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사찰음식의 문화유산 가치와 전승 과제

        배영동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9

        Unlike general Korean food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containing Buddhist ideas are cultural heritage items which have developed along with Buddhist ritual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have considerable elements in common with general Korean foods. However, they are separated by the characteristic that they avoid meat, fish and five pungent herbs based on Buddhist principles. Balwu-Gongyang is a communal Buddhist meal service, which is a typical cultural phenomenon that well represent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Many aspects in the cultural heritage of Balwu-Gongyang are as follows: Buddhist discipline based on Buddhist principles, wisdom of ecological adaptation, inheritance of a type of simple daily Korean food, foods as medicines preventing and healing diseases, realization of Korean ‘communal values’ and ‘the value of sharing’, and eco-friendly saving and complete consumption. Next, the extension of the food range of Balwu-Gongyang leads to the cultural heritage value in seasonal foods of Korean Buddhist temples. This cultural heritage contains fixed forms of general people’s ritual foods and Korean Buddhist seasonal foods considerably. This is a heritage of food culture that reflects changes in Korean foods, and also a communal cultural heritage of general people and Korean Buddhist temples. Nevertheless, a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have not been identified completely, there are various things to do in order to pass down these temple foods properly. Traditionality of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needs to be recovered. Each temple should develop its own unique temple foods. Seasonal temple foods that are forgotten need to be restored or represent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of passing down traditional Buddhist temple foods. Buddhist temple foods in Korea should be systemized and recorded periodically after academic surveys of these foods are conducted. Distinctions between traditional temple foods and contemporary ones are necessary. How to merchandize temple foods for the public needs to be established as well. 한국의 사찰음식은 일반적인 한식과 달리 불교사상을 담고 있는 음식으로서 불교의례와 더불어 발달한 문화유산이다. 물론 사찰음식은 일반적인 한식의 요소도 상당히 갖고 있지만, 불교사상에 기초하여 육류․생선․오신채(五辛菜)를 쓰지 않는 음식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발우공양은 사찰의 식사법으로 사찰음식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현상이다. 발우공양의 문화유산 가치를 찾아보면, 불교사상에 기초한 불교 수행론의 문화유산, 생태적 적응의 지혜를 간직한 문화유산, 간소한 일상적 한식의 유형을 전승하는 문화유산, 병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음식으로서 의료문화유산, 한국인들의 ‘공동체적 가치’와 ‘나눔의 가치’를 실현하는 문화유산, 절약과 완전소비를 추구하는 생태주의 문화유산이다. 다음으로 사찰 세시음식의 문화유산 가치는, 발우공양 음식의 범주가 확장된 것이며, 민간 의례음식의 고형과 불교세시음식의 고형을 상당히 많이 간직하고 있는 문화유산, 한국 음식의 변화상을 반영한 음식문화유산으로서, 민간과 사찰의 공동체적 문화유산이다. 그런데도 사찰음식은 정체성이 모호한 부분이 있으므로 바람직한 전승을 위한 과제가 적지 않다. 사찰음식의 전통성 회복, 사찰마다 특색있는 음식 살리기, 잊힌 사찰 세시음식의 복원 또는 재현, 전통적 사찰음식의 전수체계 마련, 전국 사찰음식에 대한 학술조사 후 체계화와 주기적인 기록화, 전통적인 사찰음식과 현대적인 사찰음식의 구분, 사찰음식의 대중 상품화 방안 모색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 불공(佛供)·승재(僧齋)·시식(施食)의 3종 공양을 중심으로

