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水陸齋의 전개와 공민왕대 國行水陸齋 설행의 의미

        강호선 韓國佛敎硏究院 2013 불교연구 Vol.38 No.-

        Buddhist rituals we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national rituals in Goryo Dynasty. Among these Buddhist rituals, there were rituals that not only kept being performed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but also that begun after establishment of Goryo Dynasty. The Buddhist Rite for the Beings of Water and Land(Sulyukjae/水陸齋) were also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in Goryo Dynasty, Sulyukjae which was accepted in early Goyro period were carried out as national or royal ritual. But, till late Goryo period, it was spread to the Goryo society and performed a part of the royal funeral service. Sulyukjae was accepted in Goryo Dynasty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jong(光宗), at that time, it was performed as nation or royal ritual, not performed privately by common people. On the late 11th century, an groyoastrologer(日官) Sakyum Choi(崔士謙) was visited to the Song China as one of Goryo representatives. He came back to the Goryo with the Ritual Text for the Rite of Water and Land(Sulyukyuimoon/水陸儀文) from Song China, and requested King Seonjong(宣宗) to build a building for Sulyukjae(Sulyukdang/水陸堂) in the Bojesa temple(普濟寺). The introduction of the Sulyukyuimoon and the construction of Sulyukdang mean that the Sulyukjae was systematized at the reign of King Seonjong. The follow three things mean that the Sulyukjae were popular to the Goryo people during the late Goryo period: (1) increase and variety of records on the Sulyukjae, (2) performed the Sulyukjae and published a text on Sulyukjae ritual by the Son sect(禪宗), (3) the Sulykjae was performed at a temple privately or as the rite for Salvation of the Dead by the nobility and government officials. Especially, the Sulyujae was taken for the royal funeral service and the royal rite for salvation of the dead at King Gongmin's reign, and the Sulyujae as royal ritual had been performed by early Chosen Dynasty. The change of the Sulyukjae during King Gonmin's reign was made sure at the funeral ceremony of Nokukdaejangkongju(魯國大長公主) at first, and the Sulyujae for Nokukdaejangkongju's soul which was managed by Monk Naong Hyegun(懶翁慧勤) was the first case of the National Ritual for the Beings of Water and Land(國行水陸齋) and it performed the royal funeral service(王室喪葬禮) for the first time. The funeral ceremony of Nokukdaejangkongju was kept going during early Chosen period by systemizing new royal funeral service based on the Confucianism. 고려의 국가의례에서 불교의례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았다. 이러한 불교의례 가운데는 삼국시대 혹은 통일신라시대 이래로 계속 설행되어 오던 것도 있었으나 고려 건극 후 새롭게 설행되는 의례도 있었다. 흔히 물과 육지를 떠도는 외로운 영혼과 아귀를 위로하고 천도하는 의식으로 알려진 수륙재도 고려에서 처음 설행되었던 불교의례이다. 고려전기 수용된 수륙재는 처음에는 국가 혹은 왕실의례로 설행되었으나 고려후기 그 저변이 확대되는 모습이 확인되며, 왕실상장례의 한 부분으로 수용되었다. 수륙재는 광종대 吳越과의 불교교류 속에서 수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민간에까지 확대된 행사가 아니라 국가 혹은 왕실의례로 설행되었다. 한편, 11세기 말에는 日官 崔土謙이 송에서 水陸儀文을 구해와 선종에게 청해 普濟寺에 水陸堂을 짓고자 했는데, 수륙의문과 수륙당의 건립을 통해 선종대수륙재 설행과 관련된 제반사항들이 체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후기에는 고려시대 수륙재 관련 기록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다양화된다는 것, 선종에서 수륙재가 설행되고 수륙의문이 간행되었다는 것, 寺刹에서 私的으로 설행하거나 혹은 일반 귀족관료틀 사이에서 중요한 천도의식으로 수륙재를 설행했다는 것 등이 주목되며, 사회전반에서 수륙재가 성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륙재는 공민왕대 국상·국장 및 왕실 천도재의 의식으로 정착되었는데, 상장례 및 천도재로서의 수륙재는 조선초 왕실 상장례 및 기신재로 계승되어 상당기간 존속되며 설행되었다. 공민왕대의 변화는 노국대장공주의 상에서 처음 확언되며, 노국대장공주를 위해 나옹혜근이 주관한 수륙재는 사료에서 확인되는 최초의 "국행"수륙재이자 왕실상장례에서의 수륙재 설행이었다. 노국대장공주의 상장례는 조선초 유교에 입각한 새로운 왕실 상장례가 정비되기 전까지 계속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조선전기 수륙재의 내용과 성격―천도의례(薦度儀禮)의 성격 및 무차대회(無遮大會)와의 개념적 차별성을 중심으로―

