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의 시에 나타난 ‘촛불’의 상상력과 의식지향성 연구

        박경수(Park, Kyung-Su)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6 No.-

        이 글은 일제강점기의 시에서 ‘촛불’ 이미지가 시적 상상력의 중요매개가 되고 있는 작품들을 대상으로, 바슐라르의 ‘촛불’ 이미지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을 참고하되, ‘촛불’에 대한 의식주체의 의식지향성을 의식주체와 의식대상 사이의 관계와 거리를 고려하여 좀 더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먼저 의식주체가 의식대상인 촛불과 거리감이 없이 교감과 동일시를 보이되 주로 비극적 존재의식을 형상화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는 다시 촛불의 이미지가 존재의 불안의식과 계급적 소외의식을 구현하고 있는 시와 존재의 허무감과 소멸의식을 나타내고 있는 시들로 구별되었다. 이들 시는 근대 초창기 감상적 낭만주의 시에서 쉽게 포착되는 연약하고 무기력한 자아를 대신하는 이미지로 촛불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리고 계급적 소외의식과 결부된 촛불의 이미지는 1920년대 중반 이후 이른바 프로시에서 연약하고 애달픈 존재로서의 프롤레타리아의식을 반영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의식주체가 의식대상과 일정한 거리를 두되, 촛불의 긍정적 수용과 의식지향을 보이는 경우이다. 이 경우 첫째로 촛불은 순결한 생명이자 자기희생의 정신을 표상하면서 윤리적 정의감과 성스러움을 나타내고자 했다. 그렇지만 촛불은 ‘어둠의 추방자’이지만 혼자서 좁은 영토를 지키는 ‘잔인한 촛불’이기도 했다. 이 잔인함은 촛불의 뼈아픈 무력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일제강점기의 시에서 촛불의 이미지가 강한 저항적 의식과 연결되지는 못했음을 의미한다. 둘째, 촛불은 고요함으로 마음의 안정을 주거나 사색의 시간을 준비하는 것으로 자아성찰과 명상을 촉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촛불은 사랑과 낭만적 열정을 태우는 시간을 부여하거나 조화를 추구하는 의식지향성을 보였다. 끝으로 의식주체가 의식대상을 일정한 거리에서 타자화하고 있으면서 촛불에 대한 부정적 의식과 반윤리의식을 투영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촛불은 어둠을 불러오는 역설을 보여주면서 불안감을 재촉하거나 어둠이 주는 안식을 방해하는 존재로 형상화되기도 했으며, 다른 한편으로 촛불의 이미지는 반윤리의식과 결부되어 관능적 시선과 아름다움의 욕망을 구현하기도 했다. 이때 촛불은 감각적 황홀감과 환상, 그리고 에로스의 충동을 추구하는 심미적 의식과 깊이 연결되어 있었다. This paper intends to contemplate aspects of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about `candlelight` on the ground of phenomenology of literature with poems that the image of `candlelight` is an important medium of poetic imagin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tentional consciousness for ‘candlelight’ is found to be shown as largely 7 aspects. First, candlelight is shown as heartrending being or weak being, and commonly shown to identify with the main agent of consciousness. The images of candlelight embodied in Lee Sang-hwa`s poem 〈To My Bedroom〉 and Lee Jang-hee`s poem 〈Stage〉 areas such. Candlelight is embodied as an image substituting weak and lethargic self easily found in modern early sentimental romantic poems. However, since mid 1920`s, in so called `poem for proletarians`, candlelight is weak and heartrending being and easily connected to proletarian consciousness. Kim Chang-sul`s poem 〈Chobul(i.e. a candlelight)〉 is a work that shows such a point well. Second, candlelight is shown in connection with a sense of emptiness or sense of extinction. In Kim So-wol`s poem 〈Hwangchok(黃燭)bul〉, candlelight becomes the subject of the main agent of awareness of lonely fantasies and temporarily becomes one with the main agent, but arouses tragedy of death as a being that will soon disappear. Such awareness directivity is found in Cho Yeong-chul`s poem 〈the Night〉 and Kim Eok`s poem 〈Chokhwa(i.e. a candlelight)〉, etc. Third, candlelight is shown to symbolize pure life and the spirit of self sacrifice. In Yun Dong-Ju`s poem 〈One Candle〉 and Shin Seok-jeong`s poem 〈I Embrace Darkness〉, such points are well shown. However, power of candlelight does not completely drive out massive darkness and only brightens a small area, so it also reveals deep feeling of helplessness. Fourth, candlelight also has paradoxical meaning by displacing darkness. In Shin Seok-jeong`s poetic works such as 〈It is not time to turn on the candlelight yet〉, 〈Heart awaiting dawn〉, 〈Blue Bedroom〉, etc. and Mamyeong (馬鳴)"s poem 〈Please don`t turn on chok(燭) fire〉, candlelight also becomes a being pressing anxiety or hindering the time of rest and meditation provided by darkness. Fifth, candlelight gives stability of heart and prepares the time of contemplation and meditation with silence. In Shin Seok-jeong`s 〈Heart greeting night〉, it expresses that one could start holy meditation contemplating life by sitting with candlelight. Sixth, candlelight shows awareness directivity by bestowing time for love and romance to burn or pursuing harmony. In Kim So-wol`s poem 〈Night turning on flower chok(燭)bul〉 and another poem 〈Chilseok(七夕)〉, such points are well shown. Also in Kim Gwang-seob`s poem 〈Chokhwa(燭火)〉, candlelight is said to be a flame blooming `Romance of Thousand Years` by burning the fat of god. Seventh, candlelight shows awareness directivity pursuing sense and beauty. In Bang Su-ryong(方壽龍)`s poem 〈Chokbul〉 and Im Hak-su(林學洙)`s poem 〈Chok(燭) fire〉, such points can be found. Aspects of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about `candleligh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7 types, however. That is because each type is expanded or intensified to make new awareness directivity.

