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태아 간세포의 거핵구 집락형성

        권병오,주혜영,김천수,전동석,김종인,김흥식,Kwon, Byung O,Ju, Hye Young,Kim, Chun Soo,Jeon, Dong Seok,Kim, Jong In,Kim, Heung Si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2

        목 적 : 태아 간세포는 면역학적으로 미숙하여 이식에 따른 거부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조혈모세포 이식, 특히 자궁내 이식의 좋은 공여세포로 이용할 수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연구자는 태아 간 단핵세포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학적 염색과 체외배양 결과를 분석하여 태아 간의 거핵구 집락형성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임신중절시 수집한 태아 간조직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및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에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MegaCult^{TM}-C$ 배지에서 12일간 배양 후 성장인자 첨가에 따른 거핵구 집락형성을 관찰하였고, 5일간의 Flask 배양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CD34, CD41 양성세포를 측정하였으며, methylcellulose 배지를 이용하여 $37^{\circ}C$ 5% $CO_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제 7일과 14일에 성장인자 첨가에 따른 CFU-GM 집락 수를 조사하였다. 결 과 : 태아 간의 단핵세포 수는 재태주령 11주에 비해서 19주에서 더 많았으며 세포생존율은 $91.2{\pm}3.4%$였다. $MegaCult^{TM}-C$ kit를 이용하여 12일간 배양시 재태주령 11주의 태아 간이 19주에 비해서 거핵구 집락 수가 많았고, 4례 모두 성장인자의 첨가에 따른 집락증폭의 상승효과는 없었으며 배양 후 형성된 거핵구 집락 수는 태아 간,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환아의 골수,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 순이었다. 거핵구 집락 중 순수집락 수는 태아 간이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및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순수집락 중 large CFU-Mk의 비율은 태아 간이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및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에 비해서 높았으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태아 간 단핵세포를 5일간 flask 배양한 후 CD34 양성세포의 발현율은 증가하였으나 성장인자의 첨가에 따른 집락증폭의 상승효과는 TPO 투여군에서만 있었고, CD41 양성세포의 발현율 역시 배양 후 증가하였으나 성장인자 첨가군에 비해서 대조군의 발현율이 너무 높은 결과를 보였다. Methylcellulose 배지를 이용한 단핵세포 배양에서 CFU-GM 집락 수는 태아 간의 경우 배양 7일에 비하여 14일에 감소하였고, 성장인자의 첨가에 따른 집락증폭의 상승효과는 태아 간에서는 모든 군에서 보였으나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에서는 GM-CSF 투여군에서만 있었으며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에서는 없었다. 결 론: $MegaCult^{TM}-C$ 배지를 이용하여 태아 간세포를 배양하고 면역조직학적 염색으로 거핵구 집락형성을 성공적으로 관찰하였으며, 태아 간에서 얻은 거핵구 집락이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및 범혈구 감소증 환아의 골수에서 얻은 집락에 비하여 집락수나 순수집락의 분포, 집락의 크기 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태아 간 조혈모세포 이식의 실제적인 임상적용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btain basic data about the megakaryocyte colony formation of fetal liver cells by using immunocytochemical staining and ex vivo culture with growth factors. Methods : The mononuclear cells were isolated from fetal liver and bone marrow with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ITP) and pancytopenia. These mononuclear cells were cultured in $MegaCult^{TM}-C$(Stem Cell Tech, Canada) media in the presence of growth factors and CFU-Megakaryocyte( CFU-Mk) colonies were counted on day 12. The expansion of CD34+ and CD41+ cell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after 5 days incubation using flask culture. Results : The numbers of CFU-Mk colonies of mononuclear cells obtained from fetal liver in the 11th week gestational age were more than those in the 19th week specimens; growth factors could not enhance the colony expansion in all cases. Total numbers of CFU-Mk colony of fetal liver cells were higher than bone marrow from ITP or pancytopenia groups. The numbers of pure or large CFU-Mk colonies of fetal liver cells were also higher than bone marrow specimens. The rate of CD34+ cell expression of fetal liver was increased after flask culture and the enhancement effect of epression was seen only in cases which added thrombopoietin. The rate of CD41+ cell expression of fetal liver was increased after incubation, but the enhancement effect of growth factors was unclear.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good results about the megakaryocyte colony assay of fetal liver mononuclear cells using $MegaCult^{TM}-C$ medi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etal liver could be a good source of megakaryocytic progenitor cells for clinical application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KCI등재후보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신이식 전후의 골수소견 및 생체외 CFU - GM 에 관한 연구

        김홍기(Hong Khee Kim),방동수(Dong Soo Bang),이기영(Khee Yong Lee),권오선(Oh Sun Kwon),이태원(Tae Won Lee),임천규(Chun Kyu Im),윤휘중(Hwi Joong Yoon),조경삼(Kyung Sam Cho),김명재(Myung Jae Kim) 대한내과학회 1987 대한내과학회지 Vol.33 No.4

        N/A We have studied bone marrow finding and inhibitory effect on the CFU-GM culture in 8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who had been treated with renal transplantation. Tho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There was not alteration on neutrophil count in peripheral blood but increased cellularity of bone marrow and decreased M/E ratio were observed after renal transplantation. 2)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CFU-GM colony count of bone marrow cell itself before and after renal transplantation. 3) The effect of serum of the patients on the CFU-GM culture showed no difference before and after renal transplantation, 4) The CFU-GM colony count did not correlate with the duration of renal failure and hemodialysis, level of renal function, or neutrophil count in petipheral blood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erythropoiesis can be improved, bu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effect on the CFU-GM colony count after renal transplantation.

