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프로그램 평가 표준에 기초한 프로그램 평가 사례 연구

        김대영(Daeyoung Kim),임승완(Seung-wan Lim) 한국경영학회 2021 Korea Business Review Vol.25 No.4

        CIPP 평가 모형은 국내 연구에서 1990년대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2010년을 전후로 국내 HRD 분야의 평가 연구에도 종종 적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CIPP 평가 모형을 활용한 연구들은 CIPP 평가 모형의 외형적 접근에는 충실하지만, 대개 총괄적 기능에만 주로 초점을 두고 한두 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한다는 점, 그리고 프로그램의 핵심 가치를 반영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참여토록 하는 것에 소극적이며, 평가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불충분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JCSEE의 프로그램 평가 표준을 충실히 이행하여 평가의 질을 확보하고자 노력한 프로그램 평가 사례를 검토, 논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해당 평가 사례는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 가운데 무엇을 어떻게 준수하였는지, 프로그램 평가 표준을 어떻게 이행하였는지, 그리고 평가 오 · 남용의 가능성을 줄이고 바람직한 평가 활용 촉진을 위해 어떻게 대응하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분야 프로그램 평가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researches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began to emerge in Korea in the 1990s and the model has been often applied to HRD evaluation researches before and after 2010. The studies using CIPP evaluation model in Korea, however, has been pointed out as follows: 1) mostly collecting data with one or two ways focusing on the summative function 2) being passive about having various stakeholders to be involved and applying core values 3) not making enough efforts to have the quality of evaluation. Even though they are devoted to apparent approach. As being aware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presents and discusses cases that conducted the oriented principle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and endeavored to secure the quality of evaluation. More specifically, the cases were reviewed 1) how and what principle they followed among oriented principle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2) how they conducted the program evaluation standard of JCSEE 3) and lastly, how they cop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evaluation misuse and to promote using evaluation properly.

      • KCI등재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국내 교육 분야 CIPP 평가 모형 활용 연구 고찰

        이원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4

        Based on the philosophy and code of ethic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presented by Stufflebeam, this study presented four orientation principles that should be key to conducting an evaluation (research) using the CIPP model: program improvement orientation, stakeholder involvement orientation, value orientation and various data orientation principles. Next, it was analyzed to what extent the Korean researches (evaluation) using CIPP evaluation model were applying these principles. Overall, Korean research only applies the program improvement orientation principle to some extent, and other principles are not properly ref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nhance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in Korea and provide useful guidance to fully utilize the value and benefits of the CIPP model. 본 연구는 Stufflebeam이 제시한 CIPP 모형의 7가지 철학과 윤리 강령을 토대로 CIPP 모형을 활용하여 평가(연구)를 수행할 때 핵심적으로 중시하여야 하는 4가지 지향 원칙으로 프로그램 개선 지향, 이해관계인의 관여 지향, 가치 지향, 다양한 자료 지향 원칙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CIPP 모형 활용 평가나 연구들이 이러한 원칙들을 어느 정도 적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국내 연구들은 프로그램 개선 지향 원칙만을 어느 정도 적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다른 원칙들은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 CIPP 평가 모형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고 CIPP 모형의 가치와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 개발

