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개지역 전문대학 보건행정과 학생들의 전공 만족과 향후 진로 선택의 상관성

        이여진(Lee, Yeo-Jin),신준호(Shin, Joon-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 대상은 광주‧전남 보건행정학과 대학생으로 전공과 만족을 일반, 관계, 인식, 교과만족도에 따라 만 족도를 파악하고 향후 진로 선택과 상관성을 설문을 통하여 조사 하였다. 광주광역시 3곳, 전라남도 4개의 전문대학 대학생 270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 중 향후 전공 진로를 의무기록사로 선택하고자 하는 대상자 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 62.4%가 전공과에 만족하였고, 향후 진로별로 전공 만족도는 차이가 있었으며, 의무기록사 를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타 전공 진로를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에 비해 전공과 만족이 높았다. 보건행정학과 학 생의 전공 진로 선택에 전공 만족이 미치는 영향 요인 중 일반적인 특성에서 3학년에 비해 2학년의 전공 만족도가 4.13배 높았고, 입학 당시 비자발적으로 선택한 그룹에 비해 자발적으로 전공(학과)을 선택한 그룹의 전공만족도가 8.04배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 만족 하위 영역 중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식 만족도가 하인 그룹에 비해 상인 그룹에서 전공 만족도가 3.93배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과 만족이 향후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 틱 분석한 결과 전공 진로를 의무기록사로 선택하고자 하였을 경우 의무기록사를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전공 만족도가 2.06배 유의하게 높았고, 비자발적으로 선택한 의무기록사 그룹보다 자발적으로 선택한 의무기록사 그룹에 서 전공만족도가 4.51배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과 만족 및 향후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전공 만족 하위 영역 중 인식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과 선택에 만족하며,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을 때 진로 선택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진로가 다양한 보건행정 학과 특성을 고려한 각 전공 진로별 전공 만족도를 높 이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targeting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dministration science in Kwangju & Chonnam,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s according to general, relationship, consciousness, and subject satisfaction, and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further career choices. This research set the 270 prospective graduates its study subjects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want to choose their further major-related careers as medical records technician was greatest among the research subjects, of whom 62.4%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subject while there existed a little difference in major satisfaction by further career.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want to choose the career of medical records filer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ubject than those who want to choose other-major-related career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the influential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in major-related career choices of a students of health administration science department, the 2nd year classes'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4.13 times as high as the 3rd year classes while the major satisfaction of the group choosing their major subject spontaneously was found to be 8.04 times as significantly high as the group choosing their major subject involuntari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n major satisfaction among the sub-province of major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group having high consciousness satisfaction was 3.93 times as significantly high as the group having low consciousness satisfaction. A logisti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on further career choices, the major satisfaction of those wishing to choose their major-related career as a medical records technician was 2.06 times as significantly high as those who didn't choose a medical records filer as their career choice while the major satisfaction of the group spontaneously choosing the career of a medical records technician was 4.51 times as significantly high as that of the group involuntarily choosing the career of a medical records technician. There should be a plan for enhancing major satisfaction by each major-related care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administration science department having diverse career choice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 준비행동, 진로만족 및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시내 대학생을 중심으로

        안태용,김신예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6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four variable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total of 420 participants in 1th and 4th grades from four large universities in Busa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impact on career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either just throu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career indecision had career satisfaction only directly, but not throu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d not have an impact on career satisfaction directly, but through career satisfaction. Forth, gender did not play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Fifth, grade play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satisfaction. Sixth, socioeconomic status play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not only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also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satisfaction. Finall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unted for 68% of the variance of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satisfaction accounted for 54% of the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이 대학생의 진로만족 및 삶의 만족에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시내 4개 대학의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만족도, 주관적 삶의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을 통해 진로만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진로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둘째, 진로미결정은 진로만족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만 나타났고, 진로준비행동을 통해 진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진로만족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진로관련 변인들 간의 성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만족의 관계에서 학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여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진로미결정과 진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일곱째, 최종모형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 진로준비행동이 진로만족을 6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 진로준비행동, 진로만족이 삶의 만족을 5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략적 방안 연구 - IPA분석을 중심으로 -