      • 마우스 골수에서 CFU-G.M 배양에 대한 연구

        백인기 인제대학교 1994 仁濟醫學 Vol.15 No.2

        C57 black mouse 56마리의 골수에서 세포집락 성장촉진인자인 PWMSCM을 사용하여 골수 간세포인 CFU-G.M을 배양하였고 그 결과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o try quantitative and selective culture of Colony Forming Unit - Granulocyte, Monocyte(CFU-G.M) in mouse bone marrow, bone marrows of 56 C57 black mice were extruded from both femurs by enforced media infusion method. Pokeweed mitogen spleen cell conditioned media(PWMSCM) was used as a growth promoting activity in culture. It is easy to make PWMSCM in small laboratory and is considered to be a useful promoting activity instead of mouse lung conditioned medium. Agar removal, drying and Wright -Giemsa staining method was used for colony counting and was cosidered to be superior to classical methods such as inverted microscopy and in situ staining to count CFU-G.M colonies accurately. The mean number of CFU-G.M colonies formed was 36.43/ 1x106 cells / dish and I believe this quantitive clonal assay method of CFU-G.M is more advanced method than classical methods and would be helpful for further murine and human In vitro stem cell studies.

      • KCI등재

        개인용 컴퓨터 내부에서 발견되는 세균과 곰팡이

        권길광(Kil Koang Kwon),윤석민(Seok Min Yoon),최창호(Chang Ho Choi),정봉근(Bong Geun Jeong),이기원(Ki Won Lee),이동희(Dong Heui Yi),김형주(Hyung Joo Kim) 大韓環境工學會 200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에서는 개인용 컴퓨터(PC) 내부의 시료를 채취하여, 세균의 CFU와 곰팡이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시료는 대중 PC 이용시설(PC방), 대학실험실 및 대학 전산실습실의 PC 51대에서 채취하였다. CFU(colony forming unit)법을 이용한 세균수의 경우, 컴퓨터 총 작동시간이 증가할수록 PC 내부의 세균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r2 = 0.90), PC 내부 부품 중에서는 CPU 냉각 팬에서 가장 높은 수치로 확인되었다(평균 605 CFU/cm2). 곰팡이의 경우, 다수의 유해성을 지닌 곰팡이가 검출되었으며, 그 중 Aspergillus sp.와 Penicillium sp.가 가장 많은 비율로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PC 내부에서 채취된 먼지에서는 mg 당 212 CFU의 세균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PC 내부에는 여러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는 PC의 취급, 사용 및 정비 시 각종 미생물에 의한 감염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Presence and distribution of bacteria and fungi in inner compartment of PCs(Personal Computers) were investigated. Samples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inside of PCs which had been used in various facilities including public computer facilities, laboratories and computer training rooms of a university. Total number of PC examined in this study was 51 each. When the total CFU(colony forming unit) of the inner compartment of the PCs was measured, the bacterial count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operation time(total running time) of PCs. When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in the inner compartment of PCs was estimated, CPU(Central Processing Unit) cooling fan area showed the highest bacterial concentration(average 605 CFU/cm2). In the case of the fungi, various opportunistic pathogens including Aspergillus sp. and Penicillium sp.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in the inner compartment of PCs. And the average of bacterial number in the dust collected from the PCs was 212 CFU/m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andling of PC might have a risk of infection by the microorganism.

