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상조각의 문화 교육적 이해

        김혜숙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3 No.-

        오늘날 불상조각은 고급예술과 신앙의 대상으로 미술관 · 박물관, 사찰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벽을 넘어서서 예술가들에 의해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하고 상품화되어 판매되면서 대중화되고 공공화 되고 있다. 그런데 우리 생활주변에서 불상조각을 만나는 기회가 많아졌음에도 그것이 지닌 의미와 상징, 도상을 이해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우 낮다. 특히 초 · 중등학생들은 불상조각에 내재된 조형성과 상징성,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다. 불상조각이 갖고 있는 도상의 형식과 의미 그리고 백남준 작품에 등장하는 불상조각을 중심으로 문화교육으로서의 불상조각의 이해의 필요성에 대해 조명하며 세계화 다원화시대에 요구되는 문화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오늘날의 시각문화 속에서 발견되어지는 불상조각에 대한 이해는 미시적 관점에서의 불상조각이 아니라 다원화 시대의 거시적이고 광의적인 문화의 시각에서 조형미를 지각하고 느끼며 함축하고 있는 의미와 상징성 등이 이해되어야 한다. Now days, Buddhist sculpture is not only existed at museum or temple as high art but also many artists use them as materials for their artworks besides stores sold them out as merchandise or souvenir. Be honest with it, we have many way to meet the Buddhist sculpture in our daily lives. We are not quite sure how we understand the meaning and symbol of Buddhist sculpture.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sculpture is somehow vague and ambiguous to us. In here, I discussed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Buddhist sculpture as a cultural education focused on the form and meaning of Buddhist sculptur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 also dealt with how Back Nam June's manipulate and apply it to his works and how it showed his identity as korean through it.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sculpture find in today's visual culture needs to be focused on the meaning and enjoyment from the cultural view in broad sense and how we transferred the thoughts and ideas of Buddhist thoughts through the visual education in plural society.

      • 불상, 어떻게 볼 것인가 -삼국시대 불상을 보는 관점에 대한 제언-

        이해주 ( Hai Ju Lee ) 단국사학회 2013 史學志 Vol.47 No.-

        구체적인 표현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나누어 검토했다. 불상은 경전에 근거하여 의궤에 따라 제작되지만 관념.교리와 그 존재 양상이 확연히 구분되는 물리적 현존체이다. 즉, 불상이 표방하는 정신은 가시적인 형태를 통해 드러나기 때문에 지역성과 시대정신이 투영될 입지가 마련된다. 이러한 특징은 불상이 조각가에 의해 제작되는 조형물이라는 점에서 기인한다. 예경행위 이면에 존재하는 조형행위를 매개로 제작자와 불상, 그리고 일반 신도 사이에 상호지향적인 관계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계의 망속에서 행해지는 예불(禮佛)과 조불(造佛)을 인식행위의 소산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불상조형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화하는 상징성이다. 또한, 보통 사람들과 다를 것이라는 믿음에 기초한 초월성, 그리고 삶의 지향점이 되는 인간상으로의 이상화이다. 이상적인 미의 기준으로 황금분할과 같은 특정 수치가 언급되곤 하지만 그와 같은 고정된 수치는 존재하지 않음을 검토했다. 그리고 조형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인 선의 특질로 인해 추상성이 나타나기도 한다. 끝으로 인체의 구조와 형태를 공유하는 불상조형에는 생명감이 추구되는데 그 양상은 정중동(靜中動)의 구현으로 집약된다. 그 결과 불상 조형은 보는 사람의 공감을 유발함으로써 그것이 표방하는 세계를 피력한다. 신앙심을 바탕으로 이뤄지는 조불과 예불은 불이(不二)적인 것이기에 불상을 통한 감흥이 신앙에 근거한 것인지 조각 솜씨에 근거한 것인지를 분석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Buddhist sculptures are shaped by strict rules written in Buddhist scriptures, and we tend to classify and appreciate Buddhist sculptures based on the exhibition of those formalities in their shapes. However, in this chapter I focused on looking into features we can interpret from the act of shaping Buddhist sculpture as result from the art of human beings. First, shaping Buddhist sculpture in ancient times was a process of approaching the essence of beauty that could not be easily translated into sutra or doctrine. In this regard, Buddhist sculptures are important substances that manifest a combined view of Utopia of their times with a certain peculiarity as a result of acts of human beings. Second, shaping Buddhist sculpture is a process of symbolic representation of invisible values respected not only in Buddhism, but also the culture that creates the Buddhist sculptures. This process also includes idealization of Buddha based on his transcendence. Third, shaping Buddhist sculpture is a process of abstraction of the human body as Buddha is expressed as the human body. Lastly, shaping Buddhist sculpture is a process of presenting vitality in a form of stillness. As a result of these features, Buddhist sculptures arouse a sense of religion in the individual, and when this occurs, the religious and aesthetic experiences are unified, rendering the gap between the individual`s faith and aesthetic value of Buddhist sculptures seemingly meaningless.

