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십승지에 대한 의미 변화와 변산 십승지의 위치 추정

        조성욱 한국지리학회 2020 한국지리학회지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십승지의 시대에 따른 의미변화와 그에 따른 자연조건을 살펴보고, 전북 부안 변산 십승지의 위치를 추정해 보았다.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십승지는 지리적으로는 동천복지형(洞天福地型)에 속하며, 사상적으로는 풍수도참류의 한국적 이상향이다. 다양한 비결류에서 제시된 십승지는 16곳이며, 같은 장소이지만 시대에 따라 피난처, 가거지, 은거지, 경승지로서 장소적 의미가 변해 왔다. 둘째, 변산 지역에서 십승지의 조건에 부합하는 지역은 내변산 지역 중에서 변산면 중계리의 중계 계곡, 상서면 청림리의 회양 계곡 그리고 내변산 동쪽에 위치하는 상서면 감교리의 울금바위, 보안면 우동리의 굴바위 등 4군데로 좁힐 수 있다. 셋째, 비결류에 나타나는 변산 십승지의 자연조건만을 고려했을 때 4곳의 가능한 지역 중에서 상서면 감교리의 울금바위와 보안면 우동리의 굴바위가 가능성이 높은 지점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비결류에 제시된 조건과 변산 십승지가 처음 제시될 때 피장처의 의미가 강했다는 측면을 고려하면, 이 중 상서면 감교리의 울금바위 주변 지역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In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changes of the Ten-good-places according to the times and identification the location of Byeonsan place of Buan in Jeonbuk.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en-good-places are geographically belonging to ‘Dongcheon Bokji Type’ (a scenic spot where sacred man live in Taoism), and it is the Korean ideal place of ‘Feng Shui’ in ideology. There are 16 places presented in various secret books and the meaning of the place has changed as a refuge, a shelter, a retreat, a scenic place according to the times. Secondly, there are 4 places with Ten-good-places conditions in Byeonsan area, which are Jung-gye Valley (Byeonsan-myeon), Hoe-yang Valley (Sangseo-myeon), and Ulgum Rock (Sangseo-myeon), Gul Rock (Boan-myeon). Thirdly, considering only the natural conditions in the secret books, Ulgum Rock and Gul Rock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probable places. However, the most likely to be the place is around Ulgum Rock area because it has the conditions of a shelter in first presented.

      • KCI등재

        변산반도 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조규성,양우헌,신순선,오재명,정덕호 한국지구과학회 201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3 No.7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the geological fieldwork of Jeokbyeokgang area located in the national park of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Buangun, Jeonbuk, Korea. Th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are used in middle school science to effectively teach the fieldwork of the area. The sedimentary succession of Jeokbyeokgang area in the Cretaceous age, Mesozoic, represents the large-scale and distinctive sedimentary structures on sea cliffs, which are worth developing as teaching materials for the earth science fieldwork. The area of Jeokbyeokgang also comprises various geological structures related to the advanced learning programs as well as those within the curriculum of earth science in middle school level. A five-step fieldwork model was applied to 20 students in middle school earth science.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students' responses to the process of the fieldwork activity. Results indicated that the fieldwork activity using th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was effective in helping the students to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earth science. 이 연구는 전북 부안군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 적벽강 지역의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를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적벽강 지역의 중생대 백악기 퇴적층은 해안절벽에 형성된 큰 규모의 뚜렷한 퇴적구조와 암석을 관찰할 수 있어 지구과학 교과 야외학습 자료로 개발할 만한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중등 과학과 교과과정의 일반적 내용, 심화학습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지질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5단계 야외학습 모델이 중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20명에게 적용되었다. 이 연구는 야외학습 과정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발한 학습자료를 이용한 야외지질학습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인식을 높였고 학습 활동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변산반도 유람록의 관광학적 고찰- 소승규 유봉래산일기를 중심으로 -