      • KCI등재후보

        촛불: 신성한 보호 공간에서의 의식화의 상징

        이나경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2016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Vol.7 No.2

        This study examined the symbolism of candlelight that is frequently observed in sand pictures. Candlelight represents light in the darkness of life, bright future, vitality of sun, or uncertainty and evanescence of life that can easily vanish. Birth and death of human being is compared to creation and extinction of candlelight. Candlelight that is lit at deathbed breaks darkness of death and it symbolizes the light in afterlife. As for the existing method of candlelight, it reveals its nature by burning itself. Hence, candle, which completes its existence through an encounter with flame, is an important symbol that shows birth, death, resurrection, and holiness. This study examined the symbolism of ‘candlelight’ from an aspect of analytical psychology by dividing into ‘Temenos’ as a holy protective space, ‘Initiation’ to death that is encountered at the process toward regeneration, and ‘Consciousness’ that naturally begins a noble evolution by converting unconscious characteristics of Self to be conscious. The paper analyzed the symbolism of candlelight by examining the sand pictures of client.

      • KCI등재

        비판적 인문학과 ‘촛불'

        유희석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인문학연구 Vol.0 No.65

        This essay is a theoretical engagement with the reality that the Korean peninsula is now facing. Its pivotal argument as a rigorous analysis as critical humanities on current affairs in South Korea is composed of one major thesis and its two attendant minor ones. The major contention is that the hair-splitting result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s the evidence of ‘the candlelight’ being alive; the candlelight that represents the public yearning for a wholesome country that has grown to be deeply rooted in the soil of fairness, justice, and common sense in the process of the impeachment of former President Park Gun-hye. This premise that distinguishes between mere partisan supports and public sentiment that is revealed in the form of candlelight is logically followed by two minor premises. One is that the intellectuals’ perspective that the change of power made by the opposition party is a grave damage or threat to ‘the candlelight’ is just a partial truth. It is eventually a misleading observation that is subservient to the vested interests parasitic on the binary party system. The other one is that while the onset of Yoon Suk-yeol government has the potentialities of a relapse into the era of bygone ‘Leemyungparkgunhye’ or of the rise of neoliberal conservatism, it provides a felicitous chance of radical reflections on the meaning of ‘the candlelight.’ 본고는 ‘현실정치’의 기저 논리를 비판적 인문학의 자세로 읽어내려는 학술 시론(時論)이다. 불편부당의 비판정신을 인문학의 기본으로 간주하는 이 글의 핵심 주장은 한 개의 대전제와 두 개의 소전제로 구성된다. 대전제는 20대 대선(2022. 3. 9)의 결과는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과정에서 공정과 정의, 상식의 토양에 더 깊게 뿌리내린 촛불의―‘촛불 민심’의―건재를 말해주는 증좌라는 것이다. 촛불 민심을 정당 중심의 정파적 지지나 여론과 구분하는 이 전제에는 소전제 두 개가 논리적으로 따라붙는다. 하나는 ‘국민의 힘’으로의 정권교체를 ‘촛불’에 대한 중대 타격으로 간주하는 시민사회 및 지식계 일각의 주장은 일면의 진실일 뿐, 기득권 거대 양당의 대결 구도에 매몰되어 기득권체제를 지속시키기 십상인 파당적 관점이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윤석열정부의 등장은 ‘이명박근혜’로 통칭된 왕년의 퇴행적 보수정권으로의 회귀와 신보수주의의 발호로 이어져 분단체제를 파국으로 몰아갈 위험성이 다분한 사건인 한편, ‘적폐청산’을 오용한 문재인정부의 성취와 한계를 근본적으로 성찰하는 기회도 된다는 것이다. 한국이 현재 직면한 대내외 현실을 염두에 두는 본고는 이같은 대전제에서 출발하여 소전제들의 정치적 함의를 규명하려는 시론(試論)이다. 그로써 뭇사람들의 본마음이 밝힌 ‘촛불’이 불편부당에 더 깊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돕는 공부야말로 인문학의 본질적 과제임을 역설한다.

