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nte Carlo Evidences on Finite Sample Performances of the Simulated Integrated Conditional Moment Estimator for the Binary Choice Model

        송호신 한국계량경제학회 2019 계량경제학보 Vol.30 No.3

        In this paper, I propose a simulated integrated conditional moment (SICM) estimator for the binary choice model. The asymptotic property of the proposed SICM estimator is explored via Monte Carlo experiment since its asymptotic theory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In particular, the SICM estimator is compared with method of simulated moment (MSM) and ML estimators by adopting a simple parametric distributional setup in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ICM estimator is valid in the sense that it is consistent and its Monte Carlo variance decreases by 1=n times as the sample size increases. In particular, it is found that the variance of the SICM estimator is approximately twice that of the MSM estimator with one simulator.

      • SCOPUS

        Monte Carlo Evidences on Finite Sample Performances of the Simulated Integrated Conditional Moment Estimator for the Binary Choice Model

        Hosin Song 한국계량경제학회 2019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30 No.3

        In this paper, I propose a simulated integrated conditional moment (SICM) estimator for the binary choice model. The asymptotic property of the proposed SICM estimator is explored via Monte Carlo experiment since its asymptotic theory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In particular, the SICM estima-tor is compared with method of simulated moment (MSM) and ML estimators by adopting a simple parametric distributional setup in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ICM estimator is valid in the sense that it is consistent and its Monte Carlo variance decreases by 1/n times as the sample size increases. In particular, it is found that the variance of the SICM estimator is approximately twice that of the MSM estimator with one simulator.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아웃렛 쇼핑센터 개발대안 평가

        신종칠(Jong-Chil Shin),박정현(Jeong-Hyun Park),백민석(Min-Seok Baik)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백화점과 할인점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많은 유통기업들은 여주프리미엄아웃렛과 같은 아웃렛 쇼핑센터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개발주체들은 아웃렛 쇼핑센터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하여 개발대안들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하여 아웃렛 쇼핑센터의 개발대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아웃렛 쇼핑센터에 대한 잠재 소비자의 선호요인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아웃렛 쇼핑센터의 개발대안에 대하여 소비자들은 정상가대비 할인율을 가장 중요한 선호요인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웃렛 쇼핑센터의 입지, 아웃렛 쇼핑센터의 입점브랜드가 선호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아웃렛 개발대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규 아웃렛 쇼핑센터의 최적의 개발대안을 도출하게 되었다. With the maturity of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stores, many Korean retail companies have an interest in developing outlet shopping centers such as Yeoju Premium Outlet so on. To develop a successful outlet shopping center, developers should understand consumers preferences on many attributes of development alternatives. This study analyzes consumers preferences on outlet shopping center and evaluates various development alternatives by using conjoint analysis. With empirical research for outlet shopping center development, this study can elicit potential shoppers preference for outlet shopping center. The empirical result shows discount rate is most important attribute to develop outlet shopping center. The potential shoppers have higher preference for higher discount rate. Location is the second important attribute. Brand is the least important attribute. By using utilities derived from analysis, this study performs various choice simulations. Through choice simulation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best development alternative for new outlet shopping center.

      • KCI등재
      • KCI등재

        복합 통행행태모형을 이용한 동적 기·종점 통행량 추정

        김채만,조중래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dynamic OD estimating model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depicting real situations in dynamic simulation models based on static OD trip. To estimate dynamic OD matrix we used the hybrid discrete choice model( called the 'Demand Simulation Model’), which combines travel departure time with travel mode and travel path. Using this Demand Simulation Model, we deduced that the traveler chooses the departure time and mode simultaneously, and then choose his/her travel path over the given situation.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hybrid simulation model by joining a demand simulation model and the supply simulation model(called LiCROSIM-P) which was previously developed. We simulated the hybrid simulation model for dependent/independent networks which have two origins and one destin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AGtt(Average gap expected travel time and simulated travel time) did not converge, but average schedule delay gap converged to a stable state in transportation network consisted of multiple origins and destinations, multiple paths, freeways and some intersections controlled by signal..We present that the hybrid simulation model can estimate dynamic OD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by changing the attributes of the traveler and networks. Thus, the hybrid simulation model can analyze the effectiveness that reflects changing departure times, travel modes and travel paths by demand management policy, changing network facilities, traffic information supplies, and so on. 정적 기종점 통행량을 가정함으로써 갖는 동적 시뮬레이션 모형의 현실 모사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적 기종점 통행량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동적 기종점 통행량 추정은 통행자의 출발시간, 통행수단, 통행경로 선택 행태모형을 결합한 복합통행행태 수요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요 시뮬레이션 모형과 기 개발된 공급 시뮬레이션 모형인 LiCROSiM-P를 결합하여 통합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였다. 단속류/연속류가 공존하는 다경로 가로망에서 출발시간/수단선택/통행경로 선택모형은 AGtt(기종점통행시간의 시뮬레이션 시간과 기대치의 차이 백분율)는 수렴하지 않고, 평균스케줄지체는 안정 상태로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 시뮬레이션 모형은 교통시설공급 변화와 통행자의 속성 변화에 따른 기종점 통행량 변화 추정과 효과분석이 가능함을 모형의 적용을 통해 제시하였다. 따라서 통합시뮬레이션 모형은 수요관리정책, 교통시설변화, 교통정보제공 등이 가져오는 출발시간, 통행수단, 통행경로변화를 반영한 시스템의 효과분석이 가능하다.

