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북한선교방안 모색‐대북라디오선교방송을 중심으로

        조수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5

        Since the nation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radio has been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Each of the countries began radio broadcasting as a form of psychological warfare to defend each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overthrow their counterparts. However, the overtones of the radio have varied in response to the regime changes. Still, radio has been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toward North Korea for 70 years since the division. South Korea’s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includes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the private broadcasting company using shortwaves and the overseas-based broadcasting and the broadcasting company operated by missionary organizations which cover various subjects.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To that extent, this study extends its focus from the FEBC to other radio broadcastings, which are currently conducting missionary activities in North Korea. There are two sorts of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using medium waves and the radio broadcasting operated by mission organizations using shortwave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and flow of radio missionary broadcastings to North Korea, which have not gained enough academic attention, and examines how they can be used for the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reunification in the future. The media environment in North Korea is rapidly changing. Accordingly, new media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oward North Korea requires a transition and new broadcasting strategies. This study thus suggests for the radio missionary media new strategies covering content creations and media combinations, suitable for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North Korea and the new generation in the North. 분단 이후 라디오 전파는 남과 북의 유일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다. 대북방 송은 각자의 체제를 옹호하며 상대를 전복시키려는 심리전 형태로 시작됐으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조가 바뀌면서 그 모습을 달리해왔다. 분단 7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북한에 정보를 유입하는 수단으로 라디오 전파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대북방송은 지상파라디오방송(KBS한민족방송과 FEBC극동방송, 초기 CBS기독교방송)과 단파를 활용한 민간대북방송(국민통일방송, 자유북한방송, 북한개혁방송), 해외 주체 대북방송(VOA미국의소리방송, RFA자유아시아방송, 영국 BBC 등), 선교단체가 운영하는 대북방송(OKCN광야의소리, TWR북방선교방송) 등 주체도 다양해진 상황이다. 분단 초기부터 대북방송을 지속해오고 있는 지상파 라디오방송은 KBS한민족 방송과 종교방송인 극동방송이다. 선교방송이 우리나라 대북라디오방송 역사의한 축을 담당해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극동방송 외에도 현재 전파를 활용해 북한선교 활동을 벌이고 있는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에 주목한다. 대북선교방송은 중파를 활용한 지상파 라디오방송과 선교단체에서 운영하는 단파 라디오방송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선교 영역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의 역사와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선교를 위해 대북선교방송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북한의 미디어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제 북한선교에도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대북선교방송도 이제는 새로운 방송 전략이 필요한 전환의 시점에 놓여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라디오 선교 매체가 변화하는 북한의 미디어 환경, 그리고 변화하는 세대에 맞게 어떤 방향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주민의 외부정보 수용 태도 변화