      •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에 보이는 북한 소재 불교조각의 고찰

        許亨旭(Huh(Heo) Hyeonguk) 미술사연구회 2021 미술사연구 Vol.- No.40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olds more than 38,170 photographs developed from gelatin dry plates. These photographs depicting archaeological, art, and architectural artifacts and ruins in Korea were produc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part of its colonial efforts. As long as this objective of these photographs is understood and they are used critically, they can be helpful in studying Buddhist sculptures that still are or once were in North Korea and are currently inaccessible due to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official documents issu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ince the documents paired with the photographs to offer further information on these Buddhist sculptures. Most Buddhist sculptures captured in th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are works produced during the Goryeo or Joseon Dynasty. This paper classifies the value of the use of thes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into three advantages that are then examined: 1. The photographs offer basic information about the sculptures, including their excavation sites; 2. They enable in-depth and extensive studies of Buddhist iconography; and 3. They show changes in sculptural styles and help with dating the sculptures. A vast body of Buddhist artworks in North Korea were lost or damaged during the Korean War. Since thes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were produced before the war, they allow the further verification of facts about the Buddhist sculptures and facilitat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original forms. An analysis of th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has revealed that iconographically identical types of Buddhist sculptures were produced throughout North and South Korea during the Goryeo period. It also indicates the distribution routes and genealogy of the sculptures. Moreover, the photographs allow us to explore the religious backgrounds of the production of sculptures, thus extending the scope of studies of Korean Buddhist sculpture. Some of th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illustrate Buddhist sculptures that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changes in sculptural styles and dating of sculptures. As a case in point, Stone Standing Buddha from the site of Mireuksa Temple, which was established around 936 in Kaesong, aptly demonstrates the regional diversity of large and medium-sized tenth-century stone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In a similar vein, Seated Bodhisattva in Bogwangjeon Hall at Singwangsa Temple in Haeju, Hwanghae-do Province attests to the adoption of styles from Yuan Dynasty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fourteenth century in the late Goryeo period. Furthermore, Gilt-bronze Seated Avalokitesvara created in 1426 at Sindeoksa Temple in Yonggang-gun, Pyeongannam-do Province and Gilt-bronze Seated Amitabha Triad produced in 1454 and excavated from Seongbulsa Temple reflect the process of early Joseon Buddhist sculpture’s transformation into a more uniquely indigenous style. The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significant materials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 in North Korean regions that are currently inaccessible. Future examination of these photographs will lead to additional meaningful findings.

      • KCI등재

        초·중등학교 미술교과서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 불교조각을 중심으로

        김인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1 No.2

        제7차 미술교육과정에 의한 미술 교과는 감상 영역이 확대되고 우리 미술의 특성과 배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전통 문화를 존중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현행 미술교과서 내용 구성은 우리나라 전통 미술품의 여러 영역(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이 고루 포함되어있다. 불교조각은 전통 조각의 대표로써 감상 영역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초·중등학교 미술교과서에 실린 불교조각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의도되었다. 이를 위해 현행 미술교과서에 수록된 불교조각의 학년 위계별 차별성, 영역별 편성방식, 예시작품의 특성, 서술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 미술에 대한 주관적 해석을 경계함과 동시에 타문화 미술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다원적 미학 기준을 모색하였다. 불교조각이 지닌 다양한 조형성을 교과 내용에 포함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영역별 편성 방식 및 학년 위계에 의한 단계별 구성 방안이 제시되었다. It has been understood that an artistic style of the Buddhist sculpture undergoes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 and space. The evolution of artistic style of the Buddhist sculpture, however, depends upon the secular meanings. Each of the Buddhist gods is characterized by their own religious nature and iconography. In the sculptural representation, each god displays his own artistic style, i.e. the physical proportion, facial characteristic, massiveness of work, bodily movement, and depth of the carving, etc. The beauty of the Buddhist sculpture differs from the aesthetic point of the Western art. The Buddha image is characterized by massive body and bold treatment. The Bodhisattva images are shown with slander body and delicate treatment. The guardian Kings are usually represented with powerful movement and hard treatme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bring out a fresh 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sculpture, and put forward some thoughts on its educational use. The multi perspective way of seeing is necessary to read the Buddhist sculpture. The present paper tried to check over the descriptions of Korean Buddhist sculpture shown on the school textbook. There is a series of the Buddhist sculptures which is frequently shown on the art textbooks. Their descriptions are based on the Western classical beauty. Such subjective criticism fails to describe the artistic quality of the Buddhist sculpture. The multi perspective way of seeing is alternative criticism, and will provide better educational explanation.

