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ig4 감사인과 감사품질: 감사효율성의 관점에서

        김현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5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at auditor type have an effect on audit quality measured by audit efficiency. To increase the audit efficiency, auditors evaluate audit risk through risk assessment procedure and then determine nature, timing and range of substantive procedure based on evaluated audit risk. Because big4 auditors have abundant human resources and excellent audit technique compared to non-big4 auditors, this study is expecting the big4 auditors are less likely to increase audit efficiency compared to non-big4 auditors (Krishnan, 2003).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 audit time that injected into additional audit process injecting into dependent variable and proportion of audit time, a type of auditor that injected into risk assessment procedure injecting into explanation variables. [Findings] This study conduct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 audit time that injected into additional audit process injecting into dependent variable and proportion of audit time, a type of auditor that injected into risk assessment procedure injecting into explanation variables. [Implications] Due to the introduction of standard audit time system and a 52-hour workweek, an interest about audit efficiency has been increased in people. In this situation, I think the study is proper and timely.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감사인 유형이 감사효율성으로 측정한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검증하였다. 감사인은 위험평가절차를 통해 감사위험을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실증절차의성격과 시기 및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감사효율성을 제고한다. 본 연구는 Big4 감사인은Non-big4 감사인에 비해 풍부한 인적자원과 우수한 감사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Big4 감사인이 Non-big4 감사인에 비해 감사효율성을 제고할 유인이 더 낮을 것으로기대한다. [연구방법] 추가감사절차에 투입된 감사시간을 종속변수로 투입하고 위험평가절차에 투입된 감사시간 비중과 감사인 유형을 주요 검증변수로 투입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다. [연구결과] 위험평가절차에 투입된 감사시간 비중과 추가감사절차에 투입된 감사시간은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인은 위험평가절차 수행한 다음 위험평가결과를 근거로 추가감사를 수행함으로써 감사효율성을 제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Big4 감사인이 Non-big4 감사인에 비해 감사효율성을 제고할 유인이 더 낮은 것으로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표준감사시간의 도입과 주52시간 근로제의 도입이 맞물린 상황에서 어느 때보다 감사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사인 유형에 따라 감사효율성이 차별적인지를 검증하는 것은 시기적절하다 판단된다.

      • KCI등재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과 기업신용등급-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박종일,남혜정,최성호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3

