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M&A계약에서의 진술 및 보장 조항 및 그 위반

        김태진(Kim Tae-Jin) 한국법학원 2009 저스티스 Vol.- No.113

        본고에서는 주식양수도거래에서 매도인이 주식이 아니라 대상 회사에 관하여 제공한 진술 및 보장 위반이 있는 경우 매도인의 매수인에 대한 보상책임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최근의 현대오일뱅크 주식회사가 1999년 4월 2일 기존 주주들로부터 한화에너지의 주식을 매수한 거래와 관련하여 매도인의 진술 및 보장 위반에 대한 보상책임이 다투어졌는데, 이 사건에서는 매수인이 매도인의 진술 및 보장의 위반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거나 과실로 알지 못한 경우 그러한 악의(내지는 과실)의 매수인이 계약상 보상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가 특히 문제되었다. M&A 계약에서의 ‘진술 및 보장’ 이라 함은 M&A 계약에서 기업을 매도하고자 하는 매도인과 이를 매수하고자 하는 매수인이 그 계약에서 정한 일정한 사항을 각자 상대방에게 진술하고 그것이 진실한 것임을 상대방에게 확인, 보장해 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원래 미국 등 영미법계 국가의 M&A계약에서 사용되다가 1997년 금융위기 이후 외국기업들이 국내 회사의 주식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영미식 M&A계약서가 자연스럽게 널리 사용되면서 위 조항이 국내의 M&A거래에 있어서도 널리 사용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본 한화에너지 사건은 한국 법원이 M&A에서의 당사자의 진술 및 보장 의무와 그 위반을 정면으로 분석한 국내 최초의 사건이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이에 본고에서는 M&A 계약에 있어서 진술 및 보장 조항의 의의, 역할과 위반시 보상책임 등을 현행 법제하에서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근본적으로 진술 및 보장 위반에 대한 보상책임에 관하여 논쟁이 있는 것은 이 조항 자체는 영미법에서 유래한 것이다 보니, 계약 책임에 관하여 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의 이원제를 취한 대륙법체계의 법리에 따라 해석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법상으로 볼 때 진술 및 보장 위반에 대한 보상책임은 일견 하자담보책임과 유사한 면도 있으나, 분명히 차이가 있고, 주식이 아닌 대상 회사에 관한 진술 및 보장의 위반을 매매 목적물인 주식의 하자로 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그러므로 필자는 진술 및 보장 위반으로 인한 보상책임의 본질은 채무불이행책임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진술 및 보장 조항을 계약의 내용에 포함시킨 당사자들의 의도는 매매 대상 목적물이 매수인이 희망하는 일정한 수준의 것이고 그러한 성질을 그 목적물이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특약으로 정한 것이므로 그 특약에 따라 매도인이 제공하는 목적물이 그러한 내용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매도인이 계약의 내용대로 이행하지 아니한 것(즉, 불완전하게 이행된 경우)으로서 채무불이행이 된다. 이와 같이 보상책임의 본질을 이해한다면, 매수인의 과실 여부는 매도인의 보상책임의 성립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과실 상계로서 책임의 범위를 감액하는 요소에 불과하다. 그리고 매수인의 주관적 사정을 판단함에 있어서도 그러한 위반 사실을 계약 조건에 반영하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본다. 다만, 이렇게 해석할 때에는 입증책임의 배분에 대하여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will examine the seller’s liability for compensation to the purchaser for a breach of a representation and warranty regarding the target company in a share sale and purchase agreement as opposed to a breach of a representation and warranty regarding the stock being sold. Recently, a court case arose out of Hyundai Oil Bank’s purchase of the shares of Hanwha Energy from the then-shareholders of Hanwha Energy on April 2, 1999. The issue was the breach of the sellers’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and their liability for compensation to the purchaser. In particular, the issue was whether the purchaser may seek compensation under the sale and purchase agreement if the purchaser already knew of the sellers’ breach of the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or if the purchaser did not know such breach due to its negligence, despite what seemed to be the purchaser’s willful misconduct or negligence. In an M&A agreement, a ‘representation and warranty’ is a contractual provision under which each of the purchaser and the seller of a target company represents and warrants to the other party that certain matters are true. They are typically used in M&A agreements in the U.S. and Anglo-American jurisdictions, and they became commonplace in Korea after the Asian economic crisis of 1997 when foreign purchasers used the Anglo-American sale and purchase agreements in purchasing Korean companies. This Hanwha Energy case was a significant precedent in that it was the first time that a Korean court reviewed the meaning of a party’s representation and warranty and its breach from Korean law perspective. This paper analyzes how to interpret representation and warranty clauses, their roles and compensation liability in case of a breach under the current Korean law. The fundamental reason that there is a controversy over the compensation liability for breach of a representation and warranty is because this clause was developed under the Anglo-American legal system which creates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the same under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in which a contractual liability can be construed as a warranty liability or a breach of contract liability. Under Korean law, compensation liability for the breach of a representation and warranty may seem similar to warranty liability, but there are differences. Further, if a representation and warranty relates to the target company, rather than to the stock being sold, it is difficult to view the breach of such representation and warranty as a defect in the stock. Therefore, it seems more reasonable to view the compensation liability for the breach of a representation and warranty as a breach of contract liability. The intent of the parties in including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in the sale and purchase agreement is to guarantee, as special provisions of the contract,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transaction has to have certain qualities desired by the purchaser an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transaction indeed has such qualities. Therefore, if the subject matter being sold by the seller does not meet such criteria, the seller should be viewed as not having performed the contract in accordance with its terms and conditions, and hence, having breached the contract. If the nature of the compensation liability is understood in this way, the purchaser’s negligence would not affect the issue of whether the seller has the compensation liability, but would merely reduce the scope of liability. As a practical matter, it would give rise to the issue of who has the burden of proof of negligence.

