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국내 HIV감염 동성연애자들의 역학적 특징 (1992년)

        조영걸,신영오,김영봉,Cho, Young-Keol,Shin, Yung-Oh,Kim, Young-Bong 대한예방의학회 1993 예방의학회지 Vol.26 No.4

        In order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omosexuals and to present evidence that homosexuals are in danger of HIV infection in Korea, this study was done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n direct interview with the 28 (35%) HIV infected homosexual/bisexuals of 79 HIV infected persons reported in 1992. Homosexuals without heterosexual activity were 9 and the others were bisexuals. Sixty-five percent of respondents had a guilty conscience for their homosexual activty. Twenty (71%) were in twenties and 5 (18%) in thirties. Twelve(43%) were detected via health card checking by health office, 21% by blood donation, 18% by hospital visit, and 7% by partner notification. Motivations for homosexual activity were curiosity (36%), temptation or recommendation (14%) and compulsion (11%). Eighteen (72%) never used condom on anal sex. Nine of 26 respondents had experience for anal sex with foreigners. Fourteen (54%) of 26 respondents had history for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Fighty percent did not have sexual contact after HIV infection and the others usually used condom. It was confirmed that over 57% of the respondents were infected within 1 year before HIV diagnosis and over 82% within 2 years. These data suggest that HTV infection among homosexual group is rapidly spreading.

      • KCI등재

        "언급할 것인가 감출 것인가?": 〈뜨거운 양철지붕위의 고양이〉와 〈길고, 뜨거운 여름〉에 드러난 욕망의 정치학

        정평심 현대영미어문학회 2011 현대영미어문학 Vol.29 No.4

        The widespread interest of film quickly caused the imagination of Hollywood writers and producers to develop many classic films. This project explores the politics of desire portrayed by Hollywood film makers in The Long, Hot Summer and Cat on a Hot Tin Roof (1958). Though they are two separate films and two separate, successful literary works, it is peculiar the similarities found within. It is common knowledge, using hindsight, certain sexual outliers did not appear outwardly in films in this era. However, using different methods, both of these films uncover these elements. For instance, Faulkner's Will Varner is Williams' Big Daddy revisited. The sissy Alan Stewart was created by screenwriters' cinematic imagination, appearing nowhere in Faulkner's The Hamlet. The insinuation has to be made as the politics of latent homosexuality of the 1950s would not allow for an outwardly gay character to appear in film. Under McCarthyism, homosexuality would become taboo and an unspeakable subject. I argue not only Alan and Ben Quick but also Will Varner and Big Daddy are homosexual or bisexual.

      • KCI등재

        한국판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 척도 타당화

        장지윤,안현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esbian, Gay, Bisexual Positive Identity Measure (K-LGB-PIM). The LGB-PIM was developed by Riggle, Mohr, Rostosky, Fingerhut & Balsam(2014) to measure the positive lesbian, gay, and bisexual (LGB) identity. To validate the Korean LGB-PIM, item translation,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ere conducted. Identical to the original scale, five factors were extra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support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LGB-PIM and all five factor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Criterion validity was good with other identity related scales (LGBIS, AS, SIS) as well as the well-being related scale (MHC-F). In conclusion, the K-LGB-PIM is a valid measure of positiv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for utilization with the Korean population. Implications, practical use,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의 긍정적 정체성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Riggel, Mohr, Rostosky, Fingerhut, & Balsam(2014)이 개발한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 척도(Lesbian, Gay, Bisexual Positive Identity Measure; LGB-PIM)를 국내 20세 이상의 남녀 동성애자와 양성애자를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판 척도를 제작하고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와 양성애자의 긍정적 정체성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하는 척도를 번안, 타당화하여 국내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를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부정적 정체성을 통해 성소수자의 정체성을 측정하고 관련 변인과의 연구에 있어서도 부정적 측면에 치우쳐 있었으나, 긍정적 정체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국내에 도입됨으로써 성소수자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본 척도는 긍정적 정체성의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담 실제에서도 내담자의 강점을 발견하고 자원을 활용하는 등 여러 장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성소수자(LGB)의 공동체 의식과 긍정적 정체성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소수자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매개효과

