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처용가 중기(中機)의 가창기법 연구 -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2기를 중심으로 -

        김영기 ( Kim Young-ki ) 무용역사기록학회 2009 한국무용사학 Vol.10 No.-

        본 연구는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악곡을 실제 연주하기 위한 기초 논문이다. 봉황음은 1ㆍ2ㆍ3기(機)의 세 악곡으로 되어 있지만, 이 중 본 연구에서는 봉황음 2기의 노래를 중점 재현하기 위한 가사배자의 문제 및 발성법, 발음법, 숨자리에 대해 한국음악적 기법을 찾아 가곡으로 실기화 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삼는다. <sup>38)</sup> 따라서 본고는 그 이론적 문제를 정립하고자 한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여기(女妓)가 처용가를 부른다는 내용과 함께 `신라성대 소성대`로 시작되는 처용가의 가사가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악학궤범의 기록에 의하여 처용가의 가사를 봉황음 음악에 얹어 부르기로 결정하였다.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1기의 음악적 구조와 처용가의 만기 (1절)의 음악적 구조가 동일하다. 그러므로 봉황음 2기는 처용가 중기(2절)의 가사를 부르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처용가 중기의 가사를 봉황음 2기의 음악에 얹어서 재현하는데 필요한 가창기법의 여러 요소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처용가 중기의 노래를 부르기 위한 속도의 결정은 무용분야의 조언에 따라, 봉황음 2기와 처용가 중기는 현행 처용무에서 수양수오방무가 중심이 된다는 삼현도드리 속도로 정하였다. 둘째,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가사는 처용가의 가사인 `신라성대 소성대(新羅聖代昭聖代)`가 아닌 `산하천리국`이라는 가사로 표기 되어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처용가의 가사를 적용하였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여기 (女妓)가 처용가를 부른다는 내용과 함께 “신라성대소성대”로 시작되는 처용가의 가사로 되어 있어 이 기록에 의하여 처용가 가사를 봉황음 음악에 얹어 부르기로 했다. 셋째, 처용가 만기와 중기를 봉황음 1기와 2기에 어떻게 적용 할 것인가의 문제는 처용가와 봉황음의 음악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처용가는 전강-부엽-중엽-부엽-소엽-후강-부엽-중엽-부엽-소엽-대엽-부엽-중엽-부엽-소엽의 구조를 가지며 1절(만기)과 2절(중기)이 똑같은 형식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세종실록악보의 봉황음 1, 2, 3 악보의 순서를 보면 각 80행 동안 전강-부엽-중엽-부엽-소엽-후강-부엽-중엽-부엽-소엽-대엽-부엽-중엽-부엽-소엽의 구조로 되어있다. 즉 봉황음 1기가 끝나는 부분이 처용가 1절이 끝난다. 따라서 봉황음 2기는 처용가 2절(중기)의 가사를 불러야 한다고 본다. 넷째, 봉황음에 수록된 가사인 `산하천리국` 대신 처용가 중기의 가사인 `누고지어세니오`로 바꿀 때 글자수가 다름으로 인한 배자의 규칙은 봉황음의 배자를 기준으로 삼았다. 봉황음의 배자를 보면 제1정간, 제17정간에 가장 많이 되어 있고 제4정간, 제20정간, 제25정간, 제9정간, 제14정간, 제30정간, 제28정간, 제31정간, 제27정간, 제12정간 순으로 배자가 되어 있다. 다시 말해 32정간을 음보에 따라 크게 나누었을 때 16정간씩 둘로 볼 수 있으며 16정간 속에서 첫째박과 네 째박에 가장 많이 배자 되어있다. 가사의 배자 간격은 가사의 글자 수와 관계없이 전달이 잘 되도록 행 별로 구분 해 놓았고, 자음은 짧게 모음은 길게 하는 현행 가곡의 어법과 유사한 형태로 보인다. 첫째박과 넷째박에 노랫말이 가장 많이 배자되어 있다는 점도 현행의 가곡과 유사하다 할 수 있겠다. 다섯째, 처용가 노래의 발성법은 현행 가곡의 발성을 기본으로 맑고 고운 소리와 높은음에서는 속소리를 사용하였으며, 발음법은 복모음은 풀어서 노래하였다. 여섯째, 봉황음 악보에는 숨자리 표기가 없다. 그래서 숨자리의 기본은 16정간 단위로 호흡하고, 쉼표는 지속음이 여러 행 계속 될 경우 다음 행의 편안한 노래를 위하여 쉬는 자리를 만들었다, 몇 정간을 쉬는가 하는 문제는 16정간(박)을 기본 호흡으로 정한 것에서 11박을 노래하고 5박은 쉰다는 원칙을 세웠다. 19박을 한음으로 길게 지속하는 경우는 11박 노래하고 8박을 쉬고, 14박을 한 음으로 길게 지속하는 경우는 11박을 노래하고 3박을 쉬는 것으로 정하여 노래하였다. This study is the basic article conducted to play a musical note, < Bonghwangem > contained in `Musical Notation in Annuls of King Sejong`. < Bongbwangeum > consists of three notes and this article is focused on examining Korean musical techniquesrelating to the matters of marking phonemes, vocalization, orthoepy and breathing point and thereby, actualizing it into a song for the reconstruction of second note.1) Thus, it shall establish the theoretical issue as follows. 