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진로코칭 프로그램 효과 검증에 기반을 둔커리어코칭 시스템 개발 연구

        조성진 한국코칭학회 2018 코칭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f coaching programs and coaching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and to suggest a career coaching system for career guida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669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rteen coaching programs or coaching curriculum from 2010 to 2014, and a quasi-experimental field study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First, in the quasi-experimental field study on coaching effec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coaching lectures and coaching sessions were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and before coaching, I examined the variables of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maturity, family relations, time management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coaching in both groups, I analyzed the data using IBM SPSS 2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maturity, family relations, time management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aching.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 proposed a career coaching system for university students(3C·A·N Model)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career guidanc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코칭 프로그램과 코칭 교과목 운영 효과를 밝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를 위한 커리어코칭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2014년 동안 12차례에 걸쳐 진행된 코칭 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코칭 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669명을 대상으로 현장실험설계와 질적 연구를 병행했다. 먼저, 코칭 효과를분석하기 위한 현장실험설계에서는 연구대상자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에 속한 대학생들에게는 코칭 강의와 코칭을 병행하여 진행했다. 그리고 코칭 전후에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가족관계, 시간관리행동, 감성지능, 커뮤니케이션 역량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진행했고, 학점을 조사했다. 두 집단의 코칭 전후 차이를 비교하기위해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했다. 한편, 양적 연구의 한계를보완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코칭을 받은 후에 작성하여 제출한 소감문과 보충면접 내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코칭을 진행한 후에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가족관계, 시간관리행동, 감성지능, 커뮤니케이션 역량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코칭이 대학생 진로지도와 일상생활의 긍정적인 변화에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인적 서비스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학생 커리어코칭 시스템(3C·A·N 모델)을 제안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코칭역량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진로장벽의 관계

        박윤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3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 현장에서 진행되는 코칭의 확산에 발맞추어 대학생 코칭역량의 효과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대학생의코칭역량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진로장벽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에 있는 4년제 대학교에서 진로관련 교양 선택과목을 수강한 3,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후 356명의 최종자료를 회귀분석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은 연구결과이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코칭역량, 코칭역량의하위요인들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코칭역량,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과 진로장벽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코칭역량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장벽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과 진로변인들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자기다움, 커뮤니케이션과 행동변화 요인들은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다움과 행동변화 요인들은 진로장벽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커뮤니케이션 요인은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결정하고 입직에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며 진로발달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내·외적인 장애요인들을 극복하게 하는 주요 변인이라는 것을 입증하는것이다. 따라서 대학교육 현장에서는 대학생의 코칭역량 강화를 통해 대학생들이 바람직한 진로발달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mployability, and career barriers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 coaching competencies in line with the recent spread of coaching in the university education fiel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ird and fourth graders who took career-related liberal arts elective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fter the survey, the final data of 356 people were deri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and career barriers.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barriers.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 coaching competency and career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change factor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Self-worth and behavioral change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areer barriers, but communication factor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barrier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is a major variable that determines their appropriate career path, gives them confidence in their employment, and overcomes internal and external obstacles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career development. Therefore,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university students to develop desirable career paths by strengthening their coaching capabilities. Finally, a follow-up study that can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suggested.

