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경계 시대의 율곡학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이종성 ( Lee Jong Su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이 글은 코비드19로 인해 새로운 갈등과 대립의 경계짓기가 유발되고 있는 현대를 맞아 탈경계라는 시대적 요청의 맥락에서 율곡학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시도해보기 위한 연구목표로부터 기획된 것이다. 이 글에서 사용하는 경계는 미학적 측면의 체험경지를 말하는 것이 아닌, 특정한 사건과 문제가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분간되는 한계라는 의미임을 전제한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의 기초 위에 율곡학에서 발견되는 탈경계의 문제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1) 인간 이성의 문제를 야만적 이성과 건전한 이성이라고 하는 이중적 맥락에서 파악한 후 이를 율곡학의 입장에 적용하여, 야만적 이성이 야기하는 경계짓기 문제를 반성적으로 검토한다. 나아가 이를 극복하기 위한 건전한 이성 회복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2) 야만적 이성이 낳은 율곡 당대의 사회 국가적 문제로서 지식인 참화 사건은 매우 큰 문제였다. 이를 심각하게 인식한 율곡이 대립적 당파의 경계를 넘어 대통합의 세상으로 나아갈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한 구체적인 논의내용들을 검토한다. (3) 또한 학문적 측면에서 서로 다른 이념의 경계를 넘어 학제 간 대화와 소통의 필요성이 있음을 논의한다. 이 과정에서 율곡이 제시한 학문의 기본입장 및 유불도 삼가에 대한 관심과 소통정신의 인문학적 의의를 확인한다. 율곡의 시대에 나타난 경계짓기와 탈경계의 문제는 오늘날도 여전히 유효하다. 인종과 계층 간에 벌어지는 갈등과 대립을 비롯하여 서로 다른 정치, 종교, 이념 등의 경계와 학문적 소속의 지형도에 따른 갈등과 대립이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와 같이 자기중심적인 가치의식이 다시 자리 잡고, 자기중심적인 위계가 다시 고개를 드는, 새로운 ‘경계짓기’의 권능이 행사되는 시대일수록 탈경계의 인문학은 보다 더 소망스러운 가치로 요청된다. 이러한 점에서 율곡학에 나타난 경계짓기에 대한 반성적 비판의식은 탈경계의 현대에 시사해주는 것이 크다. This article was designed from the research goal of attempting a humanities reflection on Yulgok Studies in the context of the demands of the times to go out of the boundaries in the present age,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new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is being caused by Covid 19. The boundary used in this article does not refer to the level of experience in terms of aesthetics, but presupposes that it means that a specific event and problem are a limit that can be distinguished by a certain standard.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 beyond boundaries found in Yulgok Studies from the following three aspects on the basis of such a problem consciousness. (1) After grasping the problem of human reason in the dual context of barbaric reason and sound reason, applying it to the position of Yulgok Studies, the problem of bordering caused by barbaric reason is reviewed reflectively. Furthermore, it examines the necessity of recovering a sound reason to overcome this. (2) The tragedy of intellectuals was a very big problem as a social and national problem of Yulgok's day, which was born of barbaric reason. This article reviews concrete discussions that suggested that Yulgok, recognizing this seriously, needs to move beyond the boundaries of confrontational factions into a world of grand integration. (3) It also discusses the necessity of interdisciplinary dialogue and communication across the boundaries of different ideologies in terms of academics. In this process, this article verifies the humanities significance of Yulgok's basic stance of studies and the interest and communication spiri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problem of boundary building and trans-boundaries that appeared in Yulgok's era is still valid today. This is because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races and classes, as well as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politics, religions, and ideologies, and the topographical map of academic affiliation, are still not disappearing. As in the modern era, when the self-centered sense of values is re-established and the self-centered hierarchies rise again, and the new power of “border-building” is exercised, the humanities beyond the boundaries are demanded as the more desirable value. In this respect, the reflective criticism of the boundary-building in Yulgok Studies has a great suggestion in the modern era beyond boundaries.