『Akhakguebeom(악학궤범)』 includes a story that Yeogi sang < Cheoyongga > and the lyrics of the song starting with `Shillaseongdae Soseongdae` (신라성대 소성대). I have decided to apply the lyrics of < Cheoyongga > to < Bonghwangeum > based on the records of < Akhakguebeom >. The musical structures of first note of < Bonghwangeum > and Mangi(만기, 1st verse) of < Cheoyongga > are identical. Therefore, the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shall be the Junggi(중기, 2nd verse) of < Cheoyongga >. I hav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 as to various components of vocalism for the reappearance by applying the Junggi verse of < Cheoyongga > to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Firstly, the speed of song in singing Junggi of < Cheoyongga > shall be predicated upon <Samhyeondodri>(삼현도드리), which means that `Suyangsuobangmu`(수양수오방무) is the core of present ` Cheoyong-mu ` (Cheoyong Dance) in the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and Junggi of < Cheoyongga > upon the advice of dance experts. Secondly, the verse of < Bonghwangeum > contained in `Musical Notation in Annuls of King Sejong` is not `Shillaseongdae Soseongdae`, the verse of < Cheoyongga > but `Sanhacheolliguk ` (산하천리국). In this study, however, I have exploited the verse of < Cheoyongga >. As < Akhakguebeom > consists of the contents that Yeogi sang < Cheoyongga > and the verse of Cheoyongga starting with ``Shillaseongdae Soseongdae`, I shall sing the verse of Cheoyongga applying to < Bonghwangeum >. Thirdly, the matter of applying Mangi and Junggiof < Cheoyongga > to first note and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shall be conducted under examining musical structure of < Bonghwangeum >. That is, the end of first note of < Bonghwangeum > shall be the end of the first verse of < Cheoyongga >. Thus, the second verse(Junggi) of < Cheoyongga > should be sung for the second note of < Bonghwangeum >. Fourthly, in singing `Nugojieosenio`(누고지어세니오), the Junggi verse of < Cheoyongga > in lieu of `Sanhacheonriguk` the verse of < Bonghwangeum >, the rule of marking phonemesfrom the difference of number of letters should be predicated upon the marking of phonemes of < Bonghwangeum >. The phonemes are marked on the 1st Jeonggan and 17th Jeonggan the most, and in the order of 4th, 20th, 25th, 9th, 14th, 30th, 28th, 31th, 27th, and 12th Jeonggan. In other words, the 32 Jeonggan is divided by feet into two 16-Jeonggan. And the lyrics are allocated the most upon the first and fourth beats. The intervals of the lyrics werearranged by line in consideration of the easier communication regardless of number of syllable, and it seems that the pronunciation is similar to the present one when consonants are pronounced short and vowels are long. Also common is the fact that lyrics are allocated the most upon the first and fourth beat. Fifthly, on the basis of contemporary vocalization of singing, the lyrics to Cheoyongga should be in clear and sweet voice with thin sound in high tone. Sixthly, I see no breathing indicator in Bonghwangeum scores. So, I made basic breathing points every 16 Jeonggan, and pausing points were placed for easier singing in the next line in case the continuant sound kept on for several lines. Regarding the matter of pausing interval, I determined to singfor 11 and rest for 5 in the regular 16- Jeonggan. When one sound lasts for 19, I made it a rule to sing for 11 and rest for 8, and in case of 14, to sing for 11 and rest for 3.