        이주철 한국동북아학회 2008 한국동북아논총 Vol.13 No.1

        이 글은 1990년대 후반이후 북한주민의 외부정보에 대한 수용태도 변화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내부 언론방송의 현실을 살피고, 북한주민들이 접촉할 수 있는 외부방송, 외부 영상 매체 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외부 방송과 외부 정보의 북한 유입에 대한 최근의 보도나 탈북자 증언을 살피고, 또 이에 대한 검증을 여러 각도에서 진행하였다. 더불어 북한 내부의 외부방송이나 영상매체의 수용을 확인하기 위해 북한주민의 라디오와 TV, 비디오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의 보유 및 유통, 영상물 유입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1990년대에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경제적 기반이 바뀌면서 북한인민들은 자연히 북한정권이 그들에게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할 수 없게 되었다. 북한정권은 여전히 북한체제 내부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외부 세계에 대한 정보도 차단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북한주민들은 이제 자신들의 생존과 미래를 알기 위해 외부정보를 원하고 외부정보에 대한 접촉을 확대하고 있다. 아직은 일부지만 북한주민들은 외부정보를 얻기 위해 남한과 미국의 대북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고 있으며, 남한과 중국의 TV방송에도 접촉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북한정권은 라디오와 TV의 채널을 봉인하고, 방해전파를 발사하고, 외부방송의 청취를 처벌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인민들은 외부정보에 대한 접촉을 지속하고 있고, 이에 대한 북한정권의 통제능력은 이완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북한주민들은 국경지대와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TV와 라디오, 비디오와 DVD 플레이어를 구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개별적으로 외부세계와 접촉하고, 또 외부 영상문화에 대한 접촉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북한주민의 외부정보에 대한 접촉은 상당히 엄격한 처벌을 초래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현상이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앞으로도 북한정권은 외부세계를 알기 원하고, 외부 문화에 접근하는 북한주민들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북한정권이 처한 현실은 북한정권의 변화를 부분적으로 강요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즉 북한정권은 주민들의 의식 변화에 따라 조금씩 외부정보를 개방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며, 주민들의 의식은 점차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게 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d an argument on North Koreans' acceptance attitudes about the outside world information since the late 1990s. For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about the reality of North's domestic broadcasting. Also it is explained about outside world broadcasting and video media which North Koreans can touch. And it observed the report or a verbal evidence of recent times on the North Korea influx of external broadcasting and external information, also the verification from multi-angle is processed. It investigated retention and circulation of the radio, the T.V., the video player, the DVD player and image media influx of the North Korea resident . Due to 1990's economic crisis, the North Koreans were no longer 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which th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provides to them. That is becaus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intercepted information about a outside world as well as problems of the North Korea inside. The North Korean people recently want information outside for their existence and their future, for it magnifies the contact with information. Some North Korean listen to the radio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get external information and contact T.V. broadcasting of South Korea and China. Th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confronts and seals the channel of the radio and T.V. and punishes external broadcasting listening. But the North Korean people continue the contact with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control ability of th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is relaxed and this is the actual condition in North Korea. Recently among the North Korean people who lives in the border area and people in an economic surplus purchase T.V. and radio, video and DVD player. It will lead and contact individually outside world, also the contact with an external image culture is magnifying. The contact with the external culture will bring about a serious punishment of North Korean people, but this actual condition is magnified. In the future, th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will endeavor to control North Koreans who want to know a outside world and approach an external culture. Th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will have to open external information little by little according to the awareness change of the people, the speed of change in awareness of the North Koreans will come to be quick gradually.

      • KCI등재

        국내방송의 북한관련 보도태도에 관한 연구: KBS의 9시 종합뉴스와 남북의 창을 중심으로

        이우승 ( Woo Seung Lee ),영선 ( Young Seon Jeon ) 북한연구학회 2006 북한연구학회보 Vol.10 No.1

        From a general quality of news point of view, the problem of North Korea relation report very is important. The reason is the viewers will be able to collect information`s quantity excessively restricted and, most is because by information which leads the North Korea image could be formed a broadcast. Currently the report of domestic broadcast media and North Korea relation programs is being produced the data of Cho-sun Joong-Ang TV of North Korea. Specially the North Korea relation program except a news comes to make with only Cho-sun Joong-Ang TV of North Korea. Information which is selected from this production process is one part of North Korea and assuredly is not the fact that it does speak the features of the North Korea whole. Consequently broadcast system selected information is decisive influence going to the North Korea image of the viewers. Also it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decisive effect in public opinion formation of the citizen who relative with unity problem. This research is to seek the North Korea relation report attitude of KBS which public management broadcasting should have been come how with chronological order(1997~2002). Concretely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change of the North Korea image which is reflected to a North Korea report and the value intervene language which is used in report.