      • KCI등재

        인간 특성에 기초한 실시간 능동 경로 선택모델과 전산유체역학 데이터를 적용한 군중 대피 시뮬레이션

        김현철(Kim Hyun cheol),한순흥(Han Soon hu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1

        과거와 달리 현대 건축물은 규모와 기능적 측면에서 고층화 및 대형화 되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탈출과 구출에 대한 어려움이 증대 되어 재실자의 효율적인 대피방안과 위험성을 사전에 예측하여 건축물 설계와 안전 훈련 및 교육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인 군중 대피 시뮬레이션을 위해 전산유체역학 데이터를 대피 환경과 연동하였고 재실자가 인간의 감각을 기반으로 위험요소를 감지하고 병목지점에 대하여 스스로 판단하여 탈출 경로를 선택하는 실시간 능동 경로 선택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능동 경로 선택 모델을 소개하고 구현과정, 성능 및 현실성을 분석하여 군중 대피 시뮬레이션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능동 경로 선택모델을 적용하면 더욱 현실성과 타당성이 있는 대피 시뮬레이션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ntrary to the past, modern buildings have become larger in scale and function.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difficulty of evacuation and rescue increases. Therefore, effective evacuation methods and risks should be predicted and applited to building design, safety training and education. In this researc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data was interlocked for realistic evacuation simulation and a real-time active route choice model that agents detect hazardous factors based on human sense and make their own decisions about bottleneck areas and choose evacuation routes was developed.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methodology for crowd evacuation simulation by introducing the active route choice model, analyz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performance and realism.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erform evacuation simulations with more realistic and validity by applying the active route choice model.

      • KCI등재후보

        Relationship of Forecast Encompassing to Composite Forecasts with Simulations and an Application

        Kuo-yuan Liang,Keunkwan Ryu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03 Seoul journal of economics Vol.16 No.3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forecast-encompassing principles in model-specification searches through the use of linear composite foreca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irwise forecast-encompassing test, this paper outlines a conceptual framework to provide some useful insights on cross-model evaluations in econometrics and the selection of predictors in composite forecasts. Second, it offers three different ways of performing the encompassing test and compares their finite sample performance through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Test results guide researchers to choose component forecasts and thus to avoid blind pooling in the combining regression.

