체계나 산업클러스터를 이뤄가는 구조가 왜 국가 간 그 유형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산업클러스터의 발전 방향과 그에 대한 관련 이론을 검토하였다. 또한, 중국과 한국의 산업클러스터의 단계적 성장과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도분석(Institutional Analysis) 관점을 적용하여 중국과 한국의 산업클러스터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법적 근거 차이에 의해 차이가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지만, 기업 중심의 R&D 지원에 따라 산업클러스터가 발전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한국의 국가혁신클러스터는 주로 통일된 지원형태와 주체가 결합하도록 유도하고 있어서 유사하고 일반화된 형태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국의 혁신형 클러스터처럼 독립성을 강화하는 형태가 요구된다. 셋째, 산업클러스터의 넓이의 차이가 분명하지만, 광의에서 협의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는 양국 간의 유사성이 존재하였다. 넷째, 지정기준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시행 기간과 산학연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생태계 조성이라는 큰 틀은 비슷한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국가별 유형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분석의 다양한 요인들을 확장할 수 있다면 더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Diverse strategies has been undertaken to narrow the economic gap between regions in a stage of sluggish development and a decrease in population per country. China is leading the global market by forming an innovative industrial clusters, and some clusters such as Zhongguancun, Shenzhen, and Nanjing, have recently grown into the world-class high-tech industrial complexes. Forming the National Innovation Cluster, South Korea has coordinated regional overlapping or distributed functions and built integrated cooperative systems based on the special act on the designation and support of high-tech complexes, as well. In this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y national administrative systems or industrial clusters have differently establish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untry,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ndustrial clusters and related theories were reviewed. In addition, we analyzed the growth process of industrial cluster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Lastly, we utilized the Institutional Analysis to compare and analyze industrial clusters in two countries. Throughout this stud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irst, although the legal differences might be indispensable, we found that the industrial clusters of both countries have been evolving based on the corporate-centered R&D. Second, because Korean industrial clusters are mainly driven to integrate standardized support and similar actors, which might weaken and prepress unique local characteristics, like Chinese innovative cluster, they needs to be shaped to strengthen their specialized independence. Third, despite a clear difference in the extent of industrial clusters,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at they are narrowing down their areas. Fourth, even though they have the difference in the designation criteria, the time period for constructing the clusters and the big framework of the creation of ecosystems for the network of industry-university-institute are found to be similar. In future studies, more fruitful results could be obtained if the casual factors of comparative analysis to explain country-specific differences are identified or verified.

      • KCI등재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덕연구개발특구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박후근,배관표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4

        The policy of promoting innovation clusters aim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es by strengthening the linkages between industry sectors and research sectors in specific regions. In Korea, after the concept of innovation clusters was introduced by the OECD in 1997, Korean government actively pursued policies based on this concept in the fields of industry, reg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Previous policies and research on the activation of innovation clusters have tended to focus on the exchange and collaboration among members.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es and regions, in other words,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which is the fundamental reason for fostering innovative cluster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factors activating innovation cluster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Es located in the Daedeok Innopolis. To achieve this, based on the essential concept of innovation clusters such as industrial agglomeration factors, networking factors, innovation generation factors, the study derived factors for activating innovation clusters and verified hypotheses using the survey results of 175 companies. Among the factors activating innovation clusters,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innovation gener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However, networking factors were analyze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This study differentiates itself by addressing the factors for activating innovation clusters through empirical analysis, unlike previous case-based studies. Furthermore,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intuitive judgments on networking factors in innovation clusters and their actual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study raise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conducting a comprehensive examin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socially and culturally embedded structures in the region,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industries, and the needs of cluster members, to develop more effective policies for innovation clusters. 혁신클러스터 정책은 특정 지역에 산업부문과 연구부문의 연계를 강화하여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OECD(1997)에서 첨단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산업 재구조화를 통해 지역발전을 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개념이 제시된 후 산업과 지역, 과학기술 분야에서 혁신클러스터 개념을 적용하여 적극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차원에서 그간의 정책 및 연구에서는 구성원 간 교류·협력에 집중하는 경향이 뚜렷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혁신클러스터를 육성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이유인 산업 및 지역의 경쟁력 강화, 즉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이 대덕연구개발구에 입주한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혁신클러스터가 가지는 본질적인 개념인 산업집적 요인, 네트워킹 요인, 혁신창출 요인 등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 도출 후 175개 기업의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 중 산업집적 요인과 혁신창출 요인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트워킹 요인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전에 수행된 사례 중심의 연구들과 달리 실증분석을 통해 혁신클러스터의 활성화 요인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혁신클러스터에서 네트워킹 요인에 대한 직관적 판단과 실제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 차이를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인 혁신클러스터 정책을 위해서는 지역에 뿌리내려진 사회적·문화적 구조, 특화 산업의 특성, 구성원의 니즈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혁신클러스터에 대한 입체적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측면에서 실무적인 의의도 존재한다.