      • KCI등재후보

        白陶佛과 脫佛에 대한 고찰

        샤오구이톈 국립중앙박물관 2016 미술자료 Vol.- No.89

        본고에서는 과학적인 분석과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최초로 白陶佛의 개념을 제시하고 백도불과 脫佛의 특징에 대한 귀납,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백도불은 중국 고대 탈불의 한 종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중국 내 박물관들이 소장하고 있는 백도불 및 잔편은 총 78점이다. 지금까지 山東省 博興縣 龍華寺址, 高靑縣 胥家廟 유적지, 臨胊縣 白龍寺址, 河北省 南宮市 后底閣 유적지 등 4곳에서 백도불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모두 고대 불교 유적지이다. 초보적인 판단으로는 백도불은 주로 北齊 산둥 북부 지역에서 유행했으며 탈불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주된 발원자는 사찰의 고승이나 정부 관리들이었으며 대량으로 제작되어 사원의 대형 佛事에 활용되었다. 제작 목적은 승려들의 수행과 돕고 일반 신도와 황실의 복을 기원하는 것이었다. 탈불과 백도불은 그 기원이 다르다. 탈불의 기원은 인도에 있지만, 백도불은 산둥 초기 白陶器와 남방 초기 佛像貼飾 제작 전통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아 산둥에서 창안한 새로운 불교 조상의 유형이다. Via instrument testing and expert appraisal, the paper first proposes the concept of white earthenware buddhist sculptures, and has carried on the induction and comparison between white earthenware buddhist sculptures and molded buddhist sculptures. Based on these, we confirm that white earthenware buddhist sculpture is one type of ancient Chinese molded buddhist sculptures. According to preliminary statistics, now there are 78 white earthenware buddhist sculptures and the residue of them in Chinese museum collections, which were found at four ancient buddhist locations including Longhua Temple site in Boxing county, Xujiamiao Site in Gaoqing county, Bailongsi site in Linqu county of Shandong Province and Houdige site in Nangong city of Hubei Province. According to preliminary judgment, white earthenware buddhist sculptures were popular in the northern Shandong of Beiqi period and had similar functions with molded buddhist sculptures. The mass production were organised by the temple monks or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practice Buddhism or to bless for all living or royal familiy, cooperating with the temple’s large-scale activities. White earthenware buddhist sculpture has different origins from molded buddhist sculpture. The latter was originated from India, while the former was a new style created in local Shandong under the influence of many factors such as early white pottery traditions of Shandong and early Buddha decoration traditions of southern areas.

      • KCI등재후보

        渤海 佛敎彫刻의 새로운 考察

        최성은(Choe Song-eun),임석규(토론자) 고구려발해학회 2007 고구려발해연구 Vol.26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alhae Buddhist Sculpture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Palhae sculpture with contemporary Chinese and Japanese sculpture. It is generally presumed that Palhae sculpture succeeded the tradition of Goguryeo sculpture, which was strongly influenced by Northern Wei and Eastern Wei sculpture. A few 'Two Seated Buddha' images(二佛竝坐像) of Sakyamuni and Prabhuta-ratna were discovered at the East Capital(東京城) site from me Palhae period, which means me popular worship of Lotus Sutra at mat time can be closely compared to Two Seated Buddhas images from me Hopei area of northern China where Two Buddha images based on me Lotus Sutra were made up until me Tang period. Still, Palhae images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ey show warm humanistic intimacy of me past and present Buddhas through depictions of overlapping bodies and one's hand laid upon the other's hand. The wearing Kasaya by the Two Buddha image now in the Tokyo National Museum exhibits traditional Goguryeo costume shown ill a wall-painting of me five-century tombs. Their drapery folds covering pedestals show a similarity to that of Japanese bronze images of me Asuka period, which demonstrates me impact of Goguryeo sculpture on Asuka Buddhist sculpture, as well as the identity of Palhae sculpture as a continuation of Goguryeo Buddhist art. Buddhist images from the Upper Capital (上京城) of Palhae, mostly clay images, show me later period of Palhae Buddhist art closely compared to late Tang Buddhist sculpture. Small clay standing Bodhisattva images in m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and me Tokyo University Museum, were most likely made from the same mold and utilized the same style and iconography. They show close stylistic connections with mid and late Tang Buddhist images, as well as Japanese Bodhisattva images of the Heian period in the ninth century with their plump faces and short, fleshy voluptuous bodies. A clay seated Amitabha image in the Seoul National Museum and a gilt-bronze standing six-armed Bodhisattva image in the Palhaejin(渤海鎭)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exhibit iconography of esoteric Buddhism, which was popular in China from the mid-Tang period.

