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해 상경성 출토 사리구의 구성과 특징

        이송란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지금까지 조사된 바에 의하면 발해의 사리구는 모두 6 세트가 확인되었다. 발해 사리구들은 작은 수량은 아니지만, 출토지에 대한 성격을 명확히 규명할 수 없어 체계적인 연구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 글에서는 발해 상경성의 1975년 봄 흑룡강성 영안현 발해진 토대자촌에서 발견된 석제함, 평탈칠함, 동제함, 금동제함, 은제함, 금제함, 유리제병으로 구성된 7중 사리함과 1997년 발해진 백묘자촌에서 출토된 석제함, 철제함, 동제함, 평탈칠함, 금동제함, 은제함, 유리제병으로 구성된 7중 사리기의 2 세트를 중심으로 발해 사리기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발해의 사리와 사리구에 대한 기록이 희박하여 발해인들의 사리 신앙과 사리관을 파악하기 어렵다. 더욱이 발해 사리기의 전모가 공개되지 않아 발해 사리기의 구성을 온전히 복원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사리구와 중국 수당대 사리구 그리고 발해 사리구를 교차 비교하여 동아시아에서 발해 사리구가 차지하는 의의와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낸 발해 사리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안쪽으로 갈수록 귀한 재료가 사용하면서 중첩하는 방식을 따라 구성된 발해 상경성의 사리구는 사리가 담긴 유리병을 제외하고는 모두 녹정형함의 기형이며 모두 7중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이 주목된다. 이러한 중첩 구조는 『大般涅槃經』,『長阿含經』등의 경전을 따른 것이다. 녹정형의 함의 형식이 중첩된 예는 9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는 법문사 후실지궁에서 출토된 금동제함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석함이 외함의 기능을 하는 고식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인도의『마하밤사(Mahāvamsa, 大史)』의 6매의 큰 돌로 짠 석함에 菩提樹, 香水甁, 金佛像을 넣으라는 내용에서 석함을 외함으로 규정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중국에서도 북위 이래 수대까지 석함이 외함으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백제 왕흥사지, 미륵사지, 분황사지에서도 석함이 확인된 바가 있다,. 또한 백묘자촌의 사리기의 경우 철제함이 사용된 예가 주목된다. 이는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구성이다. 돈화, 화룡, 寧安, 東寧 등 발해의 유적지와 무덤에서 많은 수량의 철기가 출토된 바가 있다. 다음으로는 상경성 출토 발해사리기의 편년을 토대자촌의 선조사천왕문은제합을 살펴보았다. 이 사리기의 4면에 새겨진 천왕상은 8세기 후반과 9세기 전반 사이에 중국에서 유행한 도상으로 생각된다. 693년에 한역된『不空絹索陀羅尼自在王呪經』에 명시된 지물을 통해 4명의 천왕이 사천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토대자촌의 사천왕상은 모두 두 마리의 악귀에 걸터앉아 있는데, 두 상은 한쪽 다리를 내리고 앉은 반면 나머지 두 상은 두 다리를 다 내리고 있다. 이에 앉은 자세에 주목하여 좌상으로도 부르지만 한쪽 다리를 내리고 앉는 경우는 반가의 자세라고도 한다. 두 마리의 악귀에 앉아 있는 사천왕의 모습은 679년(문무왕 19)에 창건된 신라 사천왕사 목탑지의 기단부를 장식하였던 녹유사천왕상에서 그 계보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사천왕이 들고 있는 지물은 신라 사천왕사지의 상들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지물과 자세 면에서 근접한 예로는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중국 안서 유림굴 제 15굴 전실 남벽에 그려진 천왕상이 주목된다. 이 상은 두 마리의 악귀 위...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features of buddhist reliquaries excavated from Sangkyungsung, the capital of Balhae. Until now there has been 6 sets of buddhist reliquaries from Balhae. Among these those that can be used for research was a 7 dimension buddhist reliquaries was composed of a stone box, a wooden box, a copper casket, a gilt-bronze casket, a silver casket, golden casket and a glass bottle, excavated from Heukryonggangsung, Younganhyung in Baekmyojachon of Balhae in spring, 1975. Also, another 7 set relic reliquaries consisted of a stone box, a iron casket, a wooden casket, a copper casket, a gilt bronze casket, a silver chest and a glass bottle excavated in Baekmyojachon of Balhae in 1997 were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of buddhist reliquaries of Balhae. The uncovering of pertinent archaeological and textual evidence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characterize the excavation site, posing numerous problems for research. In addition, since the buddhist reliquaries are not disclosed, it is not possible to actually demonstrate the full composition of the buddhist reliquaries. However, by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liquarie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Sui and Tang Dynasty of China with those of the Balhae reliquaries' composition and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were designated by defining the reliquaries' traits that have reflected the craft of Balhae. The characteristics of Balhae reliquaries that have found a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many other unique elements of style and iconography of Balhae reliquaries. Apart from the glass bottle that holds the relic, all reliquaries have the form of frustum of pyramid and they are all super positioned in seven folds. This is the form that follows the books of Buddhist Sutra. The chests in the form of frustum of pyramid can be compared to the gilt-bronze chest excavated from Famensi(法門寺)In relation to this stone chest was found to do the role of a outer chest. The use of stone casket as outer chest can be proved by ploding through India's sutra, Mahāvamsa, where it asserts that in a stone casket made up of 6 pieces of stones. China also have used stone chests as outer casket since the Northern Dynasty for many dynasties and in Korea stone box were found in Wangheung Temple(王興寺) Ground, Mireuk Temple(彌勒寺) Ground of Baekje. and Bunhwang Temple(芬皇寺) Ground of Shilla. In addition, a iron casket the case of reliquaries from Baekmyojachon should be noted. This is a unique composition that cannot be found in China or Korea. In other Balhae ruins, there has been numerous stone sarira caskets excavated. Next is the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Former Four Devas Silver casket of the Todaejachon for the chronical recording of Balhae relic dishes excavated in Sangkyungsung. The Four Devas inscribed in this casket thought to be a then popular icon in China during the late 8th century and early 9th century.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se icons were Four Devas since the 693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Pu k'ung chüan so t'o lo ni tzu tsai wang chou ching(不空絹索陀羅尼自在王呪經)』 points this out. The all of Four Devas figure of Todaejachon sit on two devils and two of the figures have one leg down whereas the other two have both legs down. Regarding the sitting position these statutes are sometimes categorized as seated figures but in case of one leg down position it is also categorized as one leg half crossed position. The Four Devas sitting on two devils can find its lineage from the Four Devas figures that decorated the tiles on a coated green-glass of Gameun Temple which was built in 679(King Moonmu 19). But the items that the Four Devas are carrying do not match. Similarity in items and positions of Four Devas can be found with the Deva drawn on the southern wall of 15th cave in Ansu Yurim Cave of China, which seem to be drawn between late 8th century and the early 9th century. This figu...