        민순의 ( Min Sun Euy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2 No.32

        이른바 재례(齋禮)로 통칭될 수 있는 현행 한국불교의 주요 의례들은 그 제차의 상당 부분이 먹이고 먹는 행위의 양식과 관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국불교가 ‘먹임’과 ‘먹음’이라는 행위에 대해 갖는 의미를 주목하게 된다. 본고는 불공(佛供), 승재(僧齋), 시식 (施食)이라는 3종의 의례 절차에 주목하여, 한국불교의 의례에서 먹임/먹음과 관련된 절차의 구조와 양상, 역사적 변천과 그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초기불교는 신체의 손상에 이르는 과도한 절식이나 음식에 대한 탐착 모두를 거부하는 중도(中道)적 음식관을 지니고 있었다. 음식의 섭취는 적절한 건강상태를 유지하여 올바른 수행을 가능케 하는 수단이었다. 음식에 대한 이 같은 초기불교의 중도적 기능주의의 태도는 이후 불교의 전 역사를 통해 관철되었다. 당초 재가신도들이 승려들의 수행을 보필하고자 공경의 마음을 담아 음식과 생활 필수품 등을 바치던 행위인 공양(供養)은 동시에 재가자들 스스로가 공덕을 쌓는 수단으로도 인식됨으로써, 공양은 승단과 재가 사이에서 불도수행(佛道修行)과 공덕(功德)이라는 가치를 주고받으며 성립되는 이원론(dualism)적인 상호 교환적 가치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후 대승불교의 불탑공양을 거쳐 동아시아로 전파되며 그 신앙적 의미가 깊어진 불공(佛供)의 의례는 상단(上壇)의 불보살에게 바쳐짐으로써 그들의 초월적 위신력과 가피를 구하려는 종교적 의미 또한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승려들을 초청하여 음식을 제공하고 설법을 듣는 초기불교의 청식(請食) 전통은 불공의 종교적 의례화와는 별도로 존속하였으며, 고중세기 한국 사료에 남아있는 반승(飯僧)의 기록은 그 대표적인 흔적으로 보인다. 그런데 반승의 사례는 청식의 전통이 한국 등 동아시아 불교문화에서 변용되면서 국가권력과 왕권의 강화에 기여하는 정치사회적 의미를 띠게 되었음을 노정한다. 그러나 이는 동시에 수행과 깨달음이라는 목표를 지향하는 종교적 축제로서의 기능적 의미적 확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오늘날 반승은 영산재 식당작법(食堂作法)의 승재(僧齋) 양식 속에 그 흔적을 남긴 듯하다. 하단(下壇)의 영가(靈駕)에게 행해지는 시식(施食)은 한국불교의 재례가 자비와 공덕의 대상을 삼세중생으로 넓혀 우주적 차원의 구원론으로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단계에 이르러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 주체의 음식에 대한 태도는 초기불교의 ‘수행과 불이론(不二論)적으로 합치하는 공덕 추구’에서 ‘세속적 국가권력의 강화’ 태도를 거쳐 마침내 ‘공덕과 회향(回向)의 우주적 확산’이라는 국면으로 착실히 수렴되고 있다. 또 먹음주체의 입장에서는 먹음으로 표상되는 자력적 수행의 차원이 종내 타력적 구원으로 확장됨으로써, 국가-교단 간의 권력 관계를 넘어 대중적 기복 신앙으로 기층화되는 양상을 보게 된다. 재가신도와 하층민 나아가 삼세육도의 모든 중생에게 혜택과 공덕이 미치며 세속적인 측면까지 아우르는 축제 분위기에 도달한 것이다. 요컨대 한국의 불교의례는 초기불교의 기능주의적 물질적 음식관과 승단 청식의 전통을 받아들이며, 상단과 중단 그리고 하단에 이르는 3중의 의례적 구조를 완성하였고, 그 과정에서 수행과 공덕의 상호 교환적 가치로 재해석되는 이원주의적 사유체계, 초월적 존재에 대한 종교적 신앙심, 국가와 교단간의 정치사회적 권력관계, 수행과 공덕으로 성속을 아우르는 축제의 이미지, 그리고 마침내 자력과 타력을 두루하는 우주적 차원의 불교구원론이라는 다양한 의미의 지층을 중층적으로 포섭하게 되었다. The jaeryes(齋禮, upavasatha rituals), one of the main Korean Buddhist rituals of today,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acts of ‘feeding’ and ‘eating’. This treatise is focused on the triple practices of Bulgong(佛供, offering food to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Seungjae(僧齋, serving food to Buddhist monks) and Shishik(施食, offering food to others, especially ghosts), and then examines the structures, the aspects, the historical changes and the meanings of feeding/eating in those procedures. Early Buddhism held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ude on food, and this attitude prohibited both the excessive temperance in food and the attachment to food. The intake of food was just to maintain a good health and to perform the appropriate religious self-disciplines. This tendency has been carried on throughout history. The gongyang(供養), which is offering action to monks by the lay persons out of the respects for monks’ disciplines,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means for the lay persons to accumulate the merits, or the Buddhist charities, by doing good for others. Therefore, a dualistic and commutative value system has been established between the samgha and the laity : indulging in Buddhist self-disciplines for the monks and the charity-based merits for lay persons. The gongyang has been diversified in its forms and its various concepts has been widely disseminated to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It comes up to claim the religious meaning : the pursuit of transcendental force from the transcendental Buddhas and Bodhisattvas. In this connection, the gongyang was performed to dedicate things to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at the top altar of the main hall in the temple : it is also called Bulgong(佛供). Meanwhile, the tradition of inviting Buddhist monks to dinner and listening to Buddhist sermon in return had been transformed into Banseung(飯僧, ritual for kings to feed the monks) in Shilla(新羅) Dynasty of Korean Ancient Ages and in Koryeo(高麗) Dynasty of Korean Middle Ages. Actually the mode of Banseung practices demonstrated the national power which was overwhelming the Buddhist order. It also functioned as a kind of festival which was sacred rather than secular. Festivals are usually the entertainments and the enjoyments for the commoners but this Buddhist festivals were in a way of promoting the Buddhist self-disciplines and enlightenment. Today it seems to be handed down in the form of a Buddhist ritual practices called Shikdangjakbeop(食堂作法) : it is also called Seungjae(僧齋). Finally Shishik(施食), the ritual practices of offering food to ghosts displayed at the bottom altar of the main hall of the temple, shows the popular and universal Buddhist salvation. In this step, the attitude-to-food of feeding agents in the Buddhist rituals becomes to have the overlapping meaning, from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ude on food and the dualistic and commutative value system around religious self-disciplines and charities in Early Buddhism, to the popular and universal extension of religious salvation. Simultaneously, the way of self-disciplines includes not only one’s own exertion but also pursuit of transcendental power in a dimension of the eating agents of Buddhist rituals. It means the popularization of the faith for blessing. Now, in a sense, it seems the festival over the sacred and the secular together. In short, Korean Buddhist rituals accepted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de on food and the tradition of inviting Buddhist monks to dinner in early Buddhism, and completed the triple ritual-altar structures from top for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to bottom for ghosts and mean creatures. And then it involved the dualistic thinking system of mutual exchangeable values around religious self-disciplines and charities, the faith in transcendental beings, the power relation between national order and Buddhist order, the image of festival over the sacred and the secular together, and finally universal salvation concept embracing the salvation from one’s own exertion and that from outside. And all of those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s of feeding/eating in the Korean Buddhist ritual procedures and performances.