      • KCI등재

        커리어코치의 역량 도출 및 분류에 관한 연구

        박윤희,기영화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he application of career coaches' competency through th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career coaches' competency in successful career coaching process. The career coaching will be expected to be popular in the near future even though the researches of career coaching have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in qualitative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twelve, consisting of six career coaches and six coache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In the result of data analysis, the twenty five competency were named from fifty four concepts which described the career coaches' abilities. The twenty five competency were classified into five competency categories, 'knowledge', 'coaching operation', 'experience', 'coaching relationship', and 'sense of duty' based on its characteristic and similarity. Also, through the classification based on Spencer and Spencer's internal characteristics, the twenty five competency were classified into skill, knowledge, self-concept, traits and movie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expert knowledge', 'consulting ability', 'empirical thinking', 'professional affection' were needed to concentrate newly. Career coaches need to have the competency about 'knowledge', 'coaching operation', 'experience', 'coaching relationship' and 'sense of duty' for successful career coaching and try to develop self-concept, traits and motives as well as skill and knowledge through self-training and self-reflection.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향후 확산이 기대되는 커리어코칭 분야에 대해 성공적인 커리어코칭 과정에서 커리어코치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분류함으로써 현장에서 커리어코치 역량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중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커리어코치 6명과 그 상대방인 피코치 6명, 총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자료 분석을 통해 커리어코치의 역량이라고 볼 수 있는 자질들에 해당되는 53개의 개념을 추출하였고 이를 25개의 역량으로 명명하였다. 도출된 역량들은 그 특성과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 지식, 코칭진행, 경험, 코칭관계와 사명감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도출된 역량을 Spencer와 Spencer의 다섯 가지 개인의 내재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겉으로 드러나는 스킬, 지식과 감춰져있는 부분인 자기개념, 특질, 동기로 나누어 도출된 역량들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전문지식, 컨설팅 능력, 경험적 사고와 직업지향성 역량은 기존 연구들과 달리 새롭게 주목해야 할 커리어코치의 역량으로 밝혀졌다. 또 성공적인 코칭 수행을 위해 커리어코치는 지식, 코칭진행, 경험, 코칭관계, 사명감에 해당되는 역량을 두루 갖추어야 하고 겉으로 드러나는 스킬과 지식 뿐 아니라 내적인 역량에 대해서도 수련과 성찰을 통한 개발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커리어코칭 전개 과정에 대한 연구

        박윤희(Yoonhee Park),기영화(Youngwha Kee)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향후 확산이 기대되는 커리어코칭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던 커리어코칭 전개 과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로 실제 커리어코칭을 진행했던 코치 6명과 그 상대방인 피코치 6명, 총 12명을 선정하였고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 중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커리어코칭 전개 과정은 '도움의 필요성 인식' 단계, '하나되기 시작' 단계, '삶의 반추를 통한 자기인식' 단계, '자기주도적 커리어 정립' 단계, '상호 협력적 성장' 단계 그리고 '커리어코칭의 일상화' 단계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커리어코칭 전개 과정을 통해 커리어코칭은 기존의 연구자들이 언급한 '상호작용 과정', '돕는 것' 그 이상의 하나되기를 요구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리어코칭 전개 과정에서 코치와 피코치는 자기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커리어코칭 종료 후에도 자기개발과 학습을 통한 성장을 계속하였다. 따라서 커리어코칭은 한 번의 과정으로 끝나기보다는 개인이 일과 삶 사이에 균형을 이루고 지속적 성장이 가능하도록 평생에 걸쳐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개인의 성장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s career coaching will be prevalent in the future,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process of career coaching.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to conduct the study and twelve participants (six coaches and six coachees) were selected. The study identified the process of career coaching: 'understanding the need for help' stage; 'beginning of being oneness' stage; 'self-awareness through reflection on one's own life' stage; 'establishment of self-directed career' stage, 'cooperative growth' stage, and; 'routinization of career coaching' stage.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interaction between the coach and the coachees' or 'giving support' are not enough in the career coaching process. It requires for the coahces and the coachees 'to become as one'. The coaches and coachees are aware of the need of self-development in the career coaching process and maintain the growth through continuous self-development and learning after the career coaching process. Although the career coaching process can be completed for single process, it can be repeated as to be a continuing personal growth process balancing between work and life.

      • KCI등재

        성공사례기법을 적용한 경력단절여성 대상 커리어 코칭 사례연구

        임수원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7 No.3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성공사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G 지역 새일센터에서 진행한 <경력단절여성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피코치(참여자) 중 성공사례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피코치 3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코칭 경험 전 – 코칭 중 - 코칭 후의 경험과 코칭의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경력단절여성들은 심리적 불안감을 갖고 우연한 기회에 코칭에 참여하였다. 코칭을 경험하면서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일에 대한 마인드 셋이 변화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구직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코치와의 대화를 통해서 경력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새로운 경력에 도전하게 된 경험을 발견하였다. 또한 코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코치의 전문성, 신뢰,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도울 수 있는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이 확대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ccess stories of participants in a career coaching program designed for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case study by selecting successful examples among the coachees (participants) in the "Career Coaching Program for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held at the Saeil Center in Area G, Seou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coachees, and the analysis identified their experiences before, during, and after coaching, as well a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the coaching.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itially joined the coaching program by chance, often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unease. Through the coaching experience, they established a positive self-identity, underwent a mindset shift concerning work, and ultimately regained confidence in job-seeking activities. Furthermore, conversations with the coach helped them establish a sense of direction in their careers and take on new career challenge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oach's expertise, trust, and social support were instrumental in achieving successful coaching outco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xpanding career coaching programs that can assist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 re-entering the job market.

