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소수자 부모-되기의 교육적 의미

        이은지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4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ss by which parents, who were semi-forcibly placed in the position of being parents of sexual minorities after their children “came out,” regard themselves as such parents, and exhibit new behavior patterns, and attempts to clarify its educational mean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parents of LGBTQ children over a period of three years. These parents identified themselves as parents of sexual minorities and actively engaged in society. Parents had formed a different type of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and the world than the previous generation, and the family was becoming an educational unit that creates a minority-friendly culture, not a unit of socialization learning ageism or sexism. "Becoming-parents of sexual minorities" is a process of building the meaning of becoming such parents through the experience of being recognized as such in public places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away from the conventional view that being faithful to and fulfilling one’s duties were all that mattered for model parenthood. Among the types of learning that take place in this process are learning about the child’s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learning from a mediating situation that connects the smaller situation which makes the minority suffer within the larger context that suppresses the minority, and learning toward beings who encounter minorities themselves and feel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m. Becoming-parents of an LGBTQ child has educational meaning in that it allows the parents to educate others on what they have learned, allows them to construct their own narratives as beings who make new choices in line with past events, and leads them to attempt to change the world, which has been conditioned in an unjust way for minorities. Thus, individuals become better parents by reflecting on existing parenthood and by repositioning oneself as a being in relation to the world beyond the limits of the family. 이 연구에서 나는 성소수자인 자녀로부터 커밍아웃을 받은 후 반강제적으로 성소수자 부모라는 위치에 처해져 있던 부모들이 성소수자 부모라는 위치를 자임하며 새로운 행위성을갖게 되는 과정을 ‘성소수자 부모-되기’로 보고 그것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소수자 부모임을 밝힌 부모들이 활발하게 활동 중인 성소수자부모모임에서 3년 동안 참여관찰을 진행하였다. 부모들은 가족 및 세계와 이전과는 다르게 관계를 맺게 되었으며, 가족은 연령차별주의나 성차별주의를 학습하는 사회화의 단위가 아닌 소수성에 친화적인 문화를 생성하는 교육적 단위가 되고 있었다. 성소수자 부모-되기는 본분에 충실하고, 의무를 다하는 것을 부모됨이라고 보던 것에서 성소수자 부모라는 자아를 공적인 자리에서 인정받는 체험, 이질적인 타인과 소통하는 체험을통해 성소수자 부모가 된다는 것의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살펴보면, 자녀의 성적 지향 및 성별 정체성에 관한 학습, 특이성을 억압하는 대상황적 맥락과 소수자가 고통받는 소상황을 연결하게 되는 매개상황에서의 학습, 소수자의 얼굴 그 자체와 만나고 그에 대한 책임 의식을 느끼는 존재를 향한 학습이 있다. 성소수자 부모-되기는 자신이 학습한 바를 타인에게 알리는 교육의 역할을 부여하고, 과거의 사건과의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선택을 하는 존재로 자신의 내러티브를 구성하게 하며, 소수자에게정의롭지 못한 방식으로 사회화되었던 세계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시도로 이어진다는 점에서교육적 의미가 있었다. 이는 기존의 부모 됨에 대한 반성을 통해 더 나은 부모-되기로 나아가는 것이자, 가족에 한정된 테두리를 넘어 세계와 관계 맺는 존재로 자신을 새롭게 위치짓는일이다.

      • KCI등재

        기획논문 : “나를 넘어선다는 것”: 홈스쿨링을 통해 본 “부모-되기”의 교육적 의미

        서덕희 ( Deok Hee Seo ) 한국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 Vol.41 No.-

        This paper aims to reveal an educational meaning of becoming-parents by understanding the lived-experiences of parents who adopts homeschooling instead of schooling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becoming-parents is conceptualized as a process of making one`s children whoever is inferior to oneself by assuming the attitudes unique to `par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ved experiences of homeschooling parents in terms of becoming-parents, five experiences are described: facing one`s child, standing one`s anxiety, lifting one`s curtain, growing oneself through the other, and recognizing one` limitation as a model. Also, as a result of interpreting thes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three themes are revealed: taking responsibility of the other`s face, being imitated and revealed by the other, and transcending beyond the limitations of paren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argues that transcending oneself by becoming-parents is one of the ways of liberating oneself fettered by one`s being, egoism, and totalitarianism and is no nother than becoming-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 KCI등재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의 ‘부모 되어가기’

        마유미,정선아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1

        This study began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s that are emphasized only in the aspects of parental participation or community, although parents are the main subjects in cooperative parenting association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ontological aspect of becoming-parent of a communal childcare cooperativ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see parents opening up a world of ignorance, unknown, and oblivion, parents as ainfinite possibilities's diversities instead of 1/N, parents who experience daycare like mutants, and parents who connect knowledge and life. Through this, parents in co-parent care centers should be seen as emergence multiplicity, suggesting that parents in co-parent care centers should check the striated spaces and be present in smooth spaces. 본 연구는 공동육아 조합에서 부모가 운영과 교육을 책임지는 주체로 존재하나, 공동육아 부모들에 대한 이해가 부모 참여 또는 공동체성의 측면으로만 강조되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 부모의 ‘되어가기’ 과정을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끊임없이 되어가는 존재로서 무지, 미지, 망각의 세계를 열어가는 부모, 1/N이 아닌 무한의 가능성을 지닌 다양체로서의 부모, 돌연변이 생물 같은 어린이집을 체험하는 부모, 앎과 삶을 연결하며 부단히 ‘되어가는’ 부모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 부모는 발현적 다양체이며, 명시적 규칙들이 만들어진 홈 패인 공간을 견제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 합의의 과정을 지속함으로써 변화 가능성을 지닌 매끈한 공간에서 되어가는 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여대생과 어머니의 부모됨 동기 및 부모역할에 관한 세대간 상관연구