      • KCI등재

        <고려처용가>·<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구성과 역신의 성격

        박일용 ( Park Ilyong ) 한국고전문학회 2017 古典文學硏究 Vol.52 No.-

        <학연화대처용무합설>에서 연행되는 <고려처용가>는 서술자의 발화만으로 이루어지는 디제시스(diegesis)적인 노래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려처용가>에서 처용과 역신의 말은 서술자의 입을 빈 간접화법적 진술방식을 지닐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형식의 <고려처용가>는 서술자가 처용을 향하여 이야기하는 서두 부분과 역신을 향해 이야기하는 나머지 서두 이후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고려처용가>의 구성 단락은 각각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춤과 노래에 대응된다. 서두 부분은 <봉황음>, <정과정>, <정읍> 등의 노래적 연행에 대응되어 역신이 침범했을 때 그리고 역신을 물리쳤을 때 어떠한 상황이 벌어지는가를 그린다. 그리고 서두 이후의 대목은 처용무에 대응되어 역신을 물리치는 처용의 모습과 역신이 침범했을 때 처용이 그를 물리치는 모습을 그린다. <고려처용가>의 또 다른 발화 상대는 그것을 듣는 청중이다. 이는 나례 또는 진연 형식을 통해 <고려처용가>를 향유한 군왕 또는 군왕 주변의 권력층이 역신의 침범을 받는 대상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처용가무를 배설한 왕이 처용의 처를 간범한 역신의 행위를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고려처용가>가 양재처용, 관처용, 처용희처럼 각기 다른 형태로 향유되었다. < Korea Cheoyongga(고려처용가) > is a diegesis-style song only composed of the utterance of the narrator. For this reason the discourse of Cheoyong(처용) and Yuksin(역신) have the form of indirect-discourse uttered by narrator. It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beginning part of that the narrator speaks toward Cheoyong, and the second part of that the narrator speaks toward the Yuksin(역신). These two part of the < Koryeo Cheoyongga > corresponds to the song of < Hakyunhwadae-cheoyongmoo-hapseul(학연화대처용무합설) > and Cheoyongmoo(처용무) each other. Those songs as < Bonghwangeum(봉황음) >, < Jeonggwajeong(정과정) >, <Jeongeupsa(정읍사), < Bookjeon(북전) > which respond to the beginning part depicts the situations that Yuksin(역신) is attacking, and the situation that Yuksin(역신) is defeated. And the Cheoyongmoo(처용무) which responds to the second part depicts the shape of Cheoyong(처용) who defeating the Yuksin(역신). Another listener of narrator is the audiences who listen < Korea Cheyongga >. This means that the king who enjoyed < Koryeo Cheoyongga > is the target of Yuksin(역신). According to how the King accepts the act of Yuksin who raped Chejong's wife, the < Korea Cheoyongga(고려처용가) > had enjoyed in different forms such as Yangjae-cheyong(양재처용), Kwan-cheoyong(관처용), Cheoyong-hee(처용희).

      • KCI등재

        신라시대의 학질 퇴치 민간요법—처용설화 해석의 한 단서—

        송수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4 民族文化硏究 Vol.103 No.-

        본고는 처용설화의 주제를 ‘僻邪進慶’이라 파악하고, 이 주제가 드러나는 여러 경로를 살펴 처용과 疫神의 실체를 밝히기로 하였다. 전근대인은 과학적 의학 지식이 없어 질병은 귀신이 인체에 침입해서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질병 치유는 이 귀신을 驅逐하는 일이었다. 현대의 1920년대 말 사례조사에서도 그 방법이 무수하게 채집되었다. 처용설화는 신라시대 학질 치료에서 발생한 설화이다. 처용은 강력한 逐鬼 능력을 가졌는데, 처에게 침입한 학질 귀신을 歌舞로써 퇴치하였다. 신라인은 그를 역신을 물리치는 神人으로 추앙하여 門神으로 삼고, 處容歌와 處容舞를 지어 벽사진경을 축원하였다. 이후 처용가와 처용무는 고려-조선시대 궁중에서 거행하는 儺禮에서 벽사진경 축원으로 연행되었다. 처용가는 조선 세종조에 가사를 鳳凰吟으로 바꾸어 왕실의 안녕과 백성의 행복을 축원하는 국가적 벽사진경으로 승화되었다. 처용무는 벽사를 상징하는 복숭아, 진경을 상징하는 모란을 장식한 가면을 쓰고 조선 말기까지 궁중에서 연행되었다. 이처럼 처용설화는 신라인의 질병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벽사진경 염원, 그리고 이 염원을 형상화 한 처용가와 처용무의 흐름을 살펴야 비로소 이해할 수 있다. The Cheoyong tale (處容說話) is a mysterious story included in the strange edition of Samgukyusa (三國遺事), so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t as a historical reality.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are so many research achievements that it is difficult to count them. This study identified the theme of Byeoksa-jingyeong's tale (僻邪進慶) and decided to reveal the true nature of Cheoyong and Yeoksin (疫神) by examining the various paths through which this theme was revealed. In order to approach the theme of the tale,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diseases of pre-modern people. Since they had no scientific medical knowledge, they thought that diseases were caused by ghosts invading the human body. Therefore, curing a disease meant constructing a ghost that carried it. This ghost-deafeating folklore was collected countless times during case studies in the late 1920s. The Cheoyong tale is a tale that arose from the treatment of Malaria (瘧疾) during the Silla Dynasty. In other words, Cheoyong had a powerful ability to exorcise demons, and he exorcised the Malaria-carring ghost that invaded his wife by singing and dancing. The peoples of Silla revered him who defeated the gods of evil, and composed Cheoyongga (處容歌) and Cheoyongmu (處容舞) to pray for Byeoksa-jingyeong. Until today, the interpretation of Cheoyongga as Cheoyong's wife's adultery was an error in literally interpreting the comical expression in Cheoyongga that interprets the invasion of a Malaria-carring ghost on a woman as 'copulation'. In this way, the Silla people recognized Cheoyong as the cure for all diseases, and thus he became a symbol of Byeoksa-jingyeong. Afterwards, Cheoyongga and Cheoyongmu were performed as Byeoksa-jingyeong congratulations at royal ceremonies during the Goryeo-Joseon Dynasty.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changed Cheoyongga to Bonghwangum (鳳凰吟), and the people's Byeoksa-jingyeong was sublimated into a national Byeoksa-jingyeong for the well-being of the royal family and the happiness of the people. Cheoyongmu was performed at the royal court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wearing masks decorated with peaches, symbolizing Byeoksa, and peonies, symbolizing Jingyeong. In this way, the Cheoyong tale is a strange story that can only be understood by looking at the awareness of pre-modern people since the Silla Dynasty on disease, the resulting wish for Byeoksa-jingyeong, and the flow of Cheoyongga and Cheoyongmu that embody this wish.