      • KCI등재

        남과 북의 자기서사와 문학치료 -소설 <100년 촛불> 창작을 중심으로-

        손석춘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elf-Epic of the South & North Korea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new Epic. For 100 years from the March 1 Revolution in 1919 to 2019, the South and the North each boast that they have achieved a “great history.” However, they criticize their opponen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Epic of 100 years is not a problem of the past. It is connected with the future of the people. The limitations of dialogue and unification are clear with the dominant self-epic of the South and the North at present. A literary therapeutic approach is needed to the dominant self-epic of the South and the North. The ruling groups of the South & North absolute and sanctify the free democratic order & the order of ‘the sun in the Joseon.’ It requires the people to comply or adapt. However,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south mentions “Hell Joseon” and immigration. More than 20,000 people have left North Korea for South Korea. The social order of the South & North is not recognized by the members of society as immutable. The novel <100 Years Candlelight> explore new epic of the last 100 years. The Donghak revolution is the root of the practice-epic revolution, which aims to transform the colonial order establish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Candlelight symbolize the creative practice-epic that has been fighting all darkness for 100 years. It even reveal the darkness in which people who engage in practice-epic fall into self-righteousness. Treatment and creation in literary therapeutics are the same process. The novel <100 Years Candlelight> depicts the oppressed truth under the predominant order of the South and the North. In doing so, the author wished that the readers would treat Self-Epic themselves. The more mature the people i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more desirable unification can be. On the road lies the task of research and creation in literary therapeutics 이 논문은 남과 북의 자기서사를 탐색하고 새로운 서사의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1919년 3‧1혁명 이후 2019년까지 100년을 보는 남과 북은 각각 자신들이 ‘위대한 역사’를 이뤘다고 자부하면서도 상대에 대해서는 정반대로 혹평하고 있다. 과연 우리의 100년을 그렇게 어긋나게 보아도 좋은가라는 문제의식은 비단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겨레의 미래와 이어져 있다. 현재 남과 북의 지배적 자기서사로는 대화와 통일에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이다. 남과 북의 지배적 자기서사에 문학치료학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다. 남과 북의 지배 집단은 자신들이 절대화, 신성시하는 ‘대한민국식 자유민주 질서’와 ‘김일성-김정일의 태양조선 질서’에 ‘국민’들이 순종하거나 적응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헬 조선’과 이민을 거론하는 남쪽의 젊은 세대와 어느새 남쪽에만 2만여 명에 이르는 탈북인들의 존재는 남과 북의 지배적 자기서사가 내건 사회질서를 사회구성원들이 고정불변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다는 방증이다. 지난 100년의 새로운 서사를 탐색한 소설 <100년 촛불>은 1919년의 3‧1혁명에서 일본제국주의가 설정한 식민 질서를 변혁하려는 실천서사가 동학혁명을 뿌리로 하고 있다는 역사적 진실을 드러내면서 출발했다. 촛불은 100년을 이어오며 모든 어둠과 싸워온 창조적 실천서사를 상징한다. 촛불은 실천서사에 나선 사람들의 독선이라는 어둠마저 밝힌다. 문학치료학에서 치료와 창작은 동일한 과정이다. 소설 <100년 촛불>은 남과 북의 지배세력과 그들이 순종 또는 적응하라고 강요하는 질서 아래 어떤 진실이 억압되고 있는지 드러냄으로써 독자들 스스로 자기서사를 치료하길 소망했다. 남과 북에 자기서사가 성숙한 민중과 인민이 늘어날수록 그만큼 더 바람직한 통일을 이룰 수 있다. 그 길에 문학치료학 연구와 창작의 과제가 놓여있다.