      • KCI등재

        초기불교 교단의 식(食)에 대하여

        신성현 ( Sung Hyun Shin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1

        본 글은 초기불교승단의 비구 비구니의 음식과 관련된 사건과 내용을 통하여 그것이 담고 있는 의미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초기불교 승가의 의식주 일상생활 있어 음식이 가지는 의미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비구와 비구니는 걸식을 통하여 음식을 얻었다. 재가신자가 보시하는 음식을 하루 한번 오전 중에 걸식하여 먹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비구, 비구니가 걸식을 할 때에는 반드시 발우를 지니고 있다가 재가신자가 보시하는 음식물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비구와 비구니는 구족계를 수지할 때 화상으로부터 받은 하나의 발우를 소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비구, 비구니는 걸식뿐만 아니라, 재가신자가 청하는 請食을 통하여 음식을 먹을 수도 있었다. 請食은 재가신자가 집에 음식을 준비하고 출가자를 초청하여 공양을 대접하는 것을 말한다. 비구 비구니는 한끼를 보시하는 공양처에서도 음식을 얻어서 먹었다. 이와 같이 불교승단이 발전하면서 음식에 관한 규정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지만 그 근본정신은 변함없다고 생각한다. 비구 비구니의 청정과위의 그리고 승단이 화합이라는 전제가 된다면 그들의 복지와 안녕을 위하여 계율 조목의 개정은 어려운 일은 아니었다. Eating food is an important act to both Buddhist believers and Buddhist monks because it is the act of survival itself. Because of this significance, food issues related to Buddhist monks are mentioned in Vinaya Pitaka in detail. These explain dignity and purity of Buddhist monks and nuns. Buddhist monks are not allowed to make profits or to do physical labor to earning something to eat. Buddhist monks must depend on Buddhist believers who provide food for free or invite Buddhist monks or nuns. Food is acquired from relationship with Buddhist believers. Receiving food from believers is a chance for Buddhist monks or nuns to provide believers with Buddha`s teachings on truth. Because of this relationship, monks and nuns are not allowed to cook themselves or even pick fruits from the tree. Buddhist monks use a bowl called “balwu” when they eat food. Buddhists monks or nun put every food received from Buddhist believers in that bowl and never complaint about food and satisfied with it. However, these principles on food must change according to various climates, social conditions because the Buddhism body has developed. Buddha was not hesitate to change or amend these rules if it is necessary. Buddha considered his disciples first and did not want to lead his followers to the road of celibacy. Buddha explains on the reason of rules. He said those are for leadership for and harmony with people. The ideal Buddhist practice is to acquire spiritual enlightenment through simple and pure life and harmony with the Buddhist body. As time changed and the Buddhist body has developed, rules on food changed. But its major spirit does not change, which are harmony of simple and pure life with Buddhist body. Eventually the act of acquiring food makes Buddhist monks and nuns achieve the supreme enlightenment.