      • KCI등재

        남북한 월드컵 중계방송 언어 비교 연구 -2002년과 2006년 월드컵 중계방송을 중심으로-

        손범규 ( Bum Gyu Son ) 한국화법학회 2006 화법연구 Vol.9 No.-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 현상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오늘날 남북한 간의 언어 차이는 발음, 어휘, 의미, 어법, 맞춤법, 문체 등 여러 면에서 나타난다. 이런 이질화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언어 이질화 현상을 깊이 있게 비교·연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남북한의 언어통일과 표준화 대책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 언중의 언어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방송언어에 대한 연구도 필수적이다. 따라서 남북한의 언어연구는 방송언어에 대한 폭넓은 고찰이 필요하며, 특히 북한의 방송언어는 사상의 강화와 체제의 유지라는 목적에서 그 개념이 변질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남북한의 방송 중에서 스포츠 중계방송, 특히 북한이 남한의 방송을 재전송 받아 중계한 2002년과 2006년의 월드컵 중계방송을 중심으로 남북한의 방송언어를 비교하면서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나타난 남북한 방송언어의 차이는 형태적 특징과 어휘적 특징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형태적 특징-남북한 방송언어의 형태적 특징에서 가장 이질화된 요소는 경어법의 사용이다. 남한의 방송은 시청자 중심의 경어를 사용하는데, 북한의 방송은 시청자에 대한 경어의 원칙이 없으며 경어가 사용될 때는 그들의 지도자에 대한 호칭에서 뿐이다. 또 ``들``, ``-적``과 같은 접미사의 사용도 남북한 간에 차이를 보인다. 북한 방송은 중국문화의 영향과 사상적 이유로 남한 방송보다 접미사 ``들``과 ``-적``을 더 많이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문체의 차이를 들 수 있다. 남한의 방송은 구어체의 준말형식을 자주 사용하지만 북한 방송은 문어체의 본디말을 주로 사용한다. 2) 어휘적 특징-남북한의 방송을 보면서 이질화를 가장 크게 느끼는 분야가 어휘이다. 전체적으로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나 단어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어휘 표현이 달라서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와 외래어의 표기가 다른 어휘, 고유어를 외래어로 바꾸면서 이질화된 어휘의 차이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남북한 방송언어의 기본 문법 구조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지만 형태, 어휘, 등에서 남북한의 언어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격차는 이념과 체제의 차이, 인위적으로 만든 문화어를 비롯한 북한의 언어정책, 개인우상화에 따른 언어의 왜곡에서 기인한다. Recently, people are more concerned about the national unification. Accordingly,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differences of two Koreas``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s well as the recovery of the linguistic homogeneity. Two Korean have come to have different pronunciations, vocabularies, meanings, grammars, spellings and styles. In order to surmount such a linguistic heterogeneity between two Koreas, it is essential to comparatively study the linguistic heterogeneity in depth and thereupon, arrange linguistic unification standards. Broadcasting affect the language much. The journalist who have been trained in their use of language in a professional way tend not to depart much from the linguistic principles, but ordinary people``s talks broadcast may distort the development of language.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fference of broadcasting language between two Koreas, and in particula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North Korea``s broadcasting language has deteriorated due to the intensification of their ideology and maintenance of their system.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atively studying broadcasting languages of the two Koreas, focusing on the sports relay broadcastings of the 2002 and 2006 Worldcup. The differences of broadcasting langua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most heterogeneous formative ele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broadcasting language is use of polite expressions. While South Korea``s broadcasting language uses televiewer-centered polite expressions, North Korea``s broadcasting language has no principle for polite expressions for televiewers. They only use the polite expression for their leader.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of such suffixes as plural ``s`` or ``wise`` between two Koreas. North Korean broadcasting language use ``s`` and ``wise`` more frequently than South Korean broadcasting language due to the influence from China. Lastly, there are differences of language styles between two Koreas. South Korean broadcasting frequently use the colloquial abbreviations, while North Korean broadcasting use the original literary styles primarily. 2) Characteristics related to vocabulary The most heterogeneous element between two Koreas`` broadcasting languages involves vocabulary. In overall terms, South Koreans may well understand North Korea``s sentences. However, there are great differences of vocabularies between two Koreas. Such differences ma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original vocabularies are differently replaced with their foreign counterpart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re is no peculiar difference of the basic grammar structure of the broadcasting langauge between two Koreas, but that there are great differences of forms, vocabularies, pronunciation and narration between two Koreas`` broadcasting languages due to difference of ideologies and systems, North Korea``s artificial language policy, and misuse of the language for personal idolization.