        이성원,연규진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ense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community (PSOC-LGBT) and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LGB-PIM) on the well-being (MHC-SF) of lesbian, gay, and bisexual (LGB) Korean adults through minority stress coping strategies (i.e.,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CSI-S], problem-solving coping strategy [CSI-P], avoidance coping strategy [CSI-A]). Participants were 937 respondents, 18 years and older, who self-identified as LGB.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Mplus 7.0. PSOC-LGBT and LGB-PIM showed positive effects on CSI-S and CSI-P. Also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PSOC-LGBT on the MHC-SF of Korean LGB adults. The MHC-SF was predicted by CSI-P positively, and by CSI-A negatively. Additionally, the bootstrapping method found that PSOC-LGBT and LGB-PIM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MHC-SF through CSI-P.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과 성소수자(LGB) 긍정적 정체성이 소수자 스트레스 대처 전략(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문제해결 중심 대처, 회피 중심 대처)을 매개로 하여 정신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한 모형을 경험적으로 탐색하였다. 한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양성애자, 동성애자로 스스로 정체화한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937명 참여자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Mplus 7.0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측정모형의 모형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다.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인 경쟁모형을 설정하였고, 모형 비교 결과 전자를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과 성소수자(LGB) 긍정적 정체성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문제해결 중심 대처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은 정신적 웰빙에도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정신적 웰빙에는 문제해결 중심 대처가 정적인 영향을, 회피 중심 대처가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부트스트래핑 방법으로 간접효과를 검정한 결과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과 성소수자(LGB) 긍정적 정체성이 문제해결 중심 대처를 거쳐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정적인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Sexuality of Aruncus aethusifolius (Rosaceae)

        윤나래,서화정,오상훈 한국식물분류학회 2017 식물 분류학회지 Vol.47 No.3

        Aruncus L. is a small genus which is distributed in the circumpolar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including Europe, Asia, and North America. In Korea, there are two taxa, A. dioicus var. kamtschaticus and A. aethusifolius. Aruncus aethusifolius is a species endemic to Korea, occurring only on Jeju Island.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runcus is dioecy. However, there is some controversy regarding the sexuality of this genus, and little is known about A. aethusifolius. To characterize the sexuality of A. aethusifolius and to provide insight into the evolution of its sexual system, we investigated natural populations and herbarium specimens of A. aethusifoliu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pecies has carpellate, staminate, and bisexual flowers. Carpellate flowers are always borne on separate individuals, and staminate flowers are borne either on separate individuals or mixed with bisexual flowers on the same individuals. The sexuality of A. aethusifolius is defined as polygamo-dioecious. The polygamo-dioecious type is also found in A. dioicus var. dioicus and A. dioicus var. kamtschaticus and thus may be a general condition in Aruncus.

      • KCI등재

        A Love That Dare Not Speak Its Name : Exploring the Marginalized Status of Lesbians, Bisexual Women, and Trans-men in India

        Sutanuka BHATTACHARYA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14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20 No.3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put forth various kinds of violence and violation that lesbian, bisexual women and transmen (LBT persons) are subjected to in the predominant heteronormative and heterosexist socio-cultural context of India. Unlike their gender conforming and heterosexual counterparts, LBT persons are doubly marginalized because of their non-conformist gender behavior as well as their sexual preferences. Further, I have suggested that such violence and violation could be addressed through a collective struggle that goes beyond identity-based politics and embraces issue-based politics.

      • KCI등재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내담자의 상담 참여결정 요인에 대한 인식

