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 다시쓰기를 통해 본 역사의식과 이상향 비교 연구 - 이광수(1923)와 채만식(1946)의 『허생전』을 중심으로

        박수빈(Park Subin)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8

        본 논문은 ‘친일문학’을 통해 본 이광수와 채만식의 흥미로운 관계성에서 출발한다. 그들은 각기 다른 시기 자신들의 역사의식과 현실비판의식, 이상향을 고스란히 담은 고전, 『허생전』을 썼다. 여기에서는 일제강점기와 해방기 두 작가의 시대감각과 현실인식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자 ‘인물-영웅모델’과 ‘이상향-새나라’의 형상화에 주목하여 두 작품을 비교분석한다. 이광수가 허생원의 ‘비범함’을 드러내는 데 서술의 목적을 두었다면, 채만식은 그의 ‘인간미’와 애민정신을 강조한다. 이광수의『허생전』이 모든 사람들로부터 무시당하던 초라한 한 선비가 순전히 자신의 비범한 지략(智略) 하나로 돈도 권력도 손쉽게 손에 넣는 통쾌한 ‘영웅적 모험담’이라면, 채만식의『허생전』은 조선의 역사와 운명을 걱정하는 한 선비가 자신의 사상과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끊임없이 백성을 구하는 ‘과정의 서사’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광수의 ‘허생원’이 자신을 업신여기던 사람들에게 능력을 보여주고 마침내 왕까지도 감탄하게 하는 비범한 인물로 그려진다면, 채만식의 ‘허생원’은 아직 그 여정이 채 끝나지 않은 길 위의 인물로 남는다. 두 작품 속 허생원은 각각 일제강점기 이광수가 염원하던 지도자상, 해방기 채만식의 고민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존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일제말기 이광수를 모방함으로써 자신의 친일세계를 구축했던 채만식이 ‘역사’와 ‘고전 다시쓰기’를 통해 해방기를 가능성의 시공간으로 만들어보고자 했다는 점에서『허생전』은 채만식 해방기 작품 세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interesting relationship between Lee Kwangsoo and Chae mansik through ‘pro-Japanese literature’. Each of them wrote 〈Heosaengjeon〉 containing historical awareness, criticism on reality, a classic containing Utopia of their own lives. Two wor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effectively grasp the period senses and the reality percep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period of liberation by focusing on the image of the "character-hero model" and ‘Utopia –new country’. Lee Kwangsoo focused on writing to reveal extraordinariness of ‘Heo Saengwon’, while Chae Mansik ‘humanity’ and ‘love for the people’. So, Lee Kwang-soo"s 〈Heosaengjeon〉is ‘Hero Adventure Story’, in which a humble classical scholar ignored by all people easily put money and power into his hands with his extraordinary resource while, Chae Mansik"s 〈Heosaengjeon〉 is ‘Process Story’, in which a classical scholar worrying about history and destiny of Choseon constantly saves the people to test her own thoughts and abilities. So, Lee Kwang-soo"s Heo Saeng-won is depicted as extraordinary person who shows his ability to everyone ignoring him and finally even a king admires him, while Chae Man-sik"s ‘Heo Saengwon’ remains a character on the road that is not over yet. Heo Saengwon of the two works contains a person who Lee Kwangsoo longs for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a person who Chae Mansik worries about in period of liberation respectively, which is very important in that Chae Mansik who built his own pro-Japanese world by imitating Lee Kwangsoo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nted to make period of liberation a possible time space through ‘history’ and ‘rewriting classics’.