      • KCI등재

        新羅 舍利莊嚴方式의 형성과 변천

        주경미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4 新羅文化 Vol.43 No.-

        After the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Buddhist relic cult transmitted to Silla royal family from Liang dynasty of Southern China during the mid sixth century.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Buddhist relic cult in Silla were deeply related to the royal patronage of Silla. Silla Kings and royal family enthusiastically patronized and developed many Buddhist relic cults especially related to the Buddha’s bodily relics for the purpose of their political propaganda. Such Buddhist relic cult was not a pure religious Buddhist worship, but rather ambiguous fusion of sacred and profane characters embedded 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s of the time. Here I analyz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Buddhist relic cult in Silla with the two major influential factors. One is the political characteristic of the Buddhist relic cult and the other is the materi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 of the Buddhist reliquaries. The first introduction of Buddha’s relic from China to Silla was taken under the reign of King Jinheung for his political propaganda. Thi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legendary Aśokan tradition of East Asia and with the realization of the ideal Buddhist Kingship of Chakravartin for the King of Silla. The successors of King Jinheung inherited such political meanings of Buddhist relic cult with their own styles, and especially those sovereigns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emphasized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relic cult. Since Silla accomplished the political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relic cult changed into more artistic and religious material culture rather than a mere political propaganda for the royal families of Silla. Buddhist reliquaries of Unified Silla period developed the original artistic styles of their own based on the traditional metal craft techniques comprehensively blended with newly acquired cultures from Baekje, Goguryo and Tang China.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was an important transition point of Buddhist relic cult in Silla from political propaganda for the royals to Buddhist religious art for the Buddhists.