      • KCI등재

        대학생 진로 ·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김유천,신인수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로․커리어 코칭에 대한 관심 증가하고 있으나, 대학생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여, 각 연구결과를 체계적이고 계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생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자료는 한국학술정보원(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의 학회지 원문서비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검색엔진(RISS) 및 국회도서관을 이용하여 관련된 10개의 논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위한 통계처리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전체효과 크기는 0.727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효과 크기 관련해서는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이 비교과목으로 운영될 때 보다 교과목으로 운영될 때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코칭프로그램의 진행자 수에 따른 효과 크기 관련해서는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진행자가 3명인 경우로 참가자들에 대한 개별적 코칭이 이루어진 가장 경우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넷째, 코칭프로그램의 형태에 따른 효과 크기관련해서는 그룹코 칭으로 진행될 때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으며, 다음으로는 그룹 및 혼합 코칭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논의 및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 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interest in career·career coaching is increasing in univers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a college students’ career coaching program. However,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 career·career coaching programs is limited.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ces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program by selecting 10 related papers using KISS,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career coach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as 0.727. Second, regarding the size of the effe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career coaching program, when the career coaching program was operated as a regular course than as a non-regular course, a larger effect size appeared. Third, in terms of the size of the effec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aching program facilitators, the case of three facilitators of the career coaching program, the most effective case was when individual coaching was performed for the participants. Fourth, regard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coaching program, the largest effect size was shown when proceeding with group coaching, followed by group and mixed coaching in order of effect size. Based o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studies were suggested.

      • ‘계획된 우연’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 -심리·신체적 건강문제를 경험한 2030대를 중심으로 한 상담코칭적 접근

        김해찬(Hea Chan Kim),유영은(Young Eun Yoo),이지성(Ji Soeng Lee),김유천(Yu Cheon Kim)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1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3 No.1

        본 연구는 커리어 탐색에 있어 중요한 시기임에도 심리 신체적 문제로 인해 원활한 커리어 탐색에 어려움을 겪는 20,30세대를 대상으로 개발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으로, 계획된 우연 이론을 기반으로 상담과 코칭을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은 총 6회기로 구성하였다.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계획된 우연 이론을 참가자로 하여금 이해하고 앞으로의 우연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한 태도를 만드는 과정이다. 둘째,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이지만 상담적 요소를 추가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일반적인 교수 체제 설계의 ADDIE 모형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으며, 코칭의 GROW 모델을 이용한 일련의 과정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은 심리 신체적 건강 문제를 이겨내고 새로운 커리어를 만들어가는 대상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개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효과성 검증에 대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통해서 20,30세대의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고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향후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career coaching program developed for the 20th and 30th generations who have difficulty in smooth career exploration due to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blems, even though it is an important time for career search. The program was composed by combining counseling and coaching based on the planned happenstance theory. The career coaching program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6 session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e process of creating an attitude for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planned happenstance theory and actively accept future coincidences. Second, a counseling element was added to the career coaching program. Third,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focused on the ADDIE model of general teaching system design, and it has a series of processes that use the GROW model. In this study, the career coaching program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targets who overcom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and create a new career. However, the program of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verifying effectiveness. Therefore, if this program establishes the theoretical basis for career coaching programs for the 20s and 30, and in-depth research is conducted, it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career coaching program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리더의 코칭행위가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 및 경력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병준,장영철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3 창조와 혁신 Vol.6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which effects leader's coaching makes on self-efficacy & career self-efficacy of employee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eader's coaching, self-efficacy & career self-efficacy. Furthermore, it verifies moderation effects of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in influential relationship among the leader's coaching, employee's self-efficacy & career self-efficacy. To achieve those purposes of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for 320 salesmen working in mobile shop of Daejeon from Jul. 15 to Aug. 24, 2013. Through th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285 availabl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of coaching's subcomponents, Guidance, Facilitation and Inspiration, made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self-efficacy. Second, coaching's subcomponents, Guidance, Facilitation and Inspiration, made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career self-efficacy. Third,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showed moderation effects in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coaching and self-efficacy. Fourth,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coaching and career self-efficac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leader's coaching mad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self-efficacy & career self-efficacy and the influence was significantly changed by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confirming that leader's coaching makes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 career self-efficacy and showing what the third variable enhancing the influence is.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코칭과 자기효능감 및 경력자기효능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리더의 코칭이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경력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을 하는 것이다. 나아가, 리더의 코칭과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 및 경력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7월 15일부터 2013년 8월 24일까지 대전지역 모바일 판매점에 종사하는 328명의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유효한 287부의 설문지를 중심으로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코칭의 하위 구성요소인 Guidance, Facilitation, Inspiration 모두,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의 하위 구성요소인 Guidance, Facilitation, Inspiration은 조직구성원의 경력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의 코칭과 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은 리더의 코칭과 경력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리더의 코칭은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경력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에 따라 그 영향력이 유의하게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리더의 코칭이 자기효능감 및 경력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함과 동시에, 그 영향력을 높일 수 있는 제 3의 변수가 무엇인지를 보여줌으로써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야구지도자 진로현황 및 진로개발 연구