      • KCI등재

        의경(意境)을 통해 본 서세옥 회화 연구 ― 허실(虛實)을 중심으로 —

        마승재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8

        As one of the core categories of East Asian aesthetics, idea and boundary are an aesthetic theory transcending the form that draws artistic form, mood and atmosphere, and artistic association from it. The author sees this concept of idea and boundary as an appropriate thought to explain and grasp the formativeness of Suh Se Ok’s painting, which has a rich artistic meaning by drawing imaginations beyond form.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aesthetic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idea and boundary, and to examine how to read Suh Se Ok’s paintings. Suh Se Ok pioneered modern Korean paintings with ink and wash abstract, where the aesthetics of idea and boundary can be found. Painting is characterized by extremely connoted simple shapes with a concrete object, and the lines contain the artist's spirit, not just a formal line depicting the object. In the late 1970s, his paintings that vividly expressed the shapes and the actions of human body with restrained lines under the theme of ‘human,’ are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dea and boundary, which represent artistic associations and meanings from specific art forms. In other words, Suh Se Ok’s ink-and-wash expression that reveals restrained formativeness and creativity can be explained through idea and boundary, an East Asian aesthetic category. In artworks, idea and boundary appear due to the coexistence of the emptiness and substance of various artistic elements. The image created by the creator is substance, and the imagination evoked by the viewer can be seen as emptiness. Through the concepts of the emptiness and the substance constituting the idea and boundary,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of idea and boundary in aesthetic and creative aspects of art. Based on this, the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 and boundary and the paintings of Suh Se Ok, and it examined the thought and expressiveness of his paintings through the aesthetics of idea and boundary. This will confirm the artistic aspects of East Asian aesthetics, idea and boundary, and provide an intrinsic appreciation and analytical perspective on Suh Se Ok's painting. 의경(意境)은 동아시아 미학의 핵심 범주 중 하나로 예술 형상과 그로부터 촉발되는 정취 및 분위기, 예술적 연상을 끌어내는 형상(象)을 초월한 심미이론이다. 필자는 이와 같은 의경의 개념이 형상 너머 상상을 이끌어내어 풍부한 예술적 의미를 담고 있는 서세옥 회화의 조형성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적합한 사유라고 본다. 본고는 이러한 이해를 근거로 의경의 심미적 의미와 특징을 살피고, 서세옥 회화를 어떻게 읽어낼 수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서세옥(徐世鈺)은 수묵추상으로 현대 한국화를 개척하였으며, 그의 회화에서 의경(意境)의 미학을 발견할 수 있다. 회화는 구체적인 대상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극도로 함축된 단순한 형상이 특징이며, 선은 단순히 대상을 묘사하는 형식적인 선이 아닌 화가의 정신을 담고 있다. 특히, 1970년대 후반에 ‘인간’을 주제로 인간의 신체와 행동의 형상을 절제된 선으로 생동감 있게 표현한 그의 회화는 특정한 예술 형상으로부터 비롯되는 예술적 연상과 의미를 나타내는 의경의 특징과 상통한다. 즉, 절제된 조형성과 창의성을 드러내는 화가의 수묵적 표현은 동아시아 미학 범주인 의경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예술작품에서 의경은 여러 가지 예술적 요소의 허와 실이 상생한 결과로 나타난다. 창작자가 창조한 형상은 실(實)이고 감상자가 불러일으키는 상상은 허(虛)라고 볼 수 있으며, 이로부터 비롯된 특정한 예술적 형상은 형상 너머의 깊은 뜻을 포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의경을 구성하는 허실(虛實)의 개념을 통하여 의경이 예술의 심미적, 창작론적 측면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의경과 서세옥 회화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의경의 미학을 통해 서세옥 회화에 나타난 사유와 표현성을 살펴보았다. 이는 동아시아 미학사상인 의경의 예술적 측면을 확인하고, 서세옥 회화의 본질적인 감상과 분석적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소설의 흑인상을 통해 본 한국 가족의 탈경계적 전망