      • KCI등재

        신라 <처용가>와 고려 <처용가>의 내용과 기능의 차이

        조영주 ( Young Ju Cho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1

        본 논문에서는 고려 <처용가>가 신라 <처용가>를 모체로 하여 제작되었으나, 두 작품의 내용과 기능, 문체상의 특징, 주술원리 적용 등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두 작품 간 거리를 두고 논의를 전개하되, 고려 <처용가>가 어떠한 점에서 신라 <처용가>와 구별이 되며, 또 어떠한 지점에서 연계선상에 놓이게 되는가에 대해서도 밝히고자 하였다. 신라 <처용가> 부대 설화를 분석하여 당시 신라 불교문화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고찰해 본 결과, 처용은 동해의 용자로서 헌강왕을 도와 치국음조(治國陰助)했던 불교적 관용의 덕성을 지닌 호불호국(護佛護國)의 용신(龍神)이고, 신라 <처용가>는 망해사 또는 신방사 창사연기와 맞닿아 있는 불교적 용신신앙 내지 용신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생성된 불교적 관용(寬容) 내지 사심(捨心)을 노래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신라 <처용가>는 민속 신앙적 축사(逐邪)를 노래한 고려 <처용가>와 그 내용이 확연히 다를 뿐만 아니라 무가로서의 문체상의 특징, 즉 명령법이나 위협적인 요소 같은 주술원리도 전혀 내포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신라 <처용가>를 모체로 하여 출현된 고려 <처용가>는 그 노랫말이 [① 서사, ② 처용아비의 외모 예찬, ③ 처용아비의 威容, ④ 熱病神에 대한 위협, ⑤ 熱病大神의 발원], 즉 [신을 부르는 것(招神) → 신을 찬양하여 즐겁게 하는 것(娛神) → 굿을 하는 것(賽神) → 주문을 외우는 것(呪詞) → 소원을 비는 것(發願)]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재창작 과정에서 그 당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이처럼 무가의 형식을 원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처용의 정체도 노랫말 전반부에는 불교적 관용의 덕성을 지닌 것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후반부에서는 위협적이고 강압적인 열병신의 천적으로 전환되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definite difference between <Cheoyongga> of Goryeo and <Cheoyongga> of Silla in terms of the contents, functions, stylistic features and application of incantation principle even though <Cheoyongga> of Goryeo was based on <Cheoyongga> of Silla. On those aspects,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both works as discussing each work independently and on what aspects both works were related to each other. The intrinsic meaning of the accompanied tales of <Cheoyongga> of Silla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exa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eoyongga> of SIlla and the prosperous Buddhist culture during Silla period, Cheoyong in Goryeo was the sea god and the prince of the Dragon King in the East Sea protecting Buddhism and the country with the virtue of Buddhistic generosity as well as ruling a country and taking care of the vulnerable by helping the king Heongang. <Cheoyongga> of Silla described the Buddhistic generosity or non-discrimination generated on the basis of the dragon god religion or philosophy which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history of establishment of Manghaesa Temple or Sinbangsa Temple. <Cheoyongga> of Silla has the completely different contents from <Cheoyongga> of Goryeo describing the folk religious eradication of evil spirit. Furthermore, <Cheoyongga> of Silla doesn`t contain any incantation principle such as threatening elements or stylistic features as the shamanism works, that is, imperative mood. <Cheoyongga> of Goryeo based on <Cheoyongga> of Silla describing Buddhistic generosity or non-discrimination was changed into the prayer on the basis of folk beliefs to win in the war against Mongolian invaders using the mystic power of Cheoyong. It was recreated for the "Cheoyong Play" performance held in the royal court. <Cheoyongga> of Goryeo comprises five stages in terms of lyrics: ① narration, ② admiration on the appearance of Cheoyong`s father, ③ dignity of Cheoyong`s father, ④ threat by the fever devil, ⑤ origin of the great devil fever], in other words, calling out the god(招神) → admiring and entertaining the god(娛神) → doing exorcism(賽神) → making an incantation(呪詞) → and making a wish(發願). It seemed that <Cheoyongga> of Goryeo used the form of shamanism works to cope with the needs of the time at that time in the reproduction process. While Cheoyong was described to have the virtue of Buddhist generosity in the front part of lyrics, his identity was changed into the natural enemy of threatening and oppressive fever devil at the end.