        민순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7 불교문예연구 Vol.0 No.9

        본고는 인도의 시아귀회(施餓鬼會)를 수용한 중국의 수륙재(水陸齋)가 독자 적인 내용과 목적으로 변용된 양상과 함께, 그것이 고려에 전래되어 조선전기 수륙재 설행의 유행에 문화적 기반이 된 추이를 개괄한다. 또한 조선전기에 이 르러 전사회적으로 크게 유행하게 된 수륙재의 설행양상을 그 대상과 목적을 중심으로 살피어, 조선전기에 국가주도적으로 거행된 수륙재가 조상 등 특정 영 가의 천도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식 상제례(喪祭禮)로 수렴되어 간 면모를 밝힌 다. 마지막으로 무차대회(無遮大會)의 개념적 차별성을 주목하여 조선전기에 일 반적으로 인식되었던 수륙재와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것이 조선 중기 이후 ‘여 제(厲祭)’라는 유교식 국가제사로 대치되거나 민간불교를 중심으로 하는 독자적 방향으로 변모해 간 흔적을 조망한다. 조선전기 수륙재는 특정 또는 불특정 망자에 대한 불교적 구제를 목적으로 설행되었다. 그 각각을 대표하는 것이 왕실의 조상(祖上)을 대상으로 하는 불교 식 상제례로서의 수륙재와 고려 왕씨를 위한 추천(追薦) 수륙재이다. 그 중에서 도 전자가 더 중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불교식 상제례의 경우 국가의 강력 한 개입 하에 칠칠재, 백일재, 소상재, 대상재, 그리고 대상 이후의 기신재가 모 두 수륙재로 합설되었으며, 이는 수륙재가 불교식 상제례의 의례적 형식을 이루 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특정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불교식 상제례로서의 수륙재 이든 불특정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추천 수륙재이든, 그 모두가 국가의 강력한 주도 하에 제도화되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단에 대한 국가권력의 강력한 개입은 전통시대 동아시아 3국의 공통적인 특징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한국 불교에 강하게 보이는 특징이라는 평가가 최근 학계에서 힘을 얻는 추세이다. 조선전기 수륙재의 제도화와 정비 과정에서 보이는 국가권력의 막강한 관여 역 시 그 같은 평가에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다. 무차대회란 수륙재의 내용을 이루는 한 축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개념적으로 무차대회와 수륙재는 분리될 필요가 있다. 조선전기의 수륙재가 특정 망자 특히 조상의 천도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변용될 때, 무주고혼을 포함하여 저승과 이 승의 모든 존재들을 평등하게 풀어먹이는 데 목적을 둔 무차대회는 그와 차별 적인 모습을 띠며 독자적으로 전개되었다. 하지만 조선전기의 수륙재가 어느 순 간 주자가례(朱子家禮)와 여제(厲祭)라는 막강한 유교적 의례질서로 빠른 속도 로 대체되고 국가주도적 수륙재 설행의 전통이 단절된 이후, 무차대회는 다시 불교식 상제례의 양상과 함께 수륙재의 성격 일부로 흡수되어 민간의 불교신행 을 중심으로 하여 전사회적으로 유행하게 되었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situation that China had developed suryukjae(水陸齋) in its own contents and purpose from Indian shiagui-hoe(施餓鬼會), the ritual to feed pretas(餓鬼), and the process that suryukjae was transferred to Goryeo(高麗). This paper also finds out the fact that suryukjae was popular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朝 鮮) and controlled by national power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royal ancestors go to Buddhist paradise(極樂). In other words, suryukjae was performed as a kind of Buddhist funeral or Buddhist memorial ceremony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Finally, this paper confirms that mucha-daehoe(無遮大會) needs to be distinguished from suryukjae. Suryukjae was carried out to save the souls of the dead, whether they were specified or not. Joseon dynasty performed suryukjae for their ancestors as a kind of standard Buddhist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on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for the Wangs, the royal family of Goryeo, massacred by Yi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The former seemed to be more important. The point is that the Buddhist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were performed in the form of suryukjae and that the form was systemizes by the powerful leading of the national state. The strong intervention of the national state in the process of systemizing the form of suryukjae showed the relationship of the State and the Buddhist Order in Joseon period. In the period, the Buddhist Order, namely Buddhism as a religion, was overwhelmed by the State power. Mucha-daehoe was a kind of Buddhist festival to feed all the creatures of the world regardless of the living and the dead. So many people have thought suryukjae and mucha-daehoe were the same ritual, namely the two words were the synonyms of one case. But mucha-daeho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uryukjae. The two were different, I think, at leas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Mucha-daehoe has been replaced by yeoje(厲祭), the Confucian ritual to comfort the ghosts without descendants, officially by the leading of the national state also. So suryukjae as a kind of Buddhist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and mucha-daehoe as a kind of Buddhist festival were integrated in the folk Buddhism. Now, the grand ritual confusing suryukjae and mucha-daehoe, namely the complex ritual confusing the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and the festival, has prospered in the folk Buddhism after the middle era of Joseon.

