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분재문기(分財文記)의 작성과정과 그 특징 -초문서원문서복문서(草文書原文書複文書)의 제작과 수취를 중심으로-

        문숙자 ( Sook Ja Moo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8

        본고는 조선시대 재산상속 문서인 분재기의 작성과 受取에 나타나는 사회사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분재기의 제작은 財主라 칭해지는 피상속인이 분재내역을 구술하고, 필집 혹은 상속인 중 한 사람이 그것을 書取하는 과정을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그 안에는 草文書라 지칭되는 초본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原文書로 정제되는 몇 단계의 제작과정이 숨어있다. 또 초문서는 두 가지의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정제과정을 거쳐 원문서로 화하는 초본 형태의 문서이고, 다른 하나는 원문서를 만들기 위한 대본 역할을 하는 재산목록 형태의 전혀 다른 형식의 문서이다. 각 가문의 재산관리 방식에 따라 분재기 제작과정이 달라지고 그 과정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초문서가 만들어진다. 즉 분재기 작성 방식에는 상속 주체들의 재산운영의 내용들이 숨어있다. 한편 분재기의 受取는 재산상속과 함께 분재기도 발급받았다는 전제하에 평등한 상속인의 권리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통념과 달리상속인수와 분재기 건수가 불일치하는 현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즉 상속인 사이의 보이지 않는 층위에 의해 분재기의 受取 자격이 결정된다는 점과, 사위보다는 아들이, 그리고 庶子보다는 嫡子가 분재기를 수취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추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실제 長男家와 壻家에서 각각 발견된 複文書로서의 분재기 중 衿付文記의 경우 壻家의 것은 딸(사위) 몫만 기록되어 있으나 長男家의 것은 장남과 차남 두 사람의 몫이 기록된 사례가 있다. 내용은 균분상속이되, 상속관념에 있어서는 사위에게는 일회성의 재산상속을, 장남에게는 동성 형제의 재산내역을 파악하고 운영할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재산승계를 의도했을 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분재기의 내용이 보여주는 재산상속의 변화가 사회사적 의미를 가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분재기의 작성 과정과 발급·수취에 나타나는 가문별 차이와 상속인 사이의 층위 역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분재기에 나타나는 재산상속의 사례보다는 그 이면, 즉 분재기 작성과 수취에 드러나는 관념체계를 통해 작성자들의 의도를 읽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이유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sociological meanings of preparing and acquiring Bunjaegi, which refer to property inheritance documents during Joseon. Preparation of Bunjaegi is based on a process of the inheritee dictat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Bunjae and the heir or someone else writing them down. Hidden in the process are, however, a couple of steps in which the primary documents(草文書) is made up and refined into the completed documents(原文書). There are two types of the primary documents; one is the draft -type documents, which becomes the completed documents through refinement; and the other is a sort of list of property completely different from it, serving as the script to prepare the completed documents. Every family has their own processes of preparing Bunjaegi according to the ways they managed property, in which process different types of the primary documents were created. That is, the way Bunjaegi was prepared contained the content about how the subjects of inheritance operated the concerned property. Under the assumption that Bunjaegi was issued along with property inheritance, the receiving Bunjaegi was regarded as a right to an equal heir. Unlike such a common idea, however, there were often cases in which the number of heirs and the number of Bunjaegi did not match. It is thus estimated that the receiving qualification of Bunjaegi was dependent upon the invisible hierarchy among the heirs and that it was highly likely that the sons and the legitimate sons would have a preferential right to Bunjaegi to the sons-in-laws and the bastard sons, respectively. As a matter of fact, when the plural documents(複文書) discovered in the house of the eldest son and that of the son-in-law contained the records about the individual share instead of the overall distribution, the son-in-law would be given only the document containing the records about the daughter(son-in-law)`s share and the eldest the records about the shares of the second eldest son as well as the eldest one himself. It is probably because such a heterogeneous Bunjaegi was required to allow the eldest son to inherit and manage the property of the head family unlike the son-in-law who inherited property only once. Just like the changes to property inheritance demonstrated by the content of Bunjaegi have sociological meanings, the differences among the families and the hierarchy among the heirs demonstrat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issuing, and receivng Bunjaegi also claim important significance. It is required to read the intentions of those who prepared the Bunjaegi through the ideological system reveal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receving Bunjaegi rather than the cases of property inheritance in Bunjaegi.