      • KCI등재

        채만식의 수필 연구

        김미영(Kim, Mee-yo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3 No.-

        이 논문은 채만식의 235편에 달하는 비허구적 산문들을 망라한 수필을 고찰하여, 작가 채만식의 세계인식과 현실대응방식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평론성 에세이들에서 그는 이념 우위의 프로문예론과 이광수 류의 민족주의 문학론의 문제점들을 지적하였고, 대안으로서 언어문제에 집중한 창작자 중심의 실무적인 문학론을 펼쳤다. 문사나 예술가가 아닌, 문학노동자라는 정체성에 입각하여 조판 등 인쇄과정의 오류문제나 어휘와 문장을 다루는 문학인의 기본기를 강조하는 등, 특유의 탈권위주의적인 실무 중심의 리얼리즘론을 펼쳤다. 사회문제에 집중한 시사평론적인 글에서는 신문기자 출신다운 실질 중심의 문제의식을 드러내었는데, 특히 결혼과 취업 등 조선청년의 문제들에 관해 통계자료에 입각한 현실적 대안의 제시나, 신여성보다 구여성의 존재감을 높이 평가한 독특한 여성관에서 외부에서 주어진 관념이나 철학이 아닌, 자신이 경험한 데에서 얻은 감각적 실질을 숭상하는 채만식의 탈권위주의적 특징을 또렷하게 보여주었다. 꽃과 봄을 좋아하고 생래적으로 자연친화적이었던 그는 도시보다 시골에의 지향이 강했다. 하지만 대타자가 부재한 시대에 한결같았던 현실과 인간에 대한 냉소적인 풍자적 관점은 식민지 지식인의 니힐리즘으로 변주되었고, 조직 외부자로 평생 살았던 그에게 주변인 의식으로 환치되었다. 복잡해진 결혼생활과 다채로운 질병, 궁핍한 처지 속 식민지 지식인의 오랜 전망 부재는 1940년 전후 대일협력으로 발현되기도 한다. 그러나 채만식의 수필에 나타난 ‘춘양(春陽)’과 ‘고향’에의 갈망이나 해방공간에서의 자기반성적인 작품창작이 보여주듯이, 해방이후 그는 외부세계 대타자 부재의 현실에 맞서 자기 내면에 강력한 윤리적 자아를 구축하는 길로 나아갔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Chae Mansik’s essays. Chae Mansik is mainly known for his novels and dramas. However, he has written 235 essays from 1926 till his death in 1950.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levance between his main genres, novel and drama, and essays. Chae Mansik showed an antiauthoritarian perspective toward mainstream ideologies and public opinions in both main genres and essays. Also, Chae’s works show his interest in the practical problems of the Chosun society. After his job as a reporter at Chosun Ilbo, he became a poorly-paid, full-time writer which also influenced his world view. In conclusion, Chae’s essays reveal how he was influenced by his life conditions and by Nietzschean nihilism, his anti-authoritarian view points, and his ambivalent view towards rural life. All characteristics above were found to be intricately connected in his essays.