      • KCI등재

        고려 <처용가(處容歌)>의 담론 특성과 그 미학적 함의

        박상영 ( Sang Young Park ) 한국고전문학회 2012 古典文學硏究 Vol.41 No.-

        이 논문은 고려 <처용가>의 담론 구조적 특성과 그 미학적 함의를 텍스트 의 내적 측면과 외적 구조에 두루 산재해 있는 처용관련 자료들 속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구명해 봄으로써 대상 작품의 주술적 성격을 재고해 본 것이다. 그 결과 지금까지 무가와의 관련성 속에서 이해되어 온 <처용가>의 담론 구조적 특징이 사실상 신라-고려의 시간차에 따른 장면 재구성 방식과 시적 화자의 말하기 방식 속에서 새롭게 이해될 가능성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먼저 고려 <처용가>는 기존에 무가의 구조적 틀 속에서 이해되어 오던 것과는 달리, 향가 <처용가>의 담론을 두 개의 장면으로 병치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때 장면1은 국가 풍속의 하나이자 희화화된 인물로서의 처용 형상, 수동적이자 타자화 된 존재로서의 처용, 시적 화자의 단일한 목소리(단성성, telling), 동일화 담론 등이 특징이며, 장면2는 향가 <처용가>가 머물던 시점으로의 회귀, 극적 구성으로의 재편, 언술행위와 언술내용의 주체로서 재약호화 된 처용, 시적 화자에 의한 여러 목소리 현현(다성성, showing), 거리화 담론 등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이들 각각의 장면은 텍스트의 내적 상황은 모두 신라시대로 설정되어 있지만 사실상 ``처용과 역신간의 사건→벽사진경의 풍속``이라는 향가 <처용가>의 사건 전개 과정이 고려인의 시각에서 역으로 뒤틀어진 것이다. 이러한 담론 특성은 향가 <처용가>와 그 배경후담이 보여주는 경건함, 엄숙함 등이 탈각된 채 유희성, 연희성 등과 결합된 웃음 미학적 측면, 낙관주의적 세계관 등을 함의하고 있고 여타 고려 속요 및 조선 후기 사설시조에까지 그 미학적 전승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텍스트 내적 측면에서 밝혀진 이러한 미학적 함의가 당대 처용무, 처용희가 행해지던 연행환경 속에서 배태된 것으로, 동시대 혹은 그 이후 문인들에게 처용 형상에 관한 한 문학 내적 동인으로서 작용하기도 했음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또 담론 구조적 특징을 통해 밝혀낸 희극성과 서사성은 각각 고려 <처용가>의 무가적 성격을 재고한 것이면서 향가 <처용가>와의 거리를 확인해 본 것이기도 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處容歌Cheoyongga> and its aesthetical implications by a new perspective in related to ``Cheoyong`` character. In this process, this study reconsidered the magical characteristics of <Cheoyongga> which have been known until now. This also discovered that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Cheoyongga> are likely to be understood newly by ``reconfiguring the way the scene of text according to time difference between Silla and Koryeo period`` and ``speaking of the way the poetic speaker``. This paper discovered that <Cheoyongga> was consisted of two scenes. The first scene has the following features such as ``travestied character as one of country folk``, ``passive character as being otherness``, ``poetic-speaker`s single voice(telling)``, ``identification discourse``, etc.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cene has these characteristics such as ``regression to the point of Hyangga <Cheoyongga>``, ``Dramatic reorganization``, ``re-coded the subject``, ``various voices by poetic-speaker(showing)``, ``distance discouse``, etc. These two scenes are the results of reorganizing Hyangga <Cheoyongga> based on Koryeo people`s point of view. There was also literary aesthetical implications discovered such as ``aesthetic aspects of laughter``, ``optimistic world view``, etc. which are related to playfulness and entertainment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piety solemnity in Hyangga <Cheoyongga>. The implications of these features have aesthetically transmitted to other Koryeoskoyo literary works and Saseolsijo in late Choseon Dynasty. This study also researched that this aesthetical implication, which were discovered from the inner structure of text, were emplaced from the artistic performing environment of the Cheoyong play & Cheoyong dance. It affected several other writers at that time and even later, who have tried to describe on Cheyong, as inner factor of literature creation.