      • KCI등재

        인도와 한국 불상의 안면 특징 비교연구

        이호억,김영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The Buddha Statue is a symbol of the Buddha. When we saw the statue with the human figure, the first thing you will see the face. The buddhism is the forth most major dominant religion in the world. As Buddhist's visual media, Buddhist sculptures also spread around the world. Is the face of all Buddhist sculpture all around the world the same? The answer is no. then why? The Buddha Statue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by period and region. If the face of Buddhist sculpture, which is the face of the Buddha,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where is the reason to change its 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uddhist sculpture between Korea and India. The first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comparison of the Buddha Statue of india by region especially Gandhara and Mathura. The second was the comparison of the Buddha Statue of Korea by period. We looked at the process of Buddha image resembling the faces of indigenous peoples and searched for reasons from Buddhist teachings. And in case of korea, we classified the sculpture according to criteria which is Southern or Northern, In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the Buddha's face resembles the face of indigenous peoples, not from serving God, but from the teachings of Buddhism that individuals can become Buddha by themselves in nirvana through meditation and spiritually cultivation. 불상은 붓다를 형상화한 조각상이다. 우리는 인물을 형상화한 조각상에서 가장 먼저 얼굴을 인지하게 된다. 불교는 무교를 제외하고 전 세계적으로 4번째로 신자 수가 많은 종교다. 불교의 상징 매체인 불상도 세계 각지에서 제작되었다. 그렇다면 전 세계의 모든 불상들의 얼굴은 다 같을까. 그렇지 않다. 불상은 시대별, 지역별로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도 사람인 붓다의 얼굴을 본 뜬 불상의 얼굴이 제작된 나라마다 다르다면, 그 얼굴이 달라져야할 당위성은 어디에 있는 것인가. 이에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연구대상은 인도의 간다라 지역과 마투라 지역의 사례와 우리나라 불상의 시대별 사례로 한정하였다. 인도와 한국의 불상들의 사례를 지역별, 시대별로 살펴보았다. 간다라 지역과 마투라 지역의 불상의 안면적 특징 비교를 통하여 그리스 신상 양식에 인도 토착민의 얼굴이 녹아 가는 과정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 불상의 경우 시대별로 불상의 안면을 북방계와 남방계라는 기준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에 주목했다. 인도와 우리나라의 사례를 통해 연구하여 불상의 안면이 이처럼 지역화 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불교 교리의 영향이 절대적으로 작용하였다. 불상의 얼굴이 토착민의 얼굴을 닮은 것은 신을 섬기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명상과 참선을 통해 스스로 열반에 들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불경의 가르침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 사료된다. 불상의 얼굴은 불경의 가르침을 집약하여 단순하면서도 심오한 붓다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 KCI등재

        불교미술사-그 성과와 과제

        정우택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Buddhist art can be subdivided into areas of sculpture, painting,craft, architecture and etc. but this paper aims to analyze researchachievements especially in the areas of Buddhist sculpture and painting. No one raises doubts on the cultural, religious, historical, or arthistorical importance of Seokguram. However, in contrast with itsfame, there still exists problems which remain unsolved. Above all, theBuddha of Seokguram has been called by different names such asAmitabha, Sakyamuni, or Vairocana by various scholars. Further, thereare differing views regarding textual basis for Seokguram's iconographysuch as Buddha Dhyana Samadhisagara sutra, Avatamsaka sutra,Lalitavistara sutra and etc. This is due to the lack of written recordsand also sculptures in the stone cave are not simple enough to associatewith a certain iconography.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and standing Amitabha Buddhastone sculpture excavated from Gamsansa-ji temple site are importantworks because name, place of enshrinement, date of production, donor,religion, and style of sculpture can be known through inscriptionswritten on the sculptures. The 7th year of Gaewon(719) is largelyunderstood as the year of completion rather than the starting year ofmaking the two sculptures. While some scholars argue thatGamsansa-ji is a temple of the Dharmalaksana school, it is widelybelieved that specific Buddhist schools have not yet established duringthis period. Seated Amitabha and Seated Vairocana bronze sculpture ofBulguk-sa temple are representative works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Some scholars argue that these sculptures are made in the late9th century based on an eulogy. However, such argument lost itsvalidity because the eulogy does not mention about the sculptures butrather about murals. It is now generally agreed that they are the worksof the late 8th century. Most of Buddhist paintings in Korea date to the 18th century andbeyond, so most of research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worksof this period. However, scholars specializing in Buddhist paintingshave increased in number since 1990s and also expanded the periodof research to early Joseon and Goryeo dynasty. On the other hand,methodologies in the field of Buddhist paintings do not seem to havedeveloped much as most of researches except for few remain indiscussion of history of formalism or investigation of iconography. Themain object in the study of Buddhist paintings lies in identification ofstyle, and only when the style is recognized the very nature of worksof art can be realized in the field of art history.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Buddhist art history are becomingmore diverse and profound than ever before. In fact, significantresearch achievements have led the Buddhist art to become one of themain fields within the study of Korean art history. Currently, thescholarship of Buddhist art history is making a significant contributionas its research achievements are used as reference to not only studiesin others fields of art history but also in neighboring studies such asBuddhology, history of thoughts, history, anthropology, and etc. At thesame, however, current research achievements are still facing problemsand also tasks to be solved in the field of Buddhist art history are notfew. 불교미술은 조각, 불화, 공예, 건축 등으로 세분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불교조각과 불교회화에 관한 연구 성과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석굴암 조각은 문화적, 종교적 또는 역사적, 미술사적 중요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이 없다. 그러나 석굴암 조각은 그 명성에 비하면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부분도 적지 않다. 우선, 本尊佛像은 연구자에 따라 아미타여래, 석가여래, 비로자나불로 불리우며, 도상학적 배경 역시『觀佛三昧海經』,『화엄경』,『方廣大莊嚴經』등 다양한 견해가 있다. 그 이유는 관련 문자기록이 적고, 석굴내의 조각들이 어느 특정 도상을 연상시킬 만큼 도상학적으로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甘山寺址 출토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은 銘文이 있어 두 불상의 존명, 봉안장소, 제작시기, 발원자, 신앙, 조각양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명문의 ‘개원 7년(719년)’은 제작이 시작된 연대가 아니라 완성한 시기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또한 감산사는 법상종 사찰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종파불교가 성립되어있지 않은 시기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불국사의 금동아미타여래좌상과 금동비로자나여래좌상은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할 만한 금동불상으로, 讚文에 의거하여 9세기말경 제작이라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찬문은 불상이 아니라 벽화에 관한 내용으로 그 주장이 설득력을 잃게 되었으며 8세기 후반에 제작되었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국내에 현존 불화는 거의 대부분이 18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현실적으로 이 시기의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불화 연구는 90년대들어 연구자가 증가하였고, 대상 시기도 조선전기와 고려시대로 넓혀졌다. 그러나 불화 연구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형식사 또는 도상학의 규명에 머물러 있어 방법론에서 그다지 발전하지 못한 인상을 준다. 불화연구의 주된 인식대상은 불화가 지닌 畵風이어야 하며 그 화풍을 인식함으로써 비로소 미술사대상으로서의 작품의 본질을 파악 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불교미술연구는 해가 갈수록 연구 주제가 다양해지고 심층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상당한 수준의 연구성과 또한 적지 않아 명실상부한 한국미술의 중심 분야가 되었다. 현재 불교미술 연구 성과는 한국미술사의 다른 분야는 물론 불교사를 포함한 사상사, 역사학, 민속학 등 인접 학문에서도 참고하지 않을 수 없을 만큼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그 연구 성과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 해결하여야 할 과제 역시 적지 않다.