      • KCI등재

        동아시아 냉전 질서 형성과 해방 직후 ‘공간’ 연구 -채만식의 「역로」와 허준의 「잔등」을 중심으로

        이미나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냉전은 전후 국제 질서를 이르는 말로 정치적․경제적 발전의 경로가 서로 다른 글로벌한 양극 간의 충돌, 극단으로 분단된 세계의 세력 및 의지 다툼과 그 지배적 질서 체제를 의미한다. 동아시아 냉전 체제는 앞선 일본 제국주의와 그에 반한 움직임의 복합적 작용으로서 식민지 체제에 국제적 힘이 더해진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이 냉전체제는 전 세계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에서도 한반도는 지금까지도 냉전 문제가 가장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다. 한반도의 해방은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계기로 맞이한 것인 동시에 한국이 미국과 소련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된 역사적 사건이었고, 때문에 해방이 곧 남북 분단을 의미하게 되는 아주 특수한 양상이 만들어졌다. 냉전은 세계적 질서이기도 하지만, 민족국가에서 지역적으로 경험된 갈등이라는 점에서 그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경험을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냉전 시대에 양극단 진영의 사회적 변화를 사회사․문화사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일은 남북한 질서의 전환이 어떠한 상관관계 속에서 재구성되는지 밝히는 일이 된다. 본 연구는 문화 지리적 공간이 냉전이 구축되는 공간 지표를 따라 물질적 토대인 ‘실제 공간’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역사적 맥락 안에 위치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냉전의 질서가 구체적인 장소에서 어떻게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는지, 해방 공간의 치열한 정치적․군사적 대결의 형태로 경험되었던 ‘일상생활의 정치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해방기 창작된 소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소설로 평가받는 허준의 「잔등」과 채만식의 「역로」는 모두 ‘여로’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해방 정국의 혼란한 상황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해방 직후 한국은 미․소 양국의 분할점령 하에 냉전 체제를 구축하게 되었고, 이는 지리적 공간이 분할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허준과 채만식 작품의 ‘공간’은 해방 직후 미․소를 중심으로 구축된 냉전체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남한과 북한에서 맞이하는 ‘해방’의 현실이 그 ‘냉전’과 맞물려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주목을 요한다. 「잔등」과 「역로」는 소련과 미국이라는 거대 냉전 권력이 해방 직후 탈식민화 과정과 교차하는 접점의 공간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면서 남북으로 분할된 두 진영의 사회적 정체성과 동아시아 냉전의 초기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explore the actual and imaginary space of literature, to meticulously examine its interaction and the ways literary imagery is formed to reveal the meaning of literary space, and to further interpret the meaning of “space” divided under the Cold War system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with a new perspective. It also observes at how literary and geographical space interacts with “real space,” a material foundation, while following the spatial indicator in which Cold War is established to examine it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By taking issue of the literary and geographical theory, the writing strives to newly interpret the literary space Korean novels. Heo-Jun's “The Faint Lamplight(Jandeung)” and Chae Mansik's “Passing Road (Yeongno)”, which are both acclaimed as the best novels written in the period of liberation, have the common structure of “Traveling Road” and also the common traits of realistically drawing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liberation. Heo-Jun's “The Faint Lamplight” depicts the traveling road of returning from Changchun in Manchuria to Seoul and Chae Mansik's “Passing Road” is set in the train space that starts from Seoul to the Jeolla provinces that pass through Daejeon. After the liberation, the structure of Cold War was established under the divisional occupation of America and Soviet Unionl, leading to the division of geographical space. The “space” of Heo-Jun and Chae Mansik's pieces directly reflects the Cold War structure established around the U.S. and the Soviet Union right after liberation, and the reality of “liberation” in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ows different aspects in line with the ‘Cold War’ which requires attention. By focusing on the ‘Cold War’ represented by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and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toward it, the reality of ‘Cold War’ which was extrapolated in the period of liberation in Korea will be explored and through literary and geographical ‘space’, the writing will examine the situational cause that led to the division of the territory from the 38th parallel. In addition, by focusing on that ‘Seoul’, which was the final destination of Heo-Jun ‘The Faint Lamplight’ was set as the starting point at Chae Mansik's “Passing Road”, the meaning that ‘Seoul’ held as the ‘connective site’ in Korean railways will be examined from the aspects of ‘placeness’ established through movement in ‘space’ represented in both works. This study will in earnest discuss the ‘space’ of Korean literature in Cold War perio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eocriticsism and holds significance as the contemplative procedures of space i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of Cold War.