        본 논문은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Big 4 감사인에게 감사받은 기업들의 신용등급이 더 높은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Big 4 감사인에 대한 감사품질의 차이가 비상장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비상장시장에서 차별적 감사수요에 따라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기업들이 회계정보의 질이 개선된다면 이들 기업의 이익과 신용등급간의 양(+)의 관계가 더 강화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상장기업과 달리 자본시장의 압력이 부재하고 시장여건이 상이한 비상장기업을 중심으로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차별성이 있는가를 기업의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에 대한 시장의 평가(market's perception)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국외의 경우는 감사인 규모가 클수록 감사품질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Teoh and Wong 1993 ; Becker et al. 1998 ; Krishnan 2003 ; Behn et al. 2008 등).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감사품질의 대용치로 감사인의 규모를 이용한 연구결과들이 혼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와는 달리 본 연구는 시장여건이 다르고 자본시장의 압력이 부재한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Big 4 감사인의 차별적 감사품질을 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 관점에서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감사받은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대표본인 49,551개 기업/연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Big 4 감사인에 의해 감사받은 비상장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신용등급이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Big 4 감사인이 감사한 비상장기업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이익과 신용등급간의 양(+)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Big 4 감사인으로부터 감사받은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Big 4 감사인의 높은 감사품질에 따라 재무제표의 신뢰성이 향상될 것으로 신용평가기관이 평가하는 것 외에도 신용평가기관은 Big 4 감사인이 감사한 재무제표에서 산출된 이익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이익의 질이 더 높다고 평가한 후 신용등급을 추가로 더 높인다는 발견이다. 즉 신용평가기관은 Big 4 감사인 자체의 평판에 따른 신호 정보뿐만 아니라 이들 고품질의 감사인이 감사하면 회계정보의 질을 서로 연계시켜 평가한 후 신용등급에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추가분석에서 감사반의 포함여부에 상관없이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OLS 뿐만 아니라 Ordered Probit 회귀분석이나 횡단면-시계열적 종속성의 문제를 조정한 Newey and West(1987)의 결과들에서도 강건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기업평가에 있어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신용평가기관은 상장기업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공시환경이 열악하여 시장내 정보불균형이 높은 비상장기업이라고 하더라도 차별적 감사수요에 따라 고품질의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기업들은 양질의 감사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으로 평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비상장시장에서 부채차입비용을 감소시키려는 유인이 있는 비상장기업들은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 보다 높은 감사서비스를 제공하는 Big 4 감사인을 더 선호하는 차별적 감사수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Big 4 auditors on credit rating and whether a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credit ratings increases in non-listed firms. Prior studies suggest that large size of audit firms tend to provide high quality of audit service (Teoh and Wong 1993 ; Becker et al. 1998 ; Krishnan 2003 ; Behn et al. 2008). However, evidence on the effect of Big audit firms in Korea is still mixed and most results come from listed firms. For non-listed firms, market demand is relatively low and accounting environment is also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listed firms. Therefore, market perception to audit quality of Big 4 auditors than non-Big 4 auditors will be different. In addition, costs and benefits from hiring Big 4 audit firms will be vary depending on a firm's incentives. Given the different conditions of non-listed firms compared to listed firms, a question on the effect of Big 4 auditors in non-listed firms is a testable empirical issue. And, if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are more likely to provide a high quality of financial information and credit companies believe that creditability of these firm's financial information is better than others, a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and credit ratings of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will be reinforced. This paper empirically explores these issues. Using a large samples 49,551 firm-year observations for the period of year 2005 to 2009 in non-listed firms, we test the effect of Big 4 auditors in terms of credit ratings. To do this, we use credit ratings from KIS-Value Ⅲ. Initially, 1 point represents firms with the best credit rank and 10 point represents firms with the worst credit rank. However, for the purpose of interpretation, we remark credit rank oppositely. That is, 1 point represents firms with the worst credit rank and 10 point represents firms with the best credit rank. Test variable in this paper is a Big 4 auditor dummy and a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Big 4 auditors dummy and earnings. Other control variables such as return on assets, performance-adjusted discretionary accruals, size, leverage, change in cash flow, loss dummy, a fiscal year dummy, and industry and year's dummy are included in the credit ratings model. This paper find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irms received audit service from Big 4 auditors are more likely to have a good credit rating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at affect credit ratings, Specifically, a coefficient on BIG4 is 0.282 (t=18.529) in OLS regression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at for non-listed firms, the effect of Big 4 auditors is significant and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are more likely to have a good credit ratings. Seco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credit ratings is pronounced for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than that of firms audited from Other auditors. This finding implies that credita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of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is considered as a positive signal to credit ratings. In addition, credit companies evaluate that earnings quality of these firms is better than that of firms audited from non-Big auditors. Our results are still robust in various sensitivity analyses such as Ordered Probit analysis and Newey and West (1987) methods. In sum,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even non-listed firms that beared relatively high audit fee, the effect of Big 4 auditors still exists and they enjoy a good credit ratings as a benefit from Big 4 auditors. So differential audit demand is working for non-listed firms. This effect may lead low cost of debt, because prior studies suggest that firms with good credit ratings are more likely to have low cost of debt. This paper has some contributions to related research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has various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auditing services from Big 4 auditors provide a good signal in terms of credibility of financial informat...

      • KCI등재

        감사인 유형에 따른 직급별 감사투입비중과 감사위험

        문태형(Tae Hyoung, Mun),권혁대(Hyuk Dae, Kw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8 국제회계연구 Vol.0 No.78

        2014년과 2015년의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회계감사보고서의 각 직급별 감사투입비중을 사용하여 감사위험의 결정변수에 대해 Big 4와 Non-Big 4의 회계법인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각 직급별로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Big 4의 회계법인에서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전산감사등의 전문가를 제외한 모든 직급에 대하여 모형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지만 Non-Big 4에 있어서는 업무수행이사의 감사투입비중 (PBRATIO)와 등록회계사의 감사투입비중(RCRATIO)에 대해서만 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Big4회계법인과 Non-Big4회계법인간에 직급별 감사투입비중이 감사위험의 영향에 있어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Non-Big 4의 경우 인력자원이 풍부하지 않기 때문에 품질관리검토자의 경우 최소한의 품질관리검토가 수행하게 되며 수습공인회계사가 적어 등록회계사가 직접 일선에 투입되고, 자산규모가 작은 기업을 감사하기 때문에 전산감사와 같은 업무는 많이 없을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2014년 외감법 개정 이후의 5가지 각 직급별 자료를 사용하여 각 직급별 감사투입비중을 가지고 Big 4와 Non-Big 4 회계법인간의 차이를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차이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둔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position-specific differences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Big 4 accounting firms and Non-Big 4 accounting firms, in relation to a determinant of the position-specific audit hours on the audit reports published by DART System in FY2014 and FY2015. Although Big 4 accounting firms showed a significant result like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a model about all positions except system audit experts, Non-Big 4 accounting firms showed a significant model only in director in charge" audit hours(PBRATIO) and registered accountants’ audit hours(RCRATIO). The hypothesis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osition-specific differences on audit risk between Big 4 and Non-Big 4 accounting firms have been found to have a difference. In the case of Non-Big 4, the quality control review is essential for quality control reviewers because it is not abundant in human resources. Due to a small number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registered accountants are mainly dispatched. Since they normally audit the companies with small assets, there seems to have not system audit task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risk and audit hours, it is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udit hours according to the five auditor categories presented in the 2014 External Audit Law. Secon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udit hours of registered accountants(senior) a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position.