      • KCI등재

        水陸齋會의 設辦과 設行의 主體性 - 용주사 수륙재를 중심으로-

        이성운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4 禪文化硏究 Vol.36 No.-

        수륙재의 設辦과 設行의 樣態 및 意味와 行爲 속에서 수원 용주사 수륙재의 위상을 찾아보았다. 1790년 10월 1일 용주사에서 행해진 無遮會는 無遮로 법계 성인과 범부를 청해서 施食함으로써 先王의 冥福을 닦아주고, 齋者의 壽福 增長을 위한 목적으로 행해진 수륙재이며, 그 疏文의 ‘謹命’은 재자와 병법 아사리의 위치를 밝혀주는데, 재자는 병법 아사리에게 재회를 열라고 명령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용주사 수륙재는 內行 또는 國行의 수륙재임을 의미한다. 용주사 수륙재가 조선 후기 국왕에 의해 행해진 수륙재이므로 정체성에 부합하는 12단 혹은 17단을 설치하고, 宗室位를 중위에 모셔야 하며, 혼령을 목욕하는 浴所도 구분되어야 한다. 수륙재 儀文의 臺詞에는 첫째 붓다가 齋者에게 告하는 것, 둘째, 齋者가 神佛에게 소원을 아뢰는 것, 셋째 法師가 의례를 진행하며 설명하는 것으로 이뤄졌는데, 그 속에는 수륙재가 國行的인 위상임을 알려준다. 정조가 부친의 재궁으로 창건하고 佛像 점안식 날에 행한 용주사 수륙재는 여느 사찰의 그것과 또 다른 분명한 역사와 명분을 가지고 있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status of the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at Yongjusa Temple in Suwon, focusing on the meanings and actions involved in the aspects of its setup and performance. Muchahoe (無遮會; Buddhist ceremony without restriction) held at Yongjusa Temple on October 1, 1790, was a Suryukjae conducted to rest in peace of the late king and to pray for longevity and good fortune. This ritual invited both the enlightened beings of the Dharma realm and ordinary beings to partake in the food offering (施食). The polite request in the text to disclose the deceased’s guilt clarifies the positions of the ritual protagonist and the monks guiding the young monastic. It indicates that the ritual protagonist had the authority to command the monks to conduct the ritual, signifying that Suryukjae at Yongjusa Temple was an internal or national ritual. Suryukjae at Yongjusa Temple, established by a k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uld have a structure of either 12 or 17 tiers by its identity. The memorial tablets for royal family members should be placed in the middle, and a separate bathing area for purifying the spirits should also be designated. The lines of Its ritual oration consist of three parts: first, Buddha informs the ritual protagonist; second, the ritual protagonist makes wishes to deities and Buddhas; third, a dharma teacher conducts the ritual and provides explanations. This shows that Suryukjae has the status of the national ritual. Established as a memorial temple for his father by King Jeongjo and conducted on the day of the ceremony of dotting the eyes on Buddha’s statue, Suryukjae at Yongjusa Temple has a distinct history and legitimac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temples.

      • KCI등재

        불교철학의 입장에서 살펴 본 [관음시식]

        신규탁 한국정토학회 2014 정토학연구 Vol.22 No.-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관음시식(觀音施食)은 죽은 자를 위한 불교 의례 중의 하나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시식의 말뜻에는 ‘베풀다’는 의미가 들어있는데, 그 내용에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음식을 베푸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부처님의 말씀을 베푸는 것이다. 불교 의례를 통하여 죽은 자가 두 종류의 베품을 받아 제 스스로가 여섯 갈래의 윤회에서 벗어나 해탈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남겨진 가족들은 죽은 자를 위해 불경을 독송해주기도 하고, 때로는 선사들의 말씀을 읽어드리기도 한다. 이와 동시에 차를 대접하고 나아가 각종 음식을 대접하기도 한다. 이 중에서도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죽은 자 스스로가 진리의 말씀을 듣고 번뇌에서 벗어나 해탈하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관음시식에 담긴 철학적 요소를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자는 먼저 관음시식의 의례 구조를 분석했다. 이와 동시에 그 의례 속에 사용된 가사의 내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필자는 두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관음시식 속에는 불교의 세계관과 인생관이 들어 있는데, 그것은 기본적으로 화엄사상과 선사상 기초하고 있다. 이런 주장을 논증하기 위하여 필자는 각 게송들을 실례로 들어가면서, 그 속에 담긴 사상들을 추출해보았다. As well known, [Kwan-em-si-sik;觀音施食] is one of the ritual services for the deceased in the Buddhism. Si-sik has the meaning of offering. There are mainly two kinds of offerings. one is the offering of food and the other is the offering of Buddha's teachings. By offering the food and the Buddha's teachings to the deceased through the buddhistic ritual service, It can help the deceased released from the reincarnation of six realms on their own. Family members of the deceased read the Buddhist scriptures or seon masters' words for their beloved. Meanwhile, tea and food offered to the deceased.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ritual process is helping the deceased be liberated from affliction by listening to the words of truth.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look for the philosophical elements in the [Kwan-eum-si-sik]. For that, I analyze the structure of [Kwan-eum-si-sik] ritual and the lyrics sung in the service process as well. As a result, I reach two conclusions: one is the buddhist's view of the world and the other is the buddhist's view of life found in [Kwan-em-si-sik]. Basically, the views are on the basis of Hwa-yen thought and Seon thought. To prove my insistence, I extract some thoughts from the hymns each of which I demonstrate as the example.