        박수영,공춘옥,정윤경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factors considered by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in decision making for participation in counseling. To do this, we used the Concept Mapping method to confirm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visibly sexual minorities(LGB). First, 18 sexual minority(LGB) subjects were interviewed and the data of considered factors when they decided to participate in counseling were collected. Based on the results, we asked the participants to classify the similarity and assess the importance level with 43 statements. The conception of counseling participation decision factors of 18 sexual minority subjects was derived after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from a total of 18 classification data. The result suggested following two dimensions: 1) General competencies in counseling vs. Counseling competencies for sexual minority clients, and 2) Inner personality of counselor/counseling center vs. External personality of counselor/counseling center. The following five clusters were also suggested: 1) The basic attitude of counselor to the client, 2) Positive cognition of the counselor as an expert, 3) Counselo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exual minority, 4) Counselor/counseling center that is capable to counsel sexual minorities, and 5)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cessibility of counselor/counseling center.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evaluation, sexual minorities(LGB) considered ‘Counselo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exual minority’, ‘The basic attitude of counselor to the client’, ‘Positive cognition of the counselor as an expert’ as the most important cluster.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sexual minority clients counseling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참여결정에 있어서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내담자가 고려한 요인들에 대한 인식을 경험적으로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상담 경험이 있는 18명의 성소수자(LGB)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 상담에 참여하기로 결정할 때 고려했던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 도출된 43개의 고려 요인을 가지고 연구 참여자들에게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요청하였으며, 18명의 분류자료를 종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 및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성소수자 내담자의 상담 참여결정 요인에 대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한 상담 참여결정에 대한 고려 요인은 개념도 상에서 2차원 5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차원은 ‘일반적 상담 역량’ 대 ‘성소수자 상담 역량’ 차원과 ‘상담자/상담소의 내적 특성’ 대 ‘상담자/상담소의 외적 특성’ 차원으로 나타났으며, 범주는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기본적인 태도’, ‘전문가로서 상담자에 대한 긍정적 인식’, ‘성소수자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과 태도’, ‘성소수자 상담이 가능한 상담자/상담소’, ‘상담자/상담소의 물리적․심리적 접근성’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평정 결과, 상담 참여결정에 있어서 성소수자 내담자들은 ‘성소수자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과 태도’,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기본적인 태도’, ‘전문가로서 상담자에 대한 긍정적 인식’ 범주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성소수자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Gonadal Changes during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Ascidian Halocynthia aurantium (Pallas)

        Wang Jong Lee,김길중 한국발생생물학회 2021 발생과 생식 Vol.25 No.4

        The ascidian Halocynthia aurantium (sea peach), a marine invertebrate, belongs to the same genus of the phylum Chordata along with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sea pineapple), which is one of the model animals in the field of developmental biology.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H. aurantium are not yet known in detail. In order to find out the spawning period of H. aurantium, we investigated development of the gonads during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Testis and ovary were both in the bisexual gonads (ovotestes) of H. aurantium, which is a hermaphrodite like H. roretzi. In H. aurantium, the right gonad was longer and slightly larger than the left gonad throughout the year. In each gonad, the number of the testis gonoduct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ovary gonoducts. These features were similarly observed in H. roretzi. However, the number of the testis gonoducts and the ovary gonoducts in each gonad of H. aurantium was about half that of H. roretzi. The gonads of H. aurantium contracted during the winter and summer seasons. The gonads decreased to the smallest size around February, and then started to increase again in March. The gonads were most developed in September of the year.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spawning of H. aurantium begins around this period.

      • KCI등재

        한국 성소수자 건강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이혜민(Hye Min Lee),박주영(Joo Young Park),김승섭(Seung-Sup Kim) 한국보건사회학회 2014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6