      • KCI등재

        북한에 관한 언론의 보도 태도가 대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김병철(Byong-Chol Kim)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4 No.3

        본 연구는 언론의 북한에 관한 보도와 대북 친밀감의 연도별 변화와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신문 및 방송의 북한에 관한 보도가 사회적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남한 주민들이 북한에 대해 느끼는 대북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07년~2018년의 기간 동안 10개 중앙종합일간지와 3개 공중파 방송의 북한에 관한 보도량 및 보도 태도에 대한 분석과 함께 통일평화연구원의 ‘통일의식조사’ 자료에서 추출한 대북 친밀감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자료를 토대로 북한에 관한 언론의 보도 태도 변화가 대북 친밀감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하는지를 검증했다. 구체적으로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한겨레신문 등 10개 일간지의 북한에 관한 긍정 보도량 및 부정 보도량, 그리고 KBS, MBC, SBS 등 3개 공중파 방송의 북한에 관한 긍정보도량 및 부정 보도량, 남북 인적교류, 남북 교역, 북한이탈주민 입국자 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대북 친밀감을 종속변수로 해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 보도의 경우 10개 일간지의 북한에 관한 긍정 보도량이 많을수록 대북 친밀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10개 일간지의 북한에 관한 부정 보도량 역시 대북 친밀감을 떨어뜨리는 유의한 예측 변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둘째, 신문과는 달리 TV의 경우 3개 공중파 방송의 북한에 관한 긍정 보도량과 부정 보도량 모두 대북 친밀감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북 인적교류, 남북 교역, 북한이탈주민 입국자 수와 같은 요인들은 대북 친밀감에 대해 유의미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This study analyzes factors affecting the intimacy that South Koreans feel about North Korea focusing on South Korean media"s reports on North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verified whether South Korean media"s reports on North Korea act as a factor in changing South Koreans’ intimacy with North Korea, based on time series data extracted from news reports by 10 daily newspapers including Chosun Ilbo and Hankyoreh and 3 major broadcasters-KBS, MBC and SBS-during the period 2007 to 2018, and the intimacy survey by the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A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outh Korean media"s positive and negative report on North Korea, inter-Korean human exchange, inter-Korean trade, and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timacy with North Korea as a response variab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media report, which is the most interesting factor in this study, the more positive reports of 10 daily newspapers about North Korea, the more likely it was to increase intimacy with North Korea. In addition, negative reports on North Korea by 10 daily newspape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hat decrease intimacy with North Korea. Second, unlike newspapers, it was found that positive report about North Korea and negative report about North Korea from 3 major broadcaste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timacy with North Korea. Third, factors such as inter-Korean human exchange, inter-Korean trade, and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 on intimacy with North Korea.

      • KCI등재

        남북한 방송통신교류협력과 관련한 법적 및 법외적 문제

        김성욱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3 스포츠와 법 Vol.16 No.3

        The title of this thesis is "Legal Matters in connection with the exchanges and cooperation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t would be difficult at the present moment to predict exactly what problems may arise in the future. However,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solutions for problems related to regulation of public order so that the risk of causing unreasonable consequences can be minimized. Sinc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 North and South Korea is something that is being newly developed, a thorough examination of past problems can lead to a futur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more rational and accords with substantial justice. I explained about the main contents of the exchanges and cooperation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dealt with the important contents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suggested especiall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exchanges and cooperation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이 논문의 제목은 남북한 방송통신교류협력과 관련한 법적 및 법외적 문제라고 하였다. 장래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것인지를 현재의 시점에서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사회질서를 규율하는 제도라고 한다면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되지 않도록 그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남북한에서 운용되고 있는 방송통신제도는 새롭게 창출된 제도라는 점에서 종래에 발생한 문제점들을 면밀하게 파악한다면, 장래에 정립될 방송통신제도는 보다 합리적이고 실질적 정의에 합치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 저자는 남북한 방송통신 교류협력과 관련한 주요한 내용을 검토하였는데, 그 중에서 특히 남북한 방송통신의 교류 및 협력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법적, 법외적 문제점을 중심으로 관련 논점과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남한 영상매체의 북한 유통경로와 영향: 지역간·대인간 연결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강동완,박정란 통일연구원 2010 統一 政策 硏究 Vol.19 No.2