      • KCI등재

        제작 기술로 본 익산 왕궁리 사리장엄구 제작 시기 연구

        박정현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6

        text includes the research on the production time and place of the reliquaries found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Iksan Wanggungri. At the same time, a study was carried by means of analyzing the production technique of Buddhist Reliquary as well as comparing the composition of reliquaries other than glassware ones with that of the reliquaries from the region of Silla and Baekje consecutively. In the second Chapter is analyzed general historical trends of reliquary studies followed by the existing studies on the production time of Iksan Wanggungri Reliquaries. It is found that existing researches were carrie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pattern designs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reliquaries in terms of comparative history together with the content of Kwanseeumeunghumki. The third chapter of the text shows the features of the surface production technique of Wanggungri Reliquaries which were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liquaries from Silla and Baekje region. It is found that Wanggungri Reliquaries carry the similar production technique as that of the reliquaries at Wangheungsa and Mireuksa, the temples of Baekje. The C-type Fish-egg design was also found, a brand-new production technique. In the Chapter Ⅳ is compared the composition of the glass reliquary container and its pedestal as well as the content of reliquaries with that of the reliquaries from the region of Silla and Baekje. The focus of the examination was made on the functional evolvement of Wanggungri sit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Wanggungril Reliquaries share the same production technique with Silla reliquaries and that, Wanggungri Reliquaries must have been produced in the later part of the seventh century, the Unified Silla period. 이 글에서는 익산 왕궁리 5층석탑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 중 사리용기 제작 기술을 분석하여 제작 시기 및 제작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사리용기와 함께 출토된 유리기와 이외의 사리공양구의 구성을 신라·백제 사리장엄구와 비교하였다. Ⅱ장에서는 사리장엄구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펴본 다음, 익산 왕궁리 사리장엄구제작 시기에 관한 기존의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자들은 사리용기 표면에 시문된문양의 비교사적 검토와 <觀世音應驗記>를 근거로 제작 시기를 비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사리용기 제작 기술 중 표면제작기법에서 확인되는 제작 기술적 속성을 검토하고 제작지가 밝혀진 신라·백제 사리용기와 비교하였다. 왕궁리 사리용기는 백제에서제작된 왕흥사, 미륵사 사리용기 제작 기술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새로운 기법인 어자문 C형을 확인했다. Ⅳ장에서는 유리기와 그것을 안치한 대좌, 사리공양구의 구성을 신라·백제 사리장엄구와 비교하고, 왕궁리 유적의 기능변화의 측면에서 왕궁리 사리장엄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신라 사리장엄구 방식을 공유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왕궁리 사리용기는 백제 사리용기 제작기술을 바탕으로 신라 사리장엄방식이전파된 7세기 후엽, 통일신라 대 제작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제작 기술로 본 송림사 사리장엄구 제작 시기 연구

        박정현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0 야외고고학 Vol.0 No.38

        This paper examined the production time of Songnimsa Buddhist Reliquaries. In Chapter Ⅱ, it reviewed the research history of the production time of the Songnimsa Sarira Reliquary and raised some issues. Existing studies have revised and corrected the production time based on the origin and tradition of the curtain-shaped Reliquary, Stone with Inscription, Bowl with applied disks on body and glassware, and coffin lid·railing decoratio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researchers in the early seventh century, late seventh century, early eighth century, and eighth century. In chapter Ⅲ, it divided the production technique of Silla of the Songnimsa Sarira Reliquary into four types, focusing on the technique of making the Songnimsa Sarira Reliquary. The Songnimsa Sarira Reliquary was not carved with a dividing line to engrave patterns. The surface was engraved with the technique of openwork ·dots and a holder was installed to settle the glass bottle. The Songnimsa Sarira Reliquary is considered to show the early form of the curtain-shaped Reliquary along with Gameunsa. In chapter Ⅳ, the production time was revised and corrected through the technology of making the Sarira Reliquary as discussed in Chapter Ⅲ, and the tradition, earrings and curtain-shaped Reliquary, Bowl with applied disks on body, and the branch shaped diadem ornaments. The the branch shaped diadem ornaments,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made under the influence of the Baekje Silver Diadem Ornamen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shape of the Yeongrak loop is '8'. It is believed that the Songnimsa Sarira Reliquary was produced in the late 7th to 8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the curtain-shaped Reliquary and Bowl with applied disks on body, the branch shaped diadem ornaments production, spreading Buddhist culture to Japan, etc. 이 글은 송림사 사리장엄구 중 2층탑신 적심석에서 출토된 보장형 사리용기와 공양구를 분석하여 제작 시기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송림사 사리용기 제작 시기에 관한 연구사를 검토하고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였다. 기존 연구는 보장형 사리용기의 기원과 전래, 명문석, 원환문배와 유리기, 천개·난간 장식을 근거로 제작 시기를 비정했다. 하지만 7세기 전반, 7세기 후반, 8세기 전반, 8세기 등 연구자마다 이견이 있다. Ⅲ장에서는 송림사 사리용기 제작 기술을 중심으로 신라 사리용기 제작 기술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송림사 사리용기는 문양을 시문하기 위한 구획선을 따로 시문하지 않는다. 표면을 투조·점열문 기법으로 문양을 시문했다. 그리고 유리병을 안치하기 위해 대좌를 설치했다. 송림사 사리용기는 감은사와 함께 보장형 사리용기의 초창기 형태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사리용기 제작 기술과 함께 보장형 사리용기와 원환문 배의 전래, 이전과 수지형장식을 통해 제작 시기를 비정했다. 백제 은화관식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생각되는 수지형장식은 영락고리의 형태가 ‘8’자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를 통해 송림사 사리용기는 보장형 사리용기와 원환문배의 이입, 수지형장식의 제작, 불교문화와 사산조 페르시아 유리기의 일본 전파 등을 종합해 볼 때 7세기 후엽~8세기, 통일신라 대 제작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봉안 불상 연구