        김경미 한국관광산업학회 2018 Tourism Research Vol.43 No.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tourism and related material through th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travelers’ journals that was written by the Confucian scholars(sadaebu in Korean). I think that can be beyond the basis of the achievement of neighboring academic studies, such as literature and cultural history, the category could also be expanded to one area of tourism research. Traveler's Journals about mountain and river left by ancestors can be utilized as useful resources to keep track of the tourism phenomenon at that time. For this point of view, I selected travelers’ journals that were written based on regional resources, conducted research that classify tourist’s behavior. It was intended to discover regional characteristic contents through penetrate frame past and present within category of the tourism history. Byeonsan-peninsular in Buan Jeollabuk-do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park in 1988, already it has been visited by lots of classical tourist before. Several traveler’s journal that written by them are remain until these days. Among the old travelers’ journals, 「Traveler's Diary of Mt. Bongrae」, which was written by 'So Sueng-gyu' in late nineteenth century, is selected to me as a core material for this research. The depictions of this is written in a very detailed manner, which provides the diversity in the journey, and in the behavioral patterns of the tour. To ensure maximum detail of the original materials, the analysis results were subdivided into travel motives, number of companions, travel period, travel routes, schedule, lodging, food, local customs, and tourism resour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 such as creating storytelling and developing tourism courses that are applicable to tour sites. 인문관광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현전하는 사대부들의 유람록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그동안 문헌사나 문화사 등 인접학문에서 이뤄낸 연구성과의 토대를 넘어, 관광학 연구의 한 영역으로 그 범주가 확대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선인들이 남긴 산수유람록은 당시의 관광현상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지역자원을 소재로 하는 유람록을 선정하여, 관광자 행동유형을 분류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관광사의 범주 안에서,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는 지역특성 콘텐츠 발굴의 계기로 삼기 위함이다. 전라북도 부안 변산은 1988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이전에도 수많은 선인 유람객들이 찾아들었던 곳으로 몇몇 기록물이 남아있다. 그중에서 19C말 소승규의 「유봉래산일기(遊蓬萊山日記)」를 핵심 연구자료로 선정하였다. 여정에 대한 기술(記述)이 구체적이어서, 이동경로와 행동양태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원 자료의 구체성이 최대한 담기게 하기 위해, 관광동기·동반인원·여행기간·동선과 일정·숙박과 음식·지역풍습·관광자원 등으로 세분화한 분석결과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가 관광현장에 적용 가능한 스토리텔링 구축 및 관광코스 개발 등 실용화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18세기 전라도 지역 무신란(戊申亂)의 전개과정