        한명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1 탈경계인문학 Vol.4 No.3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black people whose images have been projected through Korean novels written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It is hard to find positive depictions of blacks in modern Korean novels. From the novel HonHyeol (Mixed- Blood) 1947, despite the author YoSup Ju’s attempt not to discriminate against mixed-blood people, blacks in Korean novels always took the role of diabolical figure in the binarism of Korean women and American men. From novels such as BeaungSu Song’s Shorikim 1957 and KeunDeok Choe’s serialized story, The Star Seat of the Earth 1957, SunNyeo Bark’s 1960s novel Elize's Portrait , HeaIll Cho’s 1970s America, SangGuk Jeon’s The Family of Abe, to JungHyo Ann’s 1980s The Silver Stallion, the setting of yellow/black and black/white has always been understood as implying antagonistic relationships,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of different color was even more serious than what YoSup Ju’s Mixed-Blood portrayed. However, this doesn’t mean that the novels have shown no possibility of overcoming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of different color. Although too little, the whore's Club (SSembagui ; Lettuce)'s solidarity in America and Mother's loving in The Family of Abe support the new possibility of the collectivities of the Global Age. In these novels, there are positive collectivities formed through the solidarity of 'subaltern women' a word used by Spivak. All of the women dream of a new family in reaction to their old egoistic family. Zelkova Tree and Mother, 2006, by Suntae Mun, stands as the only story that portrays a Korean man marrying a black woman. This tries to show a new possibility of change, not of identity, but about altruism toward the differences of multiethnic families. "Henri's logic of skin color" and the "diamond present" of the wife’s mother in Zelkova Tree and Mother drives a wedge between discrimination and color. Most Korean novels represented ironically the postcolonial contradiction between black people’s social status and Koreans’ obvious discrimination against them through the novels’ negative descriptions of blacks. The discrimination against black people in Korean novels reflected "mis-recognition", by Spivak, between globalism and post-colonialism. Koreans’ attitudes toward blacks sprang from the Confucian family system in Korea and the resistant nationalist retrospective during the American Military’s controlling age of the Korean Peninsula. A real identity forms and grows not from exclusive familism and nationalism but through self-controlling endeavor, compromise, and negotiation. Nobody can give anyone an identity through strength and threats. A real identity cannot come from one who believes in keeping pure blood and tries to advocate families. Correct formation of identities comes not from the “perhaps” of a strategic politician, but through “teleopoiesis” (Imaginative power transcending time and space) in Aristotle’s Poetics . Good poetic imagination can give a new sort of collectivity to family, such as a communicational multiethnic family. As in the emancipation of slaves and the gaining of women’s suffrage, all the right ideas become possible through teleopoiesis, imagination that works beyond boundaries. A new concept of family is possible through the new collective teleopoiesis of multiethnic families that The new idea, even though it has come neither gradually nor in purity, will pulverize the hegemonies of the old collectivities of binarism we once believed.

      • KCI등재

        일반논문 : 경계 재인식을 통한 탈경계의 가능성 -한창훈의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를 중심으로-

        조명기 ( Myung Ki C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이 글은 한창훈의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를 텍스트로 삼아, 섬을 둘러싼 공간 분할과 공간 해석에 대한 헤게모니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내부자의 시선이 외부(육지)의 규정력과 갈등하고 병합함으로써 새로운 로컬리티가 다양하게 생성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텍스트는 섬을 중요한 공간적 배경으로 삼은 대부분의 한국현대소설들처럼 섬과 육지의 공간 분할을 일련의 이원적 대립으로 반복한다. 섬과 육지의 공간 대립은 고정적·절대적·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며 수정 가능한 것으로 변모한다. 이변화는 기존의 공간 대립 양상을 유발했던 공간적 헤게모니 자체를 비판하고 극복할수 있는 토대가 된다. 육지로의 탈출은 위계의 확인이 아니라 위계의 허상과 육지의 헤게모니적 전략의 확인으로 이어진다. 각성은 섬의 타자성에 대한 재성찰로 이끈다. 육지·도시의 헤게모니 전략에 맞서는 방식은, 절대적 인식으로 이데올로기화된 육지의 공간 인식을 상대적 인식으로 환원하는 것, 경계 너머의 공간에 대한 상상의 진정한 주체인 섬으로 회귀하는 것, 상상력의 개방성과 확장성이 내재되어 있는 경계·바다에 다시 주목하는 것이다. 결국,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는 섬을 육지가 규정하고 부여한 공간성과 내재적인 개방성·확장성이 갈등하고 관계맺는 장(場)으로 설명하면서, ``너머``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의 역능을 지닌 실천적 주체로 환원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spects of a new locality variously created as an insider`s sight goes through a conflict and merges with the regulation force of the outside (land), by analyzing hegemonic aspects about spatial division and interpretation regarding an island, based on the text of Han Chang-woon`s 『Island, I Live at the End of the World』. The openness of the ocean and boundary is manifested into various aspects by the orientation of main agents. This text describes two different cases, and one is a way of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spatial recognition while sustaining it, and the other is a way of conquering the existing dualistic spatial confrontation and explaining the ocean and boundary as space of nirvana, space of conquest and Buddha-hood, and space of identification. The virtue possessed by the location of the latter one where Bachelard-like imagination permeates is to provide another Chronotope of the threshold that seeks a possibility of trans-boundary through boundaries. This text not only explains an island as ambivalent space between openness and isolation, but focuses on exploring how the space layout authorities define the openness of boundary as closed. Besides, this text attempts to create characteristics of ``beyond`` through constant new understandings about the boundary. At last, 『Island, I Live at the End of the World』 explains an island as a place where spatiality, inherent openness and extensibility, defined and granted by land, go through conflicts and build relations with each other, while reducing to a practical main agent with a competence of infinite imagination about ``beyond``.

