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운동과 시민정치 : 광주지역 6 · 2지방선거를 중심으로

        김희송(Kim Hee-Song) 한국지역사회학회 2010 지역사회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the progress of civil political movement, and to research for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 of it by analyzing the civil political movement in Gwangju during the last 6.2 local election. The 6.2 local election held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Democratic Party had the monopolistic power in this area, and we focu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politics and movement politics. During the 6.2 local election, the civil organizations of Gwangju area made up the organization named as "Gwangju Alternative Plan and Hope"("GAPH") and declared that it would proceed new civil politics movement by overcoming the old frame of political neutrality. For example, as one of the alternatives, GAPH strongly suggested a campaign of "Making Good Candidates". Even though GAPH emphasized this kind of positive election movement, the new movement promoted by GAPH also had its own limitation: GAPH was not able to show the public any newly tailored ways and contents of civil politics movement. Thus, this movement was no more than the 'pressure movement' during the past general election exercised under the name of "General Election Union Activities". Regardless of such limitation, however, this attempt had its own importance in that the dogma of political neutrality in the field of civil movement has been denied by civil movement itself. Moreover, this attempt has revealed that the "social right" of the public such as "free lunch program" may be one of the important agenda to be discussed among the civil politics mov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의 공존을 통한 시민적 예의 교육

        심성보 ( Seong Bo Sim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2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예의’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지만,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명쾌하게 개념화하기란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예의는 ‘예의범절’ 정도의 정중한 행동이나 예의바름의 의미로 정의되는 것이 보통이다. 흔히 이것은 어른이나 직장 상사, 나아가 고객들에게 복종하고 봉사한다는 태도를 나타내는 매너나 에티켓으로 표현한다. 그런데 예의는 원래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전자의 예의로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하여 정치적 예의가 결여된 정중한 예의는 예의의 정치적 본질을 포착할 수 없게 한다. 왜냐하면 정중한 예의가 정치적 예의보다 표현의 자유에 더 많은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이렇게 예절바른 고상한 덕목인 정중한 예의는 정치적 입장 차이를 보일 때 갈등의 정도가 심하다. 왜냐하면 정치적 예의는 정중한 예의가 관심을 두지 않는 문제, 즉 시민들에게 극단적 폭력을 무례하게 행사하는 국가권력의 폭력 문제에 개입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정치적 예의는 폭력과 불의의 문제에 개입하면서 사회정의를 위한 변화에 관심을 갖기도 한다. 시민적 예의는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인간적 차원의 개인 간의 정중한 예의만으로는 공동체의 정치적 예의를 표현하는 데 충분하지가 않다. 그것은 다른 사람을 평등하게 대우하는 문제와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치적 예의는 단순히 정중한 예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현실과 관련된 공동체의 정치적 폭력과 착취 등의 문제에 관심을 둔다. 이에 개인 간의 정중한 예의와 시민 차원의 정치적 예의가 대립하는 것이 아닌 공존하는 ‘시민적 예의’를 필요로 한다. 시민적 예의의 함양은 인류가 갖추어야 할 시민성의 핵심적 요소로서 좋은 시민이 될 수 있는 주요한 기제이다. 따라서 ‘정직한 시민’뿐 아니라 ‘정의로운 시민’을 동시에 함양하는 ‘시민적 예의교육’을 더욱 필요로 한다. Civility is a complicated notion that requires more careful. Generally, civility is defined as courteous behaviour or politeness. But, civility is not simply or principally about manners or etiquette, polite behavior and also is more than just manners, politeness. While manners focus on the exchanges between and among individuals, civility also includes the exchanges between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Good manners and polite interactions with others foster a sense of community that strengthens the community as a whole. However, the concept of civility has sparked confusion. Civility interweaves humane/polite civility and political civility. Being polite is certainly not sufficient for political civility and may not even be necessary. Humane/Polite civility imposes much greater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than political civility. We must not commit the civility the reductionist mistake of restricting civility to polite behaviour or etiquette. Broadly understood, civility concerns communication about and within the political sphere. Political civility is a form of reciprocity and recognition between citizens regarding the kind of reasons and the standards used within argumentation on public issues and affairs. Political civility, considered as a democratic civic/public virtue goes beyond mere politeness to include decent respect and consideration as opposed to rudeness of behavior. Political civility could be the true of those who engage in ruthless acts of extreme violence against citizens of a polis. Political civility can be defined as a proclivity towards non-violence and respect for the principles of comprise, mutual respect, and power-sharing among different ways of life. Sometimes, uncivil actions should be tolerated, sometimes not. Political civility is not mere politeness but a matter of treating others as equals. Political civility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Therefore, we should activate civility education through co-exsistence of politeness and political civility to consolidate more civil society. Being “uncivil” is defined as “barbaric”, lacking in courtesy, and not conducive to civil harmony and welfare. However, granted that moral disagreement is a fact of any democratic society, we need a virtue that will enables us to bridge the disagreement politically. Political civility bridges disagreement by restraining our desire to maximize our conception of the good in the public spheres. Uncivil/critical consciousness-raising has a crucial role to play in securing a hearing for the disadvantaged and making a more just society. Incivility is not always wrong. In exploitative class hierarchies or unjust states that deny opportunities, dissent and individual rights, uncivil actions may be critical consciousness-raising and revolution justified. We require civility education for narrowing the gap of civility and incivility, polite civility and political civility. And we need it for coexisting both of civility, consisted of “just” citizen as well as “honest” citizen.