      • KCI등재후보

        중국 南朝 造像의 제작과 전파

        후지오카 유타카 국립중앙박물관 2016 미술자료 Vol.- No.89

        일본의 아스카시대와 한국의 삼국시대의 불상에 관한 연구에서는 중국의 南朝시대 및 隋, 初唐의 불상과 관련성이 중요한 문제로 언급된다. 지금까지 사료나 발굴을 토대로 한 연구 성과는 중국 남조의 불상과의 관계를 특히 주목해 왔다. 그러나 중국 남조시대의 불상은 남아있는 그 수가 적고, 한국과 일본 양국 고대 불상의 관계 연구 또한 어려움이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우선 최근 수 년간의 발굴과 연구 성과를 토대로 중국 남조, 특히 梁朝의 불상 조성에 대해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남조의 불상을 山東지역이나 한국, 일본의 예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남조 불상이 타 지역으로 전파된 양상을 고찰하거나, 그 대신 이 지역들의 예들을 통해 남조의 불상을 재조명 하고자 한다. 1. 南朝 佛像의 윤곽 1-1. 棲霞山石窟과 新昌 大佛寺 千佛岩 南京 외곽에 위치한 棲霞山石窟은 南朝때 조영된 龕窟로, 이후 明代 중반부터 중화민국 시대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보수되었다. 그 결과로 현재 상태의 석굴은 본 모습을 거의 잃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여러 차례 이루어진 재복원 작업에서 석굴의 표면을 덮고 있던 모르타르(mortar)가 거의 모두 제거되면서, 남조 때 조성된 감굴이 무려 15개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부분의 상은 불두가 결실되었고, 상의 표면은 인간에 의해 혹은 풍화작용으로 인해 훼손되었지만 남조 불상으로서의 가치는 더욱 인정받고 있다. 서하산석굴 중 大佛窟로 불리는 제19굴 조영이 齊나라 혹은 5세기 말에 완성되었다고 보는 설은, 陳의 江總(519~594)이 찬한 〈金陵攝山棲霞寺碑〉(이하 〈江總碑〉)와 당 고종이 上元 3년(676)에 찬한 〈攝山棲霞寺明徵君碑〉(이하 〈明徵君碑〉)가 뒷받침 한다. 그러나 실상 〈강총비〉의 비문은 康定 원년(1040)에 다시 새겨진 것이고, 〈명징군비〉는 建碑된 후 약 200년이 지나 새겨진 비문임을 고려하면, 이들이 반드시 믿을 만한 근거라고 볼 수는 없다. 반면, 梁代 승려인 僧祐이 天監 14년(515)에 기술한 『出三藏記集』에 의하면, 臨川王(梁武帝의 동생)에 대한 설명에서 대불굴 착공이 천감 11년(512) 경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제시한다. 최근에는 재복원하는 과정 중 제28굴에서 ‘中大通 2년(530)’의 명문이 발견되었다. 또한, 제20, 22, 24, 26 각 굴의 불상 양식을 四川省 成都에서 출토된 齊나라에서 梁나라에 이르는 시기의 기년명 상과 비교하면, 梁의 天監年間(502~519) 후반부터 中大通年間(529~534)까지의 예와 유사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흥미로운 남조의 석굴로는 浙江省 新昌縣 大佛寺의 千佛岩이 있다. 사료에 따르면, 대불사 미륵대불은 齊의 建武연간(494~497)에 조상되기 시작하여 梁天監 15년(516)경에 완성되었다. 대불은 모르타르를 입혀 보수했기 때문에 원래의 모습을 조사할 수 없으나, 천불암의 다른 조상들에서 본래 형태를 여전히 관찰할 수 있다. 천불암의 조영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사료는 없으나, 필자는 梁代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천불암의 제 1호 굴의 중앙에는 交脚像이 있고, 상 좌우 벽면에는 양 끝에 금강역사상이 지탱하는 천불도를 배치했다. 마모가 많이 진행되었고 복원작업으로 인해 상이 손상되었지만, 그 원래 모습을 알아볼 수 있는 부분도 남아 있다. 보존상태가 양호한 금강역사상은 청두에서 출토된 普通 6年(525)명 상과 유사하다. 제 2호 굴은 주존의 불좌상과 좌우에 상하 2단으로 된 34불을 합쳐 35불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전하는 주존의 머리는 후대의 것이고 불신의 마멸도 많이 진행되었지만, 주름진 옷과, 박산향로, 사자상의 형태는 上海博物館 소장의 梁代 中大同 원년(546)명 사암제 상과 유사하다. 천불암의 상들은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보완적인 특별한 梁대 불상이면서도, 남조 불상의 결정적인 특징들을 보여준다. 1-2. 南京 출토의 금동불과 인도차이나반도 출토의 금동불 2009년 南京 新街口에서 금동불이 발견되었다. 그 중 1구에는 大通 원년(527)의 기년명이 있었고, 2013년에는 형광X선 분석조사 결과도 발표되었다. 금동불은 크기가 작아 운송이 편하기 때문에, 본 상들은 남조 불상의 전파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南京 출토 금동불은 建康에서 금동불 제작이 성행했음을 설명해 주는 한편, 베트남 옥애오(Óc Eo) 유적에서 출토된 금동불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옥애오는 1세기에서 6세기경까지 인도차이나반도를 다스린 푸난(扶南)왕국의 외항도시였다. 1944년 루이 마에레(Louis Malleret)는 이 유적에서 로마 주화, 後漢의 동경, 현지제작으로 보이는 비슈누상 등과 함께 中國製로 추정되는 여러 금동불상이 발견하였다. 이 유물들은 모두 현재 호찌민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그 후 1975년에 베트남 당국이 주도한 발굴에서 새롭게 출토된 불입상들은 안장성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이들 가운데 호찌민역사박물관의 보살입상은 복부를 감싼 반월형의 천의와 다리 사이에 흘러내리는 허리 띠 등의 형태에서 청두 출토 상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안장성박물관의 불입상들은 6세기 전반 남북조시대의 불상 양식을 분명히 반영한다. 청 An important question in research concerning Japanese Asuka 飛鳥 Period and Korean Three Kingdoms Buddhist sculpture is its relation to sculpture from China’s Southern Dynasties, as well as to that of the Sui 隋 and early Tang 唐. So far, research utilizing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findings has led to a particular awareness of the connection to Southern Dynasties Buddhist images. However,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extant examples of Southern Dynasties Buddhist sculpture, just a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ancient Japanese and Korean Buddhist sculpture. The goals of the present essay are, first, to draw from new discoveries and the results of research in recent years to concretely understand as far as possible the image production of the Southern Dynasties and especially that of the Liang 梁 Dynasty. Second, by comparing the production of images in the Southern Dynasties with examples from Shandong 山東,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to consider the forms of dissemination through which Southern Dynasties images passed to other regions, or alternatively to use examples from these regions to cast a light back on the images of the Southern Dynasties. 