      • KCI등재

        적하보험에 있어서 피보험자의 감항능력담보의무에 관한 고찰

        양석완 한국경영법률학회 2011 經營法律 Vol.21 No.3

        There are certain preliminary essential condition which must be complied with in order to render the insurer liable under a contract of marine cargo insurance. They are not expressed but they are tacitly implied, and are therefore termed 'implied warranty', which are warranty of seaworthiness of ship and warranty of legality. The implied warranty of seaworthiness is a warranty which is understood by law to exist in the contract without being expressly stated. In this paper, a new approachment was made in respect of the warranty of seaworthiness : that is cargoworthiness of the ship, particularly focused on the reasonable fitness to carry the good or other movables to the destination contemplated by the policy, which is concerned with her capability to carry the particular cargo in question, commonly referred to as the cargoworthiness under Article 40(2) in Maritime Insurance Act, 1906. In the event of a breach of warranty, the insurer is discharged from liability as from the date of the breach. However, the breach of warranty does not inevitably discharge the insurer from liability, for it is always open to an insurer to waive the breach and therby affirm the continuance of the contract. An insurer can certainly, by his conduct, be estopped from pleading as having been discharged from liability under the Seaworthiness Admitted Clause and Unseaworthiness & Unfitness Exclusion Clause in the Institute Cargo Clauses. It is conclusion of this paper that in the present time, the insurance warranty, especially the implied warranty for the seaworthiness of the assured would be complied with not strictly but with flexibility, and the limitation of an insurer's right of the breach of the warranty.

      • KCI등재

        해상보험의 담보(Warranty)에 관한 연구

        구종순 ( Jong Soon Koo ) 한국해운물류학회 2004 해운물류연구 Vol.42 No.-

        A warranty is defined as a promissory warranty, that is to say, a warranty by which the assured undertakes that some particular thing shall or shall not be done. or that some condition shall be fulfilled, or whereby he affirms or negatives the existence of a particular state of facts. A warranty may be express or implied. An express warranty is the one which is contained in the policy or in a document referred to by the policy, and is a condition which overrides anything in the policy with which it is inconsistent. An implied warranty does not appear in the policy. It is a warranty which is understood by law to exist in the contract without being expressly stated. Whether or not it is material to the risk, the assured must comply exactly with the terms of the warranty. The warranty must be taken literally and if the assured fails to comply exactly with the warranty, there is said to be a breach of warranty. In the event of a breach of warranty, the insurer is discharged from liability as from the date of the breach. As a result of this study. a few reasons to modify the strict fulfillment of a warranty would be suggested, these are : (1) the unfairness of the responsibility and liability between an insurer and an insured, (2) the inconsistency of the principle of indemnity under the proximate cause, (3) the poor identification of a warranty itself and a breach of a warranty. It is my conclusion that in the present time, the insurance warranty would be complied with not strictly or literally but with flexibility, and the limitation of an insurer`s right of the breach of a warranty.

