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호주장로교 선교사들의 입국 배경과 한 사례로서의 의료활동

        이영식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2 영산신학저널 Vol.- No.62

        Early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Busan and Gyeongnam faithfully performed their evangelical ministry and educational and medical works. In this study, I tried to illuminate the background of the arrival of mis- sionaries in Korea and medical activities among missionary activities as an example. Australian missionaries such as John Geddie, John G. Patton, and Davis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missionary movement of the early Victorian Presbyterian Church in Australia. Since then, the organization of missionary agencies and student and lay missionary movements have played a valuable role in Korean missionary work. Hugh Currell was the first medical missionary of the Australian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e arrived in Busan in 1902 and started medical work there, then moved to Jinju on October 20, 1905, and opened mission station of the Jinju mission. Charles I. McLaren, also a medical doctor, entered Korea in 1911 as a missionary. He served at Paton Hospital and Severance Hospital with an emphasis on faith as well as scientific medicine. He also actively opposed the enforcement of Shinto-Shrine by the Japanese. As such, medical activities provided an important point of contact for the gospel. Those also promoted better life by providing medical assistance for Korean people and greatly contributed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future medical missionary works in Korea. 초기에 내한한 호주장로교 선교사들은 복음사역을 성실히 수행했으며, 교육선교와 의료선교 활동을 전개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한국선교에 대한 내한 선교사들의 입국 배경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초기 선교활동 가운데 하나의 사례로서 의료활동을 조명하려고 했다. 이를 통하여 통찰을 얻고 오늘날 한국교회의 복음 전파 및 대사회적 활동에 미약하나마 기여했으면 한다. 존 게디, 존 패튼, 데이비스 등과 같은 호주 선교사들은 초기 호주 빅토리아 장로교회의 선교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선교사 파송 기관과 평신도 선교운동이 한국선교에 귀중한 역할을 했다. 호주장로교회의 내한 첫 의료 선교사는 휴 커렐(Hugh Currell)이다. 그는 1902년 부산에 도착하여 의료활동을 하다가 1905년 10월 20일에 진주로 옮겨 진주 선교부 시대를 열었다. 맥라렌(Chrales I. McLaren)은 한국 선교사로서 1911년에 입국하였다. 그는 배돈병원과 세브란스병원에서 사역을 감당했으며, 과학적인 의술과 동시에 신앙을 강조하는 의사였다. 그리고 그는 일제 강점기에 공창제 폐지운동을 전개했으며, 신사참배 강요에 적극적으로 반대했다. 이와 같이 의료활동은 복음의 중요한 접촉점을 제공했다. 한국인의 건강한 삶을 고양했고, 기독교 의료 인재를 양성하여 미래 선교 한국의 토대를 놓는 데 크게 기여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