      • KCI등재

        채만식 수필에 나타난 근대 공간 속 타자들의 질병

        곽상인 돈암어문학회 2019 돈암어문학 Vol.36 No.-

        본고는 채만식의 수필에 나타난 근대 공간 속의 질병들을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그는 호흡기질환으로 고생하는 가족의 질병은 물론, 근대 공간 중 특히 정신병원과 기차 안에서 목격한 사람들의 질병을 수필에 그려냈다. 자신과 유사한 질병을 앓고 있거나 그러한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에 대해 주목을 한 이유는 같은 시간과 공간 속에서 고통을 받는 이들에 대한 동병상련의 시선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의 병을 살피는 작업은 채만식이 근대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바라보았는가와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가족의 질병을 언급하기 위해 조카들이 앓았던 늑막염, 각혈, 이질, 백일해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병들은 호흡기와 관련한 질병이거니와, 전염성이 있기 때문이다. 가족 구성원 중 성인의 경우에도 성종, 독감, 자궁혈종, 이상임신 등의 질병을 앓았던 기록이 있다. 안타까운 것은 이들의 질병을 치료할 백신이 당시에 보급되지 않아 생사의 기로에서 절망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들의 질병은 전염성이 높아서 국가적 차원으로 볼 때에도 막대한 손실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또한 근대 공간 속 질병에 대한 언급은 정신병동과 기차 안에서 목격한 환자들을 그린 수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채만식은 당대에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값이 터무니없이 비싸다는 인식을 하였고, 더불어 아편으로 인해 많은 근대인들이 피폐해지는 양상에 주목했다. 특히 기자 신분으로 정신병동에 들어가 그 안에서 감시를 당하며 분리되어야 했던 비정상인들의 질병(조현병, 거식증, 우울증 등)에 관심을 지녔고, 기차 안에서는 여공들을 통해 목격되는 폐결핵과 각기병을 관심있게 지켜보았다. 요컨대 1930년대의 근대 공간이 도시화되면서 사람들은 열악한 환경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으며 그 안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바이러스 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었던 것이다. 특히 집단 공동체 생활을 할 수밖에 없게 만든 산업환경 및 노동환경 탓에 질병의 전염성은 극에 달했다. 이를 치료하는 백신 또한 값이 비싸거나 대중화되지 못해서 일반인들은 질병을 치료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지방으로 내려가 요양을 하면서 죽음의 시간을 수용해야만 하는 정도에서 그쳤던 것이다. 국가도 질병에 대한 문제의식을 지니고는 있었으나 이를 정책적으로 시행하거나 해결하지 못한 탓에 그 전염성을 키웠다고 볼 수 있겠다. This writing is meaningful examined the diseases which were raised in modern space in Chae, Man Sik’s essay. In his essay, he depicted not only the illnesses of his families suffering from respiratory diseases, but also the diseases of those witnessed in modern spaces, especially mental hospitals and trains. He paid attention to those people who showed symptoms similar to his own disease because he had a coercive gaze of them. Therefore, Chae, Man Sik’s behavior to examine and describe their illness can be connected with how he perceived and viewed modern space. In his family diseases, he focused mainly on pleurisy, hematoma, dysentery, and whooping cough, which his nephews suffered. Because these diseases are related to the respiratory tract and contagious. Adults in his family members also had a history of diseases such as sex, flu, uterine hematoma, and abnormal pregnancy. Unfortunately, the vaccines to treat these diseases were not available at the time. Thus, his family members had to despair at the end of life. Also, these diseases are highly contagious, causing huge losses at the national level. In addition, diseases in modern space are prominent in his essay through patients witnessed in mental hospital and trains. Chae, Man Sik recognized that the price of medicine for treating diseases was too expensive at the time, and he noticed that many modern people were devastated by opium. In particular, as a journalist, he was interested in diseases of schizophrenia (anorexia, anorexia, depression, etc.) that had to be separated while being monitored in the psychiatric ward. Also, on the train, he watched closely for pulmonary tuberculosis and beriberi seen in the women who were worked in the factory. In short, with the urbanization of modern space in the 1930s, people were exposed to poor conditions, and people could not be free from the numerous viral germs caused by urbanization. In particular, due to the industrial environment and labor environment that forced the community to live in a collective community, the infectiousness of the disease was extremely high. Also vaccines were expensive or unpopular, so many people couldn’t be cured. Therefore they had to go down to the provinces and endure by themselves. In addition, National policy awared problems of disease, but it didn’t execute or solve the problems by policy. And this is another cause of disease problems.