      • ‘촛불시대’의 도래와 남겨진 과제 : 2000-2010 시기의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김형주 ( Kim Hyungju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현대사회과학연구 Vol.21 No.-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촛불집회의 의미와 과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은 촛불집회가 사회운동의 한 형태로 보편화 된 것에 주목하여 ‘촛불시대’가 도래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촛불집회에 등장한 촛불의 의미와 촛불집회의 양상, 그리고 촛불집회가 남긴 과제를 검토한다. 촛불은 기존 사회운동의 전투적이고 공격적인 이미지를 상쇄시키고, 이질감을 감소시켜, 대중들로 하여금 저항의 거리로 들어서도록 문턱을 낮춰주는 효과를 발휘했다. 또한 촛불은 거리에서 거대한 스펙터클을 형성하여 촛불집회가 재확장하는데 기여하고 있었다. 촛불집회를 통해 청소년과 네티즌 등 새로운 운동주체가 부각되었으며, 운동의 이슈 또한 생활적인 요구로부터 시작되거나, 정치적 이슈에서 출발했더라도 다시 다양한 이슈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운동의 방식에서도 촛불집회는 촛불을 매개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장엄한 광경을 연출하고,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에서 탈피하여 평화롭고 발랄한 분위기에서 재기발랄한 방식들을 창출하였다. 하지만 촛불집회는 여러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민족주의적인 모습을 띄면서 이슈의 본질을 흐리거나, 단일화를 추구하는 경향으로 인해 다양한 담론과 방식이 분출되는 것을 저해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nalyses means and tasks of candlelight rallies developed in 2000s. This study argues that ‘Candlelight Era’ has emerged since candlelight rallies have been generalised as a social move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means of ‘candlelight’, aspects and problems of candlelight rallies. The ‘candlelight’ made the public come to the square by counteracting the aggressive images of social movement and degrading the sense of differences between activist groups and the public. It also contributed to expand candlelight rallies forming a magnificent spectacle in itself. In the candlelight rallies, new participation subjects emerged such as youth and netizen. The topics in relation to daily affairs tended to be treated one of the top agenda and to be expanded to fairly various issues facing the state at that time. The aspects of movement showed a enormous democratic scene and witty ways with a peaceful atmosphere. However, a few problems in the candlelight rallies were revealed : nationalism to obscure the nub of the issues and standardization to hinder releasing varied views of the public.

      • KCI등재

        유권자의 투표 선택과 2016-17년 촛불시위 참여: 투표 참여 빈도와 투표 선택 경향을 중심으로

        차현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2 亞細亞硏究 Vol.65 No.1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in 2016-17. This research argues that voter’s voting frequency and patterns of voting choices affect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the 2016-17 candlelight protests. First,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protests increases as an individual’s voting frequency becomes higher. This is because protesting and voting a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the goals of the candlelight protests deal with the important political issue. Second, a voter type which is classified by an individual’s voting consistency and a supporting party’s political ideology affects the likelihood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 A voter’s supporting party affects whether or not the voter is motivated to participate in a candlelight protest, and the consistency of voting choices affects how intensive the voter’s motivation for the protest participation will be. Thus, core liberal voters are most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 while core conservative voters are the least likely to protest. Swing voters are found in the middle, more likely to participate than core conservative voters would, and less likely to participate than core liberals would. The empirical results confirmed the patterns of voters’ voting choices affect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tion in 2016-17. This research tries to connect electoral studies with contentious politics by suggesting voting choices in consecutive election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dlelight protestor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still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artisanship. 본 논문의 목적은 2016-17년 촛불시위 참여자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유권자의 투표 참여 빈도와 투표 선택 경향이 촛불시위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첫째, 투표 참여 빈도가 높을수록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는 시위와 투표가 상호보완적인 관계이고, 2016-17년 촛불시위가 현직 대통령 탄핵 요구라는 중요한 정치적 사안을 다뤘기 때문이다. 둘째, 투표 선택의 일관성과 지지 정당의 이념적 정향에 의해 구분된 투표자 유형에 따라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에 차이가 있다. 이때 지지 정당의 이념적 정향은 유권자가 촛불시위에 참여할 동기 여부에 영향을 미치고, 투표 선택의 일관성은 촛불시위 참여동기의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진보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반면, 보수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이 가장 낮다. 그리고 스윙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은 두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 사이에 위치할 것이다. 경험 분석을 통하여 유권자의 투표 선택 경향이 2016-17년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두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 논문은 촛불시위 참여자의 특성으로 연속된 선거에서 유권자의 투표 선택 경향을 제시하며 그동안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연구되어 온 투표연구와 시위연구를 연계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의 분석과는 달리 촛불시위 참여자들이 여전히 당파적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촛불시위 참여자의 동학: 정치적 기회 구조를 중심으로