      • KCI등재

        미국 계약법상 물건에 대한 warranty와 그 책임

        가정준(Ka, Jungjo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4 비교사법 Vol.21 No.3

        미국법상 'warranty'라는 개념은 계약의 일부로 발전되었다. 미국법은 매도인이 자신의 물건 또는 권리에 대한 매수인에 대한 보증의 개념과 범위를 정하고 그 보증을 위반한 경우 계약위반으로 법률관계를 규율한다. 내용적으로 ‘물건에 대한 보증’과 ‘권리에 대한 보증’으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미국법상 ‘물건에 대한 보증’은 동산과 부동산으로 구분되며, 부동산 보다는 동산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다. 미국법상 ‘물건의 권리에 대한 보증’ 역시 동산과 부동산으로 구분되는데, ‘물건에 대한 보증’과 달리 ‘물건의 권리에 대한 보증’은 동산 보다는 부동산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다. 미국법상 ‘warranty’와 그 위반은 손해배상이라는 법적구제수단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UCC는 매도인에게 일정한 ‘warranty’에 관한 책임을 부가하고 있는데, 이는 매도인에게 목적물에 대한 일정한 품질 기준을 제시한 것으로 이를 위반하는 경우 계약의 내용을 위반한 것이 된다. 이러한 품질 기준은 이미 언급한 명시적 보증과 기타 여러 묵시적 보증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준을 매도인이 위반한 경우 ‘수령한 제품에 관한 매수인의 손해배상’이라는 이름으로 매수인에게 손해배상청구권만을 인정하고 있다. 우리 민법과 달리 미국법상 ‘warranty’는 계약해제권과 강제이행청구권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미국 계약법에서는 불이행과 계약위반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미국 계약법상 모든 계약은 쌍무계약이고 계약 당사자들은 자신이 이행해야 하는 부분, 즉 개별적으로 의무를 이행할 부분을 갖고 있다. 일방이 자신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상대방은 그 자체로 ‘불이행’을 주장하고, 만약 일방의 이행이 적합(conforming)하지 않으면 상대방은 이행의 수령을 거절하거나 수령을 철회함으로써 ‘불이행’을 주장할 수 있다. 일방의 이행 이후 상대방이 이행을 수령하고 계약의 내용과 다른 하자가 발견됨에도 불구하고 그 수령을 철회하지 않거나 하지 못하는 상태를 ‘계약위반’이라고 한다. 이러한 ‘계약위반’과 관련하여 그 위반여부와 내용을 확정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 ‘warranty’이다. This article has tried to show how different American contract law is from Korean one by exploring the warranty in the U.S. Unlike in Korea, the warranty in the U.S. is nothing but for the scope of contractual liability focusing on the damage awards. This is because contractual liability in the U.S. is unitary liability system which is based on strict liability. Contract law in the U.S. does not require fault to impose contractual liability on defaulter except where no one makes fault for the breach of contract. On the other hand, contractual liability in Korea consists of dual liability system. General contractual liability is based on fault while warranty liability on strict liability. The term of warranty liability has different meanings in each country. In Korea, it means the guaranty for all defects from contractual objects. In the breach of the guaranty, the injured may have diverse remedies against the defaulter such as pecuniary damages, enforcement, and cancelling the contract. On the other hand, it means the guaranty for a certain quality from contractual objects in the U.S.. However, in the breach of the guaranty, the injured may have nothing but damage awards in general. In fact, the right to cancel the contract in both countries may be hardly used unless an unusual circumstance occurs. For example, the right may have commonly been used where the contract is the mostly likely to become difficult in completely performing it. However, the contract law in the U.S. treats it in a different way. Especially, a basic principle with regard to performance in transactions for sale of goods is the perfect tender rule requiring an obligor to conform exactly to the description in the contract. When an obligor does not provide perfect performance, an obligee may have a right to reject the tender freely. The obligee may be discharged from what he is obliged to do for a tender that is non-conforming in any respect. The rejection may play a role not to satisfy the condition for the contract parties made. It means that the obligee in this case is entitled for an unfettered ability to terminate a contract. From the aspect of Korean contract law, in the U.S., the obligee is entitled to easily revoke the contract where a non-conforming or no tender is provided. Where the obligee may or cannot reject the non-conforming tender or revoke the acceptance of the tender due to afterward finding non-confirming tender, only one remaining legal remedy for the aggrieved party is a claim for money damage. Warranty does control how much the aggrieved party can claim money damage in this situation rather than for how much the breaching party can be liable.