      • KCI등재

        일상 공공공간에서의 예술 행위에 대한 분석적 고찰 - ‘경계없는예술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화원 ( Lee Hwawon ) 한국연극학회 2018 한국연극학 Vol.1 No.68

        일상의 공공공간에서 그 지역성을 반영하며 전개되는 예술 행위의 경우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은 제한적이다. ‘경계없는예술센터’가 2001년 지하철혜화역에서의 거리극 <혜화역에서 예술역까지>과 <크리스마스선물 포장 벗기기> 이래 2007년에서 2011년 까지 진행한 10차례의 ‘경계없는 예술프로젝트’는 국내에서는 선구적인 성과들이다. ‘드라마의 모방적 재현’이라는 연극 미학 고유의 특성에 대한 포스트모던의 도전이 보편화되면서 최근 도심 일상의 공공공간에서의 연극 행위가 점차 학술적 연구의 관심을 끌기 시작한다. 정치적, 경제적 특권 엘리트 계층에 의한 지배를 지속해나가는 포스트 민주주의에 대한 저항이 일반인들의 사회 참여의 장을 확대해 나가도록 독려하며, 그 연장선 상에서 광장과 공공공간에서의 발언과 행위를 통하여, 수동적인 문화 콘텐츠의 소비자들 보다는 적극적인 생산자들로 관객들을 격상시키는 현상에 대한 관심으로 해석된다. 우리나라에서의 일상 공공공간에서의 예술 행위들에 대한 근간의 관심과 최근의 성과 제반에 대한 학술적인 진단은 향후 보다 공간적, 시간적 거리가 확보되었을 때 보다 심층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는, 가장 초기의 작업들로서 이미 10년 이상 전부터 연구자가 제작 및 기획으로 참여하였던 경계없는예술프로젝트 중, 조금씩 다른 특성을 지니는 세 가지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분석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는 연구자 스스로의 체험을 감상적인 추억만이 아닌 또 다른 방식으로 기억하는 하나의 시도일 터이며 그 시도를 통하여 또 다른 의미와 작업 생산의 파장을 기대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2008년부터 2011년에 이르는 동안 10회에 걸쳐 진행된 경계없는예술프로젝트 중 조금씩 다른 성격을 지니는, 2007년 첫 번째 프로젝트의 <가로등이 전하는 이야기>, 2008년 세 번째 프로젝트인 <유랑극단의 시간여행>, 2010년 일곱 번째 프로젝트인 <문래동 철재상가의 숨은 빛을 찾아라>가 분석 대상으로 선택되었다. 그 공연 미학적 분석에 있어 형식, 공간 및 관객의 특성, 그리고 드라마의 장소 특정적 맥락과 효능을 중심으로 고찰이 진행되었다. 그 과정을 거쳐 각 작업이 2018년 현재까지 미칠 수 있었던 통시적 영향과 성과가 자연스럽게 도출되고 있다. Les projets d’arts dans l’espace public, qui refletent les traits caracteristiques du lieu sont encore limites dans le nombre en Coree. Le Centre d’arts sans frontieres offrent les premiers produits de ce genre a partir de ses spectacles de rue, < De la station Hyehwa a celle des Arts > et < Defaire l’emballage du cadeau de Noel > en 2001 jusqu’aux ‘Projets des Arts sans frontieres’ #1-#12 (de 2007 a 2012). Les evenements theatraux dans l’espace public de la ville attirent recemment de plus en plus d’attention academique dans l’atmosphere actuelle de la provocation postmoderne contre l’esthetique traditionnelle du theatre de la representation mimetique du drame. La distance spatio-temporelle permettra plus de fruits a l’attention academique sur des actes artistiques actuels dans l’espace public de la vie quotidienne. La recherche presente projete l’approche analytique a trois programmes de carateristiques plus ou moins differentes, ou nous avons participe nous-meme. < L’Histoire racontee par des lampadaires > en 2008; < Un Voyage temporel d’une troupe theatrale vagabonde > en 2009 et < A la recherche de la lumiere cachee dans le quartier de ferronnerie de Mullae > en 2010 sont alors choisis parmi 12 projets. Ce travail nous permettra de nous souvenir des Projets d’arts sans frontieres d’une autre façon que de façon sentimentale; d’ou plus de reflet significatif de ces projets dans le futur sera possible. Les traits carateristiques de la forme, de l’espace et des spectateurs en plus du contexte propre du lieu du drame et et ses effets sur la vie du lieu. Nous ne manquerons pas de considerer les effets sociologiques de ces projets sur la communaute actuelle.