        이경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evaluation model of gifted curriculum in arts. For this purpose, first, it discusses about what kinds of issues have been raised about gifted education in arts. Second, it critically review evaluation models of gifted curriculum and research suitable model for developing curriculum evaluation model of gifted in arts. Third, it suggests the appropriate perspective and evaluation model of gifted curriculum in arts. Recent studies about gifted education in arts consider three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gifted behaviour: above average ability, creativity, and task commitment. Giftedness in arts is influenced by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social and culture factors. Therefore, the gifted curriculum in arts should focus on making not only the product of education but also the process, and should consider the need of giftedness in arts in social and culture context. Based of these inquiries, existing evaluation models of gifted curriculum have a limit of suitability as an evaluation model of gifted curriculum in arts. It suggests decision-making approach is the appropriate perspective among perspectives of curriculum evaluation. Also, it supports the CIPP model, which is a representative model of decision-making approach, as a basis of evaluation model of gifted curriculum in arts. 본 연구는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 예술영재교육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기존의 영재교육과정 평가모형이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으로 적합한지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일반 교육과정 평가관점 중에서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에 적합한 관점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분야별(음악, 전통공연예술, 무용, 미술)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 내용을 수렴하여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 내용을 정리하였다. 예술영재성은 평균 이상의 능력과 창의성과 과제집착력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예술영재성은 개인적 요인과 사회ㆍ문화적 요인을 포함한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술영재 교육과정은 교육의 결과뿐 아니라 과정에도 초점을 두어야 하며, 사회ㆍ문화적 맥락에서 어떤 예술영재를 길러 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려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기존의 영재교육과정 평가모형을 검토한 결과, 기존 모형들은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으로서 한계가 있었다. 예술영재교육의 특징을 기준으로 볼 때, 일반 교육과정 평가관점 중 의사결정 지향 접근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의 기반으로 의사결정 지향 접근법의 대표적인 모형이며 예술영재교육이 이루어지는 상황도 평가할 수 있는 CIPP 모형을 기반으로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과 평가 내용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 타당화

        차봉은,손민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operation evaluation index developed in the first study as a second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operation evaluation index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rst step in the CIPP evaluation model, the Context evaluation index, did not produce any modifications to the assessment factors and assessment questions. The second step, Input evaluation, was modified from three existing evaluation factors to two evaluation factors, deleting three evaluation questions. The third step, Process Evaluation, was also modified from three evaluation factors to two evaluation factors, deleting three evaluation questions. Finally, the product evaluation index was modified from three factors to two factors without deleting the assessment questions, and the 'Medical College Curriculum Operation Evaluation Index' was organized into 69 evaluation questions of eight factors, ensuring its validity.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compil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was analyzed. The reliabi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as .96, the input evaluation index was .97, the process evaluation index was .96, and the calculation evaluation index was .96.The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factor was shown to be 95,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ndex was also achieved with a confidence of more than 1.88 for all factors. 본 연구는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2차 연구로 1차 연구에서 개발한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A 의과대학 60명의의과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45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CIPP 평가모형의 평가단계에 따라살펴보면, CIPP 평가모형의 첫 번째 단계인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평가지표는 평가요인과 평가문항에 대한수정사항이 발생하지 않았다. 두 번째 단계인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평가지표는 3개 평가문항을 삭제하면서 기존의3개의 평가요인에서 ‘교육운영의 구조’와 ‘교육운영 수월성을 위한 구조’라는 2개의 평가요인으로 수정되었다. 세번째 단계인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평가지표도 3개의 평가문항을 삭제하면서 3개의 평가요인에서 ‘교육력 강화를위한 과정’, ‘일반교육 운영과정’이라는 2개의 평가요인으로 수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평가지표는 평가문항의 삭제 없이 3개 요인에서 ‘교육과정 운영개선 역량’과 ‘학생성장 역량’이라는 2개의 요인으로수정되어,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는 8개 요인의 69개 평가문항으로 정리되면서 타당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정리된 평가지표에 대하여 평가단계별, 요인별 신뢰도를 분석하였는데, 신뢰도 분석 결과, 상황평가평가지표의 신뢰도는 .96, 투입평가 평가지표는 .97, 과정평가 평가지표는 .96, 산출평가 평가지표는 .95로 나타났으며각 요인별 신뢰도 분석 결과 또한 모든 요인에서 .88 이상의 신뢰도를 보이며, 평가지표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 KCI등재