      • KCI등재

        기본소득의 노동공급효과 분석 : 한부모 여성을 중심으로

        이승주 ( Lee Seungju ) 한국행정연구원 2020 韓國行政硏究 Vol.29 No.4

        우리 사회에서 한부모 여성의 경우 아이 양육을 하면서 동시에 생계까지 꾸려야하는 이중부담에 시달리기 때문에 현행 근로연계프로그램을 통해 노동유인을 이끌어내고 자립적으로 빈곤에서 탈피하게 만들도록 제도를 기획하기 가장 어려운 집단에 속한다. 특히 현행 선별적 저소득층 지원제도는 모두 소득이 증가할수록 급여지급액이 감소하는 구조로 되어있어서 오히려 저소득 한부모 여성은 소득 증가로 지원혜택이 줄어들까봐 근로유인을 줄이는 유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에 최근 전혀 새로운 기본소득과 같은 보편적 복지제도로의 개혁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자는 움직임들이 보인다. 기본소득은 노동 반대급부 조건 없이 소득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때 근로유인이 감소할지 늘어날지에 대해 찬·반 진영 사이에서 열띤 논쟁 이 있는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처럼 현행 선별적 복지제도를 통해 경제적 자립을 달성하기 가장 어려운 한부모 여성들이 기본소득을 제공받았을 때 아이 양육의 부담을 덜고 노동을 통해 스스로 자립하고자 하는 유인이 나타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나와 있는 다양한 기본소득 모형 중 이재명 경기도 지사가 장기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월 50만원씩 제공하는 방안과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이 제시한 월 60만원씩 지급하는 방안을 모형으로 설정하여 노동공급 효과를 시뮬레이션하였다. 해당 분석을 위해 재정패널조사 11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중 근로 연령층인 18세~64세에 해당하는 한부모 여성주만 추출하여 총 277개의 표본을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소득 반대론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기본소득이 지급된다고 해서 한부모 여성주에게서 근로유인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흥미로운 점은 기본소득 찬성자들이 기본소득 수급자들이 자기 개발을 통해 더욱 안정된 직업을 찾기 때문에 현행 선별적 근로연계 복지제도 하에서보다 근로유인의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결과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기본소득이 한부모 여성주라는 특정 계층에 갖는 노동공급효과 관련 논의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ingle mothers are likely to bear the double burden of paid work and unpaid care work, as soon as they enter the labor market. In this sense, they are one of most difficult groups to deal with when the government introduces a workfare program to help them to work and to eventually exit from welfare. Under the current selective welfare system, most income support programs are designed to reduce the amount of the benefits received as an individual or family income rises. Thus, the current income support programs are criticized for single mothers reducing their work incentives out of fear that raising incomes would cost them too much in lost benefits.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concept of a Universal Basic Income to reduce the work disincentive problems of the current programs. Since a Universal Basic Income is paid to all with no requirement to work, whether individual’s work incentive rises or not is hotly debated between pros and cons. In this light,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ingle mothers who are most unlikely to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from welfare under the current selective workfare system are showing disincentives or incentives to work. To this end, this study simulates the effects of the Universal Basic Income on labor supply, using the two Basic Income models: one of them is 500,000 KRW monthly paid to all individuals, which Gyeonggi Governor Lee Jae-myung proposed; the other is 600,000 KRW a month, which leader of the Basic Income Party Yong Hye-in propo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from the 11th wave of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are used. And the single mothers aged 18 to 64, which is considered working age in South Korea, are included in the final sample. The final sample consists of 277 c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appear no work disincentives among single mothers when they are paid either 500,000 KRW or 600,000 KRW monthly, as opposed to what the opponents often cite. Interestingly, however, there is no strong sign of work incentives among single mothers. The proponents often suggest that individuals who receive a Universal Basic Income will allow themselves to have more educational investment and try to get a more stable job. But whether this is true or not is hardly proven by the simulated results. With the simulated results, this study will add valuable intellectual assets to the current discussion on the effects of Universal Basic Income on labor supply.

      • KCI등재

        한국의 미래 인구분포 변화에 대한 예측 : 셀기반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김현중,여관현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9 GRI 연구논총 Vol.21 No.1