      • KCI등재

        고려 <처용가>의 연행 상황과 주제

        정기선 한국시가학회 2023 韓國 詩歌硏究 Vol.58 No.-

        “Cheoyongga(處容歌)”, which is a musical instrument,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is a material that actually shows Cheoyong's song and dance that moved Yeoksin and is a concrete example of the transmission of Cheoyong in the time of King Seongjong of the 15th century Joseon. However, Goryeo Cheoyongga, which is a material for music studies, is not a simple literary work, but exists as a jeongjae that combines song, music, and dance.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theory of Akhak Gwebeom HakyeonhwaCheoyongmuhapseol(鶴蓮花臺處容舞合設) and reconstructed the performance situation of Cheoyongga in Goryeo in detail. At the time of compiling Akhak Gwebeom, Goryeo Cheoyongga was closely related to rituals and was completely converted and enjoyed as a part of Jeongjae. Based on this cultural context, the structure of Goryeo Cheoyongga was analyzed based on the middle period,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bining lyrics, dance, and accompaniment music. Goryeo Cheoyongga devotes half of the work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rm of Cheoyong. This means that the theme of Goryeo Cheoyongga was to achieve the purpose of Jeongjae's script by praising Cheoyong and maximizing his ability through it. 우리가 흔히 고려 <처용가>라고 부르는, 『악학궤범 』소재 <처용가>는 역신을 감동시킨 처용의 노래와 춤을 실제로 보여주는 자료이자 15세기 조선 성종 당시의 처용 전승의 구체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악학궤범 』 소재 고려 <처용가>는 단순한 문학 작품이 아니라 노랫말과 무용과 반주음악이 결합된 정재의 일부로 존재했다. 선행 연구에서도 고려 <처용가>가 정재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했지만 노랫말과 무용과 반주음악의 관계를 의식하고 작품의 주제와 성격을 해명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에 본고는『악학궤범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노랫말과 무용과 반주음악이 결합된, 고려 <처용가>의 연행 상황을 구체적으로 재구했다. 『악학궤범 』을 편찬하던 당시 고려 <처용가>는 벽사를 목적으로 한 구나의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으며, 궁중 정재의 일부로 완전히 전환되어 향유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맥락을 전제로 노랫말과 무용과 반주음악이 결합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 중엽을 기준으로 고려 <처용가>의 구조를 분석했다. 고려 <처용가>의 노랫말과 무용과 반주음악은 불가분의 관계가 아니라 느슨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은 궁중 정재로 존재한 고려 <처용가>의 주제가 송도와 벽사라는 정재의 극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처용가>와 <도량 넓은 남편>의 관련 양상 및 그 문학치료적 의의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6 고전문학과 교육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 Cheoyongga(處容歌) > and the mind of Cheoyong(處容) and to reveal its literary therapeutic meaning.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comparing < Cheoyongga(處容歌) > with < Doryang Neolbeun Nampyeon(도량 넓은 남편, Generous Husband) >, we could understand < Cheoyongga(處容歌) > and the mind of Cheoyong(處容). Cheoyong(處容) penetrated the relation of three persons and < Cheoyongga(處容歌) > was the song of relation. Second, among four realms of the fundamental epic, the epic of < Cheoyongga(處容歌) > occupies the highest post of the realm of husband and wife epic. Therefore when we carry out literary therapy about the husband and wife epic, < Cheoyongga(處容歌) > will become a milestone.