        CIPP모형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직무연수 평가

        이정은 ( Jung Eun Lee ),강영심 ( Young Sim K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직업교육 내실화를 위한 현장교사의 전문성개발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CIPP모형에 기반하여 교사가 이수한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103개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직업교육 관련 수업을 담당하는 중등교사 중 최근 4년간 직업교육 직무연수를 한번이라도 이수한 경험이 있는 3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로 과정평가 모형의 일종인 CIPP모형에 기반을 둔 4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첫째,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보통 이상이었다. 특히 CIPP모형을 기반으로 했을 때, 투입평가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상황평가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영역별에서 상황평가는 연수참여의 자발성, 투입평가는 연수이수를 위한 행정적 지원, 과정평가는 강사의 전문성 수준, 산출평가는 연수운영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직업교육 직무연수의 강점은 연수기회의 참여확대였고, 약점은 사전조사와 대상자분석의 보완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를 위한 직업교육 직무연수는 연수상황 파악을 위해 수요자와 학교현장의 사전 실태 분석을 통한 연수 개설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seek the CIPP evaluation model applied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fulfill this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1. To conduct overall evaluation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vocational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 To analyze sub-categories evaluation of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vocational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95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in 103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out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analyze both evaluation that used CIPP mod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 Overall evaluation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Seeing sub-categories of evaluation, input evaluation is the most positive evaluation, produc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context evaluation are in order. The outcome suggests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put evaluation like plan and support is more positive than others, b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ontext evaluation such as pre-analysis and direction guidance is need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context needs to be implemented through analysis of reality between vocational teachers and school environment. After that, to meet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plann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nd notifying demand of vocational teacher are necessary. Further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gency should improve teachers` demand and evaluation.

      • KCI등재

        CIPP 평가모형 적용을 통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 개발

        김석우(Suk-Woo Kim),이대용(Daeyong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 중학교 교육과정평가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준거를 CIPP 평가모형에 맞추어 개발한 후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전문가 협의를 통하여 2009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또 이를 타당화를 하기 위하여 통합창원시와 부산광역시에 근무하는 중학교 교사, 대학교수 등 교육과정 전문가 17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델파이 설문 자료의 전문가 합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지수, 의견합의도, 수렴도 등을 살펴보았다.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에 대한 전문가 패널들의 합의정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델파이 연구결과, 개발된 32개의 평가지표 중 2개의 평가지표들은 평균과 내용타당도 지수 본 연구가 정한 수용 기준에 적절하지 않아 삭제를 하였다. 다시 30개의 평가지표들에 대하여 2차 델파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 평균과 내용타당도 지수가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표준편차가 1차에서 2차 델파이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줄어들었다. 마지막으로 1차와 2차 델파이 연구에서 삭제된 2개의 평가지표를 제외하고는 합의도는 유지되거나 향상되었고, 수렴도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개발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긍정적으로 합의한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applied by CIPP evaluation model. As for the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17 experts who are middle school teachers or university professors from Pusan Metropolitan or Changwon City in Korea and carried out the Delphi method. The evaluation indicators draft was developed after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deliberation. In this light, this study made the determination that it was needed to sufficiently examin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ontent validity ratio, the degree of coincidence and convergence from investigated Delphi research. The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32 previous indicators were not chosen and new evaluation indicator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and opinions of the experts. second, 30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experts upon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evaluated the importance rate of each factor in the second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Then, this study selected the factors that the expert group finally agreed upon and, with those factors, this study defined the roles. As a resul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rying to find the evaluated indicators for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applied by CIPP evaluation model.