        This study projected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South Korea from 2015 to 2045,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spatial planning.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200×200m national-level raster data from South Korea and was analyzed using a cell-based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authors premised that spatial change trends through 2045 would be consistent with 2015 level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South Korea is expected to go through considerable change until 2045. The population distribution locations will decrease annually and will have declined by 27% in 2045, compared to 2015. The primary reason for the decline is due to spatial shrinking. However, spatial shrinking will be more likely to occur sporadically in the existing urban areas and new towns as well. Second, the depopulated areas will continue to decline between 2015 and 2045. Also, it is predicted that population hot spots will form a large belt line around the area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the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and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refore, if current spatial trends continue, it is unlikely that fundamental changes of the national spatial structure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This paper propose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spatial simulation model to predict population distribution. 이 연구는 공간계획에서 인구분포가 갖는 중요성에 주목하여 우리나라의 인구분포를 2015년부터 2045년까지 예측하였다. 전국을 대상으로 미시적인 공간단위인 200×200m의 격자 수준에서 분석하였으며, 셀 기반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은 현재의 공간변화 경향이 2045년까지 지속됨을 전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인구분포는 향후 적지 않은 변화를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인구분포의 입지위치는 매년 감소하여 2045년에는 2015년에 비해 27%가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인구감소시대에 빈집 발생 등의 공간 축소현상이 주된 원인인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다만, 공간의 축소현상은 기성시가지뿐만 아니라, 신시가지 등지에서도 산발적으로 나타날 확률이 높았다. 둘째, 2015년 현재 인구과소지역들은 2045년에도 지속되거나 더 악화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인구수 핫스팟 지역들은 향후 수도권에서부터 세종특별자치시와 대전광역시를 잇는 지역을 중심으로 커다란 띠 모양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미래에도 국토공간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는 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의 분석결과를 참조하여 인구분포 예측을 위한시뮬레이션 모형의 정책적 개선방향과 후속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영유아 김 선택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이호진(Ho-Jin Lee),이민아(Min-A Lee),박혜경(Hye-Ky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영유아(0~36개월) 김의 선택 속성과 수준을 조사 및 분석하고 최적의 영유아 김 속성 및 수준을 도출하여 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영유아 김의 속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영유아 식품 시장에서의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 형태의 예비 조사를 통해 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영유아 김의 선택 속성 및 수준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조사를 통해 영유아 김 최적 모형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 도출된 영유아 김의 속성은 ‘인증 종류’, ‘기름 종류’, ‘식감’, ‘조미 종류’, ‘김 장당 사이즈’, ‘풍미’로 구성되었으며, 속성 중 ‘인증 종류’는 ‘유기농 인증’과 ‘HACCP’으로 수준을 구분하였으며, ‘기름 종류’는 ‘들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3개의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속성 중 ‘식감’은 ‘부드러운 식감’, ‘중간 식감’, ‘질긴 식감’ 3개의 수준으로 부드러움의 정도를 표시하였으며, ‘조미 종류’는 ‘간장’, ‘소금’, ‘무조미’ 3개의 수준으로 간의 정도를 구분하였다. 속성 중 ‘김 장당 사이즈’는 ‘기존 사이즈’와 ‘1/2 사이즈’로 수준을 구분하였으며, ‘풍미’는 ‘일반 풍미’, ‘당근 풍미’, ‘양파 풍미’ 3개의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총 6개의 속성과 16개의 수준을 바탕으로 18개의 프로파일을 디자인하여 본 조사를 한 결과 N모델(유기농, 참기름, 부드러운 식감, 무조미, 1/2 사이즈, 일반 풍미)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 김 선택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조미 종류’, ‘풍미’, ‘식감’, ‘기름 종류’, ‘사이즈’, ‘인증’ 순으로 나타났으며, 선택 속성의 수준에 대한 효용값을 살펴보면 ‘조미 종류’는 ‘무조미’, ‘간장 조미’, ‘소금 조미’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미’에 대한 효용값을 살펴보면 ‘일반 풍미’, ‘양파 풍미’, ‘당근 풍미’ 순이며, ‘식감’의 경우 ‘부드러운 식감’, ‘중간 식감’, ‘질긴 식감’ 순으로 선호하였다. ‘기름 종류’에 대한 효용값은 ‘들기름’, ‘올리브유’, ‘참기름’ 순이며, ‘사이즈’는 ‘1/2 사이즈’, ‘기존 김 사이즈’ 순이고, ‘인증 종류’에 대한 효용값은 ‘유기농’, ‘HACCP’ 순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속성과 속성 수준들의 효용값을 이용하여 부모들이 가장 선호하는 가상의 최적 영유아 김 수준을 도출한 결과 ‘무조미’, ‘일반 풍미’, ‘부드러운 식감’, ‘1/2 사이즈’, ‘유기농’, ‘들기름’으로 영유아 김 선호 예측 점수는 77.71점, BTL 모형을 바탕으로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53.7%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판매되는 대표적인 영유아 김의 속성 결합은 ‘간장 조미’, ‘일반 풍미’, ‘중간 식감’, ‘기존 사이즈’, ‘HACCP’, ‘참기름’을 바탕으로 구성된 모형을 바탕으로 선호 예측 점수는 67.78점, BTL 모형을 바탕으로 예측된 시장점유율은 46.3%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 조사 대상자는 ‘무조미’ 김에 대한 요구도가 ‘간장 조미’ 김보다 높았으나, 도출된 효용값을 시장 세분화 변수로 활용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한 사후적 시장 세분화를 실시한 결과 군집 1은 현재 판매되는 대표적인 영유아 김의 특징인 ‘간장 조미김’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으며, 군집 2는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구성한 최적의 영유아 김의 특징인 ‘무조미 김’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후적 시장 세분화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특성이나 영유아 식품 브랜드 선호도, 충성도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사전적 시장 세분화 결과를 도출하여 비교한다면, 보다 세분화된 제품의 개발방향 및 마케팅 전략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ttributes considered as important by parents in the selection of laver for infants through conjoint analysis techniques. A total of 91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January 2016, of which 211 were completed (23.0%).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joint analysis. The conjoint design was applied to evaluate the hypothetical laver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ttributes and levels of laver for infant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was follows: seasoning (26.55%), flavor (19.33%), texture (18.75%), oil (15.15%), size (10.61%), and certification (9.61%). The results of the conjoint analysis indicate that parents raising infants preferred lav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on-seasoning, general flavor, softness, half-size, organic certification, and perilla oil. The most preferred laver for infants gained a 53.7% potential market share from choice simulation compared with laver being sold. Using utility and relative importance, the laver market for infants was classified into two segments. As a result of market segmentation, parents of cluster 1 preferred the laver model being sold (soy seasoning) while parents of cluster 2 preferred the optimized laver model (non-seas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