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

        김성완(Seong Wan Kim),염진섭(Jin S. Yeom),권윤주(Yoon Ju Kwon),유승민(Seung Min You),안영희(Young Hee An),박건우(Kun-Woo Park),장봉순(Bong-Soon Chang),이춘기(Choon-Ki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와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 삽입 시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을 CT를 이용한 나사 삽입 시뮬레이션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166명의 환자의 1 ㎜ 간격 CT 영상과 나사 삽입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두 나사의 삽입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하여, 나사에 의한 제 2 경추 척추동맥구 침범의 발생율을 비교하였다. 이 중 상위 척추동맥에서의 척추동맥구 침범의 발생률을 다시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166명에 두 가지 나사를 각각 삽입한 결과,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는 9.9% (33/332),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는 5.7% (19/332)의 척추동맥구 침범을 일으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McNemar test). 상위 척추동맥 48개만을 분리하여 분석해 본 결과,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는 62.5% (30/48),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는 37.5% (18/48)의 척추동맥구 침범을 일으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McNemar test). 결론: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는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보다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이 낮았으며, 상위 척추동맥의 경우에도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이 낮았다. Purpose: We compared the risk of vertebral artery injury associated with the insertion of C1-2 transarticular screws and C2 subarticular segmental screws using a computer simulation of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Materials and Methods: We simulated the placement of C1-2 transarticular screws and C2 subarticular segmental screws using 1-mm interval CT scan images in 166 patients, along with simulation software. We then determined the incidence of violation of the C2 vertebral artery groove. The same determination was performed for high-riding vertebral arteries found among those patients. Results: Among the 332 C2 vertebral artery grooves (166 patients), C1-2 transarticular screws violated the groove in 33 (9.9%) instances, while C2 subarticular segmental screws violated the groove in 19 (5.7%) instances. The difference in incidence between the two screw typ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McNemar test). In the 48 high-riding vertebral arteries, C1-2 transarticular screws led to violation of the C2 vertebral artery groove in 30 (62.5%) instances, while C2 subarticular segmental screws led to violation of the groove in 18 (37.5%) instances. The difference in incidence between the two screw typ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2, McNemar test). Conclusion: Use of C2 subarticular segmental screws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vertebral artery injury than is the use of C1-2 transarticular screws, even for high-riding vertebral arteries.

      • KCI등재

        제2경추 관절하 나사와 제1경추 외측괴 나사를 이용한 제1-2경추간 고정술

        원종화(Jong Hwa Won),염진섭(Jin Sup Yeom),민학진(Hak Jin Min),윤의성(Ui Seong Yoon),장봉순(Bong-Soon Chang),이춘기(Choon-Ki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6

        제1-2경추간 분절 나사 고정술은 제1-2경추간 아탈구의 치료에 유용한 수술 방법이다. 현재로서는 제1경추에는 외측괴 나사를, 제2경추에는 척추경 나사를 사용하는 방법이 표준적이나, 후자는 삽입 도중 척추동맥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심각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에 1 ㎜ 간격 CT와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연구에서 제2경추 척추경 나사보다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이 적은 새로운 궤도인 제2경추 관절하 나사를 제안한 바 있다. 저자들은 제2경추 관절하 나사와 제1경추 외측괴 나사를 사용한 제1-2경추간 분절 나사 고정술의 첫 번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제1-2경추간 아탈구와 척수증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술 후 만족할 결과를 얻었다. Segmental screw fixation is a useful procedure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atlantoaxial subluxation. Currently, C1 lateral mass screws and C2 pedicle screws are the standard screws used in this procedure. However, the C2 pedicle screw can cause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vertebral artery injury. Recently we suggested a new trajectory for the C2 screw, the subarticular screw, which has a lower probability of vertebral artery injury compared with the pedicle screw, based on a study using 1 mm-sliced CT scan images and simulation software. We report the first case of segmental screw fixation using C2 subarticular screws along with C1 lateral mass screws. The patient had atlantoaxial subluxation and myelopathy and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fter surgery.

      • KCI등재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 -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와 1-2 경주간 경관절 나사의 비교

        김성완,염진섭,권윤주,유승민,안영희,박건우,장봉순,이춘기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 No.

        <P>목적: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와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 삽입 시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을 CT를 이용한 나사 삽입 시뮬레이션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P><P> 대상 및 방법: 총 166명의 환자의 1 ㎜ 간격 CT 영상과 나사 삽입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두 나사의 삽입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하여, 나사에 의한 제 2 경추 척추동맥구 침범의 발생율을 비교하였다. 이 중 상위 척추동맥에서의 척추동맥구 침범의 발생률을 다시 비교하였다.</P><P> 결과: 전체 166명에 두 가지 나사를 각각 삽입한 결과,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는 9.9% (33/332),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는 5.7% (19/332)의 척추동맥구 침범을 일으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McNemar test). 상위 척추동맥 48개만을 분리하여 분석해 본 결과,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는 62.5% (30/48),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는 37.5% (18/48)의 척추동맥구 침범을 일으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McNemar test).</P><P> 결론: 제 2 경추 관절하 분절 나사는 제 1-2 경추간 경관절 나사보다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이 낮았으며, 상위 척추동맥의 경우에도 척추동맥 손상의 위험성이 낮았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