      • KCI등재

        유교 상속의 공정성: 분재기를 중심으로

        김우진 영남퇴계학연구원 2018 퇴계학논집 Vol.- No.2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what Confucian fairness and how it applies to inheritance of property, rather than ‘the justice of distribution’ in equal distribution or Western philosophy. It is also important to identify the fairness of Confucianism and the principles it applies to property inheritance, but it will also be meaningful to study it in Korean society today. Becaus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problem of inheritance from an eth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before it can be solved by a legal method. First, despite the criticism that Confucianism has negative factors such as blood ties, school ties, and regional relations,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it holds firmly the principle of guaranteeing fairness. Next,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at the Confucian standard of fairness is in Korea, where the Confucian culture still exists, and how the standard of fairness applies to property inheritance. Unconditionally, the method of equal distribution in property inheritance is not a fair distribution standard. For this work, this study analyzes the ‘Bunjaegi(分財記, property distribution record)’ of Seonbi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and idenfifies what is a fair distribution within it. 본 논문의 목적은 서구철학에서 규정하는 균등분배나 분배의 정의보다는 재산상속에서 유학의 공정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재산상속에 적용되는 유학의 공정성과 원리를 밝히는 것은 중요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그것을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왜냐하면 재산상속 문제를 법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기 전에 윤리적·문화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 우선, 유교가 혈연, 학연, 그리고 지연이라는 부정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유학이 공정성을 담보하는 확고한 원리를 가지고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다음으로, 유교문화가 여전히 존재하는 한국에서 공정성에 대한 유학의 기준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공정성 기준이 재산상속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재산상속에서 균등분배의 방식이 무조건적으로 공정한 분배기준은 아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본 연구는 조선 선비 가문의 ‘분재기’를 분석하고, 그 안에서 공정한 분배가 무엇인지 확인한다.

      • KCI등재

        朝鮮後期 서울 名門家의 家計經營―京都大學 河合文庫 소장 안동김씨 金壽增 남매 분재기 분석―

        안승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At Kyoto University and Tokyo University in Japan, many old documents (古文書) by eunuch, court lady or the yangban such as Andong Kim Clan in Jang-dong, Dongnae Jeong Clan in Hoehyeon-dong will be handed down. In this article, introduced the Bunjaegi (分財記) of Andong Kim Clan’s Kim Su-jeung, Kim Su-hang and his siblings, and looked at the size of their assets. In 1672, Kim Soo-jeung’s brothers distributed assets was amount to Slave 410 gu (口) and farmland 500 durak (斗落). It is considered a very meaningful case in that it is the size of Seoul’s academic and bureaucratic Yangban’s property holdings, which are based on the gwageo (科擧), government posts and yehak (禮學) in the mid-17th century. The relatively small area of farmland compared to slaves is the difference between Yangban’s familly of Yeongnam and other regions during the same period.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Bunjaegi (分財記), the following: First, for the purpose of bongsa (奉祀), appropriated budget was that the be amount to slaves 205 and farmland 100 durak (斗落).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bongsa (奉 祀), run their property at the head family (宗家) betrayed the original meaning of equal distribution to their children and resulted in non-compliance with the law. however, this is a case in which the order of neo-Confucian (朱子學) is applied to the management of the domestic economy, and rather sets an example for the sadaebu (士大夫) to consolidate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st son. Second, Most of Kim’s slaves are distributed to counties and prefecture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Gyeongsang-do, Jeolla-do and Hamgyeong-do. These slaves exist as sin-gong (身貢) and not sahwan (使喚), which means an economic structure centered on napgong (納貢) for slaves. As such, the possession and operation of slaves of non-related with farmland has a very weak economic structure. 일본 京都大學 東京大學에는 서울 壯洞의 안동김씨, 會賢洞의 동래정씨, 內寺⋅尙宮 등 京居 양반이나 왕실 주변 인물의 고문서가 다수 전한다. 이 글에서는 서울의 대표적 가문인 안동김씨 金壽增⋅金壽恒 남매의 분재기를 소개하고 이들의 재산규모와 그양태를 살펴보았다. 1672년 당시 안동김씨 金壽增 형제 남매가 분재한 재산은 노비 410구 전답 500여斗落에 달하였다. 17세기 중엽 과거와 관직, 禮學을 주업으로 하는 서울의 學術官僚型 양반의 재산보유 규모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사례로 판단된다. 노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답이 적은 것이 영남 등 같은 시기 여타 양반가와 차이가 나는 점이다. 분재기에 나타나는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조가 노비 205구, 전답이 100여 두락에 달할 정도로 방대하게 책정되고있다는 점이다. 또한 봉사조 재산을 종가에서 운영토록 하는 것은 자녀 간 균분의 본뜻을 저버리고 법을 준수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하지만 이는 주자학적 질서를가정 경제 운용에 적용시킨 경우에 해당하여 오히려 사대부들이 장자의 경제적 지위를 공고히 해주는 본보기가 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김씨가의 노비는 대부분 경상도, 전라도, 함경도 등 전국의 군현에 분포한다. 이들은 使喚 노비가 아니라 身貢 노비로 존재한다는 것으로 노비에 대한 納貢 중심의경제구조이다. 이와 같이 토지와 결부되지 않은 노비의 보유와 운용은 매우 취약한 경제구조를 지닌다.