      • KCI등재

        CIPP 평가모형과 Kirkpatrick 평가모형을 활용한 중소기업 훈련 컨소시엄 사업의 성과 평가연구

        김소영,이영민,최영섭,홍성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국가 차원의 기술력과 대기업의 제품생산력, 중소기업의 자생력 향상을 위하여 정부, 기업, 대학이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중소기업 훈련 컨소시엄 사업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CIPP 평가모형과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을 함께 활용하여 평가내용을 도출하고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 항목을 구성하였다. 사전-사후 설문조사는 컨소시엄 훈련 향상과정에 참여한 총 239개 중소기업 상급관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참여중소기업으로부터 정량적 자료를 함께 수집하였다. 사업 내용을 점검하고 성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운영기관의 유형(대기업형, 대학형, 사업주단체형)과 참여기업의 규모별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운영 기관 유형별로 상황평가와 투입평가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과정평가에서 중소기업의 규모에 따라 기관 유형별 운영내용이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공식적 상담이나 운영상 문제해결 프로세스가 사업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평가에서 훈련프로그램 만족도와 학습정도, 업무수행과 관련된 직무만족도, 업무몰입도에 대한 사전설문과 사후설문 응답을 비교분석한 결과와 함께 생산량, 불량건수와 같은 정량적 산출요소를 고려한 결과, 전반적인 훈련 성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괄적으로 본 연구의 사업성과 평가결과는 향후 중소기업 훈련 컨소시엄 사업의 내실화를 위해 운영기관과 참여 기업 간의 협력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며, 사업 성과를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평가시스템이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and evaluate the outcomes of consortium training project for small and middle-sized corporations, which was initiated to improve nation-wide manpower, corporational productivity, and self-sustaining of small and middle-sized corporations. The CIPP evaluation model and Kirkpatrick's 4 level model were combined to induce evaluation inventory and to develop before - after survey items. The evaluation work was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processes and outcomes according to the types of operational institutes and the size of corporations. The managers from total 239 corporations were asked to answer before and after survey. The results of analysis reveled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types of operational institutes in context and input evaluation phrase. However, in process evalu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ize of corporations in terms of official counseling program and problem-solving process. In product evaluation,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of jobs as well as individual worker's productivity and error rate were improved by training program. The managers were recognized the outcomes of this project positive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sustainable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frame to improve the outcomes of this project.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에 근거한 2014년 서울형 자유학기제 평가:중학교 진로교육과 진학지도를 중심으로

        강윤희,안선회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8 No.4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2014 Seoul Free Semester System and providing the feedback for its success and stability,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on high school entrance. Towards these ends, CIPP evaluation model was used. 18 evaluation criteria and 83 items were set through literature reviews regard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and CIPP evaluation model checklist. In addition to the questionnaire, each school's management guidelines and result reports were analyzed for more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nd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career search programs like job shadowing and mentoring while parents were not. Second, most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complained that there were shortage of infrastructures for work experience. Third, parents especially expressed concern about the degradation of academic ability after the free semester education system. The following are the key issues emanating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its success and stability. First, there were a few limitations in the Free Semester Education System. Nevertheless, it should be pursued consistently. Second, the government and the communities should build more infrastructures for career experience. Third, the Free Semester Education System should be expanded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schools' readiness.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1)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kinds of parents programs to share the objectives of the Free Semester Education System. (2) Various kinds of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s, project works and STEAM(fusion classes) should be developed more and expanded into second and third graders. (3) More studies on guidance on high school entrance should be performed as well. 이 연구의 목적은 CIPP모형을 활용하여 2014년 시범운영한 서울형 자유학기제를 중학교 진로교육과 진학지도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2014년 연구학교에서 시범운영에 참가한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CIPP 평가모형을 근거로 한 설문문항을 제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국내외 문헌 및 서울시교육청 자료, 2014년 연구학교들의 운영계획서와 결과보고서 등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황평가에서 정책목표의 파악이나 실현가능성에 있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긍정적 평가를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은 진로교육 중요성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반면, 학부모는 진학지도의 필요성을 더 높게 생각했다. 사전준비에서 주변 인프라 구축이나 서울형 자유학기제와 진학관련성에 대해 학부모는 부정적 평가를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투입평가에서, 시범학교들은 다양한 진로체험을 계획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나 서울형 자유학기제 전반적 운영계획에 대해 교사, 학생과는 달리 학부모는 전반적 운영계획 모두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하였다. 과정평가에서 각 학교의 운영계획서에 세부 프로그램이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계획되어 있었으나, 이에 대해 학부모는 부정적 평가를 했다. 그리고 진로관련 프로그램이 중학교 수준에 맞게 편성되었는가 하는 점에 있어서도 학부모는 부정적 평가를 했다. 산출평가 결과 교사와 학생은 정책의 효과성과 진로교육 관련 효과성 평가, 진학관련 효과성 평가에서 모두 긍정적 평가를 한데 반해, 학부모는 부정적인 평가를 하였다본 연구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서울형 자유학기제에 대한 학부모 대상의 적극적 홍보 및 학부모와의 인식공유가 필요하며,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한 진학지도와의 연계 방안에 대한 연구와 함께, 2015년 운영결과를 토대로 좀 더 많은 보완과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단계적, 부분적으로 실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에 근거한 2014년 서울형 자유학기제 평가:중학교 진로교육과 진학지도를 중심으로