      • KCI등재

        〈민족의 죄인〉과 고백의 전략 : 해방기 채만식 소설세계와 관련하여

        박상준(Park Sang-Joon)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7

        채만식의 〈민족의 죄인〉은 친일행적을 다룬 문제적인 소설로서 상반된 평가를 받아왔다. ‘반성’과 ‘변명’의 이분법 속에서 상반된 해석이 내려져 온 것인데, 고백양식의 견지에서 보면 이러한 이분법을 넘어서면서 해방기 채만식 소설의 내적 연관까지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민족의 죄인〉의 고백은 ‘반성의 디에게시스 + 변명ㆍ변호의 미메시스’ 패턴을 구사하는 서사전략과 대칭적인 회상구조에 의해 수행된다. 전자에서는 주인공의 반성과 서술자의 변명ㆍ변호가 결합되어 반성의 진정성을 높여주고 후자에서는 과거가 현재를 뒷받침하여 미래를 열어나가게 해 준다. 고백을 통해 주인공이 자신의 역할을 다시 찾고 정체성을 재수립함으로써, 고백의 긍정적ㆍ적극적인 기능이 완수되는 것이다. 해방기 채만식 소설세계에 있어서 〈민족의 죄인〉은 분수령적인 작품이다. 이 소설은 작품 시선의 내향화 과정의 정점에서 풍자를 자기반성으로 지양한 후 역사소설의 지평을 열어 준다. 결론적으로, 이전 작품의 풍자를 완수하고 작품 창작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준 것이 해방기 채만식 소설세계에서 〈민족의 죄인〉이 행하는 기능이라 하겠다. The Sinner of the Nation is a problematic short story, which is verified in the opposition in defining the thematic effects of this work. This study aims to sublate this dichotomy and confirm the inner relation of Chae Mansik's works after Liberation with consideration of the confession mode. The confession of this short story is made by way of both the narrative strategy which uses the pattern of 'diegesis of reflection + mimesis of excuse/vindication' and the symmetrical recollective narrative structure. The narrative strategy fortifies the sincerity of confession by distributing reflection to the hero and excuse/vindication to the narrator. The narrative structure makes the past support the present. After all, supported by these narrative strategy and structure, the confession strategy makes it possible for the hero to rediscover his social status and reestablish his identity. The Sinner of the Nation is a bordering work in Chae Mansik's works after Liberation, the intentions of which change from exterior to interior direction with time. The intention for the interior matters is culminated in this work and then the author turns his eyes at the pre-history of the present. As a conclusion we can say that completing the satire of the preceding works and opening a new horizon in writing novels, these are the function of The Sinner of the Nation.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희곡의 고전 계승양상 : 채만식의 <沈봉사>(1936)를 중심으로

        최윤영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2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7 No.3