      • KCI등재

        2015년 영국보험법상 워런티의 의의와 법률 효과에 대한 고찰

        이정원(Lee, Jung-won)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50

        영국 법개정위원회는 오랜 동안 보험법의 개혁을 국가적 과제로 추진하여 왔다. 이번에 제정된 2015년 보험법은 그 동안 진행되어 온 영국의 보험법 개혁작업이 일단락된 것을 의미한다. 영국 보험법상 warranty 관련 조항과 법리는 보험법 성립 초기의 상황에 부합하는 긍정적 측면도 있었으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보험법과 보험시장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다는 비판적 견해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는 곧 영국 보험시장의 경쟁력 감소로 이어졌다. 위와 같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 법개정위원회는 warranty에 관한 기존 법리를 획기적으로 개혁하였다. 이번 보험법의 제정을 통한 warranty 관련 법리 개혁의 대전제는 보험소비자의 보호에 있다. 이러한 대전제는 보험계약의 근본적 조항의 warranty로의 전환의 원칙적 금지, 불이익금지조항의 신설 및 보험계약 체결과정의 투명성 제고방안의 마련 등에 의해 확보되고 있다. 이번 영국 보험법 제정의 핵심적 사항들은 ① 그 동안 학계와 실무계의 주된 비판의 대상이었던 warranty 위반의 치유불가원칙이 이번 보험법 제정을 통해 폐지되었다. 따라서 warranty 위반 시 보험자의 보험금지급의무는 위반일로부터 치유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정지된다는 의미를 가질 뿐이다. ② 기존 법리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보험자는 warranty 위반에 관한 권리를 포기할 수 있지만, 영국법원이 warranty 위반의 효과를 보험자의 보상책임의 장래를 향한 자동적 면책으로 해석함으로 인해, 소멸된 보험계약을 보험자의 선택에 의해 다시 보험계약을 복원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모순이었다. 이에 따라 2015년 영국 보험법에서는 보험자가 피보험자 등의 warranty 위반을 인지하고서도 보험계약을 계속해서 유지하겠다는 명확한 의사를 표시한 경우에는 보험계약은 계속적으로 존속하고 보험자는 보험금지급책임을 부담한다고 규정하였다. The Law Commission and the Scottish Law Commission (hereunder "the Law Commission") have conducted a joint review on insurance contract law since 2006. The Insurance Act 2015 implements the Law Commission"s recommended reforms on disclosure of business insurance, insurance warranties, and insurers’ remedies for fraudulent claims, and the above said Act received Royal Assent on February 2015. Arguments for the warranties have focused on the issues that an insurer must be able to understand the exact risk agreed to be covered by the contract, and an insurer do not have to continue to provide cover if there is an inaccuracy. When an insured is in breach of a warranty, the consequences of that breach follow discharge of an insurer"s liability since the insurer had never agreed to accept a risk other than that defined (in part) by the warranties. However, the law of insurance warranties has attracted criticisms for many years, and eventually the Law Commission has recommended reforms of the law of insurance warranties. The main purpose of the Insurance Act 2015 is protecting policy-holders(from consumers to sophisticated businesses). The above mentioned purpose is supported by three key reforms: ① abolishment of basis of the contract clauses, ② provisions on effects of breach of warranty, that breach of warranty suspends rather than discharges the insurer’"s liability, which may be revived if the breach is remedied, ③ terms designed to reduce the risk of loss of a particular type(or at a particular time or place) should not affect losses of a different kind(or at a different time or place). Therefore, breach of warranty should no longer result in automatic discharge of the insurer’s liability, and it should mean that the position in relation to waiver will no longer be an argument that the waiver must have the effect of reviving a dead contract.