        김추연 미술사연구회 2020 미술사연구 Vol.- No.39

        A wide array of reliquaries was found when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uryangsa Temple in Buyeo-gun, Chungcheongnam-do Province was dismantled for repairs in 1971. Among them were five Buddhist sculptures that were stolen in 1989. Some of these were returned to the temple in 2001 and others in 2017, thus enabling in-depth study of these sculptures. This paper proposes production and enshrinement dates for four of the sculptures and offers suggestions for the characteristics of enshrining Buddhist sculptures inside pagodas during the hypothesized periods. To clarify the enshrinement status, the paper first reconstructed the dismantling and repair process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uryangsa Temple and identified where each reliquary was placed inside the pagoda. When the dismantling and repair process was reconstructed, it was revealed that the reliquaries must have been enshrined either when the pagoda was constructed or when it was repaired. Through a stylistic comparison with Gilt-bronze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and Gilt-bronze Seated Bodhisattva, the paper dates them to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he fifteen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Since no additional records on repairs or written prayers have been found inside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uryangsa Temple,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objectives of the repair of the pagoda or the enshrinement of the reliquaries. However, by dating the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within the pagoda, this paper shows that it was repaired in the fifteenth century. It also examines Buddhist events held at Muryangsa Temple, including the engraving of various Buddhist scripture woodblocks. Moreover, by researching the patrons who participated in the Buddhist events, the paper presumes that the Muryangsa pagoda was repaired in the fifteenth century when the Buddhist sculptures were enshrined inside. It further relates the objectives of enshrining the Buddhist sculptures inside the Muryangsa pagoda to the spread of the faith that Geumgangsan Mountain was a Buddha Land where Dharmodgata Bodhisattva resided and to patronage from the Joseon royal family.

      • KCI등재

        분황사 석탑의 중수와 사리장엄구

        한정호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2 新羅文化 Vol.61 No.-

        Since its establishment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of Silla Dynasty, the stone pagoda of Bunhwang-sa temple had a number of serious repairs. The Buddhist reliquaries of the stone pagoda of Bunhwang-sa temple displays the mixture of relics of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round the relics of the Three Kingdom Era as produced at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As shown, the appearance of mixture of relics during the several periods in the Buddhist reliquaries is reflected with the records of repairs made on the stone pagoda.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cords related to the stone pagoda of Bunhwang-sa, there was an attempt to restore the stone pagoda that was inflicted with damages from the Imjinoiran (Japanese Invasion in the Year of Imjin), and in the process, Buddhist reliquaries that had been enshrined within the stone pagoda was discovered. The Buddhist reliquaries appearing at this time was moved and kept in Baekryul-sa temple for certain period, and the legendary story on the Sujeonghwaju (crystal ball) of Queen Seondeok as included in the Buddhist reliquaries was dispersed at this time. The time of reconstruction of the stone pagoda of Bunhwang-sa temple into the present 3-story stone pagoda is assumed between the period of 1760 to 1773. These facts could be presumed through the written articles of traveling by the scholars who visited Gyeongju during the late Joseon Era, and Buddhist reliquaries that had been moved to Baekryul-sa temple is deemed to enshrine in the stone pagoda of Bunhwang-sa temple again at this tim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arira offering items of stone pagoda of Bunhwang-sa temple with a number of cases from the Three Kingdom Era, the metallic bell, multiple rings, coil, gokok (Comma-shaped jades), isik (circular-shaped earings), doja (knife) and the like display similar attributes with the offering items in Buddhist reliquaries of the wooden pagoda in Wangheung-sa temple site of Baekje or Buddhist reliquaries of the stone pagoda in Mireuk-sa temple site that it is construed as the relics that reflected the attributes of time in history. And, those circular-shaped earings (Ijeon), needle, scissors and needle case are unique relics that had not displayed in any sarira offering items of Baekje as well as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However, considering from the fact of excavating the relics of the same type from the sarira offering items in the 9-story pagoda in Hwangryong-sa temple, they are deemed a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reliquaries found in the reign of Queen Seondeok Era. Lastly, from the ancient sarira offering items of Korea, the Wunju (decorative harness fittings) confirmed only from the stone pagoda of Bunhwang-sa temple and 9-story pagoda of Hwangryong-sa temple is a type of Magu (apparatus for horses) that is a particular feature of the sarira offering items sarira offering items of Silla Dynasty during the Three Kingdom Era in relation to the items buried in ancient tombs.