      • KCI등재

        의례주체를 통해본 49재의 존재양상과 문제인식

        구미래(Koo Mee-Rae) 비교민속학회 2008 비교민속학 Vol.0 No.37

        49재는 죽음의 문제를 불교적으로 해명하는 정점에 놓인 의례로서, 상례의 국면전환과 더불어 현재의 제반양상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현장연구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49재의 존재양상과 문제인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법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족을 포함한 참석자들이 의례의 내용을 보다 잘 이해하고 상호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의식집의 정비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곧 의식문의 한글화를 추진하되 운율을 살리는 정교한 번역과 실제현장에서 이를 적극 사용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하며, 일반대중을 위한 의례지침을 정립하고 신도용 불교의식집을 마련해야 한다. 다음으로 죽음을 절실히 체험한 이들에게 가장 훌륭한 의례지침이자 감동과 영향력을 줄 수 있는 법문(法門)과, 의례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이 중요한 의례요소로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족으로 하여금 의례를 연 주체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의례에 임하는 마음가짐과 49일간의 행동지침을 미리 일깨워준다면, 의례목적을 분명히 인식하는 가운데 의례를 지르게 되고 의례를 마친 이후의 만족도 역시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경전독송 시에 유족의 동참을 유도하고, 중단의례에도 충실히 임함으로써 유족의 눈높이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진지한 의례로 임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셋째, 49재가 성립되면 유족 측의 요청과 무관하게 장례식장을 방문하여 망자를 위한 시다림(尸茶林) 법문을 행하는 풍토가 정착되어야 한다. 불교상례의 첫출발인 시다림이 종교적으로 바람직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현재 유족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신도단체의 활성화를 통해 상(喪)이 발생했을 때 신도 개인이 승려에게 직접 연락하지 않더라도 종교적 처치를 해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데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넷째, 49재는 망자를 위한 의례만이 아니라 산 자를 위한 의례이기도 하다는 사실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특히 49재를 마친 이후 유족과의 연계에서 망자의 ‘극락왕생’을 위한 후속 조치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죽음이라는 궁극적 사건을 계기로 산 자의 성찰적 삶을 이끌어 주는 의례목적의 정립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The 49th day after death 49jae is a ceremony placed at the peak of elucidating the matter of death in Buddhism. It is time for switching over the aspect of funeral rite affairs and a new reorganization. Therefore, the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of 49jae was analyzed, deducing the following several proposals based on site research and questionnaires. A problem on the purpose of the ritual and establishing direction bas been raised Recovering the sense of purpose to spread rightful teachings of Buddhism through 49jae would be important. 49jae is an expedient ceremony for the public. It would fall apart from the original Buddhism teachings if it was focused only in 'after-death heave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ceremony which makes one lock back on his life starting from an ultimate event as death and which leads to a life of self-reflection mist be dearly established. This is a matter on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n the ceremony and participation. First, maintenance must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sue in the ceremony guide. Along with translating the ceremony guide in Korean, efforts to actively use it in actual practice are needed. Also, not only the ceremony guide for priests for carrying on the ceremony, bat also ceremony guidelines for the public should be established. A Buddhism ceremony guide for followers mist be also prepared. Second appropriate Buddhist priesthood delivers Buddhist teachings to those who experienced death sincerely, giving great influence. There should be descriptions on the priesthood and ceremony. Third, efforts to lead the surviving family to attend more actively and sincerely as the head who is holding the ceremony are required. There is an issue on the harmony of traditionality and rationality. First, it would be desirable to actively induce meaningful contents among traditional ceremony factors. Ceremonies cannot be explained only with rationality and logic. Contents among traditional factors that can support the meaning of ceremonies must be introduced for a more substantial organization. Second, sacrifices must be simplified so that the minds can be focused on the original purpose of guiding the dead through Buddhism teaching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reate a system of simplifying offerings, mainly being food, so the participants can make offerings together. More temple offerings can be made at a certain amount depending on the capability of the offerer. This is matter on the importance of measures before and after the ceremony. First, when a mourning occurs, a Buddhist monk should attend the funeral home and preach a Buddhist sermon for the dead. It is important to block the 'expenses for efforts' that the surviving family pays and make preparations for this. Second, the purpose of ceremony must be clarified and the satisfaction after completing the ceremony should be raised by convincing the mental attitude toward the ceremony and behavior guides during the 49 days to the surviving family. Third, the after-death measures when the 49jae is over should be matched not to the dead but to the living.