      • KCI등재

        呪詞에 타나난 時間觀 考察 - 鼻荊郞詞ㆍ志鬼詞ㆍ處容歌를 중심으로 -

        金榮洙 동아시아고대학회 2007 동아시아고대학 Vol.16 No.-

        이 논문에서는 <비형랑사>, <지귀사>, <처용가> 등의 呪詞에 나타난 시간관을 살펴보았다. <비형랑사>에서 脫時間을 드러내는 용어는 ‘魂’과 ‘鬼衆’이라는 표현이다. 초현실적인 존재이기에 현실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집이란 사람들이 거처하는 곳이지만 유독 <비형랑사>에서는 귀신들이 머물지 못하도록 명령하는 것은 庶出로써 ‘귀신을 쫓는다’(鄕俗帖此詞而辟鬼)는 한 맺힌 원리가 작용한 것이라고 본다. 즉, 以夷制夷의 방식으로 귀신에 대처하는 민중의식을 살필 수 있다고 본다. <비형랑사>는 비형랑이 유복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그의 영혼을 위로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설화로 본다. <지귀사>는 술파가 설화가 애초에 불교수행에 방해가 되는 여인들을 멀리하는 교화적인 설화였음에도 불구하고, 신라에 들어와 지귀가 선덕여왕을 사모하고, 여왕이 이에 너그럽게 대응하는 로맨스로 변용시킨 것은 신라인들의 설화수용 방식이 매우 포용적이고 낭만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설화는 혜공스님의 우려와 같이 세속인의 애정행각이 성스러운 사찰을 오염시킬 수 없다는 신성관념을 드러내는 설화로 보는 것이 옳다고 본다. 지귀가 못 이룬 염정을 불태우며 세속에서 불의 신으로 받들어진 것도 중요하지만, 이면에는 수도승들에게 수행에 방해가 되는 남녀의 염정문제에 대해 경계하는 의미 또한 내재한다고 본다. 이미 신으로 좌정한 고려 <처용가>에서의 처용아비의 모습은 매우 위력적이고, 무시무시하다. 그는 이미 향가 <처용가>에서 보여준 관용의 화신이 아니라 열병신을 쫓는 무서운 신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인간 처용으로서의 한계와 갈등을 드러낸 존재가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한 신격으로 변신하여 민중들의 마음속에 좌정한 존재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The author do considers narratives not folklore but stories in which historical truths were exaggerated, augmented, or reduced to be circulated. The fact that ancient Korean novels(古代小說) added moral factors (interest) to historical truths may reflect such viewpoint. Inquiring the origin narratives in the study of ancient novels, or habitual configuration of time, region, and characters in the beginning of novels is a method of pretending to be historical truths. Three Jusas (songs of spell) in ancient poetry were selected to be considered of their time perspective. ‘Bihyungrangsa(鼻荊郞詞),’ ‘Jiguisa(志鬼詞),’ and ‘Cheoyongga(處容歌)’ are individually worthy of controversy, and have factors with which literature, history, and tradition (folk customs) can be investigated. All the three works shared the basis of ‘Byek-sa-jin-kyung(辟邪進慶 : defeating evil and celebrating happiness)’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folklore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Once a historical event is included in folklore, it undergoes a process through which it is settled in the mentality of the public by way of Entzeitlichung(‘out of time’). In Bihyungrangsa(鼻荊郞詞), ‘a spirit’ and ‘group of ghosts’ represent its Entzeitlichung. They are distant from reality in some extent because they are surreal beings. Houses are a place where people live, but in Bihyungrangsa, ghosts are ordered not to stay in houses because a deplorable principle of ‘expelling ghosts’ by an illegitimate may be applied. Therefore, it shows the public awareness about treating ghosts through ‘defeating enemy by using of other enemy.’ Bihyungrangsa as a narrative may have been created for comforting Bihyungrang's spirit because he was a posthumous child (or his father was the spirit of King Jinjee<眞智王>). The origin of Jiguisa(志鬼詞) is India's Sulpaga(術波伽) narrative for educating Buddhist trainees that women should be avoided because they disturb learning, while Jiguisa, a Silla's narrative, is transformed to be a romance in which Jigui(志鬼) yearns after Queen Sundeuk(善德女王) and the Queen is tolerant for him. Therefore, it shows the way Silla received foreign narratives was greatly tolerating and romantic. However, Jiguisa should be considered a narrative showing sanctity that a love of the vulgar should not contaminate sacred temples, as represented by the anxiety of Monk Haekong(釋 惠空). In Goryeo's Cheoyongga(高麗 處容歌), Cheoyong-abi(處容) is greatly powerful and gruesome. He is already no more an incarnation of tolerance as in the Hyangga ‘Cheoyongga(鄕歌 處容歌),’ but is a frightful divinity who dispels demons of fever. While he represented the limitation and struggle as a male named Cheoyong (as shown in witnessing the sexual intercourse of his wife and the god of smallpox and appeasing his anger to the god), he is transformed to be a divinit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nd is settled in the mentality of the public.