      • KCI등재

        M&A계약에서 가격조정과 진술 및 보증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관계

        이재규 사법발전재단 2024 사법 Vol.1 No.67

        많은 M&A계약에서는 매도인이 대상회사의 상태에 관해 진술 및 보증한 사항이 사실과 다른 경우 매수인이 매도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것으로 정하고 있다. 진술 및 보증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주요한 기능은 매매대금 조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기업가치에 상응하는 매매대금이 수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M&A계약에서는 진술 및 보증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조항 외에 별도로 “가격조정조항”을 두는 경우가 있다. 가격조정은 가격산정 시점과 거래종결 시점 간의 기업가치 변동에 대비하여 정확한 기업가치를 반영하여 매매대금을 조정하는 절차이다(좁은 의미의 가격조정). 실무상으로는 양해각서 등에서 정한 잠정적인 매매대금을 실사를 거쳐 조정하는 절차도 가격조정이라고 부른다(넓은 의미의 가격조정). 이 글에서는 먼저 진술 및 보증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간단히 정리하고, M&A계약에서의 가격조정조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 진술 및 보증 위반사실을 알고 있었던 매수인이 진술 및 보증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가 있었으나, 대법원은 진술 및 보증 위반사실을 알고 있었고, 이를 매매대금 산정에 반영할 수 있었던 매수인이라 하더라도 진술 및 보증 위반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대법원은 매수인이 진술 및 보증 위반사실을 알고 있었던 경우에도 손해배상책임을 통해 위험을 배분하고, 매매대금을 조정할 필요성이 인정된다고 보았다. 당사자들이 책임제한사유를 명시하지 않는 이상 매수인이 계약 체결 당시 진술 및 보증 위반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매수인은 매도인에 대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이는 M&A계약 또는 양해각서에 진술 및 보증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과는 별도로 넓은 의미의 가격조정조항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가격조정절차에서 주장할 수 있었던 사항에 대해서는 진술 및 보증 위반을 주장하지 못한다는 내용의 책임제한사유를 명시하지 않은 이상, 매수인이 가격조정 당시 진술 및 보증 위반사실을 알고 있었고, 가격조정절차에서 이를 주장할 기회를 가지고 있었다고 해도, 거래종결 후에 진술 및 보증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위약벌 약정은 다르게 보아야 한다. 손해배상과 달리 위약벌은 위험배분이나 가격조정을 위한 것이 아니다. 진술 및 보증 위반사실을 알고 있었고, 이를 가격조정 과정에서 반영할 수 있었던 매수인이 거래종결 후에 이르러서야 위약벌을 청구하는 것은 신의칙에 비추어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가격조정절차와 진술 및 보증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은 개념상 구별되지만, 실무상 가격조정절차를 거친 후 진술 및 보증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넓은 의미의 가격조정절차에서 최종적인 매매대금이 확정된 경우 당사자들이 어떤 의사로 가격조정절차를 마쳤는지 신중히 해석할 필요가 있다. 매수인은 진술 및 보증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는 의사를 가지고 가격조정절차를 마쳤을 가능성이 있다. 거래종결 후의 불필요한 다툼을 피하기 위해서는 양해각서 작성 또는 M&A계약 체결 단계에서 양자의 관계를 명확하게 정할 필요가 있다. Many merger and acquisition contracts (hereinafter “M&A contracts”) provide that the buyer may seek indemnification from the seller if the seller’s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regarding the condition of the target company are untrue. The primary function of indemnification for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is to enable the purchase price to be commensurate with the value of the company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purchase price. However, in addition to indemnification provisions, M&A contracts often include separate “purchase price adjustment” provisions. Purchase price adjustment is a procedure to adjust the purchase price to reflect the correct company value in case of changes in the value between the time of price calculation and the closing (narrowly defined purchase price adjustment). In practice, the procedure of adjusting the provisional purchase price set in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etc. after due diligence is also called purchase price adjustment (broadly defined purchase price adjustment). This article will first briefly summarize the existing discussion on indemnification and then examine purchase price adjustment provisions in M&A contracts. There has been some discussion as to whether a buyer who was aware of a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may seek indemnification, but the Supreme Court held that even if a buyer knew the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and could have reflected them in the purchase price, he or she may also seek indemnification. The Supreme Court recognized the need to allocate risk and adjust the purchase price through indemnification even if the buyer was aware of the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Unless the parties have specified a reason for limiting liability, the buyer may seek indemnification against the seller even if the buyer was aware of the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at the time of entering into the contract. This is the same even if the M&A contract or memorandum of understanding contains a broadly defined purchase price adjustment provision separate from the indemnification provision. Unless there is a limitation of liability that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cannot be claimed for matters that could have been claimed in the purchase price adjustment procedure, the buyer should be seen to be able to seek indemnification after closing, even if the buyer was aware of the breach at the time of the purchase price adjustment procedure and had the opportunity to claim it. Penalty, on the other hand, should be viewed differently. Unlike damage, penalty is not designed to allocate risk or adjust price, and thus it is not in good faith for a buyer who was aware of the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and could have taken them into account in the purchase price adjustment to seek penalty after closing. Although the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purchase price adjustment and indemnification for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is clear, in practice, issues may arise, such as whether indemnification may be sought after the purchase price adjustment procedure. When the final purchase price has been confirmed in a broadly defined purchase price adjustment procedure, the intentions of the parties to the purchase price adjustment procedure need to be carefully interpreted. The buyer may have concluded the purchase price adjustment procedure with the intention of seeking indemnification.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disputes after closing, clearly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necessary at the stage of signing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r the M&A contract.