      • KCI등재

        출가자의 식생활과 현대의 웰빙 -사찰음식의 보급과 관련하여-

        이자랑 ( Ja Rang Lee ) 인도철학회 2013 印度哲學 Vol.0 No.38

        본 논문은 律藏(Vinayapitaka)을 중심으로 초기불교교단의 출가자들의 식생활을 고찰하고, 이에 근거하여 사찰음식이 현대의 진정한 웰빙을 지향하는 현대인들의 취향에 부합하면서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시중에서 접하게 되는 사찰음식은 출가자들이 먹는 음식이 라고 생각하기에는 너무나도 정교하고 내용물도 호호스럽다. 또한 사찰 음식을 만드는 사람이나 먹는 사람이나 주된 관심사는 내용물 그 자체에만 있는 것 같다. 한 마디로 현재 사찰음식이라는 이름하에 나타나는 여러 상업화 현상 내지 사람들의 인식을 보면, 사찰음식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 의아할 뿐이다. 사찰음식이 현대인들의 식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지만, 출가자들의 식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지만, 출가자들의 식생활에 담긴 진정한 의미를 망각한 사찰음식은 그저 현대인들이 ``잘 먹고 잘사는`` 정도의 의미로 신중하지 못하게 언급하는 고급스러운 하나의 웰빙 문화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일반인들이 출가자의 삶을 오해하여 여러 가지 보작용을 양산해낼 가능성도 없지 않다. 사찰음식을 ``사찰에서 수행 정진하는 스님들이 먹는 음식``으로 정의하는 것에 이론이 없다면, 사찰음식의 본질은 ``수행 정진``과 관련해서 찾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출가자들이 어떤 식생활을 지향함으로써 식탐을 제어하고 편안한 심신을 유지, 이로 인해 수행에 전념할 수 있었는가 그 절제의 미덕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찰음식이 몸도 마음도 건강한 진정한 웰빙 음식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고급스러운 재료나 시선을 사로잡는 화려한 조리법에 있는 것이 아닌, 깨달음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위해 정진하는 출가자들이 가장 소박한 음식으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하는 지혜가 담겨져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etary life of the early-era Buddhist monks based on the Vinayapitaka, a Buddhist scripture that regulated the daily living of Buddhist monks, and proposses the role of Buddhist temple foods in enhancing the contemporary culture of well-being. Recently, Buddhist temple foods have been gaining greater traction as they are well-suited to the culture of well-being that modern people zealously aspire to. As tem-ple foods are wholesome, they serve to ameliorate wide-spread anxiety over the safety of foods. Temple foods have attracted keen attention, and the demand for them has been soaring. However, the so-called temple foods served at res-taurants are often too elaborate and luxurious to be consid-ered fit for Buddhist monks. Moreover, both cooks and con-sumers of temple foods seem only interested in the food itself. The current wave of commercializing temple foods and people`s perception of this trend overlook the essence of temple foods. In effect, temple foods are positively affecting contemporary dietary life. Hpwever, without delivering the underlying value of Buddhist monks` dietary life, temple foods are merely a luxurious element of the culture of well-being with modern people rashly equating temple foods with eating well and living comfortabl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Buddhist monks` dietary life bassed on the Vinayapitaka and illuminates their diet`s meaning and value. Given that temple foods can be defined as foods consumed by Buddhist monks at temple who are dedicated to practic-ing asceticism, the essence of temple foods need to be found in the practice of asceticism. To find the virtue of ab-stinence, the study examines what kind of a dietary life the monks led and how they controlled their appetites and maintained peaceful states of body and mind so that they could fully devote themselves to practicing asceticism.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emple foods can be seen as genuine weel-being fare that enhances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not because of the foods` luxurious in-gredients or enticing visual presentation, but becausse temple foods preserve the wisdom of creating the best with the most humble foods for Buddhist monks devoted to practic-ing asceticism to attain the ultimate goal of enlightenment.