        이용식,이익주 한국체육정책학회 2011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ctual conditions of baseball coaches' career path and their requirement for suggesting their career development. In order to realize the career path of baseball coaches and their requirements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we did a survey of forty nine baseball coaches with help of Korea Baseball Organization (KBO) and Korea Baseball Association (KBA). The results are followings:First, most respondents have been a baseball player for more than 20 years. They think that the success as a baseball player has a critical effect on becoming a baseball coach because professional baseball teams prefer to hire a previous star player. Second, most respondents in this research became a professional baseball team's coach after retirement as a player and do not want to quit their jobs. Since they well know baseball related jobs, it seems that they are very interested in their career path and it needs to increase the aid of career and baseball related jobs through career education. Third, the reason why they choose their jobs is that they can receive professional recognition of skills and experience. Their first requirements for developing their career is coaching education and training in developed countries in terms of baseball. They think that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is to increase baseball related jobs, establish a career center for baseball coaches, and strengthen career education. As a result, the ways for baseball coaches' career development are 1) to extend a baseball coaching sector, 2) execute career education and retraining and 3) link the external environment with baseball.

      • KCI등재

        자기주도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진로・학습코칭 시스템 모형 개발

        민세홍,김미영,정현옥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gram for career․learning coaching system model help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nhancement of youth.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constituent factors of self-directed career․learning coaching system was drawn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propriety verification about the constituent factors for 40 teachers. The structure chart of the system needing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nhancement of youth was presented and career․learning coaching model which it is actually applicable in the spot of education was developed. The propriety of a model was performed to target the expert of 3 people which is active as the doctorate degree holder in related field more than 5 years.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stimated to have the practical feature through field application as the integrated system in which the career search system setting the right career in order to succeed by oneself as the stand-alone human to youth, an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and the coaching system that is supporting method are combined. The career․learning coating program development in which the teachers of the educational world could learn easily based upon this model and which it can apply simply were premised with the subsequent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 향상을 돕는 진로․학습코칭 시스템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문헌조사를 통해 자기주도 진로・학습코칭의 구성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구성요인에 대한 타당화 검증을 위해 현직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해 교육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진로・학습코칭 시스템의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박사학위 소지자로 관련분야에서 5년 이상 활동한 3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모형의 안면 타당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청소년으로 하여금 스스로 독립적인 인간으로 성공 할 수 있도록 올바른 진로 설정을 하는 진로탐색시스템과 자기주도 학습시스템 그리고 서포트 방법인 코칭시스템이 결합된 통합시스템으로 현장적용을 통한 실천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모형을 토대로 교육계의 교수자들이 쉽게 배우고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진로·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효능검증을 후속연구로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