        차현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3 韓國 政治 硏究 Vol.32 No.1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nges of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since 2004. While existing literature on candlelight protests tends to analyze the causes of candlelight protests at macro-level or the characteristics of candlelight protestors at micro-level,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a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 and a nonparticipant at micro-level while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This research asserts that the police responses to protests and the Democratic advantage in Congress are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that affect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s. The police responses to protests affect the cost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 while the Democratic advantage in Congress impacts on the benefit from protesting. The impact of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on the protest participation vary depending on the voter type.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e likelihood of core liberal voters and swing voters protesting decreased as police arrested protestors or suppressed protests. Also, the hypothesis was confirmed in that the increase of Democratic Advantage in Congress affected the likelihood of core liberal voters to protest more than it would affect the likelihood of swing voters to protest. As this paper evaluates a series of multiple candlelight protests and proposes a multilevel framework, the paper overcomes the limits of existing literature that studied candlelight protests from a single level.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에 등장한 촛불시위 참여자들의 특성이 어떻게변화했는지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가 거시적 관점에서 촛불시위 발생원인을 분석하거나 미시적 관점에서 촛불시위 참여자의 특성을 분석한 것과는 달리 이 연구는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이 개인의 촛불시위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양한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 가운데 시위에 대한 경찰의대응과 진보정당의 의석분포에 주목하여 시위에 대한 경찰의 대응이 촛불시위 참여의 비용에 영향을 미치고 진보정당의 의석 분포는 촛불시위 참여의 이익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또한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이 촛불시위 참여에 미치는영향은 유권자의 투표 선택 경향, 즉 투표자 유형에 따라 다르다고 주장한다. 경험적 분석을 통해, 시위 현장에서 경찰이 시위 참여자를 연행하거나 물리적 폭력을 행사한 정도가 높을수록 진보 일관 투표자와 스윙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가능성이 감소하고 진보정당의 의석분포가 증가할수록 진보 일관 투표자와 스윙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가설의 예측대로 보수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가능성은 두 정치적 기회 구조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여러 차례 발생한 촛불시위를 통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하여 개인의 촛불시위 참여에 미시수준의요인뿐 아니라 거시수준의 정치적 기회 구조요인이 작용하였음을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2008년 촛불 시위와 10대 여성의 정치적 주체성 : ‘촛불소녀’를 중심으로