        박수진,서명선 한국항공경영학회 2023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1 No.1

        Career decision, an important variable that determines an individual's lif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current life depending on the career path chosen by the individual. If one makes a rational decision on our career path and is satisfied, one can lead a happy life. To make the right career deci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one’s aptitude, interest, personality, and to acquire knowledge about the job and the essential ability to perform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occupation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educational system factors, which are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making, and their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classes,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perception satisfaction. The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c approaches to enhance major satisfaction. In this study, an optimiz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used to identify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that need to be actively improved by comparing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aims to suggest effective strategic methods to enhance major satisfaction.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and major satisfaction, and to review whether important attributes are being performed well. Firstly,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the career decision-making factor that needs to be maintained is the educational system factor. Secondly, the career decision-making factor that needs to be reexamined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is the individual factor. Thirdly, to enhanc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class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that need to be actively strengthened are environmental factors, occupa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among major satisfaction factors. Fourthly, to increase perception satisfaction among major satisfaction factors, the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that need to be actively strengthened are occupa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universities should, first, develop capabilities that can be enhanced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factor. Second, they should explore ways to apply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Additionally, they should identify environmental, occupational, and social factors that students desire and actively strengthen these factors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Finally, universities should explore ways to develop capabilities that can be enhanced by actively strengthening occupational and social factors to increase the school’s perception. 대학생 시기는 자신의 정체감을 확립하고 인생의 목표가 생기는 가장 중요한 시기로 자신의 진로결정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이나 경험을 위해 노력하고 진로결정을 구체화시켜 세밀한 계획을 세워야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경우 자신의 적성과 장래희망보다는 좋은 대학에 들어가야 한다는 분위기 속에서 입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입학 이후 자신의 적성이나 능력에 대한 이해 및 직업에 대한 정보 부족 등으로 혼란의 시기를 겪게 된다. 따라서 대학생 시기에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사전에 계획을 세워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따라서 대학교에서는 진로결정의 문제로 고민하는 대학생들이 만족스러운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율적인 진로결정요인에 대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요인인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직업적 요인, 사회적 요인, 교육 체제적 요인이 전공만족인 교과 및 수업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인 방안을 제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요인에 대한 기대치와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여 적극적으로 개선해야 할 진로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전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적인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최적화된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요인과 전공만족도를 이해하고 중요한 속성이 잘 수행되고 있는지 검토를 실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전공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현상유지해야 할 진로결정요인은 교육 체제적 요인으로 나타났고, 둘째, 전공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재검토해야 할 진로결정요인은 개인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 요인 중 교과 및 수업만족과 관계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적극 보강해야 할 진로결정요인은 환경적 요인, 직업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나타났고, 넷째, 전공만족 요인 중 인식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적극 보강해야 할 진로결정요인은 직업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에서는 첫째, 현재 교육 체제적 요인을 유지하면서 강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해야 하고, 둘째 학생들의 개인적 요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교육커리큘럼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뿐만 아니라, 셋째 학생들의 원하는 환경적 요인, 직업적 요인, 사회적 요인을 파악하여 적극 보강하여 강화할 수 있는 역량개발과 넷째, 학교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직업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적극 보강하여 강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 KCI등재