        본 연구는 한국에서 진행된 성소수자 건강에 대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필요한 연구들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3년 12월 31일까지 출판된 성소수자의 건강 관련 연구들을 검색하였다. 검색엔진으로는 국외 웹 데이터베이스인 Medline, Embase와 국내 웹 데이터베이스인 Koreamed, RISS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성소수자를 가리키는 모든 용어를 포함하고자 했으며, 검색결과 총 2,131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그 중 다음의 4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논문은 총 123편이었다: (1)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 (2) 건강 관련 변수 또는 결과를 가지고 있는 연구, (3) 성소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한 연구, (4) 한국에서 진행된 연구. 이 논문들은 임상적 연구 98편과 사회적 건강 연구 25편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이 논문들의 인용문헌을 검토했을 때 기존의 검색어로 찾을 수 없었던 임상적 연구 3편, 사회적 건강 연구 2편을 추가하여 총 12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101편의 임상적 연구는 3가지 유형, 즉 사례보고(58편), 임상검사(22편), 그리고 임상수술(21편)으로 나뉘었다. 임상적 연구는 1980~1990년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후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인구집단 별로는 간성(Intersex)에 대한 연구가 74편(73.3%)으로 가장 많았고, 트랜스젠더 연구가 22편(21.8%)으로 뒤를 이었다. 27편의 사회적 건강 연구는 주제별로 13편이 정신건강, 4편이 성적행동, 2편이 폭력피해에 관한 연구였으며, 기타 주제의 논문이 8편이었다. 13편의 정신건강 연구 중 9편은 성소수자 정체성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었다. 27편의 사회적 건강에 대한 연구 중 26편(96.3%)이 2000년 이후에 출판되었고, 24편(88.9%)이 남성 동성애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편(74.1%)이 양적 연구였다. 한국 성소수자의 건강 연구 128편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에 비추어볼 때, 기존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임상적 연구의 경우 트랜스젠더의 성전환 수술이나 간성의 사례보고에, 사회적 건강 연구의 경우 동성애자 정체성과 관련한 스트레스에 제한적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만성질환을 비롯한 다른 건강결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둘째, 성소수자의 규모와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국가 단위의 연구가 부재했다. 셋째, 성소수자들의 의료접근성, 즉 의료보장과 관련된 정책적 연구나 의료서비스를 받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차별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넷째, 성소수자들이 겪을 수 있는 차별, 낙인 등의 부정적인 사회경험이 건강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Background Despite a growing global concern about health conditions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questioning, and intersex (LGBTQI) populations, the topic has not been systematically discussed in South Korea. Methods This research sought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public health studies on LGBTQI populations in South Korea which have been published until 2013. Online academic databases in English (Medline and Embase) and in Korean (Koreamed and RISS) were used to find those articles by applying a variety of keywords including all possible terms indicating LGBTQI population. We identified relevant article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inclusion criteria: (1) human subjects, (2) health related researches, (3) LGBTQI population as study participants, and (4) studies from South Korea. Results Among 2,131 articles from the online databases, 123 met the four inclusion criteria. After examining the references of the 123 articles, we added 5 more articles. We analyzed 101 clinical studies and 27 social health studies (non-clinical research) in total. Clinical researches include case reports (N=58, 57.4%), clinical test (N=22, 21.8%), and surgery (N=21, 20.8%). The majority of clinical articles were about intersex (N=74, 73.3%) and transgender (N=22, 21.8%). Among the 27 social health studies, 13 were about mental health, 4 about sexual behaviors such as condom use, 2 about experience of violence, and 8 about other topics. Most of social health studies (N=25, 92.6%) were about gay and lesbia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critical knowledge gaps of the previous health studies among LGBTQI population in South Korea. First, only a few health conditions have been explored in the previous research. Most of clinical studies were about case reports of intersex or sex reassignment surgeries for transgender people, whereas social health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stress related to homosexual identity. Few articles dealt with other relevant health conditions such as chronic diseases among LGBTQI populations. Second, no national-level survey on LGBTQI populations has been conducted in South Korea, which makes it difficult to have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ir health status. Third, we could not find any previous research about healthcare accessibility of the LGBTQI populations. Finally, few researches were found related to the health impact of negative social experiences (e.g. discrimination and stigmatization) among LGBTQI populations in South Korea.

      • KCI등재

        한국판 동성애자/양성애자 다차원 정체성 척도 타당화

        이소정,김은하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동성애자와 양성애자의 정체성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Mohr와 Kendra(2011)가 개발한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LGBIS)을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로 번역한 LGBIS를 201명의 동성애자와 양성애자에게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한국판 LGBIS는 8개 하위요인(26문항)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8개 하위요인은 원척도와 동일하게 수용 걱정, 은닉 동기, 정체성 불확신, 내면화 된 동성애부정, 고된 과정, 정체성 우월, 정체성 긍정, 정체성 중심이었다. 또한, 한국판 LGBIS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은닉 동기’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의 내적합치도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210명의 동성애자와 양성애자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8요인 모형(26문항)이 양호한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판 LGBIS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각 하위요인과 정체성 및 심리적 기능을 측정하는 척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LGBIS는 총 26문항, 8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로, 국내 동성애자와 양성자에게 사용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