      • KCI등재

        조선후기 분할상속관행의 지속에 대한 소고

        배상훈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4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분할상속관행의 몇 가지 논점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분할상속은 제도가 아니라 실제 민간에서 관습적으로 행해지던 관행을 의미한다. 방법적인 측면에서 이 연구는 17~18세기 조선의 상속문서인 분재기 사례를 이용했는데 이를 통해 조선후기사회의 특성과 상속관행의 다양성(비정형성)을 연구하고자 했다. 이 논문의 첫 번째 문제제기는 17~18세기 분재기 사례(전체 504개 중 약 200개)의 내용 중에서 나타나는 ‘분할상속의 지속’에서 도입된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장자상속의 특성에 대해서 지적한다. 그러나 우리의 사례들은 비장자상속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상속관행의 ‘매우 느린 변화’를 주장한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봉사조, 인구압력 등의 개념을 통해 조선후기 사회 변동의 독특하고 다양한 특성을 연구한다. 아울러 ‘문중’의 역할에 대해서도 주목한다. 이 연구의 또 다른 중요성은 전통적인 한국사회가 구조적으로 언제 재구조화되었는지에 대해 답을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17세기 중반이라고 했는데 이 시기는 다양한 변화경로로 특징된다. 우리는 이를 변화의 지속이라고 부르려고 한다. This paper discussed some issues of ‘Partible-Inheritance action’ in the late Josun Dynasty. Partible-Inheritance action in this paper is not system. That is a customary behaviour in real people-life. From a mathodological point of view, this paper used cases of ‘bunjaegi(inheritance-document)’ in 17~18C Josun Dynasty to study the nature of inheritance ac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late Josun Dynasty society. The first proposal of this paper was introduced from the Continuum of Partible-Inheritance action in cases(about 200 pieces in total 504 pieces) of 17-18C bunjaegi(inheritance-document). Commonly, all of former study had pointed out characteristics of ‘primogeniture’ in this period. But our cases showed natures of ‘Non-primogeniture’. Therefore this paper claims ‘very-slowly-change’ of inheritance action. In this paper, we study and divide the diverse and inclusiv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Josun Dynasty society-change used by the concepts such as ‘Bongsajo’, ‘Population pressure’. In addition, we also took a consideration in the role of ‘Munjoong(lineage)’. The another importance of this paper is to answer that when traditional Korea-society re-structured as social structure. In former study, the time was commonly in middle 17C. In addition, the period had broaden various changed way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Continuum’ of change. And it also provide visions on the promotion of understanding that would be valuable to the establishment of family structure and practical action for the ‘Rediscovery’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면앙정 송순의 분재기 고찰

        박준규 한국시가문화학회 200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19

        A study on Bunjaegi(分財記) of Myeonangjeong(俛仰亭) Song, Soon(宋純) Park, Jun-gyu Bunjaegi(分財記),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old document written by Song, Soon who is one of the most famous writers in Chosun Dynasty. It describes the inheritance of properties including land, houses and servants to his offspring. Bunjaegi is based on Chinese characters. However, it includes the creative description with sound and meaning borrowed from Chinese characters. The two writing systems were Idu(吏讀) and Vicarious Character. Idu letters were made in the same way the Korean sentences were formed. Vicarious Character, which remarked Korean substantives, was used in giving a servant's name or geographical name.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list Idu letters in Bunjaegi and to study on people's perception of giving a name to a servant by interpreting the borrowed Chinese character used in person's name. Therefore, I will provide ten types of giving a name and attempt to define the perception of giving a name by investigating implied ideographic nature about three typical types of Appearance image, Speech-behavior and personality, Supplies and appliance. A study on Bunjaegi(分財記) of Myeonangjeong(仰亭) Song, Soon(宋純)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