        경력계획이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 심리적 특성의 매개를 중심으로-

        조영복,하태영 한국기업경영학회 2010 기업경영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planning on career-satisfaction and career-commi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such a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e samples consist of 210 survey data drawn from Korean employees in the firms located in Kyongnam area. The data are analyzed by statistical package, SPSS 14.0 for Windows. To test hypothe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career-planning is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such a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t means that career-planning has given rise to the belief that employees regard themselves as important, talented, and valuable and they can make a success of their purpose. Second, career-planning is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satisfaction and career-commitment. It means that through the career-planning general psychological directivity about private career is boosted, motivation to work hard in the occupation chosen is enhanced, and attitude for their job is improved. Third,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ffects career-satisfaction partially. That is, self-esteem is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satisfaction, whereas self-efficacy is not. It means that to enhance career-satisfaction, it is in effect to boost self-esteem rather than self-efficacy. Fourth,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is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commitment. In other words, the results shows that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re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commitment. Fifth, in exam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between career-planning and career-satisfaction, self-esteem is a mediator but self-efficacy is not. Specifically, the result shows that career-planning have an indirect effect rater than direct effect on career-satisfaction because an indirect effect that career-planning have on career-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is bigger than a direct effect that career-planning have on career-satisfaction. Sixth, in exam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between career-planning and career-commitment, self-esteem is also a mediator but self-efficacy is not. That is, the result shows that career-planning have an indirect effect rater than direct effect on career-commitment because an indirect effect that career-planning have on career-commitment through self-esteem is bigger than a direct effect that career-planning have on career-commitment. Finally, through the additional analysis, we have foun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career-planning, self-esteem, self-efficacy, career-satisfaction, career-commitment according to position, scale of organization, annual income. Moreover, self-esteem, one of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s a mediator, but self-efficacy is not, Thu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additional analysis is don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career-planning and career-satisfaction, but there is not any effect between career-planning and career-commitment. Synthetically, career-planning is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career-satisfaction, career-commitment. Only self-esteem of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lays a role of mediating not only between career-planning and career-satisfaction, but also between career-planning and career-commitment. It means that self-esteem is more effective in mediating relationships between career-planning and career-satisfaction and career-planning and career-commitment. In other words, when there is career-planning, self-esteem is enhanced, and i... 본 연구는 경력계획(career-planning)이 경력만족(career-satisfaction)과 경력몰입(career- commitmen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개인 심리적 특성(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인 자아존중감(self-esteem)과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을 매개효과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의 부산, 경남 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210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SPSS 14.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력계획은 개인 심리적 특성과 경력만족, 경력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은 경력계획과 경력만족 간의 관계 그리고 경력계획과 경력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다. 경력계획과 경력만족 간의 관계 그리고 경력계획과 경력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기 위해서는 개인 심리적 특성 중 자기효능감 보다는 자아존중감이 더 효과적이고 유의하다. 즉, 경력계획을 가지고 있으면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게 되고 이는 더욱 높은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을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다차원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과 삶의 만족의 관계

        김나정(Najung Kim),차종석(Jongseok Cha) 한국인사관리학회 2018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성공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이 객관적 경력성공보다 그 영향력이 지배적임을 규명하면서 특히, 다차원적인 주관적 경력성공에 초점을 맞추어 성별 및 연령대별로 삶의 만족에 대한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국내 직장인 544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관적 경력성공은 각각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삶의 만족에 대한 주관적 경력성공의 효과는 객관적 경력성공의 효과를 넘어서는 증분효과를 갖는다. 둘째, 주관적 경력성공의 다차원 중에서 ‘경제적 성취’, ‘독립적 근로’, ‘일과 삶의 균형’은 남성의 삶의 만족에 긍정적으로 유의하고 ‘학습과 개발’, ‘일과 삶의 균형’은 여성의 삶의 만족에 긍정적으로 유의하다. 셋째, 연령대별 차이를 살펴보면 장년층에게는 ‘경제적 성취’가, 중년층에게는 ‘학습과 개발,’ ‘일과 삶의 균형,’ 그리고 ‘경제적 안정’이, 청년층에게는 ‘일과 삶의 균형’과 ‘사회적 영향력’이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이론적으로 경력성공, 삶의 만족, 일과 삶의 균형 주제의 연구 분야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며, 실무적으로는 직장인의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한계점을 언급하면서 향후 이를 극복하는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uccess and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aims at examining the augmentation effect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on life satisfaction beyond the effect of o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gender-specific and the age-specific effects of multiple dimension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on life satisfaction.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test these ideas. The results from the data of 544 Korean workers showed that subjective career success contributes incrementally to the prediction of life satisfaction beyond objective career success. The findings regarding the gender and the ag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life satisfaction are twofold. First, among the multiple dimension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financial achievement,’ ‘independent work,’ and ‘work-life balanc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for male workers; while ‘learning & development’ and ‘work-life balance’ significantly predicted female workers’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dimension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life satisfaction reveale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 level. Specifically, ‘financial achievement’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age group of 50+, ‘work-life balance,’ ‘financial stability,’ and ‘learning & developmen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 group between 36 and 49, and for the age group of 35 and below, ‘social impact’ and ‘work-life balanc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dimension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oretically,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success, as well as the literature on work-life balance.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at multiple dimension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can help the HR practitioners to better develop their career development programs. We end the paper by outlining som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by proposing possible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대학생활 만족도, 진로발달 및 직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강민수,윤혜원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대학생활 만족도와 진로발달, 직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AMOS 26.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추정 방법으로 최대우도법(ML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활용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행하는 청년패널조사(YP: Youth Panel)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와 진로발달, 직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및 진로발달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 만족도는 진로 발달(진로 관심, 진로 계획, 진로 자기효능감, 진로 독립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생활 만족 도는 직업만족도(내적 직업만족도, 외적 직업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발달 중 진로 독립성 요인만이 내적 직업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생활 만족도가 진로발달을 거쳐 직업 만족도에 이르는 간접효과는 진로발달 중 진로 독립성만이 유일했으며 해당 요인의 개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기관 및 정부 차원의 정책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 였다. In order to empirically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mpus life satisfaction, career develop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26.0 and use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e as a model estimation method. Using the data of the Youth Panel(YP)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ampus life satisfaction, career develop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the mediated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campus lif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areer intention, career planning, career selfefficacy, career independence).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campus life had a positive impact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internal occupational satisfaction, external occupational satisfaction). Third, only career independence factors during career develop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internal occupational satisfaction. Fourth, the indirect effect of a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level through career development was only career independence during career development, and the individual mediated effect of the fact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directions at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 level is suggested.