      • KCI등재

        집단따돌림(왕따) 현상을 통해 본 폭력의 문명화 과정

        채효정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3 No.-

        지금까지 왕따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학교폭력’의 범주에서 이루어져왔다. 그래서 그동안 연구자들은 이 문제를 주로 교육학적 관점, 심리학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해명하려고 해왔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의 현장 중심 (학교폭력), 개인과 집단의 심리 중심(왕따의 심리와 구조) 등에서 벗어나 보다 근본적인 폭력에 대한 성찰이란 측면에서 이 문제를 사유해보고자 한다. 특히 ‘집단따돌림은 일종의 문명화된 사회에서의 폭력 양식’이란 관점에서 왕따 문제를 조명한다. 이 논문에서 사용하는 ‘문명사회(civilized Society)’의 개념은 원시사회와 반대되는 것으로서의 일반적 개념이 아니라 유럽의 근대지식인들과 시민사회가 스스로의 목표로 삼고 나중에는 인류 전체의 목표와 동일시 하고자 했던, 유럽 부르주아지의 자기규정인 동시에 근대적 이상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문명사회’란 개념 안에는 근대국가, 산업사회, 미국식으로 재정의된 개념으로서의 ‘발전사회 developed society’, 복지국가, 시민사회, 시민문화 등등의 개념들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문명사회’란 우선은 서구사회이며, 다음으로는 서구적 발전을 따르며 서구적으로 문명화되어간 사회를 일컫는다. 그런데 왕따 현상은 바로 그러한 사회에서, 그것도 전쟁과 혁명 같은 20세기적 거대폭력이 사라진 시대에 나타났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점에 착안하여, 엘리아스, 메를로-퐁티, 푸코, 소렐, 파농 등의 논의를 참고하여 그 이유가 사회의 전면적인 합리화 과정과 그에 따른 합리적 통제 양식의 발전 및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시민적 품행으로서 몸에 대한 이성적 통제가 결과적으로 몸의 판단력과 행위능력이 무력화되었다는 것에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런 점에서 비폭력과 폭력을 문명과 야만의 도식으로 이해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모든 폭력을 악으로 규정하는 절대적 비폭력주의는 오히려 인간을 폭력 앞에서 절대적으로 무력한 상태로 만들 뿐이다. 왕따 폭력은 자생적 자치적 폭력사용의 규칙들이 금지되고 무력화된 곳에서 나타난 폭력의 변종이다. 그렇다면 ‘왕따’를 해결하는 길은 폭력을 부정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몸의 사용을 금지하며 신체에 대한 이성적 통제력을 강화하는 방식을 통해서보다는, 몸을 행위와 활동의 주체로 다시 회복하는 것을 통해, 즉 몸의 주권성을 회복하는 것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To this day, the studies on 'bullying' generally have been done in terms of school violence. So the theme of bullying has been mostly studied from only a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But this study pursue to think this theme not only in field(school) oriented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but as fundamental reflect on violence itself. Particularly, I prospect it in terms of 'bullying as the violence form in the civilized society'. The term of 'civilized society' in this article does not mean a general concept of civil society as antonym of primitive society, but the society which the european modern bourgeois-civil society pursued as its goal and later they identified with a goal of all human societies of the earth. 'Civilized society' was not only a self understanding of european bourgeois, but also a utopia that most modern european people dreamed together. So it is included the concepts of modern national state, industrial society, developed society, welfare state, civil society, civil culture, and so on. Thus the civilized society means first the western civil society, and then, the other westernized societies which follow the way of western development and civilization. Well, the violence of bullying appeared in such a western civilized society, and more over in the era of disappeared enormous violence like a war and revolution. What is the reason? It would be answer the 'incapacitated body' that can not have phronesis either praxis. Because rationalization of the society caused a rationally controled individual body, too. So I referred to the literature of N. Ellias, M. M-Ponty, M. Foucault, G. Sorell, F. Fanon etc. in the consideration of discourse of body politics. According to them, it is a nonsense to distinguish non-violence from violence just like as civilization from barbarism. And the belief of 'absolute nonviolence' that argue all of violence is evil, would make people to absolutely powerless people in front of real violence. Then What should be the solution of this bullying problem? It would neither the implicit prohibition of physical violence, nor empowerment of rational self-control on body. All the more, it would be possible only through recovering body capacity and subjectivity as subject of praxis, poiesis and ergon.