        나효은(HyoEun Na)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3

        2008년 촛불 시위에는 다양한 여성들이 참여했고 여성 주체의 역할이 두드러졌으며, 10대 여성들의 역할이 특히 부각되었다. 10대 여성들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의 목소리를 가장 먼저 광장으로 끌고 나와 초기에 시위를 대규모로 확산하는 데 도화선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위에 나선 10대 여성들은 ‘촛불소녀’로 명명되면서 시위 참여자들 사이에 하나의 마스코트로서 대상화되고 소비되었던 측면이 있다. 첫째, 촛불소녀 캐릭터의 순수함과 귀여움을 강조한 마스코팅은 집회 홍보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이용되었다. 둘째, 촛불소녀 이미지와 관련 텍스트에는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는 논리 등 여성·청소년·아동 보호주의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여성들을 시위의 대상이자 보조적 존재로 보는 배제와 차별의 고정관념이 반영된 것으로 성인 남성들을 시위에 동원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셋째, 촛불소녀 이미지에는 ‘학생으로서의 규범을 준수하면서도 순수한 열정으로 거리로 나온 착한 시위자’라는 메시지가 있었고, 이것은 촛불 시위의 ‘정치적 순수성’을 강조하고 정당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처럼 2008년 촛불 시위에 10대 여성들이 활발하게 참여했으나, 그들은 독자적인 정치 주체라기보다는 대상으로 인식되었던 측면이 있다. 그러나 촛불소녀의 등장은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 여성 정치 주체 등장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그리고 이 세대의 움직임은 이후 청소년이라는 측면에서는 청소년 인권운동으로, 여성이라는 측면에서는 뉴 페미니즘 활동으로 계승되기도 했다. In 2008, various women participated in candlelight protests and the role of female subjects was prominent, but the role of teenage women was especially highlighted. This is because teenage women were the first to draw the voice of opposition to US beef imports to the square and act as a fuse to spread the protests in the early days. However, the teenage women who were in the demonstration were named as candlelight girls and there was a aspect that was objectified and consumed as a mascot among the protesters. First, mascoting emphasizing the purity and cuteness of the candlelight girl character was effectively used as a means of promoting the rally. Second, the candlelight girl image and related texts strongly reflect the protectionism of women, youth, and children, such as the logic of I am sorry that I can not keep it . This reflects the stereotypes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at women see as objects and auxiliary beings of demonstrations, and was used as a means of mobilizing adult men to protest. Third, there was a message that the image of candlelight girl was a good protester who came to the streets with pure passion while keeping the norm as a student , which contributed to emphasizing and justifying the political purity of candlelight demonstrations. As such, teenage women actively participated in candlelight protests in 2008, but they were recognized as objects rather than independent political subjects.

      • KCI등재

        ‘촛불집회’ 기사의 담론 분석

        변영수(Byun Young-su) 한글학회 2015 한글 Vol.- No.309

        이 논문은 ‘촛불집회’에 부정담론을 형성하는 『조선일보』와 긍정담론을 형성하는 『한겨레』를 통해 동일한 사건이 정치적으로 상이한 성향의 신문에서 어떻게 기술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각 언론 매체의 담론에 따른 문장 표현의 차이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촛불’ 단일구조나 ‘촛불’의 결합구조는 『조선일보』 보다 『한겨레』가 더 생산적이고 빈도가 높았다. 특히 ‘촛불집회’를 지칭하는 어휘는 ?『조선일보』는 ‘촛불시위’를, 『한겨레』는 ‘촛불집회’를 더 많이 썼다. 이 외에도 『한겨레』는 ‘촛불대행진, 촛불항쟁, 촛불혁명, 촛불행사, 촛불나들이’처럼 집회를 지칭하는 여러 표현을 만들어 썼다. 주체별로 문장의 성격을 구분했을 때에도 두 신문은 차이가 난다. 『조선일보』는 집회 참가자의 행위를 기술할 때, 집회 참가자의 구호를 인용할 때 부정적인 어휘를 사용하였다. 또한 ‘촛불집회’를 이념적 색채를 띤 정치적인 행위로 해석하고 정권에 불만을 품은 투쟁이라고 정의 하면서, ‘폭력시위, 불법시위, 극렬시위’ 등으로 기술하였다. 대통령에 대한 기사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성향을 보였다. 『한겨레』는 정부, 대통령, 경찰의 행동을 기술할 때 부정적인 어휘를 사용하였다. ‘촛불집회’는 국민들의 정치적 자각에서 비롯된 현상인데, 정부와 경찰이 ‘폭압적 진압, 강경몰이, 유혈진압’을 하는 것으로 기술하였다. 대통령에 대한 기사도 부정적인 어휘들을 사용하여 대통령을 직설적이고 부정적으로 비판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scourse of different evaluates to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for the ‘Candlelight Rally’, which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entence re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discourse of each media. ‘Candlelight’ stand-alone or ‘candlelight’ this form combined with other vocabularies <Chosun Ilbo> more <The Hankyoreh> is a more productive and higher frequencies. Especially ‘Candlelight Rally’ vocabulary referring to the <Chosun Ilbo> has a high incidence of ‘candlelight vigil’, <The Hankyoreh> has a high incidence of ‘Candlelight Rally’. In addition to this <The Hankyoreh> has written a number of representations made to refer to meetings such as ‘candlelight march, candle movement, candle revolution, candle ceremony, candle outing’. Even when separated by the nature of the sentence subject two newspapers differ. <Chosun Ilbo> describes the behavior of the protesters, and when citing the slogan of the protesters were using negative words. ‘Candlelight Rally’ were regarded as a political act, which was defined as a complaint to the government embraces the struggle. And ‘Candlelight Rally’ to ‘violence protests, illegal demonstrations, fierce protest’ was described as such. Articles about President was positive and favorable description. <The Hankyoreh> was used as a negative vocabulary when describing the government, the President, the police action. ‘Candlelight Rally’ is a phenomenon resulting from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the government and the police were described as the ‘oppressive enemy fighters, tough sheepdog, bloody’. Articles for President with negative words to describe, the president was blunt and negative criticism.