      • KCI등재

        대졸자의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과의 관계

        부기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career preparedness and job satisfaction in college studying college graduates' job satisfaction after college gradua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919 valid data except for the insufficient data and missing data i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2016 college graduate career path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 and AMOS 24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value of college graduate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at is, the higher the job value of college graduate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value of the work affects more than the external value of the work. Second, the vocational value of college graduate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vocational value of the college graduate, the m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Especially, self - comprehension behavi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found to have more influence than occupational ability improvement behaviors and occupational world search behaviors. Thir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graduate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mor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self - comprehension behavi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ave more influence on externa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Four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In particular, self - understanding behaviors have a greater mediating effect than occupational skills improvement behaviors and occupational world search behavior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used as a factor to select job considering the factor of job satisfaction in career valu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company improves system to make job seekers feel job satisfaction I would like to use it. Many young people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should als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in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that it neglected that job value,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might differ depending on the job and sex in the study. In future studies, we will study various related fields us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job and sex. In addition, we want to expand the data to be available to all young people, not just college graduates. Finally, occup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ocial life. I do not want to be able to get a job for a lifetime through my short four-year college life, but I hope it will be something that I never lack in choosing a job for a lifetime. 본 연구는 대학을 졸업한 후 사회에 진출한 대졸자들의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대졸자의 직업가치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졸자의 직업가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특히 내재적 직업가치가 외재적 직업가치보다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졸자의 직업가치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여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졸자의 직업가치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이다. 특히 진로준비행동의 자기이해행동이 직업능력향상행동, 직업세계탐색행동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졸자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준비행동을 더 많이 할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특히 진로준비행동의 자기이해행동이 직무만족의 외재적 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넷째, 대졸자의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이해행동은 직업능력향상행동, 직업세계탐색행동 보다 매개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시사점은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 관계를 이해하여 직무를 선택하는 요소로 활용하고, 기업은 구직자들이 직무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데 활용 하였으면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다른 변수들에 따라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였다. 향후 연구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수를 사용하여 관련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짧은 4년 대학생활을 통해 평생직장은 구할 수는 없겠지만 평생 직무를 선택하는데 부족하지 않는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강영숙(Young Sook Kang),이은정(Eun Jung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상담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최근 대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에 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분석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상담을 위한 정보를 얻고자 함이었다. 전라북도에 위치한 3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자로써 3학년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06명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전공만족도는 ‘교과과정 만족도’, ‘진로방향 만족도’, 그리고 ‘사회적 인식’으로 세 가지 하위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수준은 3.19로 중간 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전공만족도는 3.16으로 다소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 차원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인식의 평균값이 3.74로 가장 높았으며, 교과과정 만족이 2.83, 그리고 진로방향만족이 2.91로 나타났다. 전공학과 내부적 요인(교과과정, 진로방향)보다는 외부적 요인(사회적인식)에 의한 전공만족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과과정 만족을 위한 학과 과목 재편성, 전공관련 취업 정보를 학생들의 적성에 맞게 제공하는 등의 학과 내부의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중다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전공만족도 중 사회적 인식이 진로결정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주변으로부터 사회복지학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들었다고 인식하는 경우와 학과가 인기가 있을 때, 전공이 사회생활에 유리하다고 생각할 때 진로결정수준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ive data to college counselors and instructors for the career counselling of students majoring social welfa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the major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s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the career education and the career counselling among colleges and undergraduate students being spread widely, the finding of this study may provide variable information to the college instructors for the career counsell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social welfare. For the analysis, undergraduate students of three universities in Jeonbuk area were surveyed. These respondents were the third and fourth grade majoring social welfare. 106 respondents were analyzed. Major satisfaction was measured with three dimensions such as ‘curriculum satisfaction’, ‘career direction satisfaction’, and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One of the major findings was that the mean of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core appeared to be 3.19 out of 5.0 point maximum scale, which means a little higher level than mid-point. Major satisfaction score appeared to be 3.16 out of 5.0 point maximum scale. The means of three dimensions of major satisfactions showed that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was 3.74, curriculum satisfaction was 2.83, and career satisfaction was 2.91. The means of curriculum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e mean of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The instructors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need to t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give the job information related with social welfare. The multi-line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pecifically, the more students perceived the good image of social welfare, the popularity of social welfare and the benefit of social welfare in social activities, the more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was increased.