      • KCI등재
      • KCI등재

        ‘아랫녘수륙재’에서 주목해야 할 몇 가지

        허용호 실천민속학회 2014 실천민속학연구 Vol.24 No.-

        I study on a few things to be noted in the Ahraetnyeok Suryukjae(水陸齋, Buddhist ritual of consoling the spirit of the dead in the Ahraetnyeok) in this article. Among the many features of the Ahraetnyeok Suryukjae that I have noted is ‘the name of Ahraetnyeok’, ‘unique ritual procedures’, ‘Samhoehyang(三回向, the ritual of harmonize everybody)’. The discussion about the three kinds of note are as follows. First discussion is about the name of Ahraetnyeok. The name of Ahraetnyeok is concept which separate the area and space. Moreover the name of Ahraetnyeok is used extensive concept which reveal differences of music, ritual, and dance. Such use of concepts are the egocentric identification of Araetnyeok. The egocentric identification that make Suryukjae of other regions the other and identify the self which differentiate the other is constructed. Those aspects do not make Araetnyeok stay in a simple discussion of cultural area. It Enable a dynamic study of culture area that involved the recogn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ubject. Second discussion are unique ritual procedures. Unlike other suryukjae, the Ahraetnyeok Suryukjae begin with the Oedaeryeong(外對靈, the ritual of calling in the soul at the outside). By the way the Oedaeryeong begin with the Gohoncheong(孤魂請, the summoning of the lonely sprit of the dead). That reveal clearly that the purpose of the Ahraetnyeok Suryukjae is the Chondo(薦度, the leading of the dead to the other world) of the Gohon(孤魂, the lonely sprit of the dead). Such foregrounding of the Gohon can be said that closer to the aim and the logic of the Suryukjae. The isolation of Socheong(召請) and Gwongong(勸供) are not unique aspect of the Ahraetnyeok Suryukjae but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Suryukjae. It is natural that the ritual of providing with food will be performed after serving all of serve the object in the Suryukjae. Meanwhile, unique ritual procedures that appear in the Ahraetnyeok Suryukjae have been treated only in case of folk traditions. However, those characters are examples which are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Suryukjae. It raises the need for a logic of construction of Suryukjae in the future. Third, I pay attention to the Samhoehyang. In that discussion, I pay attention to the Jaedam of questions and answers(witty remarks in rapid series of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Samhoehyang and Mondapseolbaeb(問答說法, the sermon of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Donghaeanohgugut. Those performances are difference in the functionality and content. But the way two people asking each other to answer and the way progress the Jaedam resemble each other. Such findings has made a choice that can be tracked to see the formation of the Mondapseolbaeb is a unique procedure of Donghaeanohgugut through the Samhoehyang. 이 글에서 필자는 ‘아랫녘수륙재’에서 주목할 만 한 것들에 대해 논의했다. 아랫녘수륙재의 여러 특징 가운데 필자가 주목한 것은 ‘아랫녘이라는 명칭’, ‘독특한 의례 절차’, ‘다함께 어우러지는 삼회향’ 등이다. ‘아랫녘이라는 명칭에 대한 주목’은 보다 구체적으로 아랫녘이라는 명칭이 갖는 내포와 외연에 대한 추적으로 이어졌다. ‘독특한 의례 절차에 대한 주목’은 독특한 의례 절차가 갖는 또 다른 의미를 추적하는 양상으로 진행되었다. ‘삼회향에 대한 주목’은 다함께 어우러지는 삼회향에서 떠오르는 착상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지 주목 사항에 대해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논의는 ‘아랫녘’이라는 명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아랫녘’이라는 명칭은 지역적․공간적 구분을 위한 개념이자, 음악․의례․무용 등의 차이까지 드러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쓰인다. 그러한 개념 사용에는 아랫녘 중심의 자기 정체화가 자리하고 있다. 타 지역의 수륙재를 뭉뚱그려 타자로 설정하고 이와 대별 혹은 비교되는 것으로 자신을 만들어 가는 ‘자기중심적 정체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양상은 ‘아랫녘’을 단순한 문화권 차원의 논의에 머물게 하지 않는다. 주체의 인식과 그 지향이 개입하는 역동적인 문화권역화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로 논의한 것은 아랫녘수륙재의 독특한 의례 절차이다. 아랫녘수륙재는 다른 수륙재와 달리 외대령으로 시작된다. 그런데 그 외대령은 고혼청으로 시작된다. 이는 수륙재의 목적이 무주유주고혼의 천도에 있음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한 ‘고혼의 전경화’는 수륙재의 목적과 논리에 근접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소청과 권공의 분리 역시 아랫녘수륙재의 독특한 양상이 아니라 수륙재 이치에 따른 것이다. 수륙재에서 모셔할 대상들을 모두 모시고 난 이후에 공양 의식을 설행하는 것이 마땅한 것이다. 그동안 아랫녘수륙재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절차들은 민간적인 성격의 사례로만 취급해 왔다. 하지만 그 특징들은 수륙재의 이치에 맞는 의례 구성 사례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필자의 견해는 이후 본격적으로 수륙재 구성의 자체 논리를 따져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세 번째로 주목한 것은 삼회향이다. 여기에서 필자는 비교적 자유롭게 연구 착상을 했다. 그 과정에서 동해안오구굿과 수륙재의 연관성이 생각 이상으로 밀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의에서 필자가 특히 주목한 것은 삼회향의 문답식 재담과 동해안오구굿의 문답설법이다. 두 연행은 그 기능이나 내용에 있어 차이가 있다. 하지만 불교적 내용을 2명이 서로 묻고 답하는 방식이나, 재담을 전개해 나가는 방식이 서로 닮아 있다. 그러한 발견은 불교의례 절차인 삼회향을 통해 동해안오구굿의 특이한 제차인 문답설법의 형성 과정을 추적해 볼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놓았다. 이상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는 이후 보다 심화되고 확산된 논의의 실마리가 된다. 아랫녘수륙재에서 착상한 것들이 이후 본격적인 연구를 통해 구체화되는 것이다.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각 논의의 끝 부분에 필자는 이후 수행해야 할 연구 주제를 설정했다. ‘본격적인 연행 주체의 인식을 따져 묻는 역동적인 문화권역화 논의’, ‘수륙재 구성의 자체 논리에 대한 고찰’, ‘수륙재와 여타 전통연행과의 관련성을 포착하는 논의’ 등이 ...