      • KCI우수등재

        신라 사리장엄구와 중국 불교문화의 상관성 연구

        주경미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61 No.-

        This paper survey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relic cult in Silla Period (BCE 57 ~ CE 935) and Chinese Buddhist culture from a chronological viewpoi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originality in the Buddhist relic cult and reliquary style of Silla Period by comparing them with their comtemporary Chinese Buddhist art and culture. The Buddhist relic cult in Silla came from China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reign: 540 ~ 576 CE), and the ideal model of his relic cult was Emperor Wu of Liang Dynasty and Ashokan tradition related with the Buddhist kingship. Queen Seondeok (reign: 632 ~ 647 CE) succeeded the Buddhist relic cult and built the famous wooden pagoda in Hwangryongsa Temple. The royal family of Silla had deep inter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Buddhist art and culture until the late seventh century. Two Buddhist reliquary sets from Gameunsa twin pagodas are the most impressive artworks from Silla, but, in fact, the shape and style of them are deeply related with the contemporary Chinese Buddhist rituals for the Buddhist relic worship in Famensi Temple during the reign of Empress Wu. However, after the new Dharma relic cult and Buddhist texts were introduced to Silla in the early eighth century, the Buddhist relic cult and reliquary style in Silla had changed into its own style under the rule of the Pure Light Dharani Sutra. During the ninth century, there became rare inter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Tang Buddhist relic cult. The Buddhist relic cult in Silla at that time was based on the Dharma relic worship, while the Buddhist relic cult in Tang China was based on the worship of the Buddha's bone relic in Famensi Temple under the luxurious sponsorship from imperial family. Suc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ninth century may have come from the cultural difference of their Buddhist thought and worship for the Buddhist relic. 신라의 사리장엄구들은 독창적인 양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들과 동시대 중국 불교문화와의 상관성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이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신라의 주요 사리장엄구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양식적, 불교문화적 특징과 동시대 중국 불교문화와의 상관성에 대해서 비교 고찰하였다. 신라는 불교 공인 이후 왕실을 중심으로 정치적 목적을 가진 중국 남조 양 무제의 사리신앙과 장엄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발전시켰다. 신라에 사리가 처음 전래된 진흥왕 연간부터 통일 이전인 7세기 중반경까지의 사리장엄구들은 대부분 왕실에서 발원하였으며, 정치적 목적이 강조된 아육왕 전승 구현과 연결된 사리신앙을 발전시켰다. 당시 신라 왕실은 동시대 중국 황실의 사리신앙 및 불교문화 동향의 변화에 꾸준히 주목하고, 중국 불교문화와 깊은 상관성을 가지며 사리장엄구를 제작했다. 통일 직후에 제작된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들은 독특한 방추형함과 보장형사리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신라만의 독특한 불교미술 양식으로 알려졌으나, 이는 중국 당나라 측천무후의 법문사 사리공양의례의 영향이 신라적 양식으로 변용된 것이다. 8세기 전반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중국으로부터 전래되면서 신라의 사리장엄구는 법사리장엄 의례가 중심이 되었고, 사리장엄구의 형식은 단순하고 간소화되었다. 이는 8-9세기경 중국 당나라 황실에서 법문사 탑의 불지골사리를 중심으로 성대한 의례와 화려한 사리장엄구들을 제작했던 것과는 상당히 다르다. 신라의 사리장엄구와 중국 불교문화의 상관성은 사리신앙 전래 초기에는 상당히 깊게 연결되어 있었지만,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에는 점차 서로간의 상관성이 멀어졌으며, 9세기 이후에는 불교문화와 사상적 차이로 인하여 신라와 당의 사리장엄구는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발전했다.