        변주승(Byun, Ju-Seung),문경득(Mun, Gyeong-De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무신란(戊申亂)은 영조 4년(1728)에 경기,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서 영조의 왕위계승 정통성을 부정하며 일어난 반란이다. 본 논문은 무신란에 대한 조사와 처결이 기록된 ?무신역옥추안(戊申逆獄推案)?을 주로 활용하여, 전라도 지역에서 일어난 무신란을 크게 반란군의 부안 평교 집결과 박필현의 태인 거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반란군의 부안 평교 집결은 정세윤과 원만주가 포섭한 부안 인근 지역의 반란군이 3월 15일에 평교에 집결한 사건이다. 원래 이들은 3월 19일에 평교에 집결해 청주로 이동해 반란군과 합류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인좌의 급한 연락을 받은 정세윤과 원만주가 먼저 청주로 이동한 뒤, 15일에 부안 평교에서 집결했다. 그러나 주동자의 부재와 악천후, 적은 규모 등으로 인해 해산했고, 일부만 청주로 이동해 반란에 가담했다. 집결의 주모자인 정세윤은 변산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물인데, 기존의 연구에서 변산적은 흔히 ‘변산의 도적 무리’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정세윤의 행적과 실제로 반란에 가담한 자들을 분석해본 결과,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 무리’였다. 박필현의 태인 거병은 당시 태인 현감이던 박필현이 관군을 이끌고 태인을 출발하여, 3월 22일 새벽 전주성 서쪽 삼천까지 진출하여 전주성을 공략하려 했던 사건이다. 박필현은 반란군을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태인의 군사를 이끌고 전주성의 군사와 합류했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배신하여 전주성을 장악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태인 현감에서 파직되고, 부안과 나주의 반란군이 계획대로 오지 않자, 박필현은 태인의 관군만을 거느리고 전주성으로 향했다. 그는 전라감사 정사효에게 편지를 보내 포섭을 시도했으나, 전주영장 이경지가 편지를 받아들이지 않아 실패했다. 이에 바로 청주로 이동할 뜻을 밝히자, 박필현의 목적이 반란군 토벌이 아니라 반역이라는 사실을 알아차린 태인의 관군들이 도망쳐, 박필현의 태인 거병은 실패로 돌아갔다. 다음과 같은 몇가지 점에서 본 논문의 연구 의의가 있다. 첫째, ?무신역옥추안?에 나오는 관련자의 진술을 비교?검증하여, 전라도 지역 무신란의 전개과정을 파악했다. 둘째, 무신란의 전개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기존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지 못한 ‘정세윤’을 분석했다. 셋째, 무신란 당시의 ‘변산적’이 하층민으로 구성된 변산의 도적 무리라는 기존 견해와 달리, ‘변산의 역적 무리’임을 밝혔다. In 1728, there was the national-wide The Musin Revolt against King Yeongjo(英祖) in Gyeonggi(京畿), Chungcheong(忠淸) and Jeolla(全羅) province. I conducted research about the Musin Revolt by using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戊申逆獄推案?)” and, in particular, examined the gathering of armed forces in Bu`an(扶安) Pyeonggyo(平橋), and marching of Bak Pil-hyeon(朴弼顯)’s Taein(泰仁) army. Th Rebel forces in locality of Bu`an assembled at Pyeonggyo until March 19. they originally planed to move to Cheongju(淸州) and join in rebel forces; but Jeong Se-yun(鄭世胤) left for Cheongju after receiving the urgent message from Lee In-jwa(李麟左), and the others gathered at March 15. However, they were dispersed due to the absence of rebellion leaders and inclement weather, scaled-downed forces. Bak Pil-hyeon who was local governor of Taein planned to lead the army of Taein to convert to the rebel forces. So he assembled the army and marched on Jeonju at March 22. However, rebel forces of Bu`an and Naju did not arrive, and he was also dismissed from the governor. Thus he solely moved to Jeonju. He sent a messenger to Jeong Sa-hyo(鄭思孝), the Govenrnor of Jeonju, and tried to embrace the army of Jeonju. However, Commanding officer of Jeonju, Lee Gyeong-Ji(李慶祉) refused to accept this attempt. Additionally the army of Taein realized Bak Pil-hyeon`s plan to convert itself to the rebel forces, they scattered immediately and Bak Pil-hyeon failed to implement the plan for revolt. This thesis is important in conducting research about following things. First, this thesis analyzes the statements of people concerned who are recorded on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Musin Revolt in Jeolla Province. Second, it examines Jeong Se-yun whom precious studies did not focus on. He did not onl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entire Musin revolt. Third, this it proves that ‘the bandits of Byeonsan’(邊山賊) were comprised of people in the low class, and actually rebellious local residents.