      • KCI등재후보

        한국소설의 흑인상을 통해 본 한국 가족의 탈경계적 전망

        한명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1 탈경계 인문학 Vol.4 No.3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black people whose images have been projected through Korean novels written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It is hard to find positive depictions of blacks in modern Korean novels. From the novel HonHyeol (Mixed- Blood) 1947, despite the author YoSup Ju’s attempt not to discriminate against mixed-blood people, blacks in Korean novels always took the role of diabolical figure in the binarism of Korean women and American men. From novels such as BeaungSu Song’s Shorikim 1957 and KeunDeok Choe’s serialized story, The Star Seat of the Earth 1957, SunNyeo Bark’s 1960s novel Elize's Portrait, HeaIll Cho’s 1970s America, SangGuk Jeon’s The Family of Abe, to JungHyo Ann’s 1980s The Silver Stallion, the setting of yellow/black and black/white has always been understood as implying antagonistic relationships,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of different color was even more serious than what YoSup Ju’s Mixed-Blood portrayed. However, this doesn’t mean that the novels have shown no possibility of overcoming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of different color. Although too little, the whore's Club (SSembagui ; Lettuce)'s solidarity in America and Mother's loving in The Family of Abe support the new possibility of the collectivities of the Global Age. In these novels, there are positive collectivities formed through the solidarity of 'subaltern women' a word used by Spivak. All of the women dream of a new family in reaction to their old egoistic family. Zelkova Tree and Mother, 2006, by Suntae Mun, stands as the only story that portrays a Korean man marrying a black woman. This tries to show a new possibility of change, not of identity, but about altruism toward the differences of multiethnic families. "Henri's logic of skin color" and the "diamond present" of the wife’s mother in Zelkova Tree and Mother drives a wedge between discrimination and color. Most Korean novels represented ironically the postcolonial contradiction between black people’s social status and Koreans’ obvious discrimination against them through the novels’ negative descriptions of blacks. The discrimination against black people in Korean novels reflected "mis-recognition", by Spivak, between globalism and post-colonialism. Koreans’ attitudes toward blacks sprang from the Confucian family system in Korea and the resistant nationalist retrospective during the American Military’s controlling age of the Korean Peninsula. A real identity forms and grows not from exclusive familism and nationalism but through self-controlling endeavor, compromise, and negotiation. Nobody can give anyone an identity through strength and threats. A real identity cannot come from one who believes in keeping pure blood and tries to advocate families. Correct formation of identities comes not from the “perhaps” of a strategic politician, but through “teleopoiesis” (Imaginative power transcending time and space) in Aristotle’s Poetics. Good poetic imagination can give a new sort of collectivity to family, such as a communi- cational multiethnic family. As in the emancipation of slaves and the gaining of women’s suffrage, all the right ideas become possible through teleopoiesis, imagination that works beyond boundaries. A new concept of family is possible through the new collective teleopoiesis of multiethnic families that The new idea, even though it has come neither gradually nor in purity, will pulverize the hegemonies of the old collectivities of binarism we once believed.