      • KCI등재

        기록문화재(記錄文化財)를 통(通)한 조선시대미술(朝鮮時代美術)의 도상해석학적(圖像解釋學的) 연구(硏究) 특집(特輯) : 조선 후반기 제1기(광해군-경종대) 불교공예의 명문과 양식적 특성 연구

        최응천 ( Eung Chon Choi ) 한국불교미술사학회(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전란 이후 이루어진 사찰의 복구와 중창 불사 가운데 17세기 초부터 梵鐘을 중심으로 가장 먼저 전개되었으며 불교공예품도 조선시대 전 기간 가운데 가장 활발한 제작활동을 한 부흥의 시기이다. 범종의 경우 僧匠의 활동을 시작으로 私匠이 등장하여 이제 각 지역별로 독특한 계보를 이루며 크고 작은 범종을 제작하였다. 나름대로의 독특한 범종의 형태와 특성을 구가해 나갔던 장인들의활약은 이후 조선후기 범종의 다양한 계보를 확립시킬 수 있었던 중요한 구심적 역할을 하였다. 金鼓의 경우 그 수량은 많지 않아도 조선시대 금고로의 완전한 확립을 이루는 다양한 변화 양상을 보여주면서 18세기 금고로의 이행 과정을 거치게 된다. 舍利器의 발견 예가 奉印寺 사리탑, 落山寺空中舍利塔처럼 매우 희소한 것은 탑이나 僧塔 등에 넣어지는 석조물의 건립이 적었다는 시기적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香완의 경우 비록 형태와 문양에서 격이 떨어지지만 通度寺 康熙13년명 향완(1674)이라는 대작을 완성한 뒤 그 화려한 전통은 종말을 고하게 된다. 17세기 雲板은 현재 리움미술관 소장 운판 한 점 밖에 확인할 수 없지만 龍身의 굴곡진 몸체를 운판의 외형으로 삼아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것은 운판의 조형에서 얽매이지 않고 한국적인 운판형태로 새롭게 수용·변화시킨 독창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중요한 불교공예품의 자료로 靑谷寺 明鏡臺(1693)와 大芚寺 經欌(1630)과 같은 목공예품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두 작품은 조성 연대를 지니고 있으면서 동시에 세부 수법이 탁월한 불교 공예의 걸작이다. 특히 經欌의 문 안에 그려진 黃線描 四天王圖는 17세기 線描 佛畵의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 그 가치가 지대하다. 아울러 17세기의 殿牌와 佛牌도 萬曆34年銘 殿牌(1606)년을 시작으로 다양한 양식과 함께 세부 조각이 탁월한 수작을 남기고 있어 조선 불교 공예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자료로 검토되어야 한다. After Japanese Invasion and Manchu Invasion, Buddhist crafts were greatly increased based on Buddhist bell from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In case of Buddhist bell, monk craftsman led the creation of Buddhist bell in early 17th century, private craftsman who formed regional lineage made a various Buddhist bell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Buddhist Gongs of the 17th century shows the transitional process to Joseon metal drum and completion of typical style. In case of Sarira reliquaries, a small number of examples has been found. Because stone work of the building did not have much. Incense burners(Hwang-wan) of the 17th century were degraded in forms and patterns. After completing masterpiece of Tongdosa hwang-wan made in 1694, the form of silver inlaid hwang-wan was disappeared. The cloud-shaped plate of Leeum(Samsung museum of art) is the only example of the 17th century, but this work shows the newly established traditional form. The wooden works are the important art works in this period like wooden mirror of Cheonggoksa temple made in 1693 and wooden sutra case of Daedunsa temple made in 1630. Especially Four Guardian Kings painting drawn yellow color inside door of wooden sutra case of Daedunsa temple is the only drawing Buddhist painting material. Also the Buddhist tablet with inscription Manli 34th(1606) has important value in research of Buddhist wooden works of 17th century.