        강윤희(Yun-hee Kang),안선회(Sun-hoi 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CIPP모형을 활용하여 2014년 시범운영한 서울형 자유학기제를 중학교 진로교육과 진학지도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2014년 연구학교에서 시범운영에 참가한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 로 CIPP 평가모형을 근거로 한 설문문항을 제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국내외 문헌 및 서울시교 육청 자료, 2014년 연구학교들의 운영계획서와 결과보고서 등을 참고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황평가에서 정책목표의 파악이나 실현 가능성에 있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긍정적 평가를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은 진로교육 중요성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반면, 학부모는 진학지도의 필요성을 더 높게 생 각했다. 사전준비에서 주변 인프라 구축이나 서울형 자유학기제와 진학관련성에 대해 학부모는 부정적 평가를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투입평가에서, 시범학교들은 다양한 진로체험을 계획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나 서울형 자유학기제 전반적 운영계획에 대해 교사, 학생과는 달리 학부모는 전반적 운영계획 모 두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하였다. 과정평가에서 각 학교의 운영계획서에 세부 프로그램이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계획되어 있었으나, 이에 대해 학부모는 부 정적 평가를 했다. 그리고 진로관련 프로그램이 중학교 수준에 맞게 편성되었는가 하는 점에 있어서도 학부모는 부정적 평가를 했다. 산출평가 결과 교사와 학생은 정책의 효과성과 진로교육 관련 효과성 평가, 진학관련 효과성 평가에서 모두 긍정적 평가를 한데 반해, 학부 모는 부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서울형 자유학기제에 대한 학부모 대상 의 적극적 홍보 및 학부모와의 인식공유가 필요하며,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한 진학지도와의 연계 방안에 대한 연구와 함께, 2015년 운영결과를 토대로 좀 더 많은 보완과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단계적, 부분적으로 실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2014 Seoul Free Semester System and providing the feedback for its success and stability,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on high school entrance. Towards these ends, CIPP evaluation model was used. 18 evaluation criteria and 83 items were set through literature reviews regard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and CIPP evaluation model checklist. In addition to the questionnaire, each school's management guide lines and result reports were analyzed for more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students and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car eer search programs like job shadowing and mentoring while parents were not. Second, most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complained that there were shortage of infrastructures for work experience. Third, pa rents especially expressed concern about the degradation of academic ability after the free semester education system. The following are the key issues emanating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its success and stability. First, there were a few limitations in the Free Semester Education System. Nevertheless, it should be pursued consistently. Second , the government and the communities should build more infrastructures for career experience. Third, the Free Semester Education System should be expanded gradually in accordance wi th the schools' readiness. The following ca n b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1)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kind s of parents programs to share the objectives of the Free Semester Education Sy stem. (2) Various kinds of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s, project works and STEAM(fusion classes) should be developed more and expanded into second and third graders. (3) More studies on guidance on high school entrance should be performed as wel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