      • 最近韓國有關違反保證的判例動向

        박은경 ( Eun Gyoung Park ) 경성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경성법학 Vol.20 No.2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해상보험약관은 대부분이 영국의 런던보험자협회가 제정한 신협회약관이다. 이 약관에는 "이 보험은 영국의 법률과 관습에 따른다(This insurance is subject to English law and practice.)"는 영국법 준거조항이 명시되어 있으며, 우리 대법원은 1977년 이래로 이러한 영국법 준거조항의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해상보험계약의 보험자 보상책임여부와 관련된 분쟁의 해결에 있어서는 영국의 해상보험법(Marine Insurance Act. 1906: MIA. 1906)과 성문법의 개정을 대신하는 영국의 판례법 및 상관습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실무적으로 영국의 법률과 관습에 대한 전문성의 확보가 요청되는 이유라 할 것이다 문제는 최근 10년간 해상보험사고와 관련한 분쟁에서, 신협회약관에 따라 보험계약을 체결한 국내 중소규모의 해운회사와 수산회사가 워런티조항 위반을 이유로 보험금 지급이 거절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워런티조항은 우리 상법상 명문의 규정이 없고, MIA1906과 영문약관에 규정되어 있으며, 그 위반시의 효과가 보험자의 무조건적인 면책을 가져다는 주는 보험계약자에게 상당히 불이익한 조항이다. 관습적으로 영문약관에 따른 해상보험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국내 소규모 해운·수산 회사들의 경우, 보험자에 준하는 전문성을 갖춘 지위에 있는 자가 아니므로, 우리 상법 제663조에 의한 법률의 후견적 보호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동조 단서조항에 의한 해상보험계약자로서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에 의한 보호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대법원에서 워런티조항이 보험자가 계약체결시 어떠한 내용으로도 창설할 수 있는 것으로, 인과관계의 불문, 보험자의 무조건적인 면책, 항변의 불가 등 보험계약자에게 붙이익하므로, 이러한 약관조항의 내용을 보험계약 체결 전에 보험계약자에게 설명하여야 한다는 취지의 판결을 하였다. 특히 해상보험약관의 영국법 준거조항은 보험계약의 효력에 관한 부분에서 인정되는 것이며, 보험계약의 성림과 관련하여서는 국내법에 따른 해석을 하여야한다는 판단도 동시에 하고 있다. 이는 결국 워런티조항에 대하여 보험계약체결시에 보험자가 계약자에게 약관설명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면, 당해 약관조항을 보험계약의 내용으로 주장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어, 국내 소형 해운회사등을 보호하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지극히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워런티 조항의 위반과 관련한 국내의 대표적인 최근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적 연구를 통하여, 해상보험계약에 있어서도 보험자의 약관설명의무가 존재함을 명시한 판례의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theory of the warranty of marine insurance contract based upon the English law and to find the legal application to the Korean marine insurance law (practically, Commercial Code IV). Because of non-existence of relevant in the marine insurance section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KCC). But practically it is allowed to insert warranty clauses in a marine insurance policy, specially with Institute Clauses, which is concluded in the Korean marine insurance market. In Korea, there is very difficult legal issue between insurers and insured arising from warranty clauses of the marine insurance policy as well as warranty sections of marine Insurance Act, 1906(MIA 1906). Regardless no any provision in the KCC as mentioned above, as insurer would tend to insert so many expressed warranty clause in the marine insurance policy without any pre-notice or explanation for the insured. As result of this tendency many insured that are most of individuals or small and medium shipping companies including fishing companies would b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warranty and the regal effect resulting from its breach in the marine insurance contract. It is one of essential duties of insurer to give detailed explanation of all the articles and clauses of the contract before con tract concluded. In the case of disputes of legal issue in Korea, the Korea Supreme Court held that the warranty clauses w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English law and practice if it tis chosen as a governing rules unless there is no any friction against the Korean sovereignty. This thesis has preceeded to study on the domestic precedents in relation to the breach of warranty, And also on whether an insurer must explain the meaning of warranty clauses and the effect of breach of that warranty.