      • KCI등재

        발생액의 질로 측정한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

        조태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7 경영교육연구 Vol.32 No.1

        [Purpose]This paper examines whether Big 4 auditors affect the accruals quality of audit clients. Recent studies reported the biggest industry market share auditors provide lower level audit quality than the other auditors as a result of fear of replacement and loss of industry market share. This paper extends our prior studies to Big 4 auditors which are the group of the biggest or potentially biggest industry market share auditors. [Methodology]Using accruals quality based on Dechow and Dichev (2002) as a proxy for audit quality, I performed multivariate analysis for the sample of 5,632 firm-year observations of firms listed at Korea Stock Exchange for the 1998-2013 time period. [Findings]Multivariate results suggest that Big 4 auditors also provide lower level of audit quality in terms of accruals quality than the other auditors, as a result of price competition instead of quality competition in Korea. [Implications]Limited number of Big 4 auditors’ engagement offices deal with entire industries, and accordingly Big 4 auditors do not have sufficiently differentiating industry expertises. I believe high level of concentration of Big 4 auditors at the office level led to fee cutting competition and lower audit quality of Big 4 auditors in Korea in the past 16 years. My findings explain why audit quality of Big 4 auditors in Korea from prior studies were not higher unlike in the Unites States, and suggest concern on independence of Big 4 auditors in the current environment in Korea. [연구목적]본 연구는 국내에서 산업별 시장점유 1위 감사인이 시장점유의 상실을 우려하여 경영자의 이익조정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하고 낮은 감사품질을 감내한다는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산업별 시장점유 1위 감사인 그룹인 Big 4 감사인이 과점공급자간의 과도한 가격경쟁의 결과로 낮은 감사품질을 감내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다른 감사인과 차별적인지를 분석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Dechow and Dichev(2002)모형에 의한 발생액의 현금전환 정도 추정잔차의 분포를 발생액의 질로 측정하고 1998년부터 2013년까지 16년간 Big 4 감사인의 주력감사시장인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Big 4 감사인 여부가 피감사기업의 발생액의 질에 의하여 측정한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은 감사인간의 비품질경쟁으로 인하여 다른 감사인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Big 4 감사인은 공급자의 특성으로 보면 각각 1개의 오피스를 두고 4개의 오피스가 국내에서 모든 산업을 감사하므로 산업전문감사인으로서 차별성을 갖기 어렵다. 감사인의 법적 책임이 덜 엄격한 여건에서 Big 4 감사인 간에 감사시장 점유를 위한 비품질 가격경쟁이 발생하여 감사품질의 하락이 초래된다. Big 4 감사인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과다한 가격경쟁을 방지할 대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비상장기업에서 인지된 감사품질이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 Big 4 감사인 선임의 정보효과와 보증효과를 중심으로