        North Korea started to suffer from a serious food crisis driven by dismal economic conditions in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Once the central rationing system, which used to uphold the socialist regime, started to crack, North Koreans were forced to go find their own food for survival. In the search process, they crossed the North Korean border adjacent to China to visit their relatives living in China or for smuggling. In addition, they moved within North Korea from region to region more actively. What is noteworthy with all those changes is the import and spread of outside information and culture through those who visited China and the internal market of North Korea. South Korean visual media such as dramas and movies were introduced into North Korea and spread information about South Korea (lower Korea) among the North Kore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those visual media in North Korea and the influence of outside information imported on the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s and changes to the North Korean regime. For that purpose, the “inter-regional and inter-personal” distribution structure was consulted to examine the South Korean visual media in the time and space of their import and spread. The study also estimated how changes to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North Korean regime would affect changes to the regime within its one structural framework. 1990년대 후반 북한에서는 심각한 경제난에 의해 식량위기 상황이 발생하였다. 기존의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던 중앙배급제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북한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스스로 식량을 구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에 있는 친지방문이나 밀거래를 위해 국경을 넘는 일이 잦아졌고 북한 내부에서 지역간 이동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주목할 점은 중국을 오가는 사람들과 북한 내부 시장을 통해 외부정보와 문화가 유입·확산되었다는 점이다. 남한 드라마나 영화 등의 영상매체가 유입되었고, 이를 통해 남한(아랫동네)에 대한 정보가 북한 주민들 사이에 전파되었다. 본 연구는 남한 영상매체의 북한 유통구조를 살펴보고, 외부정보 유입이 기능적 측면에서 북한주민들의 의식과 향후 북한체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한 영상물이 북한지역에 유입·확산되는 시간과 공간의 구분에 의해 ‘지역간·대인간’ 유통구조로 나누어 살펴본다. 그리고 북한체제라는 하나의 구조적 틀 안에서 이를 구성하는 행위자들의 의식과 행위 변화가 북한 체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전망한다.

      • KCI등재

        1950년대 서울중앙방송국 대외방송의 전개과정

        윤상길(Sangkil YOON),이정훈(Junghoon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4

        본고는 1950년대 서울중앙방송국의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이 탄생하여 정착,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시도하였다. 1950년대를 전후로 한반도에서 전개된 복잡한 전파전의 양상 속에서 이승만 정부는 1953년 8월 15일 ‘자유대한의 소리 영어방송’을 개시함으로써 독자적인 대외방송을 시도하고자 했다.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 개시를 통해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종료 이후 새롭게 시작된 전파전이라는 전쟁에 동참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는 이승만의 정치적 동기와 외교정책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1950년대 한국의 대외방송은 1956년 이중방송의 실시와 함께 한 단계 도약하게 되었다. 국내 정치의 위기를 맞은 이승만은 방송에 있어서 국내 공보와 대외 공보를 나눠서 시행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게 되었고, 이런 필요성이 이중방송의 실시와 대외방송의 분화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1950년대 대외방송의 근간이었던 대북방송은 1956년 3월 서울중앙방송국에 대북계가 발족된 이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1957년부터 대북방송은 방송 시간의 대폭 연장과 함께 재방송 시간의 점진적 폐지를 통해 방송 내용의 질적향상을 꾀하고자 하였다. 한편 1950년대 중반 이승만 정부 외교정책의 중요한 한 축이었던 반일정책을 정책적 배경으로 하여 대외방송의 본격적 출발점으로 시작한 대일방송은 1953년 10월 이래 결렬되었던 한일회담이 1957년부터 재기될 움직임을 보이는 데 큰 자극을 받아 방송 시간을 늘리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꾀하게 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ettling down and expanding of the ‘Voice of Free Korea’ in the 1950s. In the midst of the complicated radio warfare that took place on the Korean Peninsula around the 1950s,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 wanted to try its own overseas broadcasting by launching the “Voice of Free Korea English Broadcasting” on Aug. 15, 1953. With the launch of the “Voice of Free Korea,” Korea has joined the war of radio warfare, which began anew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Rhee’s political motivation and foreign policy contributed to this. In the 1950s, Korea’s overseas broadcasting took a leap forward with the implementation of dual broadcasting in 1956. Rhee, who has faced a crisis in domestic politics, has come to realize the need for a domestic public announcement in broadcasting, which seems to have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dual broadcasting. Radio to North Korea, which was the basis of external broadcasting in the 1950s, began full-fledged activities in March 1956 after the Daebook-kye(Department of North Korea) was launched by the Korean Central Broadcasting Station. Since 1957, the Radio to North Korea has sought to improve the quality of broadcasting contents by gradually abolishing the rerun time along with a significant extension of broadcasting time. Meanwhile, the Radio to Japan, which targets ethnic Koreans living abroad and foreigners living abroad, was greatly stimulated by the fact that the Korea-Japan talks, which had been broken since October 1953, are moving to resume in 1957, which is aimed at increasing airtim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