1. The Contours of Southern Dynasties Buddhist Sculpture 1-1. Qixiashan Grottoes and Xinchang Great Buddha Temple’s Thousand Buddhas Cliff The Qixiashan 棲霞山 Grottoes, on the outskirts of Nanjing 南京, are rock-cut caves constructed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but which saw additional repair work from the middle of the Ming 明 through the Republican Period. As a result, their original appearance cannot be surmised from their present condition. However, owing to repairs that have been carried out to remove much of the mortar that has covered up the surface, as many as 15 caves constructed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have been identified. Many of the statues’ heads have been lost, and the surface has been damaged either by human intervention or through weathering. Nonetheless, their value as Southern Dynasties statues has been further validated. Two sources provide a likely Qi 齊 or late fifth century explanation for the completion of one of the Qixiashan Grottoes caves, Cave 19, the so-called Great Buddha Cave. These are the two anthologies Memorial Tablet for the Qixia Temple at She Mountain in Jinling (C. Jinling Sheshan Qixiasi Bei 金陵摂山棲霞寺碑) by Jiang Zong 江総 (519-594), and the Memorial Tablet for Ming Zhengjun (C. Sheshan Qixiasi Ming-zhengjun Bei摂山棲霞寺明徴君碑) by Gaozong 高宗 from Shangyuan 上元 3 (676). However, the text of the Jiang Zong inscription is actually a re-inscription dating to the first year of Kangding 康定 (1040), and the Ming Zhengjun inscription was inscribed almost 200 years after the initial construction period, and so these are not necessarily reliable sources. Instead, according to an entry from the Liang Dynasty monk Sengyou’s 僧祐 compilation A Collection of Records on the Emanation of the Chinese Tripitaka (C. Chusanzang jiji 出三蔵記集) from Tianjian 天監 14 (515), the Liang Prince of Linchuan’s (Linchuan Wang臨川王; younger brother to Emperor Wu of Liang 梁武帝) description suggests a high likelihood that construction was initiated around Tianjian 11 (512). Repairs in recent years have led to the discovery of an inscription dating from Zhongdatong中大通2 (530) in Cave 28. Also, a comparison of the style of Buddhist images in caves 20, 22, 24, and 26 with images excavated from Chengdu 成都 in Sichuan四川 Province that bear inscriptions dating between the Qi and Liang Dynasties shows that they resemble examples of Liang images from between the latter half of the Tianjian Era (502-519) through the Zhongdatong Era (529-534). In other words, Southern Dynasties images from the Qixiashan Grottoes should be viewed as images from the period of Emperor Wu of Liang. Another Southern Dynasties cave site, the Thousand Buddhas Cliff at Xinchang’s 新昌 Great Buddha Temple in Zhejiang 浙江 Province, is also of great interest. According to documentary evidence, construction of the temple’s Maitreya Great Buddha (J. Miroku Daibutsu弥勒大仏) was begun during the Jianwu 建武 Era (494-497) of the Qi Dynasty and completed around Tianjian 15 of the Liang. Because of the application of mortar for repairs, the original appearance cannot be studied, but the original forms of other sculpture at the Thousand Buddhas Cliff can still be observed. There are no documents that verify a construction date of the Thousand Buddhas Cliff, but my personal opinion is that they seem to be of the Liang Dynasty. In the center of Cave 1 is a cross-legged seated image with legs pendant, flanked on both sides by thousand Buddhas motifs buttressed on each end by images of the two guardian deities. Although advanced abrasion and repair work have affected the images, there are portions where the original forms can be identified. The very well preserved guardian deities resemble images of guardian deities inscribed with the date of Putong 普通 6 (525) excavated from Chengdu. In the center of Cave 2 is a seated Buddha with 34 Buddhas in two levels above and below on its left and right, portraying altogether 35 Buddhas. The head of the central image is a later addition and its body has seen advanced abrasion, but the shape retained in its draping skirt (J. mokake 裳懸け) as well as the Boshan 博山 censer and Chinese lions seen below resemble examples of sandstone Buddha triads from the Shanghai Museum with inscriptions dating to the first year of Zhongdatong 中大同 (546) and from the Liang Dynasty. The Thousand Buddhas Cliff statues exhibit defining characteristics of Southern Dynasties sculpture, even while being of a particular Liang production that is both independent and mutually complementary. 1-2. Gilt Bronze Buddhist Statues Excavated from Nanjing and the Indochina Peninsula In 20