      • KCI등재

        楚亭 朴齊家의 虛心養性的 繪畵觀

        임명남(Myung-nam Lim) 한국서예학회 2022 서예학연구 Vol.41 No.-

        朴齊家는 조선조 18세기 마지막을 장식한 실학자이자 사상가이다. 정치한 畫論을 전개한 적은 없지만 스스로 어릴 적부터 ‘畵癖’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으며 성장한 뒤에도 꾸준히 그림을 즐긴 사실이 발견된다. 본고는 그의 그림에 대한 題跋과 題詩, 창작을 연계하여 그의 회화관을 분석한 논문이다. 박제가의 虛心養性的 繪畫觀을 간단히 요약하면, 먼저 ‘象外之象’의 ‘神態’를 중시한 측면을 神韻論적 입장에서 분석한 결과, 박제가는 ‘詩畵境相通論’을 서화창작에 응용하는 등 서화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긍정했다. 실제적으로도 문인화의 意趣가 풍기는 ‘天然’의 ‘畵意’를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形似적 조형미를 충실히 갖추고 있으면서도 寫意적 세계를 체현했다. 그리하여 ‘형상 이면의 형상’을 표현하는 ‘象外之象’의 ‘神韻’에 충실했다. 다음으로, ‘天趣自然’의 ‘生意’를 창조한 측면에 대해 性靈論적 입장에 분석한 결과, 마음을 비우는 ‘虛’는 외부 사물과의 심미적 교감을 달성할 수 있는 전제이며 박제가의 열린 사유와도 관련이 있다. 마음을 비워야 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이미 형성된 선입견이 있기 때문이다. 박제가는 그 선입견을 角膜이라고 했다. 美的인 것을 미로 인식하려면 먼저 그것을 가로막고 있는 각막을 제거하라고 한다. 요컨대 박제가는 좋은 회화는 의도되지 않은 상태라야 ‘物像’의 ‘神態’를 간취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관념을 버리고 대상을 세밀히 관찰할 것을 주장했다. 이상의 논의만으로는 박제가의 회화관을 온전히 이해했다고는 할 수 없다. 그의 회화관을 좀 더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세계관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詩ㆍ書ㆍ畵에 대한 통합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ark Jega was a scholar and thinker active in the late 18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he never presented a precise painting theory, he said that he has been a painting enthusiast since childhood and continued to enjoy painting even after he grew up. Thus, in this paper, I analyzed his view of the painting by investigating his preface, postscript, and inscribed poem of painting. I briefly summarized Park Jega's view of painting to empty the mind and cultivate nature as follows. First, I analyzed the aspect that he emphasized the form of spirit as an image beyond the image from the stance of focusing on the rhythm of spirit. As a result, Park Jega actively affirmed the valu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by applying the theory that the boundary of poetry is mutually compatible with that of painting to the crea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He embodied the natural painting will that exudes the spiritual taste of literati painting. Also, he realized the world of describing the thinking while faithfully possessing the formative beauty of resembling the form. Thus, he was faithful to the rhythm of spirit that expresses the image beyond the image. Second, I examined the fact that he created the vitality of the natural taste of nature in terms of the natural spirit. As a result, the emptiness to empty the mind is a premise that can achieve aesthetic communion with external objects and was also related to Park Jega’s open thinking. Since people already have preconceived notions, they should empty their minds before painting. Park Jega called that prejudice Gakmak(角膜). He said people must first remove the Gakmak that blocks them from recognizing beauty as beauty. In short, Park Jega insisted on discarding stereotypes and closely observing objects because people can create a good painting only in an unintentional state to obtain the form of the spirit. We cannot fully comprehend Park Jega's view of painting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of his worldview and an integrated discussion of hi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o understand his view of painting more in-depth.

      • KCI등재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과 탈경계적 공간 인식 - 손장순과 김지원의 유학·이민 서사를 중심으로

        임정연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3 No.-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how women perceive spaces as investigating the women’s overseas dwelling experience in the 1970s and the 1980s. The study focused on novels written by Jang-sun Son and Ji-won Kim and analyzed how placeness of these cities, Paris and New York, and residential types such as studying abroad and immigration would get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novel by Jang-sun Son breaks these images of Paris, freedom and generosity, into pieces and re-produces Paris as a city of illusion. Son’s going to Paris to study gave her a chance to enter the inside of Paris and dig into the hidden and deep side of the city. As making use of her being a ‘woman student from South Korea’, not only does she deal with contradictions and repressions of the Korean society but also describes paternalistic violence internalized in the women. The women are considered an in-between with a ‘Parisian’ body but ‘Korean’ thinking, and they do not belong to any of France or South Korea but dispart. Paris is understood as ‘space of drift’ and there, the women realize these differences from the West and fragmentize the core. The background of the novel by Ji-won Kim is New York, and the novel talks about identities and self-awareness of female immigrants. Troubles that the women in Kim’s novel go through are basically caused by their failures with ‘building-up relationships’. Men are considered selfish and paternalistic while the women dream of stable lives through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 men. The women confirm otherness through their failures with building-up relationships and there, New York, the signifier, becomes a symbol of everyday insignificance. As far as the women understand, New York is ‘space of absence’ filled with silence, deportation, deficiency and loss. 이 논문은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을 통해 여성의 공간 인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손장순과 김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유학과 이민 체험이 파리와 뉴욕의 장소 정체성과 상호 결합하는 방식 및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손장순과 김지원 소설의 여성들은 배타적 남성 공간의 안과 밖, 중심과 주변을 동시에 점유함으로써 경계 너머를 상상하게 만드는 ‘역설적 공간’을 탐색해간다. 이렇게 유학과 이민은 여성의 젠더 정체성을 확인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파리와 뉴욕은 거주와 이주 사이의 경계 공간으로 재표상된다. 손장순은 자유와 관용, 예술과 문학, 낭만과 매혹이라는 프랑스 파리의 장소 표상을 해체한 지점에서 유학 모티프와 ‘유학생 세대’의 초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다. 손장순 소설은 ‘한국인’ ‘여성’ ‘유학생’이라는 세 가지 범주가 중첩되는 지점에서 성과 연애의 문제를 통해 인종, 민족, 젠더 간의 잠재되었던 충돌과 차이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 ‘차이’를 또 다른 이주의 동력으로 타진하면서 파리를 탈중심적 ‘표류공간’으로 형상화한다. 김지원 소설에서 여성인물들의 존재 탐색과정은 ‘뉴욕’이라는 장소가 제공하는 삶의 양식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김지원은 남성들과 친밀한 관계 맺기에 실패한 여성들을 통해 뉴욕이라는 기표를 일상적인 무의미의 기호로 환치시킴으로써 뉴욕을 침묵과 추방, 결핍과 상실의 ‘부재 공간’으로 제시한다. 이처럼 모국과 이국, 그 어느 공간에도 정착하지 못하는 여성의 모습은 새로운 이주, 혹은 경계 넘나듦의 삶의 모델로서 유목민적 주체의 탄생을 시사한다. 이렇게 손장순과 김지원은 경계 공간에서 젠더적 삶의 양식을 형상화함으로써 여성이 모든 장소에서 실존적 외부성을 체험하고 탈장소성을 실천하는 존재란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 KCI등재