      • KCI등재

        지구시민사회의 개념적 재구성

        장준호 ( Jun Ho Chang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3

        본고는 지구시민사회를 인식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지구시민사회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고 개념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가? 이 글의 기본 가정은 지구시민사회의 개념이 지금까지 형상화된 개념들의 역사 속에서 정치(politics)라는 척도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인간의 삶을 우연적이고 운명적으로 규정하는 모든 경계는 규범에 기초한 정치에 의해 구획되기 때문이고, 지구시민사회는 지구적 정의라는 규범과 지구시민정치를 기초로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는 지구시민의 협력영역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의미에서 지구시민사회는 "세계사회가 주는 생존위협에 대항하여 정치적인 것을 작동시키며 태동한 지구시민의 연대로서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의에 근거한 규범에 따라 함께 얘기하고 행위하는 지구적 협력의 모든 형태"로 재구성될 수 있다. 지구적 협력의 모든 형태를 하나의 사회로 구성시키는 것은 정치적인 것의 존재와 정의라는 올바른 가치의 공유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정의란 지적으로 구성된 원초적 입장에서 합의될 수 있는 최소한의 모랄로서 모든 지구시민에게 좋은 것을 의미한다. 지구적 정의의 내용은 지구시민에게 주어지는 공평한 기회와 차등원칙에 따라 가장 어려운 상황에 놓인 지구시민을 지원하는 의무로 구성된다. 하지만 원초적 입장에서 공평한 절차에 의해 합의한 지구시민이 자신이 사는 곳으로 돌아와서 경험하는 현실은 무지의 베일을 벗겨버린다. 지구시민은 최소한의 당위로서 합의된 모랄(모두에게 좋은 것)과 갈등을 일으키는 에토스(우리에게 좋은 것)의 문제에 직면하는 것이다. 그는 원초적 입장이 아닌 현실에서는 모랄과 에토스 둘 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가까이에 있는 나의 우연과 먼 곳에 있는 타인의 우연 간의 균형을 모색하려고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global civil society. What is the meaning of the term global civil society? It is here basically assumed that the concept of global civil society could be reconstructed through the criterion of politics, which make an appearance in the history of Ideas. Global civil society is all forms of cooperation, in which global citizen are facing against risks and threats of world society and are resolving the global problems on the foundation of politics. As all forms of cooperation, global civil society is based not only on the shared values of global justice, but also on the Political which classifies friend and enemy on the global arena. Global justice could be understood as minimal moral with which representatives of different peoples could confer in the original position: giving fair chance(fairness) and principle of difference. But global citizen recognize the reality that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minimal moral, what is good for all. They conduct themselves also according to the ethos which is good for us.