      • KCI등재

        소승규 <유봉래산일기> 소재(所載) 한시 연구

        김미선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60 No.-

        <Yubongraesan Ilgi(遊蓬萊山日記)>(Mt. Bongrae Travel Diary) is a diary written by So Seung-gyu(蘇昇奎, 1844~1908) with a pen name of Nangok(蘭谷), a scholar from Iksan, Jeollabuk-do, while on a tour of Byeonsan Mountain in Buan, Jeollabuk-do.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poems in <Yubongraesan Ilgi> by So Seung-gyu along with the summarization of their meanings. The Sino-Korean poems in <Yubongraesan Ilgi> are recorded, intersecting with the prose descriptions, and the entire Suchangsi poems(酬唱詩) are recorded. Suchangsi means poems which are sung by exchanging poems. <Yubongraesan Ilgi> contains a total of 82 Sino-Korean poems. Among them, So Seung-gyu's Sino-Korean poems are 29, and others' Sino-Korean poems are 53.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poems from <Yubongraesan Ilgi>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they portray landscapes not found in prose descriptions, thereby enriching the description of the Byeonsan area. Second, they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narrative by including other people's perspectives on the Byeonsan area. Third, they fix the tourist's gaze on the scenic spots in the Byeonsan area, thereby highlighting the scenic spots. Fourth, they summarize the entire Byeonsan travel and leave a lasting impression. As in So Seung-gyu’s <Yubongraesan Ilgi>, if Sino-Korean poems are included right in the context of composing Sino-Korean poems,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grasp the situation of composing the poems while traveling. In addition, <Yubongraesan Ilgi> contains a wealth of various Sino-Korean poems about the tour of Byeonsan,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discovery of Sino-Korean poems in the Byeonsan area and the study of scenic spots. <유봉래산일기(遊蓬萊山日記)>는 전북 익산의 선비 난곡(蘭谷) 소승규(蘇昇奎, 1844~1908)가 전북 부안의 변산(邊山)을 유람하고 쓴 일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승규 <유봉래산일기> 소재 한시의 현황과 특징을 살피고, 그 의미를 정리하였다. <유봉래산일기>의 한시는 산문 서술과 교차하여 수록되어 있으며, 수창시(酬唱詩) 전체가 수록되어 있다. <유봉래산일기> 소재 한시의 전체 수량은 82수이며, 이중 소승규의 한시가 29수, 타인의 한시가 53수이다. <유봉래산일기> 소재 한시의 특징은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산문 서술에 없는 풍경도 묘사하여 변산 지역을 풍부하게 담는다. 둘째, 변산 지역에 대한 타인의 시각을 담아 서술의 신뢰성을 높인다. 셋째, 변산 지역 명승지에 시선을 멈추게 하고 명승지를 부각시킨다. 넷째, 변산 유람 여행 전체를 종합하고 여운을 남긴다. 소승규 <유봉래산일기>와 같이 한시를 짓게 된 상황 속에 한시가 바로 수록된 경우, 곧바로 여행 중 작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봉래산일기>에는 변산 유람 여행에 대한 여러 사람의 다양한 한시가 풍성하게 담겨 있어, 변산 지역 한시 발굴 및 명승지 연구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변산반도의 관음신앙

        송화섭(Song Hwa-Seob) 역사문화학회 200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5 No.2

        The Byeonsan peninsula is part of the Jeonbuk Province Buan-gun area. A particular place which seems to have been a site for memorial services, suggests that people at the time have been performing certain services ever since the 4th century, hoping that the entities responsible for the safety of the sea would look after them. The people of the Baekjae dynasty already knew that the Byeonsan peninsula was an important area for sea traffic. There are also tales depicting the Gwaneum's arrival and various types of pictures depicting the Gwaneum figure, found, collected or confirmed through the area. The mystic religions involving the Gwaneum figure are mostly found in the Seonun-san mountain and other areas. The tales and pictures collected in this area suggest that the area was immensely prospering at the time as one of the most strategically important traffic points. And from the site which seems to have been meant for memorial services, the artifacts from the Chinese and Japanese people were also found, suggesting that the area was indeed a focal point, crowded with both domestic and foreign entities who exchanged cultural qualities in the process. In China, the Botarakga Island of the Jujang(浙江) area was one of the most famous places to deliver a prayer for the safety of ships passing by. According to the record of Seo Geung, who was a Chinese emissary to Koryo, it seems that there was a seaway established between this island and the Byeonsan peninsula of Koryo. The Gwaneum worship which was introduced to the Koryo dynasty seem to have originally been from the Botarakga- Isl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Shilla dynasty, ships carrying mercenaries and emissaries seem to have usually delivered a prayer or memorial services at this place hoping the Gwaneum figures to oversee their safety. These kinds of worships are still being strongly demonstrated by the big part of the public, today.