      • 골수, 제대혈 및 가동화된 말초혈액에서 Megakaryocyte 집락의 형성능력 비교

        홍대식,김정아,김숙자,박성규,서원석,박희숙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2

        연구배경 : MK 집락배양은 적절한 배양조건과 배양후 MK 집락을 확인하기 어려워 다른 집락배양에 비하여 늦게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면서 최근에는 체외에서 MK를 증폭하거나 TPO, IL-11등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사용으로 이식 후 혈소판의 감소를 극복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MegaCult^(TM)(Stem Cell Technologies Inc, Vancouver, Canada)를 이용하여 제대혈, 가동화된 말초혈액, 골수를 이용하여, 조혈원 간의 MK 집락 형성능력을 비교하였으며, 앞으로 이러한 방법을 생체 외 MK 증폭 실험 뿐만 아니라 혈소판질환의 병태생리를 연구하는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방법 : 말초 조혈모세포는 정상인에게 G-CSF 300㎍을 5일간 피하 주사 한 후 혈액분반기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골수는 동종 골수이식 시 공여자로부터 동의를 얻은 후 채취하였으며, 제대혈액은 정상 분만 후 태반과 제대로부터 얻었다. 단핵구와 CD34^(+) 세포를 분리하여 MegaCult^(TM)를 이용하여 MK 집락을 배양하고, 항 GPIIb/IIIa를 이용하여 이를 확인하고 도립현미경하에서 집락수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단핵구를 이용한 MK 집락 비교에서 순수 MK, 혼합 MK 집락 모두 제대혈에서 가장 많은 집락 형성능을 보였고, 골수, 말초 조혈모세포 순이었다. 2) CD34^(+) 세포를 이용한 MK 집락은 각 조혈원에서 양호하게 형성됨이 관찰되었고, 단핵구를 이용한 MK 집락 배양에서처럼 제대혈, 골수, 말초혈액 순으로 제대혈액내에서 가장 많은 집락 형성을 보였다. 3) 단핵구 또는 CD34^(+) 세포를 이용한 집락 배양 시에도 MK를 포함한 전체 집락이 제대혈액에서 가장 많이 형성되었다. 결론 : 각 조혈원의 MK배양에 IL-3, IL-6, TPO가 포함된 MegaCult^(TM)를 사용하였으며 배양된 집락중 megakaryocyte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GPIIb/IⅡa 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이 시행한 MK집락 배양과 GPIIb/IⅡa를 이용한 면역조직학적 염색은 혈소판의 병태 생리를 이해하고, MK 증폭을 포함한 이식 후 혈소판 회복을 증진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실험의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Background: In vitro colony assay procedures for detecting human erythroid and granulocyte-macrophage progenitors have been in widespread use for many years. However, the development of reproducible assay methods for human megakaryocyte (MK) progenitors lagged considerably behind.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is: First, the growth conditions initially optimized for other blood cell lineages are not optimal for MK progenitor cell growth. Secondly, the specific recognition of MK colonies requires fixation of the cultures and immunocytochemical staining of the cells for MK-specific antigens. The Methocult^(TM) system for detcting human clonogenic MK progenitors uses a medium containing a defined serum substitude to minimize the inhibitory effects of factors like TGF-β that are found in most sera. Three categories of colonies can be identified in cultures set up with Methocult^(TM): pure MK colonies; mixed MK colonies (containing other lineages as well as MK); and non-MK colonies (containing only other lineages of cells). Methods: This assay has been used to determine the range of MK progenitors present in a series of umbilical cord blood, peripheral blood and bone marrow samples. The MK colonies are detected by staining of the cells with a primary antibody to the MK-specific antigen GPIIb/IIIa (CD41). Results: We enumerated pure CFU-MKs in G-CSF mobilized peripheral blood (MPB), BM and umbilical cord blood (UCB). CFU-MK were detected in MPB, BM, and UCB at incidences of 1.00±0.82, 6.75±2.22, 8.00±1.83 of 5×10⁴mononuclear cells and at incidences of 19.00±03.37, 40.33±17.21, 99.00±54.76 of 5×10³ CD34^(+) cells. The highest number of pure CFU-MK was seen in UCB. The other colony counts (mixed CFU-MK, non-MK CFU) were also higher in UCB than in MPB and BM. Conclusion: We speculate that UCB should be better source of CFU-MK than any other stem cell sources.

      • GM-CSF가 골수줄기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동하 ( Dong Ha Han ),곽민근 ( Min Geun Kwak ),최병현 ( Byung Hyune Choi ),하윤 ( Yoon Ha ),박현선 ( Hyun Seon Park ),민병현 ( Byoung Hyun Min ),우제홍 ( Ze Hong Woo ),박소라 ( So Ra Park )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05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2 No.3

        The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ematopoiesis of bone marrow-derived cells and the modulation of their functions as well as the maintenance of homeostasis and overall immune compete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M-CSF on the activation of bone marrow stem cells in rats. GM-CSF was treated to SD rats via intraperitoneal injection everyday at 10 mg/ml for 5 consecutive days. After 6 days, the bone marrow (BM) and peripheral blood (PB) mononuclear cells (MNC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U-F), colony forming units-granulocyte macrophage (CFU-GM), and burst-forming units-erythroid (BFU-E). In result, the numbers of MNCs and the CFU-GM and BFU-E counts in BM were all decreased, while those of PB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GM-CSF induced the proliferation and mobilization of MNCs and hematopoietic stem cells (HSCs) to PB. The CFU-F counts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both in BM and PB suggesting that GM-CSF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contrast, the increase in the alkaline phosphatase expression of CFU-F colonies in BM indicates that GM-CSF might induce the differentiation of MSCs at least to some extent. In conclusion, GM-CSF not only plays important roles i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in BM but also promotes migration of HSCs into P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