      • KCI등재

        진술 및 보장 조항의 새로운 쟁점

        김상곤 한국상사법학회 2013 商事法硏究 Vol.32 No.2

        Breaches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clause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occasionally leading to litigation involving claims for indemnification. However, currently court precedents involving indemnification for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are mostly those of lower courts and still in the process of appeal. Therefore, how the Supreme Court of Korea will rule on specific issues related to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and breaches thereof is being paid close attention by the legal community. The main subject of interest in connection with recent court precedents is how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and indemnification liability arising from breaches thereof will be theorized within the realms of Korean domestic law. Furthermore, determination of the monetary amount of the indemnification liability for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is also a topic being hotly debated. This article first introduces the current discussions within Korea on the functions and legal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clause,then based on such discussions, reviews positions taken by academic theories and court precedents in regards to issues related to indemnification liability for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in particular,recognition of indemnification liability even for purchasers who negligently made purchases or made purchases despite the knowledge of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In addition, this article introduces methods of assessing amounts of indemnification liability currently being considered in Korea and relevant issues thereof. when practice or court precedents on issues of breach of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have not been firmly established, it would be premature to reach conclusion at the current stage. However, the tendency of the recent court decisions have been to respect the parties’ certain understandings, it appears likely that practice of drafting agreements based on such tendency will be established. But additional discussions should be made as more precedents regarding 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are established.