        杜甫의 題畵詩 考

        정호준 중국학연구회 2014 중국학연구 Vol.- No.68

        This study examine the features of DuFu's the Titled Paintings 20. The Titled Paintings introduce and describe the picture, it is a poem that captures the feeling of the poet or the argument of the poet collectively. The Titled Paintings can be a special kind of Poems on Thing, it is originated from the expansion of the material of the poem itself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painting art. Many poets has left the Titled Paintings in Chinese history. Among them, DuFu has left a large footprint in the Titled Paintings area. Of course, as everyone knows, The appearance of the poem that poets added a poem in earnest on paintings began in the Song Dynasty, though DuFu's the Titled Paintings was a great contribu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poetry to combine the painting arts and the poetry arts. Nevertheless, in our country, rather than to study separately only DuFu's the Titled Paintings, until now, has seen the research as part of the poem-on-thing. This situation, there has been insufficient to consider only the excellence of DuFu's the Titled Paintings and its features. Therefore, in this report, I examined the artistry and the features of Dufu's the Titled Paintings 20, I considered by dividing DuFu's the Titled Paintings into the theme of pictures of a green pine trees, landscapes, horses, cranes, hawks and so on. And I analyzed artistic features of these poems. In this research, I found that DuFu's poem has a variety of materials and an understanding beyo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arts. Thus, it is opportunity to look at the association of the different genres of art and the study of the literature itself. I think this research direction is in line with the consilience currently pursuing research of Chinese.