      • KCI등재

        대졸자의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과의 관계

        김주은,정갑연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대학을 졸업한 후 사회에 진출한 대졸자들의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대 졸자의 직업가치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졸자의 직업가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특 히 내재적 직업가치가 외재적 직업가치보다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졸자의 직업가치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여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졸자의 직업가치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이다. 특히 진로준비행동의 자기이해행동 이 직업능력향상행동, 직업세계탐색행동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졸자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준비행동을 더 많이 할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특히 진로준비행동의 자기이해행동이 직무만족의 외 재적 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넷째, 대졸자의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이해행동은 직업능력향상행동, 직업세계탐색행동 보다 매개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시사점은 직업가치, 진로준 비행동, 직무만족 관계를 이해하여 직무를 선택하는 요소로 활용하고, 기업은 구직자들이 직무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데 활용 하였으면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다른 변수들에 따라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 였다. 향후 연구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수를 사용하여 관련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짧은 4년 대학생활을 통해 평생직장은 구 할 수는 없겠지만 평생 직무를 선택하는데 부족하지 않는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career preparedness and job satisfaction in college studying college graduates' job satisfaction after college gradua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919 valid data except for the insufficient data and missing data i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2016 college graduate career path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 and AMOS 24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value of college graduate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at is, the higher the job value of college graduate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value of the work affects more than the external value of the work. Second, the vocational value of college graduate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vocational value of the college graduate, the m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Especially, self - comprehension behavi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found to have more influence than occupational ability improvement behaviors and occupational world search behaviors. Thir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graduate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mor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self - comprehension behavi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ave more influence on externa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Four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In particular, self - understanding behaviors have a greater mediating effect than occupational skills improvement behaviors and occupational world search behavior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used as a factor to select job considering the factor of job satisfaction in career valu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company improves system to make job seekers feel job satisfaction I would like to use it. Many young people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should als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in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that it neglected that job value,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might differ depending on the job and sex in the study. In future studies, we will study various related fields us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job and sex. In addition, we want to expand the data to be available to all young people, not just college graduates. Finally, occup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ocial life. I do not want to be able to get a job for a lifetime throughmy short four-year college life, but I hope it will be something that I never lack in choosing a job for a lifetime.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워라밸,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프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석원,정찬구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2