      • KCI등재

        운문사(雲門寺) 소장 불교공예품의 현황과 특징 고찰

        최응천 ( Choi Eungch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운문사에 소장된 공예품 가운데 작압전 출토 사리장엄구 일괄은 1987 년 10 월 작압전 해체 복원 당시 이곳에 봉안되어있던 석불좌상의 대좌 아래에서 발견된 것이다. 납석제 유개원합, 청동제 사리병, 숭덕칠년명 유제 뚜껑, 영락통보, 원형대소환옥, 소석편으로 구성되었다. 납석제 유개원합에 새겨진 명문을 통하여 사리합은 당시 탑에 2 과의 사리를 안치하고자 통일신라 경문왕 5 년인 865 년에 봉안된 것으로서 납석제로 제작된 점에서 통일신라 9 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일련의 신라 하대 사리기와 연맥을 같이한다. 안치된 청동제의 사리병은 고려 초기에 그 예가 많다는 점에서 이 사리병의 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숭덕 7 년의 명문을 지닌 유제 뚜껑을 통해 조선시대 1645 년에 작압전에 대한 세 번째의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시주를 했던 10 명의 명단과 대목의 인명이 확인되어 조선중기 이후 운문사 중수 공사의 세세한 일면을 파악할 수 있다. 영락통보 동전이 함께 발견되는 것은 단순한 공양구라기 보다 중수 당시의 기념적 유물을 함께 넣은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운문사 사리기를 보호한 석조 사리외함이 운문사 작탑과 유사한 분황사 전탑 사리기 외함과 달리 백제식의 지하식 사리 장엄 방식을 따른 점에서 원 작압전의 건축 시기가 지금 알려진 것보다 훨씬 앞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운문사 공예품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청동 항아리는 지금까지의 용도와 달리 뚜껑 위에 장식된 독특한 화염 보주형으로 미루어 사리기 내지 경통처럼 사리와 관련된 보관용기로 쓰였을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여기에 1067 년에 중수되었다는 명문의 내용은 이 화염보주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추측되며 몸체는 그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통일신라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밝혀보았다. 이 밖에 운문사 옥등은 비록 명문은 없지만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불연은 바닥에 기록된 조련기의 분석을 통해 1688 년에 중하연으로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연을 제작한 사람은 화원 정심(淨心)이란 승장으로 파악되었다. 당시 연을 만들 때 조역승 200 여명이 동원된 사실을 기록하여 운문사의 사세 뿐 아니라 불사에 많은 승려들이 동원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전패는 조선후기 명문 있는 불전패와의 비교를 통하여 17 세기 후반쯤 제작된 삼전패(三殿牌) 가운데 하나일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묵서명이 기록된 1682 년에 이말남(李唜男)에 의해 만들어진 목조 대경함과 1688 년에 만들어진 목조경상은 조선 후기 사찰 목공예품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명문이 남아있지 않은 운문사 대종의 제작 시기는 19 세기 전반에서 중엽 쯤, 목어 역시 그와 유사한 19 세기 정도로 편년되었다. 운문사의 불교공예품은 비록 그 수량은 많지 않지만 통일신라의 사리장엄구와 청동 항아리와 같은 우리나라 공예사 연구에 빼 놓을 수 없는 매우 귀중한 작품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운문사가 지닌 비중을 증명해 준다. The Sarira reliquaries of Unmunsa temple was founded in October 1987 under the pedestal of the seated Buddha at the time of the demolition of Jakapjeon hall. This sarira reliquaries consist of the bowl with lid made of agalmatolite, bronze bottle, the lid with inscription 'Chongde 7th, Yongle Tongbao(永樂通寶), and the small stone.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n the bottom of the lid, this sarira reliquaries was enshrined to put two sarira in the stupa in 868, the fif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mun. It is likely that the bronze bottle inside stupa was made in the Goryeo perio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renovation of the Jakapjeon hall was carried out in 1645 through the lid with inscription 'Chongde 7th. The Yongle Tongbao(永樂通寶) was considered to be the monument of the renovation. The most important bronze jar of all the buddhist crafts has been used as a sarira reliquary or a container related to sari like a sutra case. The inscriptions ‘had been repaired in 1067’ on the shoulder of the body shows that the repair was carried out centered on the flame ornament, the body was made in the Unifed Silla. The jade lantern of Unmunsa temple is supposed to be made in late Goryeo period. Of all the wooden crafts the buddhist palanquin that has a inscriptions was made in 1688. The man who made the buddhist palanquin was a monk craftsman, Jeongsim, and the two hundreds monk were joined to make a palanquin. The buddhist tablet of Unmunsa temple is supposed to be one of the three tablets for royal family made in 17th centur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buddhist tablet with a inscriptions. Also the wooden sutra container made in 1682 and the wooden sutra table made in 1688 which were made by Lee Malnam. It is assumed that the big buddhist bell of Unmunsa temple without inscriptions made in the middle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style comparison.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wooden fish was made around the same time. Although the Buddhist artifacts of Unmunsa temple are not much in quantity, the works of Unmunsa temple is still very valuable in the history of Korean crafts such as the sarira reliquary of Unified Silla and bronze jar which proves the importance of Yunmunsa.