        박종일 ( Jong Il Park ),남혜정 ( Hye Jeong Nam ) 한국회계학회 2014 會計學硏究 Vol.39 No.6

        본 논문은 비상장기업을 중심으로 Big 4 감사인의 선임이 기업의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Big 4 감사인의 인지된 감사품질과 부채조달비용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어 Mansi et al.(2004)의 방법에 따라 Big 4 감사인의 정보효과와 보증효과를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Big 4 감사인의 선임에 따라 이익과 부채조달비용 간의음(-)의 관계가 더 강화되는지를 정보효과와 보증효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연구는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40,362개 기업/연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ig 4 감사인의 선임 효과를 정보효과 관점에서 살펴보면,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비상장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기업신용등급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채조달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정 변수들뿐만 아니라 신용등급(또는 직교된 신용등급)까지 통제한 후에도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비상장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부채조달비용이 더 낮게 나타났다. 특히, 연속변수보다 소수의 순위등급변수로 측정된 부채조달비용의 결과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은 채권투자자에게 보증효과뿐만 아니라 정보효과도더불어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상장기업들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이익과 부채조달비용 간에 음(-)의 관계가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상장기업들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에 따른 채권투자자들의 긍정적 반응은 감사의 총효과 중 주로 딥포켓(deep pocket)으로서의 보증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상장기업들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이 채권투자자들에게 감사의 두 가지 효과인 보증효과와 정보효과 모두를 제공한다는 실증적 증거를 보여주고 있어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Big 4 감사인의 선임에 따른 차별적 감사서비스의 제공이 신뢰할만한 재무정보를 산출하여 이익 정보와 부채조달비용과의 음(-)의 관계를 더 강화시키고 있다는 결과 역시 감사품질에 관심 있는 학계뿐만 아니라, 실무계 및 규제기관에게도 유익한 시사점을 더불어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non-listed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experience a lower cost of debt than non-listed firms audited from non-Big 4 auditors. This paper further examines whether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cost of debt is reinforced when the firm receives the audit from Big 4 auditors or not. To do this, we adopt Mansi et al. (2004)``s methodology to discompose the effect of perceived audit quality into information and insurance effects on the cost of debt. Recently, researches related to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cost of capital have progressed and provide a interesting evidence to related works. However, most studies related to the effect of audit on cost of equity still focus on listed companies and test a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ttributes and cost of equity, and audit quality (Francis et al. 2011; Minnis 2011; Allee and Yohn 2009). Even though a percentage of non-listed firms on market is relatively low, a number of non-listed firms has increased steadily over time and many policies related to financial supporting are provided for them. In addition, empirical findings on related to non-listed firms suggest that characteristics of reported earnings and governance structures of non-listed firms are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listed-firms. For example, Ball and Shivakumar (2005) find that non-listed firms are more likely to report less conservative earnings than listed-firms and earnings management from non-listed firms is more pervasive. Given the importance of non-listed firms in economic market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eported earnings, it is somewhat surprising that there is a little study that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using non-listed firms. This study try to fill the gap.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using 40,362 non-listed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04 to 2009. This paper basically assume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and tests this relationship in terms of both information effect and insurance effect using Mansi et al. (2004)``s methodology.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cost of debt depending on the audit quality by appling both information and insurance effect from Mansi et al,(2004). Since our sample is based on non-listed firms which are not listed in the security market, cost of debt rather than cost of equity may be a more important factor in funding from debt-holders (Bharath et al. 2008; Jensen and Mecking 1976). We measure cost of debt as both loan interest rate and loan yield spread. The loan yield spread is calculated as deducting a 3-year treasury bond rate from loan interest rate. For a proxy for audit quality, we use a dummy variable as one if a firm received the audit from Big 4 auditors, otherwise zero.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 First, this paper identifies that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higher credit rating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at affect the level of credit ratings. This result implies that auditing from Big 4 auditors provides information effect in non-listed firms. Second, this paper finds that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lower cost of debt than non-Big 4 auditors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cost of debt. We further identifies this relationship still holds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formation effect of Big 4 auditors choice. That is, firms are evaluated favorably from debt-holders when they are audited by Big 4 auditors even though they have to pay more audit fees. This result suggests that auditing from Big 4 auditors provides insurance effects to debt-holders. Taking together, big 4 auditors choice in non-listed firms is a good strategy to reduce the level of cost of debt and provides both insurance and information effects to debt-holders. Additionally, when we test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oefficients of Big 4 variable from insurance effect model and from both insurance and information effect model, the result from a fractional ranks variable is only significant.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at of Mansi et al. (2004). Thir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cost of debt is more profound in firms with Big 4 auditors. This result implies that when a firm receives the audit from Big 4 auditors, debt-holders in debt market perceive it as a good signal in evaluating a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and then leads to a lower cost of debt. These results are still hold even after appling a fractional ranks variable rather than a continuous variable as a dependent variable. In sum, the results of this paper indicate that a differential audit demand still exists in non-listed firms, and a audit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cost of debt for non-listed firms.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better understand about the decision on auditor selection of non-listed firms. The findings in this study have various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auditing from Big 4 auditors is a effective strategy in funding with lower cost of deb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cost of debt in non-listed firms varies depending on audit quality. This result implies that debt-holders in debt market perceives the firm audited from Big 4 auditor more favorable. And non-listed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 are rewarded for reporting high quality earnings with a lower cost of debt from debt-holders, which means that debt-holders evaluate firms based on earnings quality and audit quality as well. Therefore, these findings are very useful in understanding consequence of auditor choice and provide a lot of important implications to regulators, investors and creditors who are interested in non-listed firms.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is area can also apply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for the related studies.

      • KCI등재

        Big4 감사인의 특성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 피감사 기업의 상장시장 차이를 중심으로