        직무만족은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조직적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뤄야 할 인사관리 지표로 193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많은 학자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는데,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임금, 복리후생, 근무 시간을 포함한 근무조건 및 근무환경, 승진, 대인관계, 일과 삶의 균형(이하 워라밸) 등으로 다양하다. 그 리고 최근엔 조직뿐만 아니라 개인 성장을 중요시하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어 개인 성장 가능성에 대한 부분도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 중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 이하 LMX), 워라밸, 직무자율성 그리고 최근 많이 이슈가 되고 있는 프로티언경력을 중심으로 변수 간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독립변수로는 LMX, 직무자율성, 워라밸이 있으며, 조절변 수로 프로티언경력, 종속변수로 직무만족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LMX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소통이 잘 되고,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직무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높은 LMX의 질은 긍극적으로 조직유효성을 높힐 수 있는 기반을 조성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은 조직 단위의 러더와 구성원 간의 소통의 장을 만들 필요가 있으며 생 산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조직분위기와 시스템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직무자율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자율성 수준이 높을 때 개인이 느끼는 자신의 가치가 상승하고 스스로 설정한 직무목표를 달성했을 때 직무만족을 느 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워라밸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직장 생활을 통해 가정의 행복과 개인의 삶의 의미에까지 확장되고 있는 워라밸의 의미와 의의를 되새기게 하는 부분이다. 조직이 개인의 집합체로 구성된 것을 감안하면 개인차원의 삶의 질은 결국 조직차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의 가장 주요 관심사인 LMX, 직무자율성, 워라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프 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는 LMX와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고, 직무자율성, 워라밸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었다. LMX가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프로티언경력이 정(+) 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LMX가 증가할수록 직무만족이 증가하는데 프로티언경력은 이러한 영향력을 더 증가시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LMX가 직무만족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프로티언경력의 주요 특성인 자기주도적, 가치지향적 성향이 LMX 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일으켜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리더와 구성원 간의 관계의 질 이 높은 상태에서 스스로 동기부여된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직무만족을 더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과거 고용안정성, 평생고용에서 최근 고용가능성 그리고 고용지속성을 통한 평생직장을 위한 개인차 원의 경력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 및 개인차원에서 중요한 직무만족의 인과관계를 LMX, 직무자율성, 워라밸에서 다시 살펴보고 여기에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프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 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결과에서 LMX와 직무만족 간의 영향 관계에 프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 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고, 이를 통해서 조직 내 리더와 구성원 간의 높은 신뢰와 긍정적인 관계는 구성 원의 자기주도적, 가치지향적 경력관리태도에 의해 직무만족을 더 높힐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러한 직무만족은 긍극적으로는 개인에게는 삶의 질, 조직에게는 조직성과와 조직유효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유효성의 예측변수인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조직 인사관리의 실무 담당 자와 정책 입안자에게 새로운 성향의 인재들(MZ세대)이 들어오는 요즘 시점에 조직 및 기업에 있어 최 근 점점 더 강화되는 자기주도적, 가치지향적 개인 경력 태도인 프로티언경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Job satisfaction is a personnel management index that should be dealt with very importantly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1930s until recently. Many scholars have been conducting various studies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as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wages, welfare benefits,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working hours, promotion, interpersonal relations, work-life balance, etc. And recently, the tendency to place importance not only on the organization but also on individual growth is increasing, and the possibility of personal growth is also increasing.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ocusing on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work-life balance, job autonomy, and protean career, which has become a major issue in recent years, among th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leader-member exchange(LMX), job autonomy, and work-life balance, and protean career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were set.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LMX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the members,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and as a result, job satisfaction can be elicited through the formation of a positive relationship.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t lays the foundation for increasing tissue effectiveness in the long term. Therefore, the organization needs to create a pl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rudder of the organizational unit and its member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create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system that can form productive relationships. Second, job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is expected that when the level of job autonomy is high, the individual’s self-worth will increase, and there will be more opportunities to feel job satisfaction when the job goals set by themselves are achiev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work-life bal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is a part that reminds us of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work-life balance, which is expanding to the meaning of family happiness and personal life through recent work-life balance. Considering that an organization is composed of a group of individual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quality of life at the individual level eventually affects the organization level as well.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job autonomy, and work-life balance,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terests of this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was confirm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job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It was confirmed that protean career had a positive (+)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LMX’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job satisfaction increases as LMX increases, but protean career further increases this influence. there was. This suggests that the self-directed and value-oriented tendencies,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rotean career, can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generating positive interactions with LMX in the positive impact of LMX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self-motivated member’s protean career attitude can further increase job satisfaction while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members is high. It is the time when career management at an individual level is necessary for lifelong workplaces through employment stability in the past, possibility of employment in recent years in lifelong employment, and employment continuit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which is important at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 in LMX, job autonomy, and work-level, and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which is a recent issue.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job satisfac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f protean’s career. Through this, the high trus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in the organization was driven by the self-directed, value-oriented career management attitude of the members. It was confirmed that job satisfaction could be further increased. This job satisfaction is expected to positive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e organiz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given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which is a predicto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elf-directed, value-oriented personal career attitude that has been increasingly reinforced in organizations and companies has the influence of leadership on personnel in charge of organizational personnel management and policy makers. This suggests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in protean career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