      • KCI등재

        프랑스의 지역혁신클러스터 이니셔티브 : 원자력 클러스터 사례를 중심으로

        이준호(Lee, Jun-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4 No.2

        최근 지역의 발전을 위한 지역혁신클러스터 정책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특히 프랑스는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지역별 경쟁거점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추진해 왔는데, 이 과정에서 정부와 지역, 산업부문 간 연계된 지역혁신클러스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프랑스의 원자력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지역혁신클러스터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게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프랑스 원자력 클러스터 사례분석은 클러스터 이니셔티브의 형성과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한 프랑스 원자력클러스터의 주요 시사점은 상·하향적 접근방법의 조화, 모멘텀의 포착, 견고한 프레임과 합의, 유기적인 거버넌스, 효과적인 활성채널의 운영,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클러스터 운영 등이다. Recently, regional innovation cluster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are a common phenomenon that occurs in worldwide. In particular, France has been promoting clustering for the regional base industrie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this process, it is taking advantage of the linked clusters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regional governments and industri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ed to draw ou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nuclear cluster in France. This case study was explored in terms of the formation and process of the cluster initiatives on the French nuclear cluster. The main implications are the harmonization of up and down approaches, capturing momentum, the concrete frame and consensus of clusters, effective governance, the effective operation of active channels, and the development of clusters with the community.

      • KCI등재

        정부-민간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한 클러스터 진화유형분석 : 한국의료산업 사례분석

        박기원,최현도 한국혁신학회 2019 한국혁신학회지 Vol.14 No.4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ttempt to create clusters of high-tech industries across regions. Government and business need a strategic approach to encourage cluster development. This study combines cluster theory and government policy formation theory to form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cluster evolution and derive relevant propositions by these evolution types. In addition, we will analyze the government and business’s innovation patterns for each cluster and suggest a way to improve the cluster policy. This research goal was achieved by using the industry and patent data provided by various cluster-related organizations in the region, using the Korean medical industry cluster as a case. This study shows the types of evolutionary patterns of clusters and its various performance, which will help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cluster development policies, and to set specific directions on how to improve innovation and business models of firms in clusters. 정부와 민간은 각 지역에 첨단산업 기반의 클러스터 형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해서 정부와 기업은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클러스터 이론과 정부정책형성 이론을 결합하여 클러스터 육성에 대한 세 가지 다른 접근방법을 유형하고 유형별로 관련 명제를 도출할 것이다. 또한 각 클러스터 유형별 정부와 민간기업 혁신패턴을 분석하여, 향후 정부의 클러스터 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표는 한국의 의료산업클러스터를 사례로 지역의 다양한 클러스터 유관단체에서 제공하는 현황자료와 특허자료를 이용해 달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클러스터 유형별 진화 패턴과 그에 따른 다양한 성과를 보여줌으로써,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클러스터 육성정책 수립과 클러스터 내 기업의 기술혁신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방법에 대한 구체적 방향설정에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산업클러스터 정책의 전개와 새로운 경향

        엄창옥(ChangOk Um),이요한(YoHan Lee),최용호(YoungHo Choi),박우식(WooSik Park) 한국경제통상학회 2009 경제연구 Vol.27 No.4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dustrial cluster of Korea in a view point of 'advantage of interaction' between economic actors, "advantage of integration' or 'advantage of embeddedness' based on local resources, and in line with this, review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industrial cluster. At the same time, how the policies of Korean industrial cluster has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cluster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induced. First, it turned out that Korean industrial cluster is in the middle stage of 'organic cluster' in general. Second, in the concept of 'reverse institutionalization' , the policy of Korean industrial cluster helped to form the network between businesses which is located in the industrial complex, thereby contributing to promoting the technological innovative activities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s based on this network. Due to the over 50 years' policy of industrial cluster from 1964 to the present day, Korean industrial cluster has been evolving and three new trends are shown in this process. First trend is 'the expansion', which means the closed industrial cluster is changing into the openness. Second trend is 'the fusion'. As diversity in industrial cluster increases and social capital is accumulated, new industrial area is being created by fusion between specified industries. Third trend is 'the embeddedness', which means that the isolated business in industrial complex take root in local community and utilizing local innovative capacities for business innovative activitie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olicy of industrial cluster in the future should be carried out within the scope of not interfering with self-evolution of industrial cluster. Thus the new policy of industrial cluster in the autonomic and endogenous direction is required to develop the present stage of industrial cluster into 'innovative stage' and 'embeddedness stage'. 본 논문은 산업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지리적으로 집적한 기업이 기업간의 ‘상호작용의 이익’과 지역자원 기반의 ‘집적의 이익’ 혹은 ‘착근화의 이익’을 향유해가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이런 관점에서 한국의 산업클러스터 발전과정을 재검토하였다. 동시에 한국의 산업클러스터 정책이 산업클러스터 발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우리는 몇 가지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의 산업클러스터는 전반적으로 유기적 클러스터 단계(The stage of Organic Cluster)의 중간영역에 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역분해 제도화'(reverse institutionalization)라는 개념으로 볼 때, 한국의 산업클러스터 정책은 단순집적지에 지나지 않았던 공업단지의 입주 기업들간에 취약하나마 상당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하였으며, 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현장애로기술을 해결해나가는 기술혁신활동을 추진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964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50년이 넘는 산업클러스터 정책으로 인해 한국의 산업클러스터는 자기진화를 지속해오고 있고 그 과정 속에서 세 가지의 새로운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첫째는 광역화 경향이다. 폐쇄적인 산업클러스터가 개방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융합화의 경향이다. 산업클러스터 내에 다양성이 증가하고 사회적 자본이 축적됨에 따라 특정산업 간의 융합이 발생하여 새로운 산업영역을 창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착근화의 경향이다. 아주 미약하지만 고립된 산업클러스터 내의 기업이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지역혁신역량을 기업혁신활동에 이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산업클러스터 정책은 산업클러스터의 자기진화를 방해하지 않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한국의 현단계의 산업클러스터가 ‘혁신적 클러스터 단계’와 ‘착근적 클러스터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율적·내생적 방향에서의 새로운 산업클러스터 정책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