        황상연,김상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7 회계정보연구 Vol.35 No.1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g4 auditor on the auditing quality using audit quality indicators,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sted market(securities market and KOSDAQ market). Audit quality indicators used were the auditor burden of the directors, the proportion of directors versus CPAs and the career duration of CPAs,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discretionary accruals was used as a substitute for audit qua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udit quality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workload of Big4 auditors increased in the KOSDAQ market. Second, audit quality improved as the proportion of Big4 auditors’ directors compared to CPAs increased in KOSDAQ market. Finally, audit quality improved as the proportion of CPA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CPAs increased in the KOSDAQ market. The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ce in the listed market aff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stomer's importance and the difference in the manpower and the system to be invested in the audit.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auditor's characteristics affect the audit qualit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isted market. 본 연구에서는 감사품질지표를 활용하여 Big4 감사인의 특성이 감사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상장시장(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의 차이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피감사인의 특성을 자산규모, 재무비율, 경영성과 등으로 구분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자산규모, 재무비율, 경영성과 및 상장조건 등의 차이가 포괄적으로 포함된 요소인 상장시장의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감사품질지표로는 사원의 감사 부담, 공인회계사 대비 사원의 비중, 공인회계사의 경력기간을 사용하였고, 감사품질의 대용치로는 재량적 발생액의 절댓값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스닥시장에서 Big4 감사인의 사원의 업무 부담이 증가할수록 감사품질이 유의미하게 하락하였다. 둘째, 코스닥시장에서Big4 감사인의 공인회계사 대비 사원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감사품질이 향상 되었다. 마지막으로 코스닥시장에서Big4 감사인의 전체 공인회계사 대비10년 이상 경력의 공인회계사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감사품질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감사 실무자인 사원을 제외한 소속공인회계사의 업무 부담에 대한 추가 분석에서는 유가증권 시장에서Big4 감사인의 소속공인회계사 업무 부담의 증가가 감사품질을 하락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의 규모, 사업의 복잡성, 재무비율 및 상장요건 등에서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장시장의 차이가 고객의 중요성, 감사에 투입되는 인력과 시스템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감사인의 특성이 상장시장에 따라 감사품질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피감사 기업의 상장시장의 차이를 중심으로 IOSCO(2009)의 투입 지표를 독립변수로 활용하고 재량적 발생액의 절댓값을 종속변수로 활용하여 감사 품질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가지고 있다. 피감사 기업이 상장시장에 따라서 우수한 품질의 감사 서비스를받기 위하여 Big4 감사인 중에서 어떠한 특성을 가진 Big4 감사인을 선택해야 하는지 피감사기업, 이해관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정책 입안자에게 코스닥시장의 감사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효과 : 유가증권상장과 코스닥상장기업에 대한 실증적 증거