      • KCI등재

        변산반도 해조류 군집구조의 계절적 변동

        한수진,최한길,이지회,전다빈,오지철,김보연,박향하,남기완 한국수산과학회 201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7 No.3

        We examined seasonal variation in the structure of marine macroalgal communities at five sites around the Byeonsan Peninsula, Korea, from January to October 2011. Sixty eight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1 green, 17 brown and 40 red algae. Species richness was highest at Gyeokpo (51 species) followed by Sambal (47), Gosapo (34), Byeonsan (33), and Habgoo (18). Seaweed biomass ranged from 12.98 to 145.33 g dry wt/m2, with maximum and minimum biomasses at Gyeokpo and Habgoo, respectively. Sargassum thunbergii was the representative alga spe- cies occupying 47.89% of the total biomass. The dominant seaweeds were S. thunbergii, Corallina pilulifera , Ulva spp, Gracilaria vermiculophylla , and Carpopeltis affinis . No distinctive vertical distribution of seaweeds was found because S. thunbergii, Ulva spp, and G. vermiculophylla were all distributed from high to low shore. Community indices were as follows: dominance index (DI), 0.44–0.61; richness index (R), 6.27–10.35; evenness index (J'), 0.38–0.59; and diversity index (H'), 1.48–1.71. Gyeokpo had the most biomass and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the lowest percentage of Ulva species. However, species richness declined at Gyeokpo, from 78 to 51 species within 10 years, implying that eutrophication and sedimentation from Mankyeong and Dongjin rivers have reduced the stability of seaweed communities.

      • KCI등재

        영조대 戊申亂관련 邊山賊의 성격

        문경득(Mun, Gyeong-Deuk)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3

        戊申亂은 영조 4년(1728)에 경기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서 일어난 반란이다. 반란의 성격에 대해 당쟁의 연속선상에서 일어난 정치적 반란으로 보는 시각과 ‘明火賊’을 비롯해 다양한 계층의 민중들이 참여한 반란으로 보는 해석이 있다. 이중 ‘邊山賊’의 성격과 가담여부는 무신란 성격 규명에 있어 주요 쟁점이다. 기존 연구에서 변산적은 일반적으로 ‘도적무리’의 의미로 보고 있는데, ‘역적무리’로 해석할 여지도 존재한다. 게다가 해석에 앞서 사실의 문제가 있다. 변산적에 관한 주요 사료가 피의자의 진술인데 조선시대에는 刑訊이 가능했으므로 고문에 이기지 못하고 허위자백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변산적에 관한 주요 진술을 검토하여 변산 도적무리의 실재 여부와 무신란과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변산적의 성격이 변산의 역적무리라고 한다면, 실제 관련된 사람들은 누구인지 밝혔다. 먼저 변산 도적은 실재여부를 검토하였다. 호남별견어사 이광덕의 보고에 따르면 변산적에 대한 과장된 소문이 있었으나 실은 좀도둑들만 존재한다고 한다. 실제로 체포되어 조사받은 변산 도적 3인의 진술을 검토한 결과 이들은 반란모의와 연관이 없었다. 또한 다른 무신란 관련자들의 진술은 그들은 변산 도적에 대해 잘못 알고 있던 내용을 진술한 것에 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변산 도적의 지도자로 알려진 鄭八龍에 대한 진술들도 변산 도적과 관련이 없었으며, 정팔룡은 경상도의 정희량이나 경기도의 정세윤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변산의 도적은 실재했으나, 무신란과는 관련이 없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변산적은 역적무리임이 유력해졌다. 이에 먼저 변산도적과 결탁한 지역의 토호로 알려진 金守宗과 金守亨이 반란에 가담하였는지 분석하였다. 그러나 高應良과 姜渭徵의 진술 등을 검토한 결과, 김수종과 김수형은 변산적과 관련이 없었다. 반면 전라감사 이광덕은 평교에 집결했던 반란군과 반란 준비에 관여한 송하 패거리가 변산적이었다고 보고했다. 무신란 이후 조정의 논의를 살펴봐도 평교에 집결한 반란군이 변산적으로 거론된다. 따라서 무신란과 관련된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무리로, 평교에 집결한 반란군과 반란 모의에 가담했던 송하 패거리였다. 결론적으로 변산적을 변산의 도적무리라고 보고, 이를 전제로 무신란의 성격을 정의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이었으며 이들은 박필현, 이인좌, 정희량처럼 신분과 당색이 뚜렷하지 않았으므로 당쟁의 연속선상에서 일어난 사건이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전라도지역 무신란의 성격도 재해석할 여지가 있다.