      • KCI등재

        “대한민국”의 종교학 -시민종교 연구를 위한 시론-

        강인철 ( Incheol Kang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이 글은 ‘대한민국 형성의 문화적 동학’이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한국 현대사에 대한 시민종교적 연구를 지향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연구 성과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한국 현실에 부합하도록 시민종교 이론의 재구성을 시도했다. 여기서 새로운 시민종교 접근의 요체는 시민종교의 다기능성, 시민종교의 상대적 자율성, 시민종교의 복수성(두 시민종교 테제), 시민종교의 역사적 기원으로서의 정교분리와 세속국가 출현, 시민종교의 두 측면(문화/이데올로기) 및 정치종교/시민종교 패러다임을 모두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 시민종교의 역동성과 가변성(갈등적 재구성주의 접근) 등으로 압축된다. 새로운 접근방법에 기초하여, ‘대한민국’의 시민종교는 ① 1945∼1953년 사이 시민종교의 급속한 형성과 남북 분화, 두 시민종교의 격렬한 충돌, ② 한국전쟁 이후 ‘반공-자유민주주의 시민종교’의 급속한 성장, 그리고 시민종교 내 예언자적 지향의 간헐적 폭발적인 분출, ③ 반공-자유민주주의 시민종교의 내적 균열 심화와 ‘두 시민종교’로의 분열 징후 심화 등 세 국면을 거쳐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article is a civil religious study of the post-colonial Korea,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ynamics of the formation of Republic of Korea.” To do this, firstly, I critically analyzed existing researches concerning Korean civil religion. And secondly, to be more relevant to Korean situation, I revised and reconstructed existing civil religion theories. The essence of new approach to civil religion, named “conflictual reconstruction approa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⑴ the multi-functionality of civil religion, ⑵ the relative autonomy of civil religion, ⑶ the plurality of civil religion(“two civil religions” thesis), ⑷ the state-religion separation and the emergence of secular states as the historical origins of civil religion, ⑸ an integrated approach encompassing both civil-religion and political-religion paradigm, and both aspects of civil religion as culture and ideology, ⑹ the variability and dynamic nature of civil religion. Based on this new approach, I maintained that Korea``s civil religion has undergone three phases: ⑴ the rapid formation of civil religions since Liberation, south-north differentiation of civil religions, and the intense conflict between south-north civil religions, ⑵ the rapid development of “anti-communist and liberal-democratic civil religion”(반공-자유민주주의 시민종교) in South Korea, and the intermittent eruptions of prophetic forces within the civil religion, ⑶ expanding cleavages within dominant civil religion, and increasing signs showing the division of the dominant civil religion into “two competing civil religions.”

      • KCI등재

        실천 활동의 우연성과 가치의 선택성: 오우크쇼트 시민교육의 함축적 의미와 목적을 중심으로

        문달 ( Wen Da ),김회용 ( Kim Hoy-y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3

        이 글은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실천 활동의 우연성과 가치 선택성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두고 오우크쇼트가 주장한 시민교육론의 함의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서구 공민 교육 사상의 4개 유파를 탐구하고 정리하여 오우크쇼트의 시민교육관을 분석하였다. 둘째, 오우크쇼트는 본인의 해석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정치의 본질적 함의를 밝혔다. 그는 정치는 ``정치 형식``, ``정치형식에 대한 응답`` 그리고 응답 후 ``가치 선택에 대한 반성`` 등의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셋째, 오우크쇼트는 본인의 가치선택의 정치철학관에 근거하여 시민교육은 반드시 가치 지향으로서의 자유를 갖는 정치시민을 양성할 것을 강조하였고, 여기서는 이러한 그의 독특한 ``개인적``(個體性人) 자유관을 분석하였다. 넷째, 그가 주장한 시민교육의 목표는 "공동선"(共同善)을 추구하는 이익 공동체가 아니라 보수적인 도덕성 시민 연합체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안전과 안정적인 정치 생활이 보장될 때 인간이 다양한 가치 생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도구적 이성주의의 배경에서, 오우크쇼트는 보수적인 자유주의 정치관을 가치 지향으로서 다루고 ``암시``와 ``대화``의 방식을 통해 의식적 교육의 갈등과 충돌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오우크쇼트는 철학적 기초와 실천 활동의 경험 양식에서 출발하여 가치 선택성과 실천 활동의 우연성을 교육의 본질과 의미로 정립하고, 보수적이고 독특한 시민교육관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보수적 시민 교육관은 지금의 교육 혁신과 발전에 의미 있는 시사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chiefly to clarify the theory of Oakeshott`s civi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s philosophical view of politics and to attempt to concentrate his civil education concept in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ntingency of practical activity and the selectivity of value. First, this paper brings out Oakeshott`s civil education concept by analyzing and combing the core ideas of four representative schools of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 education thought. Secondly, Oakeshott systematically addresses the essential implication of politics based on his philosophical view of hermeneutics. He believes politics is composed by three components: a political situation, a response to a situation and a genuine deliberation on value selection. Thirdly, Oakeshott points out that civil education is designed to train qualified citizens who treat the freedom as the value orientation based on his political-philosophical view of value selection. And here, this chapter emphatically introduces his unique concept of political freedom of the ``individual``. Fourthly, the political objective of civil education is to establish a conservative civil association of morality rather than a community of interests that pursues ``common good``. And it emphasizes that only in a safe and stable political environment can citizens enjoy a more-diversified lifestyle of value selection. Lastly, in the context of modern instrumental-rational education, Oakeshott treats the conservative political view of liberalism as the value orientation and attempts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of ideological education through the way of "intimation and conversation". Beginning from the philosophical basis and empirical mode of practical activities, Oakeshott considers the selectivity of value and the contingency of practical activity as the essential implications of education and proposes his unique concept of civil education that possesses conservative dispositions. There is no doubt that this conservative concept of civil education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the re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ontemporary education.