        <Shimbongsa> written by Chae Man Sik in the 1930s, is an adapted play from old famous novel of <ShimChungJeon>. <ShimBongSa> was written in the western modernization of the 1930s and by removing the mythical character in the original <ShimChungJeon>. Therefore, ShimChung in <ShimBongSa> was not born again after being drown in the sea of InDangSu. ShimChung’s death and resuscitation in <ShimChungJeon> were substituted by her SimBongSa’s desire and frustration in <ShimBongSa>, respectively. Chae ManSik pointed out personal sacrifice by the Japanese colonial forces by the metaphor of ShimChung’s death in <ShimChungJeon> and ShimBongSa’s desire in <ShimBongSa>. Above all he positively inherited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BangSangSi(防喪氏), Pansori(ShimChungGa) and verses in the adaptation of the classic culture and tried to awaken the national identity. His efforts to recover and enhance the national pride against the colonialization can be highly evaluated. 채만식의 <沈봉사>(1936)는 고소설 <심청전>을 패러디한 작품이다. 지극한 효심에는 용왕과 국왕, 부처님까지도 감동해 많은 복덕을 받게 된다는<심청전>의 이야기골자는 <심청전>이 청ㆍ관중들 사이에 유통되던 시기, 유효한가치를 발산할 수 있었다. 반면 <沈봉사>에는 이러한 초월적 힘을 행사하는 존재가 사라진다. 인당수에 빠져 죽은 심청이 다시 환생하지 않는 이유에서이다. <沈봉사>는 원천텍스트 <심청전>의 신화적 성격을 걷어내고 일본에 의해 이식된 서구근대화를 배경으로 삼는다. 이 과정에서 심청의 죽음과 환생은 심봉사의 눈뜸에대한 욕망과 좌절이라는 명제로 치환되었다. <沈봉사>의 주인공인 심봉사는 자구권을 상실한 조국의 무능함에 비유될 수 있으며, 그의 자발적 안맹은 비로소 현실을 인식하게 된 조국의 상황과도 흡사하다. 곧 심봉사의 욕망과 좌절은 근대화 공포에 휩싸인 식민지조선의 욕망과 좌절이다. <沈봉사>는 심봉사의 욕망과 심청의죽음을 대립시킴으로써, 일본식 근대사회를 갈망하는 권력주체의 욕망에 의해 일개 수단으로 전락한 개개인의 도구화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반면 채만식은<심청전>의 근대적 변형에 있어 원전이 지닌 전통요소들을 배척하지 않고 오히려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沈봉사> 텍스트에 등장한 방상시(防喪氏), 상여소리,판소리기법, 운문 낭독대사 등의 차용은 그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점을 극명하게해준다. <沈봉사>에 표현된 전통요인들은 ‘조선적인 것’의 계승을 통해 독자들에게 민족정서를 환기시켜주었다. 이 전통요소들은 일본제국주의가 열망했던 전근대적 전통사회의 붕괴와 의식의 식민지화에 대항하는 민족정체성의 복구이자 민족적유대감을 진작하려는 민족의식의 발현이라 말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1930년대 희곡의 고전 계승양상 : 채만식의 <沈봉사>(1936)를 중심으로

        최윤영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2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7 No.3

        채만식의 <沈봉사>(1936)는 고소설 <심청전>을 패러디한 작품이다. 지극 한 효심에는 용왕과 국왕, 부처님까지도 감동해 많은 복덕을 받게 된다는 <심청전>의 이야기골자는 <심청전>이 청·관중들 사이에 유통되던 시기, 유효한 가치를 발산할 수 있었다. 반면 <沈봉사>에는 이러한 초월적 힘을 행사하는 존재 가 사라진다. 인당수에 빠져 죽은 심청이 다시 환생하지 않는 이유에서이다. <沈 봉사>는 원천텍스트 <심청전>의 신화적 성격을 걷어내고 일본에 의해 이식된 서 구근대화를 배경으로 삼는다. 이 과정에서 심청의 죽음과 환생은 심봉사의 눈뜸에 대한 욕망과 좌절이라는 명제로 치환되었다. <沈봉사>의 주인공인 심봉사는 자구 권을 상실한 조국의 무능함에 비유될 수 있으며, 그의 자발적 안맹은 비로소 현실 을 인식하게 된 조국의 상황과도 흡사하다. 곧 심봉사의 욕망과 좌절은 근대화 공 포에 휩싸인 식민지조선의 욕망과 좌절이다. <沈봉사>는 심봉사의 욕망과 심청의 죽음을 대립시킴으로써, 일본식 근대사회를 갈망하는 권력주체의 욕망에 의해 일 개 수단으로 전락한 개개인의 도구화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반면 채만식은 <심청전>의 근대적 변형에 있어 원전이 지닌 전통요소들을 배척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沈봉사> 텍스트에 등장한 방상시(防喪氏), 상여소리, 판소리기법, 운문 낭독대사 등의 차용은 그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점을 극명하게 해준다. <沈봉사>에 표현된 전통요인들은 ‘조선적인 것’의 계승을 통해 독자들에 게 민족정서를 환기시켜주었다. 이 전통요소들은 일본제국주의가 열망했던 전근대 적 전통사회의 붕괴와 의식의 식민지화에 대항하는 민족정체성의 복구이자 민족적 유대감을 진작하려는 민족의식의 발현이라 말할 수 있다. <Shimbongsa> written by Chae Man Sik in the 1930s, is an adapted play from old famous novel of <ShimChungJeon>. <ShimBongSa> was written in the western modernization of the 1930s and by removing the mythical character in the original <ShimChungJeon>. Therefore, ShimChung in <ShimBongSa> was not born again after being drown in the sea of InDangSu. ShimChung’s death and resuscitation in <ShimChungJeon> were substituted by her SimBongSa’s desire and frustration in <ShimBongSa>, respectively. Chae ManSik pointed out personal sacrifice by the Japanese colonial forces by the metaphor of ShimChung’s death in <ShimChungJeon> and ShimBongSa’s desire in <ShimBongSa>. Above all he positively inherited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BangSangSi(防喪氏), Pansori(ShimChungGa) and verses in the adaptation of the classic culture and tried to awaken the national identity. His efforts to recover and enhance the national pride against the colonialization can be highly evaluated.