      • KCI등재

        처용설화의 사회서사와 소통 효과

        손석춘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Cheoyongga (處容歌) through the lens of a new concept, the “social epic,” and trace its use of the communication effect. The main direction of research on Cheoyongga has focused on Cheoyong (處容) and Yuk-sin (疫神).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Cheoyong's wife. If Cheoyong's wife was a simple adulterous woman and Cheoyong was a generous husband, the people would not have loved him enough to put his face on the door. This is more so if Cheoyong is an Islamic trader. The subject of Cheoyongga is Cheoyong, but, as is the case with all folktales, the subjects who communicated with Cheoyongga were people. At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the greed of the ruling class increased, and the life of the poor became increasingly painful. Therefore, social change was a demand of the times. The social epic focuses on the fact that humans are social beings. In short, this proposal deals with humans’ relationships as social beings. The social epic i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daptation, compliance, contemplation, and practice. Cheoyongga showed the greed of vested interests and the moral superiority of the reformers to those who live in-depth with the adaptation-epic or contemplation-epic. By communicating with Cheoyongga, the people changed the epic, in that they incorporated it into the depths of their lives and interpreted it to reflect the ruling system. The people were symbolized by Cheoyong's wife. Yuk-sin (疫神) demonstrates an in-depth greed-epic, Cheoyong (處容) demonstrates a practice-epic, and Cheoyong's wife demonstrates a servility-epic. If Cheoyongga was communicated to many people in the late Silla Dynasty period, it can be judged that it had a great impact on society. Indeed, the early processes of communication involving Cheoyongga are associated with historical upheavals. Within 50 years of King Heongang's death, the Silla dynasty was destroyed. 이 논문은 <처용설화>를 ‘사회서사’ 개념으로 새롭게 해석하고 소통 효과를 추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처용설화 연구는 처용과 역신에 초점을 맞춰왔다. 하지만 이 논문은 처용의 처를 중심에 두고 설화를 분석했다. 처용의 처가 단순한 ‘불륜 여성’이고 처용이 ‘너그러운 남편’이었다면, 민중이 처용 형상을 문 앞에 붙여 놓을 정도로 사랑해오지 않았을 것이다. 처용이 이슬람 상인이라면 더 그렇다. <처용가>의 주체는 처용이지만 <처용설화>를 소통한 주체는 모든 설화가 그렇듯이 민중이다. 중앙 지배세력의 탐학과 광범위한 지역유민들로 상징되는 신라 말기의 부익부빈익빈체제에서 변화는 시대적 요구였다. <처용설화>는 순종서사 또는 관조서사를 지니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기득권체제(병폐 또는 적폐세력)의 탐학(역신)과 개혁세력의 도덕적 우월성(처용)을 보여줌으로써, 기존 체제에 적극적‧소극적으로 편입된 사람들(처용의 처로 상징되는 민중이자 처용설화의 송신자와 수신자들)의 심층에 있는 서사를 전환하는 효과를 기대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주어진 질서에 순종하는 것이 결코 평안(순종서사의 긍정태)을 보장할 수 없고 굴종(순종서사의 병리태)이 될 수 있다는 자각을 의도했다. 역신은 ‘현실 불변 적응형’ 탐학 서사를, 처용은 ‘현실 변화 실천형’ 창조 서사를, 처용의 처는 ‘현실불변 순종형’의 평안-굴종 서사를 심층에 지닌 셈이다. 처용설화가 헌강왕 이후 신라 하대에 많은 민중 사이에 구전으로 소통되었다면, 그 효과는 대단히 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중앙귀족들에 대한 비판의식과 지방호족, 특히 해상 세력에 대한 열망으로 동시대인들의 사회서사가 실천서사로 바뀌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처용설화의 초기 소통 과정은 헌강왕 재위이후 6년 만에 후백제가 세워지고 왕건의 삼국통일까지 옹근 50년의 역사적 격변과 맞물려 있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처용가(處容歌)>를 중심으로 -

        호신양 국어교과교육학회 2017 국어교과교육연구 Vol.30 No.-

        중․한 양국 수교 이래에 우리나라에서 한국어교육이 크게 발전했다. 양 국 정치, 경제, 문화의 급 발전과 더불어 한국어 인재 수요의 급성장으로 있어서 많은 고등교육 기구가 한국어 전공을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는 중국 각 지역이나 대학에서 교재와 교육 방안을 개발하려는 노 력들을 많이 보이고 있지만 그 성과는 많지 않다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 해서는 대체적으로 획일적이고 단일한 한국어 교육보다 지역이나 학교의 특성을 살린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 보편적으로 쓰인 교육 모드를 바탕으 로 혁신을 통해서 새롭고 효율적인 방법을 창출하고 기본적인 한국어 능력 함양이라는 관점에서 전면적인 교육과정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외국어 교육은 그 나라의 문화와 분리할 수 없다. 한국의 문화는 전통 예 술, 의식주 및 생활양식을 포함해 다양한 범위를 가리킨다. 본 연구는 교육 연극 기법을 활용해서 한국 문화를 교수할 겸에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 색하고자 한다. 신라 향가 <처용가>는 오랜 시간 전승된 전통 연극의 하 나로 문학적, 민속적, 예술적 가치가 매우 크고 배경 설화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처용가> 학습을 통해서 한국어 말하기, 듣기, 쓰기, 읽 기능력 향상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향후 한국어교육 현장의 교수-학습 법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교육에 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made great progress in China.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of the two countries,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talents increased urgently, meanwhile, the Korean language in advanced education institutions has gradually increased., although the Chinese universities in various regions transferred to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lesson plans, but the results are not great in nowadays. Compared to the current single Korean language education model, it need to meet the regional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present, it should be based on the universal use of educational methods as a fundamental, improve the more efficient all aspects of through reform and innovation aiming at training Korean language program.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fundamentally inseparable from its national culture and education. Korean culture includes traditional art, basic necessities of life and living customs and other aspects. This study uses the method of educational drama,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teaching of Korean culture at the same time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Silla song “Cheoyongga” in long history, is the Korean traditional one of the representative dramas whether in culture, folklore, art with such a high rating. The legend is also the valuable source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mprove the ability of Korean language to read and write through the study of “Cheoyongga”. It hopes that this study will help in the educational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pe to have some value in other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