      • KCI등재

        과거사청산 정치와 한국 시민종교 - 분단국가, 48년 체제, 동아시아 민족주의

        강인철 ( Kang In Cheol ) 한국사회사학회 2016 사회와 역사 Vol.0 No.111

        이 글에서 필자는 해방 직후의 과거사청산 정치가 대한민국 시민종교의 성격형성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 시민종교에 대한 과거사청산 정치의 인과적 영향은 몇 가지 매개요인들을 거쳐 진행되었다. 이 글에서는 식민지엘리트 그룹의 생존수단인 반공주의·친미주의를 중심으로 한 `분단국가` 형성,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자 이질성의 모순적 결합인 `48년 체제`, 민족주의의 끈질긴 생명력에 기초한 `동아시아 갈등구조`라는 세 가지 매개요인에 유의했다. 이 글의 핵심 주장은, 2차대전 이후 한반도와 동아시아에서 치열하게 전개된 과거사청산 정치는 분단국가, 48년 체제, 동아시아 갈등구조의 형성으로 귀결되었고, 다시 이런 현상들은 각기한국 시민종교의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우선, 분단국가에서 대한민국 시민종교는 식민지엘리트의 주도 아래, 그들이 선호하는 반공주의와 친미주의를 중심 내용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48년 체제는 불가피한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었으므로 식민지엘리트의 통제를 넘어서는 요소들을 포함하게 되었고, 그 결과 (반공주의·친미주의 외에도) 자유민주주의·민족주의·발전주의까지 48년 체제 내부로 침투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 민족주의의 지속적인 강력함은 이 지역에서 시민종교 현상의 생명력을 뒷받침했을 뿐 아니라, 남한에서 민족주의의 불충분한 내적 동력을 보강해주는 중요한 외적 자극으로도 기능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of the past and civil religion in post-colonial Korea. The causal effects of the politics-of-the-past of Korea`s civil religion were mostly indirect. Among many mediating variables, I noted (1) the nation`s division, (2) the 1948-year regime, and (3) East Asian nationalism. The main arguments of this artic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der the national division and under the leading roles colonial elites played, it was highly likely that anti-communism and pro-Americanism would occupy a central force in Korea`s civil religion. Second, because the 1948-year regime was the product of a political compromise, it was inevitable that the 1948-year regime (and the Korean civil religion) include elements beyond the control of the colonial elite, such as liberal democracy, nationalism, developmentalism. Third, continued strength of East-Asian nationalism supported the vitality of civil religious phenomenon in the region, and provided an important external stimulus, reinforcing insufficiencies of internal power of nationalism in South Korea.

      • KCI등재

        Re-envisioning Civil Religion in a Collaborative, Constructive Model

        이성청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2 종교와 문화 Vol.- No.42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mainstream discussion of religion and politics and the dominant discourse of civil religion are both based on the narrow definition of politics, which premises power-dynamic and power-relation. However, growing worldwide interfaith engagement can contribute to reshaping our conversation particularly of civil religion. In the new political environment religion does not necessarily play the categorical role of the traditional power-dynamic. A variety of interfaith experiences have been creating and fostering a new consciousness, which is spiritual, moral, and political. It has been translated into social norms, law, policies, and invisible cultural pressure or force in various political communities. I argue that the new model, which I call interfaith civil religion, would not put religion in a position where its inherent qualities are given up as shown in the classic models and where the significant contributions that religious communities are currently making are overlooked. And this concept of interfaith civil religion would be my response to Robert Bellah’s diffident anticipation of a new level of civil religion coming out of a society larger than the state, which he expressed by saying “flickering flame of the United Nations.” There is no absolute trans-national sovereignty at present. However, my discussion will demonstrate a possible groundwork to conceptualize a trans-national symbolic system, which Bellah imagined as “the civil religion of the world.”