      • KCI등재

        預修齋와 各拜齋의 同異

        이성운 한국정토학회 2018 정토학연구 Vol.30 No.-

        이 논문은 『예수시왕생칠경』을 소의경전으로 하고 있는 예수재와 각배재가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살펴본 글이다. 사후 심판을 한다고 믿는 명부 시왕을 청하여 공양을 올리는 예수재와 각배재의 同異는 兩齋(예수재와 각배재)의 목적이나 구성, 양재에 등장하는 諸位와 그 役割, 양재의 系統과 底本 등의 同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預修齋儀는 자신의 사후 칠재를 내가 닦는 자행의 의례이고, 各拜齋儀는 다른 이들이 다른 이를 천도하기 위해서 설행되는 대타성이 강한 의례이지만 정토에 왕생하고자 하는 목적은 양재가 동일하다. 예수재에는 造錢儀式이나 緘合疏 등이 행해지고 庫司官이 所請되지만 각배에는 설법의식으로 망자의 공덕을 지어주며 證明 三聖과 十王과 그 眷屬의 召請으로 구성된다. 예수재에서는 수륙재에서와 같이 사자의 召請儀式이 설행되나 각배재의에는 使者도 그 권속으로 청해지고만 있을 뿐이다. 사후이므로 망자가 저승에 이르렀으므로 그렇다고 보인다. 한편 풍도대제와 태산부군이라는 중국의 명부신앙이 양재에 등장하나 의미가 크게 드러나지 않는데, 상위의 증명 불보살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지장보살의 역할은 유사하지만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데 예수재에서는 지장보살의 구제가 강조되고 있는 데 비해 각배재의에서는 지장(地藏)의 體現이 강조된다. 염라왕의 경우도 예수재에서는 현실적인 國土莊嚴이 강조되는 데 비해 각배재에서는 冥界의 審判性이 강조되고 있다. 兩齋 共히 수륙의문을 잇고 있다고 보이지만 각배재의 경우는 十王勸供 儀文이라고 할 수 있는 『勸供諸般文』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보인다. 歌詠의 경우는 양재 공히 『권공제반문』을 따르고 있는데 『권공제반문』에 없는 故我偈頌이 預修齋儀에 나타나고 있다. 예수재의 16세기 간행과 집술자 대우의 17세기 생몰설에서 오는 차이는 향후 자료발굴과 함께 예수재 의문의 집술 시기와 계통 및 영향 관계 연구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고 있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sameness and difference between Yesujae(預修齋, performing the rites while one lives in order to be reborn in the Buddha’s land after death) and Gakbaejae (各拜齋; one type of the rites for the spirit of the dead) whose main text is Yesujaesiwangsaengchilgyeong(預修十王生七經). The Ten kings who are in the charge of judgement of the dead are invited and served offering in both rites and there are the sameness and difference in their purpose, program, whom it may concern and their role, origin and filiation, Yesujae is the rite that one performs the ceremony of every seven days during 49 days while one is alive to be reborn in the Buddha's land after one's death and Gakbaejae is the rite that living others perform the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d to be reborn in the Land of Bliss by the grace of Buddha. But both have the same purpose that one wishes for the deceased to reborn in the Pure Land. The fake money ceremony for the deceased to repay the debt in after life(造錢儀式) and the ceremony for burning the sealed confirmation of repayment of the debt in past life (緘合疏) are performed and the Keeper of the underworld safe (庫司官) is called in Yesujae. Dharma talk is peformed in order to work on virtue of the deceased, and the witnesses of the three holy sages, the Ten kings and their dependents are called in Gakbaejae. As in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the ceremony of calling the deceased(召請儀式) is performed in Yesujae but the deceased is called as a member of the dependents in Gakbaejae, as the dead has already departed this life. Although Fengdu the Great and Taishan Fujun in Chinese netherworld belief appear in both rites, they are not significant. It may be because there are Buddha and Bodhisattvas superior to them. The role of Ksitigarbha Bodhisattva is similar in both rites but a subtle difference is that his relief is emphasized in Yesujae and his embodiment in Gakbaejae. Similarly for the King of the netherworld, his majestic ornamentation of the land is highlighted in Yesujae while his judgement in the land of the dead in Gakbaejae. Both succeed to the offering ritual oration for land and water but the ritual oration of the latter is to invite the Ten kings to offerings, which is influenced by Gweongongjebanmun(勸供諸般文, Outline of Buddhist Rituals for invitation to offerings). Gayoung(歌詠, Buddhist music and hymns praising the virtue and merits of Buddha and gods) in both rites conforms to Gweongongjebanmun but Gesong(偈頌, Buddhist stanza) of Goa(故我, therefore I) which Gweongongjebanmun doesn’t contain is chanted in Yesujae. Yesujae was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but the birth and death date of its compiler,Daewoo is said to be the 17th century. This disagreement gives us the challenge to examine research material and study the time of publication of Yesujae, its filia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 KCI등재