      • KCI등재

        한국불교 식문화의 특징과 연구 활성화 방안 - 제1차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를 토대로 -

        김현구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4 No.-

        필자는 지난 2013년 3월 26일부터 6월 21일까지 대한불교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사찰음식팀이 기획한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를 진행하였다. 원로스님, 공양주보살, 그리고 사찰음식 연구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분들의 구술 내용에 근거하여 사찰음식 원형문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찰음식 원형문화 파악을 위한 원로 인터뷰조사는 사찰음식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찾아야한다는 필요성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를 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어떤 음식을 사찰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지, 사찰음식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불교 내적으로 사찰음식에 대한 정의와 범주를 확인하며, 그에 부합하는 사찰 식문화의 원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찰음식의 전통식단 및 식문화에 대한 자료 수집을 진행해야한다. 더불어 이러한 자료 수집은 서구화·현대화된 식생활 문화의 영향으로 사찰 식문화의 원형성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미 사라졌거나 사라져가는 사찰음식의 전통식단 및 식문화를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시급히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를 위해 먼저 문헌자료를 토대로 한국불교의 식문화의 원형성에 대해 고찰했다. 이는 사찰음식에 대한 문헌적 근거를 불교경전에서 확보하고, 동아시아 불교문화에 나타난 사찰음식의 역할, 기능, 그리고 위상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원로스님들로부터 출가 당시의 사찰 먹거리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듣고, 특색이나 지방색이 있는 음식을 만들어 드셨을 경우 전승경로와 조리법을 파악했다. 이는 인터뷰설문에 근거하여 원로스님들의 출가 당시를 기준으로 사찰음식 원형문화에 대한 특색을 정의하기 위해서였다. 필자는 이상의 조사의 과정에서 사찰음식의 원형성을 정의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사찰마다 서로 다른 지역적 환경에 따른 특산물을 이용한 조리법은 다양했지만, 불교의 근본정신에 부합하는 음식 조리법과 식사 방식을 강조했다. 그러므로 현대에서 사찰음식이 대중에게 향유되는 방향성도 그 근본정신에 맞추어져야 한다. 사찰음식은 단순히 사찰에서 먹는 채식위주의 식단만이 아니라 불도를 이루기 위한 마음가짐과 몸가짐으로 먹는 수행인의 식사인 것이다. 많은 원로스님들의 말씀 속에는 이러한 사찰음식의 본래정신과 수행자의 자세가 충분히 담겨져 있었다. I have carried out a research under following title: interviews to senior buddhist monks and nuns for identifying traditional temple food.” It was a part of the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by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Korea Buddhism of Jogye Order) during 26 March to 21 June 2013. The main aim of this survey was that to record traditional culture of korean temple food, based on oral statement from senior buddhist priests and monastic cooks. I have looked the origination of Korean monastic food, since fundamental identity of temple food needed to be confirmed. In order to identify temple food, history of temple food within korea Buddhist history should be traced. For this project, we tried to confirm the definition of korea temple food. Then the origins of Buddhist food culture was necessarily looked at to meet it next. For this research, data for the traditional diet and the food culture of temple had to be collected. Furthermore, from influence of westernized or modernized diet and food, traditional diet and the culture of temple food are disappearing so that collection of data regarding already gone and is going to be disappeared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There are two ways of study. On the one hand, we examin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Buddhist food culture on the basis of the related Buddhist literatures and learning from senior buddhist monks and nuns and temple cooks about various experiences of food culture at the time of their renunciation. On the other hand, figuring out of the transmission lineages and recipes in the case when they have a regional specialty or peculiarity. First of all, securing the literal source of temple food from the Buddhist scripture. Secondly, collecting the materials mentioned about role, function, and authority of the temple food appearing on East Asia Buddhist culture. Finally, it brings about a defi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temple food culture based on interview survey of the senior monks and nuns at the time of their renunciation. While conducting this research, I have realized the fundamental identity of Korean temple food. In particular, all monks emphasize recipes and diet that correspond to the very spirit of Buddhism. Although each temple has a wide variety of recipes because of using other indigenous ingredients. Thus, sharing temple food with public should be focused on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temple food. Since Korean temple cuisine is not merely vegetarian dish, but also meant to achieve self enlightenment, most of senior monks and nuns told us that it is important to remain a state of mind and morality to practitioner's position. In the words of many senior monks, the original spirit of these Buddhist temples and practitioner's position is fully incorporated into.