      • 정치위기와 사회운동의 새로운 주기 : 2008년 촛불시위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이중적 과제

        신진욱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8 기억과 전망 Vol.0 No.19

        This article seeks to interpret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candle demonstration’ in South Korea, 2008, in the context of the crisis of Korean politics since 1987 and the emergence of a new cycle of social movements. The main thes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 First, the candle demonstration in 2008 can be interpreted as the explosion of the crisis of Korean politics in its representativeness and legitimacy. The candle demonstration means in the first instance that the neoliberal policies and authoritarian leadership style of the Lee Myung Bak government. In a deeper dimension, however, the crisis of Korean politics lies in the fact that no political party could transform the political energy of ordinary citizens toward a restructuring of party politics. Second, the candle demonstration was not merely a reactive event against the crisis of party politics, but a signal of the emerging new cycle of protest in Korean civil society. In the candle demonstration in 2008 the whole range of new elements of civic protest that was unknown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social movement was brought to the fore in the political area. Third, the candle demonstration, its historical importance notwithstanding, did not change the basic structure of the crisis of Korean politics. It is probable that the conservative political power drives the retreat of democracy forward, while the progressive-liberal forces in civil society continue to conflict with the political power-holders. This repeated confrontation between ‘crisis-ridden party politics’ and ‘challenging civic politics’ might deepen the organic crisis of Korean politics and eventually invite the emergence of an authoritarian regime supported by the fascist mass mobilization. Fourth, in this situation the Korean democracy is faced with a double task of democratization both in representative politics and in civil societal politics. The reform of party politics in its personnel,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is very urgent. In the realm of civil societal politics, the citizens must defend and restore democracy through direct protest action, and, at the same time, try to find a way to reform party politics.

      • KCI등재

        시민종교와 정치통합: 헤겔의 규범적 통합이론의 문화론적 재구성

        김동하 ( Dong Ha Kim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韓國 政治 硏究 Vol.2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헤겔의 시민종교 개념을 문화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정치통합의 전(前)정치적 기초로서 시민종교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헤겔의 정치통합이론에 대한 해석은 주로 그의 후기 저작인 『법철학』과 관련하여 제도론적 관점에서 ``정치적 국가``의 제도들, 즉 헌법과 같은 정치제도의 규범적 기능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제도론적 해석이 지니는 한계는 정치제도를 통한 통합과 조정의 기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전제, 즉 전(前)정치적 기초에 대한 고려가 간과되고 있다는 데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정치통합이론에 대한 제도론적 해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헤겔의 초기저작에서 제기된 시민종교 개념에서 발견한다. 헤겔에게 시민종교란 정치제도의 통합과 조정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문화적 조건 즉 전정치적 기초이다. 본 논문은 시민종교를 정치통합의 문화적 기제로 이해하고, 문화론적 맥락에서 헤겔 정치통합이론을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헤겔 시민종교개념의 루소적 기원을 해명하면서 시민종교개념을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헤겔이 정치통합의 핵심적인 내용으로 이해하는 애국심 즉 ``정치적 심정``이 시민종교와 정치문화 그리고 정치제도와의 상관관계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reinterpret Hegel`s concept of civil religion from a cultural perspective. It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civil religion as the pre-political foundations of political integration. Up until the present, Hegel`s theory of political integration has usually been interpreted based upon his later work "Rechtsphilosophie" from the political-institutional perspective.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interpretation is that it neglects the premise of the common cultural background which is required for the proper functioning of integration through political institutions. This research attempts to find an alternative from Hegel`s conceptions of civil religion found in his earlier works to supplement the current political integration theory. The civil religion mentioned here does not refer to an institutionalized religion or theology; rather, it refers to the values and belief system of the citizens. Then, how does civil religion relate to the political institution within the cultural sphere? According to Hegel, civil religion and political institution does not directly share a relationship but instead interacts with each other within the political cultural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