      • KCI등재

        북한의 외래문화 수용 실태와 문화전략: 북한 텔레비전 방송 분석을 중심으로

        전미영 통일연구원 2014 統一 政策 硏究 Vol.23 No.1

        This study aims to approach North Korean society and hints of changes in theNorth Korean system by surveying changes in its cultural territory. By focusing on howNorth Korea is adapting to a powerful, centrifugal ‘threat’ of globalization triggered bya change of system and informatization and the culture of democracy widespread bysuch global culture, we intend to understand hints of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Thisstudy is ongoing, as it aims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North Korea’s accommodationof foreign cultures and its cultural strategy, and has analyzed television broadcast, asource of continuous discussion. The subject of analysis is foreign-related televisionbroadcast aired by the Korean Central Television and our period of analysis lasted forfour years, ranging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2. As 2009 was the year KimJong-Un first appeared as the successor,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focusing on thecultural strategy of the Kim Jong-Un er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hows that althoughNorth Korean broadcasting media is highly limited in introducing Western culture, it hasgrown to be a lot more flexible than before. While North Korea’s current official culturalstrategy forbids the inflow of foreign culture under the name of maintaining socialistnational culture against the cultural invasion of capitalism, North Korea’s considerationof the ‘global trend’ has prompted its selective introduction of culture to resolve such stateof estrangement. However, just as North Korean society’s marketization is constantlyspreading with its own power,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ulture powered by marketizationwill serve to pressur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for a tepid policy change. 이 연구는 문화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통해 북한사회, 북한체제 변화의 단초에 접근하고자한다. 체제전환과 정보화로 촉발된 세계화, 그 세계문화로 보편화되고 있는 자본주의 문화로의 동화라는 강력한 원심력적 ‘위협’에 북한이 어떠한 방식으로 적응하고 있는가에 주목하면서 북한사회의 변화의 단초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북한의 외래문화 수용 실태와 문화전략을 규명하기 위해 현재진행형이며, 지속적 담론 생산의 기제인 텔레비전 방송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조선중앙TV에서 방영되고 있는 해외관련 방송이며, 분석대상 시기는 2009년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4년 동안이다. 2009년은 김정은이 후계자로 등장한 시기로, 이 연구는 김정은시대 문화정책을 조명한다는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북한의 방송매체는 서구문화를 소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제한적이지만, 과거와는 다른 유연성을 보이고 있다. 현재 보이고 있는북한의 문화전략은 자본주의 문화침투에 대항하여사회주의 민족문화를 지켜나간다는 명분하에 공식적으로는 외래문화의 유입을 불허한 채, ‘세계적 추세’를 고려한 당국의 선택적 문화도입을 통해 이 괴리현상을 해결하겠다는 전략으로 파악된다. 그러나북한사회의 시장화가 자체 동력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시장화를동력으로 하여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외래문화의 유입현상은 북한 당국의 미온적 정책변화를 압박하는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