        조선 명종대 星州 安峯寺의 儒佛儀禮

        박정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4 泰東古典硏究 Vol.32 No.-

        I tried to analyze the Confucian and Buddhist rituals performed at Anbongsa(安峯寺) as a nationally certified temple in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of Joseon Dynasty. For this analysis,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ical records on the Anbongsa(安峰寺) in the mukjaeilgi(默齋日記), Confucian literati Lee Mun-Gwon(李文楗, 1495~1567)’ diary. First, the Lee family of Seongju(星州 李氏) hold the ancestral rites regularly in Anbongsa each February on the basis of Confucian traditions. But, Anbongsa-Sambo(三寶) in charge of temple affairs prepared food for ancestral rites table, and during the ritual they used a Buddhist tea instead of Confucian alcohol. Moreover, Anbongsa-Sambo assisted Hungwan(獻官) and performed ancestral rites exceptionally. Second, when a vihara in Anbongsa was constructed and Buddhist ceremony(法會) was held, Lee Mun-Gwon prayed for his ancestors, and he wrote a gimun(記文) in relation to Buddhist temple construction. Especially, he made a Chondojae(薦度齋) to be performed for his dead son in Anbongsa’s Dharma Hall(法堂). If the memorial ceremony could not be performed because of infectious diseases or funeral affairs, Lee had offerings of food on anniversary of the dead(忌日施食) to be hel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we can conclude that Anbongsa was the symbolic place showing the cultural and religious coexiste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the 16th century. 안봉사 영당제례는 설행의 주체와 방식에 따라 영당예제(影堂例祭)⋅영당별제(影堂別祭)⋅영당절일제(影堂節日祭)로 구분된다. 영당예제는 매년 2월에 정기적으로 거행하였고, 영당별제는 성주 이씨 문중의 한 개인이 특별히 거행하였으며, 영당절일제는 이문건의 요청에 따라 안봉사의 승려가 동지(冬至)에 거행하였다. 영당예제는 절 살림을 주관하는 삼보(三寶)를 맡은 안봉사 승려가 제사상을 준비하면 성주 이씨 내외손이 참석하여 유교제례의 절차에 따라 설행하였다. 하지만 제사에 술 대신 차를 사용하고 안봉사 삼보가 집사(執事)로서 참여하거나 직접 행사(行祀)하는 경우가 있어 유교제례에서 불교적 요소가 병존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안봉사 승방을 조성하고 거행된 회향불사(會餉佛事)에는 이문건 가문의 조선망령(祖先亡靈)에 대한 시식(施食)을 겸행하였으며, 이문건은 시식의례에 사용되는 기문(記文)을 써주는 방식으로 의례에 참여하였다. 이문건의 아들인 이온(李熅)의 칠칠재(七七齋, 사십구재)는 소재(小齋)의 규모로 승려 희오(熙悟)가 안봉사 법당에서 설행하였으며, 이문건은 백미 10두를 보냈을 뿐 직접 참여하지는 않고 노(奴) 귀손(貴孫)을 대신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문건은 역병(疫病)⋅상사(喪事)가 있어 조상들의 제사를 지낼 수 없을 때 안봉사에서 대신 기일시식(忌日施食)을 설행케 하였으며, 먼저 죽은 아들 이온(李熅)의 기일시식에는 승재(僧齋)를 거행하도록 하였다. 특히 안봉사의 첫 기일시식이 왕실의 기신재(忌晨齋) 복설 직후에 이뤄지고 중종대 이후 사대부 가문에서 사라진 승재가 명종대 이온의 기일시식에 설행된 사실은 사대부 이문건의 불교신앙적 면모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구명시식(救命施食)은 복인(卜人)의 점괘에 따라 안봉사 승려가 설행하여 당시 무속과 불교의례의 상호공존 양상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유교제례와 불교의례가 함께 설행된 불교사찰 안봉사는 16세기 명종대 유교와 불교의 문화적 공존을 잘 보여주는 상징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제주도 무가 <헤심곡> 연구 : <회심곡> 사설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강진옥 한국구비문학회 2014 口碑文學硏究 Vol.0 No.38