      • KCI등재

        『三國遺事』 속 불교공예의 양상과 특징

        이용진(Lee, Yongji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2

        『삼국유사』 속 불교공예는 성격에 따라 권력상징물, 사리장엄구, 범음구, 공양구, 국신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권력상징물인 천사옥대, 흑옥대와 만파식적은 진평왕과 신문왕의 권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개념의 권력상징물을 계획된 의도대로 만든 프로파간다적인 것이다. 『삼국유사』의 권력상징물들은 선대의 역사적 업적이 담긴 것이 아니라 당대의 권력 강화를 위한 속성이 있다. 또한 「기이」편에만 권력상징물이 언급되어 있고, 시기적으로 7세기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사리장엄구는 신라에 사리가 초전되는 과정부터 송나라에서 불아를 가져오는 전래과정과 사리를 봉안하는 장엄방식을 기록하고 있다. 고려에서는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침향합과 나전함을 사리장엄구로 사용하였는데, 당대 최고의 기술로 만든 세밀가귀한 나전사리함은 나전칠기의 영역이 사리장엄구로 확대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범음구 중 황룡사 종과 성덕대왕신종은 재료의 양과 크기에서 기존의 범종과는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황룡사 종은 경덕왕의 전부인인 삼모부인의 시주로 만든 것으로 기록의 구조와 상원사 범종의 명문과의 유사성, 성덕대왕신종부터 종의 양식변화가 있었던 점 등을 고려하면, 상원사 범종 계통의 종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성덕대왕신종은 경덕왕을 기리기 위해 왕실 발원으로 제작한 것인 만큼 종의 양식과 소리, 명문의 새김 방식 등을 전대의 종과는 다르게 한 기념비적인 성과물이라 할 수 있다. 공양구 중 향로는 백고좌회와 경강법회 등의 불교의례를 설행할 때 행향에 사용하였다. 행향에는 병향로를 사용하였는데, 병향로의 발달 단계상 통일신라시대의 행향에는 작미형병향로와 사자진병향로를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병은 의상의 선물에 대한 사례로 중국 승려 현수가 西國의 軍持澡罐을 보냈는데, 향로와 정병과 같은 새로운 불교공양구는 유학승이 매개가 되어 신라에 전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신물은 정치, 외교적인 목적으로 신라에서 당에 보낸 것으로 진덕여왕의 직금은 표면적으로는 당의 홍업을 칭송하기 위한 것이지만, 김흠순의 석방이라는 숨은 목적이 있었다. 경덕왕이 당대종에게 보낸 萬佛山은 8세기 신라와 당의 돈독한 외교관계를 보여주는 산물임과 동시에 신라의 수준을 공예기술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삼국유사』에는 황룡사 종과 성덕대왕신종, 만불산 등 8세기 중반 경덕왕대에 만들거나 계획한 불교공예품들의 기록이 많은데, 당시의 불교공예의 수준은 ‘新羅之巧 天造非巧也’라는 기록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records of Buddhist crafts in Samguk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containe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6th century to the late 13th century, and these Buddhist crafts can be classified as symbols of royal authority, sarira reliquaries, Buddhist bells, offering instruments, and diplomatic souvenirs. The Cheonsaokdae(Jade Belt Bestowed by the Heavens), Heukokdae(Black Jade Belt) and Manpasikjeok(The Magic Flute with Incredible Power) are symbols of powers. These symbols are intended to strengthen the power of King Jinpyeong and King Sinmun. This symbol was made new as the need for political power,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completed up to the 7th century. What I interested in is the symbols of power of Silla intending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day, not the historical glory or achievement, and these symbols have the characteristic of propaganda In relation to the symbols of power of Samgukyusa, monk Ilyeon seems to have recognized the symbols of power in Samgukyusa as defense of the fatherland and power in two ways. Since the production of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made in 771, this Buddhist bell have established itself as a new style Buddhist bell of Silla different from Buddhist bell of Sangwonsa temple.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is a monument of the Silla dynasty, which was made under the leadership of the royal family to commemorate the royal family’s political achievements and filial piety. In the introduction of new offering instruments such as kundika, water vessel, monk studying abroad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mediator, and the incense burners would have used incense burner with magpie’s tail style handle and incense burner with handle having lion weight in Buddhist rituals.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celadon incense burners adorned with animal shaped during the Goryeo dynasty were used not only in the royal family and nobles but also in temples. Buddhist crafts in Samgukyusa were centered on the King Gyeongdeok’s era in the mid-8th century, whick was the forefront of Unified Silla Buddhist art. It can be said that Monk Ilyeon himself highly regarded the level of Buddhist craft in King Gyeongdeok’s era, and the craft at that time could be regarded as “The craftsmanship of the people of Silla is the work of Heaven not humans(新羅之巧 天造非巧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