      • KCI등재

        梁 武帝시기 불교사찰, 불교조각과 사회변화

        양은경(Yang Eungye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9 美術史學 Vol.23 No.-

        During Liang dynasty, Emperor Wu(武帝) who was a Taoist, became a passionate Buddhism. after 504. Emperor Wu built a Buddhist temple in the palace, and hold large scale lectures and Buddhist ceremonies. Chongyundian(重雲殿) is the inside-Buddhist temple which was built by Emperor Wu. It is the two-story structure in Huarinyuan(華林園), and two images of Buddha that was made from gold and silver were enshrined in this temple. Buddhist art is represented by Buddhist temple and sculpture. According to Nanchaofosi zhi(南朝佛寺志), there were 90 Buddhist temples that were built during Liang dynasty, it was the most during the Period of South Dynasties. Wu-di built many Buddhist temples. Zhidu temple(智度寺), Fawang temple(法王寺), Guangze temple(光宅寺), Jietuo temple(解脫寺), Quanshan temple(勸善寺), Daaijing temple(大愛敬寺), Tongtai temple(同泰寺), Huangji temple(皇基寺), Xiaodi temple(蕭帝寺), Zesheng temple(資聖寺), Tongxing temple(同行寺). Most of them was located in the capital, Jiankang(建康), and they were built for his father, mother, wife and a priest of high virtue. Ayuwang temple(阿育王寺), Huangji temple(皇基寺) were still handed down, even though they had been reconstructed in after ages. Recently, a structure that was presumed as a temple site was excavated in Zhongshan(鍾山), Nanjing(南京), moreover Huangji temple(皇基寺) that was a royal tomb temple was also discovered. They are good comparison material. The fact that Emperor Wu built gold, silver, gilt bronze and wooden statues of the Buddha in Guangze temple(光宅寺), Xiaozangyan temple(小莊嚴寺), Daaijing temple(大愛敬寺), Zhongyundian(重雲殿), Tongtai temple(同泰寺) was confirmed by records. In opposition to records, there were few images of Buddha in Nanjing(南京). Most of images of Buddha were discovered in Si-chuan province(四川省). However molding-images of Buddha and gilt bronze statue of the Buddha were discovered in Nanjing recently. Most of images of Buddha in Si-chuan province are discovered in Chengdu(成都), and all of them are stone Buddhist images. Images of Buddha during Liang dynasty were discovered in Minchuan(汶川), Pengzhou(彭州), they were similar to Chengdu. Buddhist temples and images of Buddha during Liang dynasty are splendid and decorative. I confirmed the facts through records and existing examples. The standard are materials of Si-chuan(四川), especially the coat string and pattern of linked pearls. The decorative coat strings are similar to priest´s ritual robes of an emperor, but more splendid. The pattern of linked pearls is decorative, and they are inscribed halo. Thus, aspects of decorative, luxurious and splendid Buddhist art were influenced from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 