      • KCI등재

        변산반도 조간대 표층 퇴적물의 퇴적률 및 저서환경 변화

        정래홍,황동운,김영길,고병설,송재희,최희구 한국수산과학회 201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3 No.6

        To understand temporal variations i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around Byeonsan Peninsula (in the middle of the western coast, Korea) after the construction of Saemanguem dyke, the sedimentation rate and various ge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mean grain size (Mz), water content (WC),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acid volatile sulfide (AVS), were measured along four transects (A–D lines) at monthly intervals from February 2008 to March 2009. The average monthly sedimentation rate ranged from -5.3 to 3.8 mm/month (mean -0.8 ± 2.7 mm/month), which showed an erosion-dominated environment in the lower part of the intertidal zone. In addition, surface sediments were eroded in summer and autumn, but were deposited in spring and winter. The Mz of surface sediments ranged from -0.8 to 3.4∅ (mean 2.8 ± 0.5∅), indicating that the surface sediments consist of coarser sediments (sand and slightly gravelly sand). The Mz of surface sediments did not show large monthly and/or seasonal variations, although the sedimentation rates of surface sediment showed large seasonal variation. This may be due to lateral shifting and effective dispersion of surface sediments by wind, tide, and longshore current. The concentrations of IL and COD in the surface sediments ranged from 0.2 to 2.9% (mean 1.4 ± 0.4%) and from 0.2 to 18.5 mgO2/g-dry (mean 3.9 ± 3.4 mgO2/g-dry), respectively, which were slightly higher in spring than in the other seasons. This may be related to spring blooms of phytoplankton in seawater and/or benthic microalgae in surface sediments. On the other hand, no AVS concentrations were detected in surface sediments at any of the sampling stations during the study period.

      • KCI등재

        일기로 본 조선시대 변산반도 유람

        김미선 한국국학진흥원 2022 국학연구 Vol.- No.49

        본 논문에서는 일기를 통해 조선시대 변산반도 유람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변산반도 유람을 기록한 일기는 12편이 확인되며, 저자 중 10명은 선비, 1명은 승려였다. 이들은 관직과 관련하여 변산반도 인근에 머무르고 있던 경우, 변산반도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거주하여 변산반도 유람이 용이한 경우에 변산반도를 유람하였으며, 여러 지역을 유람하면서 변산반도를 들르는 경우도 있었다. 일기별 유람지점을 확인한 결과, 가장 많이 유람한 변산반도의 지점은 ‘실상사實相寺, 직소폭포直沼瀑布’로 9편의 일기에서이곳 유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암사開巖寺, 내소사來蘇寺, 월명암月明庵’은 7편의 일기에서 ‘격포格浦, 월정대月精臺’는 6편의 일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유람자들은 도보, 말, 가마 등을 이용하여 변산반도의 명승지를 찾았다. 그리고 유람지에 대한 설화를 듣게 되면 그것도 함께 기록하였다. 일기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변산반도 설화는 소정방蘇定方에 대한 것이었다. 또 유람지에서 한시를 수창하고, 술을 나누어 먹는 모습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변산반도 유람은 현재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첫째, 명승지로서 변산반도의 위상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변산반도 관광개발에 다양한 이야기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변산반도 문학을 집대성할 토대가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