      • KCI등재

        불교 문헌에 나오는 음료용(飮料用)) 장류(漿類) 음식 분석

        김미숙 ( Mi Suk Kim ) 인도철학회 2013 印度哲學 Vol.0 No.39

        Food is the basic necessity of human life. In ancient times Indian Buddhists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food. In Buddhist Cannon, especially the literature on Vinaya of a Chinese version there are rich contents of food and regular mealtimes and the other rules of food and to take ameal. At First, there are four categories, khajja, bhojja, leyya and peyya of Buddhist food in Buddhist Cannon. That is hard food, soft food, mucilaginous and drinkable food. Among eatables and drinkable food, eight kinds of pana, namely beverages, have been frequently mentioned espe-cially in the literature on Vinaya, but we couldn`t know for certain those names. In this paper, upon investigation for the most part of the Vinaya literature of a Chinese version, I analyze eight kinds of pana. I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are many trees, fruits, floras, plants of the main ingredients of pana. For instance, eight kinds of pana is made of kapittha, saluka, kumuda, jambu, pharusaka, badaramissa, koloda-ka(jujube), ka(moca(banana), asattha, coca(cinnamon ; plan-tain), gula, gulodaka(brown sugar), mrdvika, muddika(vine), ucchu, guda(sugar cane), amra, amba(mango), cuta, ambila, amla-cuda etc.

      • KCI등재

        佛敎 和合僧의 실현에 대한 一考 - 의식주의 공평한 분배를 중심으로

        신성현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2 No.-

        승가의 생활은 안거제도가 시행되면서 급속하게 변화한다. 안거는 정주생활과 아울러 공동생활을 하 는 계기가 되었다. 공동생활을 한다는 것은 대중의 화합을 전제로 한다. 대중의 화합이 깨어진다면 승 가는 존속될 수 없다. 불교승가를 명확히 특징짓는 단어는 화합승이다. 따라서 승가의 모든 생활은 화합을 지향하여야 한다. 승가의 대중은 현전승가에서 공동으로 의식주 생활을 하여야 한다. 공동으로 의식주 생활을 하는 것은 사방승물을 공평하게 배분하여 사용하고, 승가에 보시되는 물품을 평등하게 분배하는 것이다. 의식주 생활의 화합은 현전승가의 모든 대중들이 보시 물에 대하여 욕심을 내지 않고, 분배해 주는 것을 만족스럽게 받아서 간소한 생활을 추구할 때 이루어 진다. 승가는 검소한 생활을 하면서 재가자가 보시하는 물품을 받아서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승가는 재 가자가 사용목적을 지정하여 보시하는 비용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사방승가에 보시하는 물품들 을 개인에게 돌리거나 현전승가에 분배할 목적으로 구한 물품을 개인에게 돌리는 등의 어떠한 행위도 금지하였다. 이것은 승가의 전 대중들이 공평하게 분배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빼앗는 것으로 승 가의 공동생활에 저해가 되므로 금지한 것이다. 그리고 승가는 의식주의 분배와 사용에 공정성을 위해 서 知事比丘를 선출하였다. 승가의 대중은 지사비구의 물품 분배에 다소 불만이 있을지라도 표출할 수 없고, 물품 관리의 전권을 위임받은 소임자의 분배에 만족해야 한다. 이로써 승가는 의식주의 공동생 활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었고, 화합이 성립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승가화합은 승가 구성원들이 의식주를 공동생활로 하는데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붓다는 승가의 공동생활을 저해하는 악행을 금지하는 규칙을 율로서 제정하였다. 이러한 내 용은 바라제목차(pātimokkha)를 통해 상세히 볼 수 있다. The life of Buddhist priesthood has been deeply changed as a system of settle-down was established, which has also paved the way for communal life along with staying in a certain place rather than going around. Communal life is based on the premise of public's harmony; once it is broken, the Buddhist priesthood cannot be continued. One of the key words to characterize the Buddhist priesthood is a harmonious Buddhist Samgha. Therefore, harmony should be the path for every perspective of the Buddhist priesthood life. Public of the Buddhist priesthood should live a communal life through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sammukhībhūta- saṃgha, which means an equal distribution and usage of commodities and temple offering. Moreover, a harmonious Buddhist Samgha can be fulfilled as every public in sammukhībhūta-saṃgha is not greedy for temple offering, satisfied with what was distributed to achieve simple life. While living a simple life, receiving and using temple offering from home-staying Buddhist was permitted in the Buddhist Samgha. In addition, it was prohibited for the Buddhist priesthood to use expenses of temple offering for other purposes by assigning purpose of usage from a home- staying Buddhist. Also, the Buddhist priesthood has warned that giving individuals temple offering for cātuddisa-saṃgha, and purchasing commodities and giving them individuals with a purpose of distribution as it impedes communal life by depriving public of the right for distribution and usage. To attain justice in distribution and usage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Buddhist nuns was selected who was responsible for managing commodities. Even though there may be somewhat dissatisfac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commodities, public should not express it, while they should be satisfied with the distribution by the manager. In this way, communal life can be sustainable without difficulties and ultimately it can achieve a harmony. To sum up, the harmony of the Buddhist priesthood can be achieved through a communal life of its members. As such, the Buddha made rules to prohibit misdeeds hindering communal life of the Buddhist priesthood, which also could be explored through pātimokkha.