of aristocratic circles. Also, mandarin sleeve, upper garment and a coat string of Liang dynasty Buddhist images were like the dress and its ornament of the gentry at that time. Those large dresses were resulted from prevalent internal use of Hanshisan(寒食散) which made people having fever. There were Gupta, Mathur? and S?rn?th style during Liang dynasty, and I presumed that those style were introduced by sea routes than by land routes. After becoming the Liang dynasty emperor Wu, he made a good profit from Guangzhou(廣州) and Jiaozhou(交州) by abundant local products and seaborne trade. Moreover he realized the importance of native labor, and established a new state to contrive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 As a result, center and Guangzhou closed adhesion, and seaborne trade prospered. Many nations of East-asia and India had cultural interchanges and Buddhism and Buddhist art of East-asia and India were came into Liang dynasty by a sea routes. 도교신자였던 梁 武帝는 504년 불교로 교화한 이후 열렬한 불교신자가 된다. 무제의 崇佛은 무엇보다도 궁전 내에 佛堂을 건립하고 예배활동과 대규모 강연, 법회를 개최한 것에서 절정을 이룬다. 重雲殿이라는 이름의 內佛堂은 무제가 華林園에 건립한 2층 건물로, 건물 안쪽에는 금, 은불상이 봉안되었다. 양 무제시기 불교미술은 불교사찰과 불교조각으로 대표된다. 南朝佛寺志에서는 양대 건립된 불교사찰의 수가 90여개소라고 하는데 남조시기에서 가장 많은 숫자이다. 무제가 건립한 사찰은 智度寺, 法王寺, 光宅寺, 解脫寺, 勸善寺, 大愛敬寺, 同泰寺, 皇基寺, 蕭帝寺, 資聖寺, 同行寺가 있다. 대부분 수도 建康에 분포하며 아버지, 어머니, 부인, 고승을 위해 건립되었다. 양대 불교사찰 중 阿育王寺, 皇基寺는 후대에 다시 重建되었지만 지금도 남아있다. 특히 최근 남경시 鍾山에서 사찰유적지로 추정되는 건물지가 발굴되었고 양대 陵寺였던 황기사가 발견되어 좋은 비교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문헌기록을 통한 무제의 불상조성 사실은 光宅寺, 小莊嚴寺, 大愛敬寺, 正殿, 重雲殿, 同泰寺의 金像, 銀像, 金銅像, ?檀像이 확인된다. 南京지역의 불상조성과 관련된 일련의 기록과는 달리 지금까지 남경에서 출토된 예는 희소하며 四川省에서 출토된 예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남경에서 塑造像, 금동상이 출토되고 있다. 사천성의 불상은 成都市에서 출토된 예가 대다수를 차지하며 모두 석불상이다. 최근에는 汶川, 彭州에서도 양대 불상이 출토되었으며 양식적으로 成都에서 출토된 예들과 유사하다. 양대 건립된 불교사찰과 불상은 아주 화려하고 장식성이 강하다. 이러한 사실은 문헌기록과 더불어 현존하는 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사천성 출토품이 기준작이 되며 불상의 옷고름, 聯珠文이 대표적인 예이다. 장식성이 강한 옷고름은 문헌기록에서의 천자의 祭服과 유사하지만 더욱 화려하다. 연주문 역시 광배를 장식하는 주된 문양으로 장식성이 강하다. 이처럼 양 무제시기 불교미술에서 장식성이 강하고 사치스럽고 화려한면은 당시 귀족사회의 부정부패와 극도로 사치스러운 일면을 그대로 반영한 결과이다. 또한 양대 불상 복식에서 넓은 소매와 넓은 웃옷, 내의를 묶은 옷고름(띠매듭)이 넓은 복장 표현의 성행은 당시 사대부의 복식이 그대로 이입되어 표현한 것이다. 당시의 이러한 복식의 성행은 사대부 사이에서 선풍적으로 유행했던 寒食散의 복용의 결과로 몸의 발열로 인해 넓고 큰 복식을 선호하게 되었고 이러한 당시 귀족들의 복장이 양대 불상에도 그대로 표현된 것이다. 양대 불교미술에서는 굽타 마투라, 사르나트식 양식이 출현하게 되는데, 이러한 양식은 육로보다는 해로를 통하여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양 무제는 황제로 등극한 후 廣州, 交州지역의 풍부한 물산, 해상 무역을 통한 막대한 이윤, 토착민의 풍부한 노동력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새로운 州를 설치하여 중앙의 직접적인 통치를 도모하였다. 그 결과 중앙과 광주는 더욱 밀착되게 되었으며 해상 무역은 더욱 번성하게 되었다. 동남아, 인도의 여러 국가들은 양왕조와 빈번한 교류를 이루게 되었고 동남아, 인도의 불교와 불교미술이 해로를 통해 활발하게 양나라로 유입되게 되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