      • KCI등재

        북극해의 분쟁과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연구

        김기순(Ki-sun Kim) 대한국제법학회 2009 國際法學會論叢 Vol.54 No.3

        최근 북극의 급속한 기후변화는 북극권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위협하는 반면, 막대한 자연자원의 개발과 작은 섬의 발견, 북극항로의 개척 등 새로운 변화를 가져다주고 있다. 특히 북극해의 두꺼운 얼음 밑에 매장되어있는 석유, 천연가스 기타 광물자원은 얼음 감소와 과학기술의 발달로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북극권의 변화와 관련한 북극권국가들 사이의 영유권 및 해양관할권 분쟁과 해양경계획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북극권국가의 영유권 주장은 탐사 및 발견, 완화된 실효적 점유이론, 선형이론, 할양 등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선형이론은 국제법상 기초와 법적 정당성이 없는 이론으로 비난받고 있다. 북극의 육지영토에 대해서는 분쟁의 여지가 별로 없지만, 북극해의 섬과 해양수역에 대해서는 영유권과 해양관할권을 둘러싸고 다수의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분쟁은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것으로, 이는 북극해와 Barents 해, 노르웨이 해, Beaufort 해 등에서 배타적 경제수역과 200해리 이원의 대륙붕수역이 중복되는 데 기인한다. 이중 북극점 해저를 통과하는 Lomonosov 해역을 둘러싼 러시아-캐나다-덴마크 사이의 경쟁은 북극해의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쟁탈전으로 확대되고있다. 러시아와 노르웨이, 덴마크는 해양법협약 제 76조 8항 규정에 따라 대륙붕한계위원회에 200해리 이원의 대륙붕 한계설정 문서를 제출하였다. 대륙붕한계위원회는 러시아에 대해 노르웨이 및 미국과 분쟁이 있는 Barents 해와 Bering 해에서 해양경계획정협정을 체결한 후 경계선의 해도 및 좌표를 제출하도록 권고하고, Lomonosov 해령이 위치한 중앙 북극해에 대해서는 증거부족을 이유로 수정된 제출을 하도록 권고하였다. 노르웨이에 대해서는 Western Nansen 해분, Loop Hole, Southern Banana Hole에 관한 대륙붕한계설정의 정보가 모두 200해리 이원의 대륙붕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보고, 인접국과의 양자협정을 통해 명확한 대륙붕의 범위를 획정하도록 권고하였다. 덴마크가 제출한 문서는 현재 심의 중에 있다. 대륙붕한계위원회는 사법권이나 분쟁해결권한을 지닌 기구가 아니기 때문에 북극권의 해양관할권 분쟁을 궁극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렵다. 또한 해양법협약 제 15부에 규정된 강제적인 분쟁해결절차는 노르웨이를 제외한 북극권국가들의 선택적 예외 선언에 따라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200해리 이원의 대륙붕에 관한 북극권국가 사이의 분쟁은 국가 간 합의에 따라 해결되어야 것이다. 200해리 이원의 대륙붕 수역을 설정한 후 남는 북극해 수역은 “심해저”로서 인류의 공동유산수역이며 인류 전체에 속한다. 그러나 그 범위는 극히 일부분으로, 사실상 북극해는 북극권국가간의 해양경계획정에 의해 분할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북극해는 “해양의 영토화”를 추구하는 연안국의 해양관할권 확대 경향에 의해 분할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곧 자원개발로 이어지고 환경오염과 생태계훼손을 초래하는 현실로 나타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북극이 직면한 위기는 지구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제사회는 북극문제의 해결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남극조약을 모델로 한 해법을 찾고 있다. 북극의 법적 상황은 남극과 다르기 때문에 북극에 남극조약체제를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다만 남극조약체제가 기초로하고 있는 환경과 과학, 안보, 경제 분야의 국제협력과 환경보호 이념은 북극의 환경을 보호하고 북극권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본다. The fast climate change in recent years is threatening the uniqu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ecosystem in the Arctic. It, however, gives rise to new changes to the Arctic, which include the development of natural resources, discovery of tiny islands and opening of the Northwest passage. Particularly,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of exploiting oil, natural gas and other mineral resources deposited under the heavy ice in the Arctic Ocean due to ice melting and new technologies for oil extraction. This paper reviews the conflicting territorial and jurisdictional claims and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concerning these changes in the Arctic. The territorial claims of the Arctic nations are dependent on discovery, effective occupation, sector theory and cession, and inter alia the sector theory has been criticized for its lack of a basis of international law and legal rationality. There have recently emerged many disputes over the claims to territory and maritime jurisdiction over the islands and maritime areas in the Arctic Ocean. Most of them are about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s with the Arctic nations, and they are due to the overlapping of the EEZ and the continental shelf beyond 200 nautical miles in the Arctic Ocean. Particularly, conflicting claims over the Lomonosov Ridge to traverse the seabed of the North Pole among Russia-Canada-Denmark have led to the scramble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 Arctic Ocean. Russia, Norway and Denmark submitted to the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CLCS), pursuant to Article 76, paragraph 8 of the UNCLOS, the data and informations on extended continental shelves. In regard to the Barents and Bering Seas to which Russia is in competition with Norway and U.S., the CLCS recommended Russia to transmit the charts and coordinates of the delimitation lines to the CLCS after entry into force of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greements with them. Regarding the Central Arctic Ocean, the CLCS recommended Russia to make a revised submission relating to the proposed outer limits of extended continental shelf. In the case of the Loop Hole in the Barents Sea, CLCS confirmed that the informations contained in Norway's submission completely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extended continental shelf, and that Norwegian continental shelf extended beyond 200 nautical miles. The CLCS recommended Norway to delimitate the outer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 by agreement with Russia. The information Denmark and Faroe Islands submitted in May 2009 is now under consideration. The CLCS can not ultimately resolve the maritime disputes in the Arctic Waters because it is not a judicial body or a dispute settlement body. Furthermore the compulsory dispute settlement provided in Part XV of UNCLOS would not be applied in the Arctic, in accordance with the declaration of optional exceptions by the Arctic nations except Norway. Accordingly, the disputes over the continental shelf beyond 200 nautical miles in the Arctic Ocean should be settled by the agreements among the Arctic nations. The seabed outside the extended continental shelf of the coastal states is "the Area" in Art 1, paragraph 1 of UNCLOS, which is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and belongs to mankind as a whole. Its extent is very small, and the Arctic Ocean would be actually divided by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mong the Arctic nations. Eventually it shows the recent trends of extension of maritime jurisdiction by the coastal states which pursue so-called "territorialization of the sea". It is likely to lead to development of the natural resource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in the Arctic. The crisis that the Arctic faces today will affect the earth as a whole, s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trying to look for future international system considering the 1959 Antarctic treaty. It might be inappropriate to apply the Antarctic Treaty System to the Arctic, beca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