      • KCI등재

        근대적 현모양처 ‘초봉’과 ‘미라’의 수난 그리고 모색

        박재연(Park, Jae-Ye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71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novels, Polluted River by Chae, Mansik and All about Woman(My Name is Woman) by Son, Chang-seop in terms of the female protagonists and the narrative. This article analyze the character of female protagonists ‘Chobong’ and ‘Mira’ based on the motif of the opposite sister. Here by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haracter dynamics of the sister in the two novel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contemporary one therefore not as the linear one. ‘Chobong’ and ‘Mira’ need to be understood as a modern ‘Hyenmoyangcheo(Good Wife)’ not as a old-fashioned characters. Followed by the character analysis, this article contains a discussion upon the narrative of the two novels. The narratives of the two novels is both about suffering of the female protagonists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first marriage. Even though the two novels show similar narrative of female suffering, the adaptation of the protagonists is differ from Polluted River and All about Woman(My Name is Woman). ‘Chobong’ in the Polluted River chose to dream of the ‘Sweet Home’ one more time but ‘Mira’ in the All about Woman(My Name is Woman) reject the failure dream of the ‘Sweet Home’ and chose to remain to be half subject.

      • KCI등재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1941년의 경성과 지식인

        이양숙(Yang Sook Lee)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4

        This study aimed to reveal features of Chaemansik`s works in 1941. In order to achieve such an object this study focused on two novels <Resident of Jongro> and <Sahoildan>. Everyone seems to know Chae, Mansik began to write pro-Japanese articles in 1941 and his collaboration with Japan was obvious and baldy one. But the remarkable thing is that he also created <Resident of Jongro>, <Sahoildan> in 1941 which seemed not to be connected with collaboration. Review for these has been in debate and the controversy has continued. This study attempt to read meticulously especially focusing on space of the novel and tried to analyse deeply. In these novels Protagonists resided or remained only in a specific space such as Jongro street or their own room and they repeated similar behavior. Everyday Song, Youngho in <Resident of Jongro> walked down the Jongro street and took coffee in Morinaga and then looked Pagodapark`s landscape and people in the park. One of his routines was visiting on “Sweety” in Hwa-shin and buying cigarettes. Every day he repeated such behavior. Meanwhile Mr. Park in <Sahoildan> could not feel happiness unfortunately. Even though getting the envy from people around him, He felt boredom inall things. Every day he repeated to read newspaper but he was interested in only trifle things. He spent most of his time meaningless. His behavior could be explained as a “Time-expelling”(Zeitvertreib) which Heidegger regulated to explain a boredom as the fundamental mood for a philosophical pounding. Probably behind the repetitive behavior by them, people in that times would have been able to see a certain kind of sense. The reason why Song, Youngho had visited Jongro everyday was to meet friends and converse something suspicious. And Mr. Park`s behavior showed how deeply he felt a emptiness. Ladies left them by wedding or by death but they were still staying in the same space. Time appeared to have ceased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