      • KCI등재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사찰음식인식이 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불교인과 비불교인의 비교 -

        박기오,정유경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8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 Temple Stay Experience Tour, the largely increasing tour in South Korea, on customer’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n Korean temple food experience with comparative study on Buddhist and non-Buddhist tourists. Temple Stay is an excellent experience tour program that is recognized at home and aboard with the Korean government’s incentives on tourism and change in people’s perception of dietary life after 2002 World Cup. This study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le food experiences, a Temple Stay’s characteristic, o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n temple food. Total of 298 questionnaires have been collected, and 245 of them, subtracting 53 insincer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 factor analysis. SPSS 22.0 was used for a factor analysis and simple and multimeter retrospective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le food experience on perspectiv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n temple food. Study result showed that: First, temple food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spective. Second, the significa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ird, temple food perception positive(+) effect of temple food perspectiv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partially adopted. 본 연구에서는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사찰음식 인식이 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불교인과 비불교인이 어떠한 영향관계가 성립하지를 파악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템플스테이는 2002년 월드컵 이후 외국인 한국불교 문화체험으로 보급되었으며, 국민들의 식생활 인식변화로 인하여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은 우수한 체험관광 프로그램이다. 이를 위해 ‘2014년 서울시 템플스테이 위크’ 기간에 다녀온 체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014년 12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총 298부가 수거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53부를 제외하고 245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사찰음식 인식이 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SPSS 22.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을 위해서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찰음식인식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찰음식 만족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찰음식인식이 만족 및 추천의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불교인과 비불교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획논문: 신종교와 음식(2) : 원불교 음식문화의 종교적 함의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5 신종교연구 Vol.32 No.-

        지구촌의 각 지역의 음식문화에 종교가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 문화인류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종교는 그 지역 여건, 위생과 보건문제, 식량의 적정한 배분 문제와 같은 현실적 문제에 대하여 보다 적절한 방향으로 사회를 이끌려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왔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지구촌사회를 보면 과거의 전통적 음식문화를 고수하고 있는 부분도 있지만 최근 인류의 음식문화는 기존의 관습에서 많은 부분에서 벗어나고 있다. 각종 종교적 금기와 계율로부터 자유로워진 인류는 먹이에서 음식으로 요리를 거치면서 거대한 욕망과 탐심을 추구하는 음식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다. 인간중심의 음식문화는 많은 생명의 희생을 통해서 유지되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곳에서는 아직도 기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반면, 넘치게 가지고 있어서 낭비하거나, 아끼되나룰 생각이 없는 구조가 되어 가고 있다. 모든 인류를 위한 진정한 음식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종교가 절약과 나눔을 위해 음식에 대한 욕망과 탐욕을 반대했었던 다양한 각종 금기와 계율의 근본 취지를 이해해야 한다. 오늘날 우리의 음식문화에 깃든 욕망과 탐심을 어떻게 절제하고 모든 인류와 생명을 위해 음식의 절약과 공유의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원불교의 음식 문화 또한 음식은 생명이라는 사상에 바탕하여 생명을 살리고 아끼고 나누는 음식문화를 형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원불교의 음식문화에 바탕하여 종교 본래 정신에 맞는 음식문화를 만들어야 할 방향 몇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Generally, religions have som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od cultures of each region in the worldwide global village. Considering the aspect of human culture, religions have played a social role to lead the then society to a more proper direction on actual issues such as regional conditions, public health and sanitation, and food rationing While some have adhered to old traditional food cultures, the much more part of recent food cultures have got out of oldtraditional customs. Free from various religious taboos and precepts, human beings have seek their own appetite and greed of food through the transition from feed and food to haute cuisine. The recent people-oriented food cultures are maintained at the cost of many lives. Nevertheless, some parts of the global village have struggled with starvation, while the other parts have wasted food in the surplus of food or are not used to food sharing for saving. To create the true food culture for all human beings, we have to understand the real meaning of old religious taboos and precepts against food appetite and greed for food saving and sharing. In this point, we should make an effort to find how to rid ourselves of excessive food appetite and greed and how to save and share food for all human beings and lives. Also, Wonbuddhist food culture is no exception for the effort. In this point, this paper is to suggest several ways for creating the food cultures, satisfying the religious original meanings for food cultures.