      • KCI등재

        강행규정 위반 여부에 관한 진술 보장의 효력 —대상판결 : 대법원 2019. 6. 13. 선고 2016다203551 판결—

        신명숙,김제완 한국경영법률학회 2020 經營法律 Vol.31 No.1

        This paper is a critical review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6Da203551, Decided June 13, 2019 for breaches of a representation and warranty clause. ‘Representation and warranty’ is mainly used in M&A agreements. This means a clause in which the seller states certain information to the buyer and guarantees the truthfulness of the statement. Recently, representation and warranty have been used in various transactions other than M&A contracts, but theories and precedents are discussed only with M&A contracts. This Supreme court decision dealt whit representation and warranty clause could mean in a loan agreement. In particular, whether the legal effect, such as violation of the mandatory provisions, could be subject to representation and warranty, and in such cases, whether the other party can claim legal remedy, such as the performance of the guarantee liability or damage, based on representation and warranty clause. It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case in that Korea has given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theory of representation and warranty. 대상판결은 금전소비대차계약에서 농협이 보증을 하였는데, 그와 같은 보증이 농협법상의 강행규정 위반으로 무효로 될 수 있는 소지가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해 농협측이 무효가 아니라는 취지의 진술보장을 해 준 사안이다. 진술보장은 주로 M&A계약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매도인이 일정한 사항 또는 정보를 매수인에게 진술하고 그 진술에 대한 진실성을 보장 또는 보증을 하는 조항을 의미한다. 최근 이러한 진술보장은 M&A계약 이외에 다양한 거래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학설과 판례는 M&A계약을 중심으로만 논의되고 있다. 대상판결은 금전소비대차계약에 있어서 진술보장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특히 강행규정 위반 여부와 같은 법적 효과가 진술보장의 대상으로 될 수 있는지, 이와 같은 경우에도 진술보장 약정에 기하여 상대방이 보증책임의 이행이나 손해배상 등 어떠한 법적 구제를 청구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 사례로서, 우리나라에서 진술보장의 법리에 대해 검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였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는 사례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건축하자의 개념에 대한 소고

        박수곤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40

        This article has explicated on the premise that it required reconsidering the concept of construction defects as a way to settle the problem with the construction defects. A Problem-Solving begins with a different view on legal nature of the Liability for Warranty. In recent years, the theory of Liability for Breach of Contract has been given scholarly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he above perspective,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the subject of application category to defects in Liability for Warranty from defaults in Liability for Breach of Contract. The explication shows that the purpose of Liability for Warranty may be lost its meaning, including that could be made to Cumulative or Selective application in between Liability for Warranty -principle of No-fault liability- and Liability for Breach of Contract -principle of Fault liability-. These considerations lead me to conclude that it should be revising a related law and developing theory of analysis, by means of understanding that Liability for Warranty is Legal Liability in which specially accord a responsibility to the subject in Law. Regarding the construction defects, drawing on relative regulations in korea, type of defects are applied to liability for warranty periods differently : defects in structural parts, main process and defects in construction equipments, non-main process. These interpretations would result in disregard for seriousness of defeats, it is hard to avoid the question about applicability of the right to defect repair. That is to say, these interpretations have problems in terms of legal logic while considering of this : the possibility for execution of a right of claim for defect repair, which is the core of regulations on Liability for Warranty in Korean legal systems, could be restricted. In conclusion, the same criticism could be possible on the Supreme Court. Because the Supreme Court have held that regardless of seriousness, the defects in structural parts would be subject of application of liability for warranty for 10-year periods. Therefore, regarding not only aspect of a Problem-Solving but also aspect of a legal logic, it seems for the Supreme Court to need to change the precedents. 본고에서는 건축하자를 둘러 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건축하자의 개념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전제로 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문제 해결을 위한 출발점은 하자담보책임의 법적 성질에 대한 시각의 변화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학설상 다수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는 채무불이행책임설에 따를 경우, 하자담보책임의 적용대상인 하자의 범주와 일반채무불이행책임 또는 위험부담의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하자의 범주를 구별하기 어렵거나 구별할 필요가 없게 되어, 무과실책임인 하자담보책임과 과실책임주의인 일반채무불이행책임이 병존적·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게 되므로 담보책임제도의 규정취지가 희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하자담보책임을 법에서 특별히 책임의 주체에게 인정한 법정책임으로 이해하면서, 법정책임의 제도적 취지에 부합하는 하자론을 전개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의 개정 및 해석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건축하자와 관련하여, 현재 우리 법의 태도는 주요공정이나 구조 부분에서 발생한 하자와 그렇지 않은 공정이나 설비 부분에서 발생한 하자를 나누어 담보책임의 기간을 달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태도는 하자 자체의 심각성 또는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태도는 우리 법상 수급인의 담보책임제도에서의 핵심적인 내용인 하자보수청구권이 하자의 경중에 따라 그 행사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에 법 논리상 문제점이 발견된다. 결론적으로, 구조 부분에서 발생한 하자는 그 경중을 묻지 않고 10년의 담보책임의 적용대상이 되는 것으로 판시하고 있는 우리 대법원의 태도 또한 같은 식의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문제 해결의 측면뿐만 아니라 법 논리의 측면까지 고려한 대법원의 이후의 태도변경을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