      • KCI등재

        촛불집회와 민중정치

        강원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7 기독교사회윤리 Vol.38 No.-

        From the perspective of minjung theology that focuses on the subjectivity of minjung in history and politics, I have analyzed and compared the dynamics of candlelight vigi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candlelight rallies in 2008 and in 2016-2017. To begin with,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wd participating in candlelight vigils, I refused the attempt to interpret the candlelight crowd in 2008 as ‘multitude’ in the sense of A. Negri and M. Hardt. I tried to analyze the crowd as composed of the people who were exploited, suppressed, excluded and discriminated in the neoliberal Korean society, and to name them as the traditional term of ‘minjung’. Secondly, I pointed out that the candlelight crowd in 2008 could be characterized as network crowd. It is true that a form of “collective intelligence” has emerged in the crowd movements. But I didn’t accept the opinion that the network crowd could play roles as “organic intellectuals” in the sense of A. Gramsci. Thirdly, the candlelight vigils in 2016-2017 went one step further from those in 2008. The ‘President Retirement Movement’ as council of civic and social movement groups learned from the experiences of 2008, and showed some capacity to lead the candlelight crowd asking for retirement of the state president responsible for corruption and privatization of state authority and asking for liquidation of accumulated evils. Lastly, Minjung has a desire to fundamentally change Korean society and embody more justice, more democracy and more human rights. They are moving to realize that desire. Now it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minjung theology to refine desires of minjung into a clear language and to present politics of minjung for realizing their desires with conceptual and strategic consistency. 이 글에서 필자는 역사와 정치에서 민중의 주체성에 초점을 맞추는 민중신학의 관점의 관점에서 2000년대에 들어와 우리 사회에서 정형화된 시위의 한 형태로 자리를 잡은 촛불집회들, 특히 2008년의 촛불집회와 2016-2017년 촛불집회에참여하는 주체와 촛불집회의 동학을 분석하고 서로 비교했다. 첫째, 2008년과2016-2017년의 촛불집회에 참여한 군중의 성격에 관련해서 필자는 2008년의 촛불 군중을 ‘다중’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를 거부하고 지구 경제에 편입된 한국 사회에서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수탈당하고 억눌리고 배제되고 차별당하는 사람들을‘민중’이라는 전통적인 용어로 명명하고자 했다. 2016-2017년의 민중은 생활의처지가 더 엄혹해지기는 했지만 2008년의 민중과 다를 리 없다. 둘째, 필자는2008년의 촛불 군중이 네트워크 군중의 성격을 띠고 있고 ‘집단지성’ 같은 것이출현한 것은 맞지만, 그 군중이 ‘유기적 지식인’의 역할을 맡았다고 볼 수 없다는점을 지적했다. 2008년의 촛불 군중은 일관성 있는 구도를 갖고서 현상의 변경을기획하고 추진하는 지도부를 갖지 못했고, 어느 시점이 되자 동력을 잃고 뿔뿔이흩어졌다. 싸움다운 싸움이 실제로 있지도 않았기에 전리품도 없었다. 셋째, 2016-2017년의 촛불집회는 2008년의 촛불집회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2008 년의 경험에서 배운 시민·사회단체들의 협의체는 국정농단의 책임을 묻고 적폐청산을 요구하는 촛불 군중을 지도하는 역량을 어느 정도 보였다. 이것이2016-2017년의 촛불집회에서 시민사회운동이 이룩한 성취요, 진보이다. 끝으로민중은 우리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더 많은 정의, 더 많은 민주주의, 더많은 인권을 구현하려는 욕망을 갖고 있고, 그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움직이고있다. 우리 시대의 민중신학은 민중의 욕망을 명료한 언어로 가다듬고 그 욕망을실현하고자 하는 민중의 정치를 일관성 있는 구도 아래서 제시해야 할 과제를갖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