      • KCI등재

        서울지역 전통사찰의 음식문화 전승양상과 특성

        구미래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9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the transmission of temple food culture at 11 out of 60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established with offerings in Seoul.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se four categories: Gongyanggan (space for offerings), Daebang, Baru-gongyang, and food. First, five temples have lost this space as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caused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Gongyanggan to disappear. Even had it remained, the space was mostly not in use. Three temples used the space for specific purposes. As the tradition of worshiping the Jowang (kitchen God) has continued and many doors to Gongyanggan have Buddhist Guardians painted on, we can learn that the tradition of protecting Gongyanggan is kept sacred. Second, as for the tradition of Daebang, all 11 temples have a Daebang to enshrine butsudan, and most temples have the monks' rooms attached to this building. It was found that the positions of the ‘blue mountains (靑山)’ and ‘white clouds (白雲)’ facing the butsudan were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left and right were reversed by applying the east-west standard [Eo-gan (御間)] of the Buddhist temples without butsudan to the Daebang. Third, when it comes to the tradition of Baru-gongyang, which in the past was performed at all temples, only three temples are currently carrying out the practice. They hold it every morning or in the morning of Winter Vassa. Different types of Baru-gongyang are practiced, including Beop-gongyang, where Buddhist verses are chanted, and Baru-gongyang, which is practiced in silence. While three temples show generality and specificity in Baru-gongyang, the rest also showed various aspects in previous Baru-gongyang. Fourth, for the transmission of food, the 11 historic temple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had been preserving traditional food suitable for religious practices in the past, both royal court cuisine and food in Seoul. As the transmission base gradually dissipated, however, only one temple continues to preserve temple food in a systematic manner. Although the food culture of temples has a rich and colorful tradition, many changes have developed because of rapid social changes. The most significant causes are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monks and kitchen work being done by laypeople rather than monks. 서울지역에 자리한 60개 전통사찰 가운데, 대중공양의 전승기반을 갖춘 11개 사찰을 대상으로 사찰의 음식문화가 전승되는 양상을 살폈다. 크게 음식문화의 물리적 기반인 ‘공양간’과 ‘대방’, 수행의식으로 정립된 ‘발우공양’, 대중생활의 수행식으로서 ‘음식’ 등 네 가지로 나누어 다루었다. 첫째, 아궁이에 불을 때어 음식을 만드는 ‘전통 공양간’의 전승이다. 대방과 나란히 자리하던 공양간은 생활환경 변화와 함께 효용성을 잃어 5개 사찰의 공양간은 해체되었다. 보존된 경우도 대개 사용하지 않는 가운데 특별한 용도로 쓰는 사찰, 매일 마지를 짓는 사찰도 있다. 조왕을 모시는 전통이 이어지고 공양간 문에 신장상을 그린 사례가 많아, 공양간을 신성하게 여기며 수호해온 전통을 살필 수 있다. 둘째, 승려들이 함께 수행․숙식하며 대중생활의 구심점을 이루어온 ‘대방’의 전승이다. 11개 사찰 모두 대방을 갖추고 불단을 모셨으며, 여러 개의 승방이 대방채에 딸린 곳이 다수를 차지한다. 불단을 향한 청산․백운의 자리 배치가 서로 다른 점이 발견되는데, 이는 불단 없는 선방의 동서 기준(어간)을 대방에 적용하면서 좌우가 바뀐 것으로 보인다. 셋째, 수행자의 식사의식으로서 ‘발우공양’의 전승이다. 근래까지 모든 사찰에서 행한 발우공양을 지금은 세 곳에서만 이어가고 있다. 매일 아침(2)과 동안거 아침(1)에, 게송을 외며 행하는 법공양(2)과 묵언으로 행하는 발우공양(1)이 고루 전승되고 있다. 세 사찰의 발우공양에서 보편성과 특수성이 드러나는 가운데, 나머지 사찰 또한 이전의 발우공양에서 다양한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넷째, 대중생활의 수행식으로서 ‘음식’의 전승이다. 사례들은 도성에 자리한 유서 깊은 사찰로, 일상음식과 의례음식의 전승을 다루었다. 이들 사찰은 수행에 적합한 음식을 이어온 가운데 왕실과 관련된 궁중음식과 서울지역 음식의 특성도 살필 수 있었다. 전승기반이 점차 취약해지면서 사찰음식이 체계적으로 전승되는 곳은 한 곳에 불과하였다. 사찰의 음식문화는 풍요롭고 다채로운 전통을 지녔지만, 사회환경이 급격하게 바뀌면서 많은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승려 수가 감소하고 후원 소임이 재가자로 교체된 점은 변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파악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