        박종일,남혜정 韓國公認會計士會 2013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Big 4 감사인의 선임이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유가증권상장기업(KOSPI)과 코스닥상장기업(KOSDAQ)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장기업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과 부채조달비용 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가 관찰된다면 이와 같은 관계가 채권자들에게 Big 4 감사인의 선임이 보증효과(insurance effect)에 따른 결과인지, 또는 정보효과(information effect)에 따른 결과인지, 아니면 두 가지 모두에 따른 총효과(=보증효과+정보효과)에 기인된 것인지를 Mansi et al.(2004)의 방법에 따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Big 4 감사인 여부는 선행연구의 방법에 따라 Big 4 회계법인과의 제휴여부로 측정하였고, 부채조달비용은 부채차입이자율 스프레드로 측정하였다. 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으로 분석에 이용가능 했던 최종표본 10,479개 기업/연 자료를, 또한 KOSPI 표본은 5,036개 기업/연 자료이고, KOSDAQ 표본은 5,443개 기업/연 자료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 따르면. 첫째, 전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경우 부채조달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일정변수뿐만 아니라, 신용등급(또는 직교된 신용등급)까지 통제한 후에도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상장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1% 수준에서 유의하게 부채조달비용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ansi et al.(2004)의 방법에 따라 Big 4 감사인의 선임 효과를 보증효과와 정보효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Big 4 감사인의 선임은 채권자에게 주로 보증효과에 기초해 부채조달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채권자들에게는 Big 4 감사인이 딥 포켓(deep pocket)이라는 것에 기초한 결과로 보인다. 둘째, 전체 상장기업을 다시 KOPSI와 KOSDAQ 표본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KOSPI 표본에서는 Big 4 감사인의 선임과 부채조달비용 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달리 KOSDAQ 표본에서는 Big 4 감사인의 선임과 부채조달비용 간에 1% 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즉 앞서 전체 상장기업의 경우 Big 4 감사인과 부채조달비용 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와 Big 4 감사인의 선임이 보증효과를 제공한다는 결과는 주로 KOSPI 표본보다는 KOSDAQ 표본에 기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결과는 국내 채권시장의 채권자들은 KOSPI와 KOSDAQ 기업들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에 따른 인지된 감사품질 정보에 대해 차별적으로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KOSDAQ에 속한 상장기업들이 부채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시 Big 4 감사인을 선임하면 채권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은 주로 Big 4 감사인의 보증효과에 대한 인지(perception)에 기초한 것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KOSPI 보다 기업지배구조가 상대적으로 열악하고, 재무정보의 신뢰성이 낮은 KOSDAQ에 속한 상장기업에서 감사품질이 높은 외부감사인의 선임은 보다 중요한 외부지배구조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채권자들이 평가한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학계의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할 뿐만 아니라, 감사품질에 관심이 있는 실무계 및 정책당국에게도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cost of debt in listed firm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between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on associations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driving factors of audit quality using Mansi et al. (2004)’s methodology in determining whether the effect comes from insurance effect or information effect, or both. This approach may be differentiated our study from previous study, which only focus on audit quality. The effectiveness of the auditor that reduces information asymmetries is one of the function of audit quality.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Big 4 auditors in the U.S. provide high quality audits to improve the firm’s brand reputation and to avoid costly litigation. Khurana and Raman (2004) shows that clients of Big 4 auditors have significantly lower ex ante cost of equity capital compared to clients of non-Big 4 auditors in the US but not in other Anglo-American countries. They argue that the perception of Big 4 performing higher quality audits than non-Big 4 is a function of the litigation environment. Their conclusion is that the threat of litigation is a stronger driver than reputation behind perceived audit quality, proxied by cost of capital. This conclusion implies that debt-holders primarily perceive audit quality in terms of the Big 4 auditor’s “deep pockets”. Also, Pitman and Fortin (2004) show that clients of Big 4 auditors have a lower cost of interest immediately after an IPO compared to clients of non-Big 4 auditors. In sum, it is general that big 4 auditors have the financial resources to better fulfill their monitoring, information and insurance roles than non-Big 4 auditors. In the context of this study this better fulfillment of these roles is expected to be reflected in a reduced cost of debt. In other words, to the extent that debt-holders perceive the Big 4 audit as providing a higher quality audits and more credible financial statement, firms audited by the Big 4 (relative to those audited by non-Big 4 auditors) are expected, ceteris paribus, to have a lower cost of debt.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Big 4 auditors are perceived as providing higher quality audits relative to non-Big 4 auditors in the debt market in Korea. To do this, we use 10,479 observations from 2001 to 2011 for 5,036 firm-year observations in KOSPI and for 5,443 firm-year observations in KOSDAQ. As a main variable, we measure Big4 audit firm dummy variable as proxy for audit quality. And we use the yield spread of interest rates as proxy for cost of debt. According to our analyses, we find that the first, firms audited by the Big 4 audit firm are more likely to associated with low cost of debt after controlling for control variables and corporate credit ratings. And we identify that when audit quality is divided into insurance and information effect using Mansi et al. (2004)’s methodology, this result comes from insurance effect rather than information effect. This implies that debt-holders consider Big 4 audit firm as deep pocket. The second, when we divide samples into KOSPI and KOSDAQ,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is not significant for KOSPI while the relationship is significant for KOSDAQ.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mainly comes from KOSDAQ listed firms. The finding implies that hiring Big 4 auditors in KOSDAQ listed firms is perceived as sound governance mechanism to debt-holders and improves credi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contributions in several ways. The first, unfortunately, the research about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is rare in Korea. We believe that this work provides additional evidences about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cost of debt in Korea. The second, our study suggests that perception to insurance of Big 4 audit firms drive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in KOSDAQ.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Big 4 auditors provide high-quality audits, which improves financial reporting quality for KOSDAQ listed firms with poor governance compared to KOSPI listed firms. The third, this paper provides the evidence about driving factors of audit quality using Mansi et al. (2004) and find that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is mainly caused by insurance effect rather than information effect. This result is not consistent with Mansi et al. (2004)’s findings that audit quality comes from both insurance and information effect. This inconsistency provides implications to related study in Korea. Finally, the results present the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at Big 4 auditor has an important role in alleviating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companies and external interested par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debt-holders in Korea tend to differently react to Big 4 audit firm and perceived audit quality. In sum, the results of this paper indicate that a differential audit demand still exists in listed firms, and a audit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s a level of cost of debt for KOSDAQ listed firms.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better understand about the decision on auditor selection of listed firms in Korea. The findings in this study have various implicat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debt-holders in debt market perceive the firm audited from Big 4 auditor more favorable. Specifically, we show that the effect of audit quality attributes on cost of debt of client firms is limited to KOSDAQ listed firms. This suggests that the debt market in Korea perceives audit quality to be more important for smaller listed firms than for bigger ones. Therefore, these findings are very useful and provide a lot of important implications to academic as well as practitioner, investors, creditors, and regul

      • KCI등재

        회계감사보수의 Big4 할증 현상에 대한 재검토

        최기호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4

        'Big4 premium' means that Big4 auditor earns higher fee than Non Big4 auditor. Many papers have shown empirical evidence on 'Big4 premium' in various audit market, such as U.S., U.K., Australia, and New Zealand. But some papers proposed that 'Big4 premium' was only false image made by self selection bias(Chaney et al. 2004; Ireland & Lennox, 2002). Ireland & Lennox(2002) reviewed on 'Big4 premium' of U.K. listed firms after controlling self-selection bias. Chaney et al. (2004) conducted similar research on private firms in U.K. I conduct research on 'Big4 premium' in Korean audit market. I collect 9,428 firm-years as sample and use the Heckman's two stage approach to control self selection bias. At first, 'Big4 premium' is obvious in my sample before controlling self-selection bias. But after controlling self selection bias, 'Big4 premium' disappears. I observed the same results in listed firm sample and private firm sample. This result means that the Big4 premium in audit fee may be only illusion by self selection bias. Also, this result means that the audit quality of Non Big4 auditors may not be different to that of Big4 auditor. But, it is possible that unobservable non economic factors (eg. human relationship) affect the selection of Non Big4 auditor. ‘Big4 할증’은 미국의 Big4 회계법인이나 이들 법인과 제휴한 회계감사인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회계감사보수를 받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알려져 있는 ‘Big4 할증’이 자기선택편의에 따라 발생한 착시현상일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고 우리나라 회계감사시장에서 자기선택편의를 제거한 후에도 ‘Big4 할증’현상이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기선택편의를 통제하기 위하여 Heckman (1979)의 2단계법을 사용하였으며 2000년부터 2007년까지 9,428 기업․연도를 표본으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자기선택편의를 통제하지 않은 경우에는 명백하게 ‘Big4 할증’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선택편의를 통제한 결과, ‘Big4 할증’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당연히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했던 감사보수에서의 ‘Big4 할증’이 자기선택편의에 의하여 Big4회계감사인의 회계감사보수가 과대평가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며 실제로는 회계감사보수에서 ‘Big4할증’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회계감사시장에도 당연히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던 ‘Big4 할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기업들이 자신의 특성에 따라 스스로 회계감사인을 선택하는 연구상황에서는 언제나 자기선택편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 회계감사연구들에서 자기선택편의는 무시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자기선택편의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공헌이 있다.