        <Hyesimgok> is a song called “Chasayeongmaji”, which is sung in the ritualto send the dead to the other world. It is a good example showing theincorporation of Buddhist verses into shaman songs through variationsreflecting Jeju’s shamanistic belief system. The process in which Buddhist verse <Hyoisimgok(回心曲)> transforms intoshaman song demonstrates that Jeju’s shamanistic belief system lies in thecenter of its reception and variation. <Hyesimgok> accepts the basic structureand key phrases of <Hyoisimgok>, but in some parts verse variations thatobviously refect the Jeju shaman’s beliefs is tried especially in such illustrationsas ‘Exploration of Bonhyangdan’ and ‘Response of house gods’ in the partcalled ’Coming of the Death Messenger’. It supports the process of culturalidentification of Jeju people that was required in the transformation of Buddhistverse <Hyoisimgok> to Shaman song, <Hyesimgok>. The Jeju shamans actively utilizes the illustrations that represent theindigenous belief system and cultural values of daily lives of Jeju people, thusthey not only introduced the world view base through which they canapproach the question of death in shamanistic world view and ritual structure, but also attempted to realize wishes of the moving of the dead to the otherworld and eternal living in the heaven by preparing devices materializing thecontext and relationship of the rituals that are proceeding ‘here and now’. As a result, <Hyesimgok> could be reborn as a central shaman song that isa backbone of the ritual sending the dead to the other world and a base thatbacks up main ritual elements as a text for Jeju’s Shaman belief system,thoughts on after death, and the next world. This study attempted a cultural and contextural approach on the forms ofexistence of <Hyesimgok> to understand the shamanistic reception andvariation of Buddhist world view.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providesa clue to understand the cultural identity and imaginative world of Jejushamans. <헤심곡>은 제주도의 망자천도의례(亡者遷度儀禮)인 ‘차사영맞이’에서 불려지는 무가이다. 불교 재(齋)의식에서 불려지는 화청(和請) <회심곡>을 수용하여 제주도 무속의 신앙체계에 부합되는 방향으로의 독자적 변용을 실현함으로써 불교계 가사와 무가사설의 교섭양상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된다. 불교계 가사 <회심곡>에서 무가 사설 <헤심곡>으로 전환하는 과정에는 제주도 무속의 신앙관념이 수용과 변용의 중심축으로 뚜렷이 자리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헤심곡>은 <회심곡>의 기본구조와 중요단락을 받아들이되, 특정대목에서는 제주도 무속의 신앙관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사설 변이를 시도하는데, 특히 ‘저승차사의 도래’ 단락에서 부각되는 ‘본향당 탐색’과 ‘가신들의 대응’ 삽화는 불교계 가사 <회심곡>이 제주도 무가 <헤심곡>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청되었던, 제주도민의문화적 정체확인과정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제주도 무속집단은 외래종교문화적 배경을 지닌 <회심곡> 사설에 토착의 신앙관념을 대변하는 삽화들과 제주도민의 생활문화적 가치관념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제주도 무속의 세계관념과 의례구조 속에 ‘죽음의 문제’에 접근할수 있는 세계관적 기반을 도입했을 뿐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진행되는 제의 맥락과의 연관성을 구체화하는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망자의 저승천도와 극락왕생에의 기원을 현실화하고자 했다. 그 결과 <헤심곡>은 제주도 무속의 신앙체계와 사후관념, 저승관념을 뒷받침해주는 텍스트로서, 차사영맞이의 주요제차를 뒷받침하는 근거이자 사령의례의 근간을 이루는 중추적 무가 사설로 거듭날 수 있었다. 본고에서 시도한 <헤심곡>의 존재양상에 대한문화문맥적 접근은 불교적 세계관의 무속적 수용과 변용의 양태를 이해하고 제주도 무속집단의 문화적 정체성과 상상력 체계에 대한 이해의 단서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