      • KCI등재

        비상장기업에서 감사품질이 이익의 구성요소와 부채조달비용간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

        박종일,전규안,남혜정 韓國公認會計士會 201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4 No.1

        This paper investigates a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components and cost of debt depending on audit quality. Specifically, we examine whether a firm's cost of debt decreases when cash flow from operations (total accruals) of the firm increases depending on audit quality. We decompose earnings into cash flows from operations and total accruals, because unlike discretionary accruals, cash flows from operations and total accruals are easier to observe and less susceptible to audit quality. In addition, measurement error for these components is relatively low. We regress cost of debt on the two components of earnings, a dummy variable that captures audit quality (Big 4 auditors vs. other auditors), and the interaction of the audit quality with cash flows from operations and total accruals. High-quality auditors are more likely to deter or detect questionable accounting practices and report material errors and irregularities than are low-quality auditors. Because high-quality auditors have the expertise, resources, and incentive to separate the information component from noise (Krishnan 2003), they can enhance the informativeness of cash flows from operation and accruals by earnings components. Therefore, this paper expects that firms with high quality audit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lower cost of debt and report a high quality of earnings components. We focus on non-listed companies to test a relative information of earnings components on cost of debt. Given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cost of debt (Pittman and Fortin 2004; Fortin and Pittman 2007; Jiang 2008), this paper test whether a cash flows from operations and total accruals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st of debt or not. Also, consistent with prior research (e.g., Khurana and Raman 2004; Pittman and Fortin 2004; Fortin and Pittman 2007), the enhanced assurance on financial statements provided by Big 4 auditors tends to leads a tangible benefit for the client in the form of a lower cost of debt. In other words, to the extent that debt investors perceive the Big 4 auditors as providing a higher quality audit and more accurate and credible financial statement, firms audited by the Big 4 auditors (relative to those audited by other auditors) are expected, ceteris paribus, to have a lower cost of debt. We utilize the auditee-specific cost of debt as a proxy for financial reporting credibility. Most studies related to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cost of equity focus on listed companies and test a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ttributes and cost of equity, and audit quality. However, a portion of non-listed companies has increased over time and earnings characteristics of non-listed companies are different. Given the importance of non-listed companies in economic market, it is somewhat surprising that there is a little study that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components and cost of debt using non-listed companies. This study try to fill the gap. First, this paper tests a hypothesis that firms received auditing from Big 4 auditor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lower cost of debt. In addition, this paper separately examines the effect of earnings components and cost of debt: cash flows from operations and total accruals. To do this, this paper 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components and cost of debt depending on audit quality using a sample of 35,579 firm-year in non-listed companies from 2005 to 2009. Our sample is non-listed companies which are not listed in security market. Therefore, cost of debt rather than cost of equity is a more important factor in funding from debt-holders. We measure cost of debt as yield spread (CODYS), and use both continuous variable and fractional ranks variable of CODYS. For audit quality measurement, we use a dummy variable as one if a firm received the audit from Big 4 auditors, otherwise zero.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 First, this paper find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 cash flows from operations and cost of debt, and total accruals and cost of debt. This paper also finds that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lower cost of debt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at affect the level of cost of debt. That is, firms are evaluated favorably from debt-holders when they are audited by Big 4 auditors even though they have to pay more audit fees. Seco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components and cost of debt is stronger in firms with Big 4 auditors. This result implies that when a firm receives the audit from Big 4 auditors, debt-holders in debt market perceive it as a good signal in evaluating a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and then lead to a lower cost of debt. These results are still hold even after appling a fractional ranks variable rather than a continuous variabl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also t-statistics from Clustering test and Newey and West (1987) are significant, suggesting that our results are robust. In sum, the results of this paper indicate that a differential audit demand still exists in non-listed companies, and a audit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components and cost of debt.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better understand about the decision on auditor selection of non-listed companies and the role of audit service in debt market. The findings in this study have various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components and cost of debt varies depending on audit quality. This result implies that investor in debt market perceives the firm audited from Big 4 auditor more favorable. And non-listed companies audited from Big 4 auditor is rewards as a lower cost of debt from debt-holders which means that debt-holders evaluate firms based on earnings quality and audit quality as well.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Big auditors enhancing the accurate and credibility 본 논문은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익의 구성을 영업현금흐름(CFO)과 총발생액(TA)으로 구분한 후 이들 정보가 타인자본비용과의 관계에서 감사품질에 따라 정보가치의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감사품질이 타인자본비용과 음(-)의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기업성과인 이익이 타인자본비용과 음(-)의 관계가 있으므로(Pittman and Fortin 2004; Fortin and Pittman 2007; Jiang 2008 등) 이익의 구성요소인 CFO와 TA 역시 감사품질이 높을수록 타인자본비용과 음(-)의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즉, 본 연구는 CFO와 TA 정보 모두 타인자본비용과 음(-)의 관계가 있고, 또한 감사품질도 타인자본비용과 음(-)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한편, CFO 및 TA 정보와 타인자본비용과의 음(-)의 관계는 감사품질이 높은 감사인이 감사할수록 그렇지 않은 감사인의 경우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강화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즉, 감사품질이 높은 감사인이 감사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CFO나 TA 정보의 신뢰성이 더 향상될 것으로 채권투자자들이 인지한다면 이들의 요구수익률은 추가로 낮아질 수 있으므로 기업의 부채조달비용은 감소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35,579개 기업/연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결과에 따르면 첫째, 이익의 구성요소를 CFO와 TA로 분해한 경우 각 변수 모두 타인자본비용과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Big 4 감사인이 감사한 기업이면 그렇지 않은 감사인의 경우보다 타인자본비용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 즉,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그렇지 않은 감사인의 감사품질보다 더 높다고 채권투자자들이 시장에서 인지하고 있다는 결과이다. 둘째, Big 4 감사인이 감사한 기업이면 그렇지 않은 감사인의 경우보다 CFO와 타인자본비용 및 TA와 타인자본비용간의 음(-)의 관계가 유의하게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타인자본비용을 차입이자율 스프레드나 부채차입이자율로 측정하거나 또는 연속변수나 소수의 순위등급변수로 측정한 경우와 관계없이 모두 일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OLS 분석이나 군집성을 통제한 Clustering 검증결과, 그리고 이분산성 및 횡단면-시계열적 종속성 문제를 조정한 후의 t 통계치를 제공하는 Newey and West(1987)의 검증결과 모두에서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할 경우에 Big 4 감사인이 감사하면 그렇지 않은 감사인의 경우보다 기업의 타인자본비용이 감소된다는 인지된 감사품질(perceived audit quality)의 정보적 역할(information role)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Big 4 감사인이 감사하면 재무제표에 대한 정확성 및 신뢰성의 향상으로 이익의 구성요소인 영업현금흐름과 총발생액 정보 역시 추가로 기업의 타인자본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감사품질이 높은 감사인의 외부감사 효과는 재무보고의 신뢰성(financial reporting credibility)에 관한 인증역할(assurance role)도 더불어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 연구뿐 아니라 실무계 및 비상장기업의 정책결정자들이 비상장기업과 관련한 외부감사의 효과를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있어서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비감사서비스와 감사품질에 관한 연구

        임형주(Hyoung-Joo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비감사보수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Big4 회계법인과 Non-Big4 회계법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감사서비스와 비감사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는 기업들만을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Big4와 Non-Big4 사이에 비감사보수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집중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비감사보수는 Non-Big4 회계법인으로부터 감사 받는 기업들의 감사품질과만 유의적인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기업들을 주고객으로 삼고 있는 소형회계법인들의 경우 특정 기업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높을 수 있고 따라서 비감사보수가 커질수록 독립성을 훼손할 유인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Big4 회계법인의 경우 비감사보수가 재량적 발생액 절댓값과 음(-)이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비감사서비스가 전문성을 강화시킨다는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으로 비감사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는 현 시점에서 규제기관과 자본시장 참여자에게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non-audit services and audit quality, using a sample of firms in which audit services and non-audit services are provided by a same audit firm. This study extends previous studies by separating auditors into Big4 and Non-Big4 audit firms as each group may have different incentives to impair their independence.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audit quality, proxied by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has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non-audit service fee for Non-Big4 audit firms, but not for Big4 audit firms, suggesting that Non-Big4 audit firms may impair their independence with increased non-audit service fees. Non-Big4 audit firms are known to be relatively small and local firms that might be highly economically dependent upon a specific client firm whereas Big4 audit firms are not. This results may be of interest to regulators and capital market investors and standard setters who concern a recent trend of increasing non-audit services that are provided by an audit firm which also provides audit service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