        홍정애 ( Jung Ae Ho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6 아동복지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여대생이 인식하고 있는 부모됨의 인식, 동기 및 역할정도를 확인하고 더불어 그들의 어머니가 지각하고 있는 부모됨의 인식, 동기 및 역할정도를 확인한 후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인천시 K여자대학의 재학 중인 여대생과 그의 어머니 각 220명이었으며 2005년 12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0.1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대생의 결혼계획은 결혼을 하겠다가 78.2%로 높았으며 자녀출산을 하겠다 역시 76.6%로 높았다. 이들 어머니 역시 모두 하는 것이 좋다와 자녀의 뜻에 따르는 것이 좋다 라고 응답한 경우가 94.4%였으며 자녀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76.6%로 여대생과 같았으며 자녀출산은 자녀의 뜻에 따르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경우는 98%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부모의 의미는 여대생의 경우 인생의 모델이자 지도자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절대적 후원자, 낳아주신 분의 순이었다. 이에 비해 어머니는 낳아주신 분이 가장 많았으며 인생의 모델이자 지도자, 보호양육제공자 순이었다. 자녀양육의 책임소재를 묻는 질문에서는 여대생과 어머니 모두 부부공동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가족구성원 중 가능한 사람이라고 응답한 경우도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2)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및 부모역할 정도는 평균 44.5점(범위 26~64)과 56.9점(범위 44~70점)으로 높은 평균을 보였다. 이에 비해 그들 어머니의 부모됨 동기 및 부모역할 정도는 47.4점(범위 26~63)과 57.2점(범위 44~70) 으로 더 높은 평균을 보였다. 3) 여대생과 어머니의 부모됨 동기 및 부모역할 점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여대생과 어머니의 부모됨 동기에는 중등도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여대생의 부모역할점수와 어머니의 부모역할 점수 역시 중등도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becoming parent women`s collage students and their mothers, and tried to reveal correlation between them. Method: The subject of study was 220 women`s collage students of K Women University in Incheon and their mothers. I had collected data from December, 2005 to February, 2006 and the method was questionnaire. Result: 1) 78.2% women`s collage students responded they have marriage plans and 76.6% students responded they will have children. Likewise, 94.4% of mothers answered they want their daughters get married and will follow their daughters` mind and very high percentage of 98% answered they think having children is essential and they will follow their daughters` mind. 2) Motivation of becoming parents and parent`s role of female collage students showed point 44.5 and point 56.9. Meanwhile, in the same category, mother showed higher average of point 47.4 and point 57.2. 3) As examining the relevance of the point of becoming parents and parent`s role between students and mothers, there was a medium level of relevance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result indicate that the motivation of being parent and parent`s role of women`s college student within their mother are positive relationship.

      • KCI등재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및 자녀 양육관에 관한 연구

        김선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of parents` and child care valu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0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operational test was administered to 216 female college students. I used the measure of Jung & etc(2008) to measure motivation to become a parent, Kim & Kim(2000) to measure view on childrear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marital values and their willingness to give birth were low. The female college students thought that the parental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 was the same for their parents. The major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hoped to have two children, next, female students hoped to have one child. The childbirth period was in the order of ‘two years after marriage’ and ‘three years after marriage’. Economic sta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birth perio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child group and the poor parent-child group in the good relationshi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affection, discipline, environment, and education. The motivation for parenting was the most motivated by blood religiosity motivation. Emotional motivation was the next, and traditional motivation was the lowest. The difference in parental motivation for child caregivers is that the person with blood religiosity motivation and emotional motivation in both affectional aspect, autonomic aspect, environmental adjustment aspect, and educational aspect, except for the disciplinary aspect,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women who are in charg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to establish policies for pre-parent education and prevention of low birth rate.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부모됨의 동기와 자녀 양육관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수도권 소재의 여자 대학생 230명이었으며, 21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부모됨의 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정옥분 외(2008)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녀 양육관을 알아보기 위해 김영희와 김신정(2000)의 연구를 토대로 질문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들의 결혼 가치관과 출산에 대한 의지는 낮게 나타났다. 자녀 양육 책임은 ‘부모에게 동일’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이상적 자녀수에 관한 응답은 2명, 1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산 시기는 ‘결혼 2년 후’와 ‘결혼 3년 후’의 순서로 응답하였다. 출산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경제적 안정’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자녀 양육관은 부모-자녀 간 사이가 좋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하위요인인 애정적 측면, 훈육적 측면, 환경조성 측면, 교육적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됨 동기는 혈연 유대적 동기가 가장 많았고, 정서적 동기가 그 다음의 순이었으며, 전통적 동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모됨 동기에 따른 자녀 양육관에 대한 차이는 훈육적 측면을 제외하고 애정적 측면, 자율적 측면, 환경 조성적 측면, 교육적 측면 모두에서 혈연적 동기와 정서적 동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전통적 동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임신, 출산의 주체적 역할을 담당하는 여성의 부모됨과 자녀양육에 관한 가치관을 연구하였다는 점, 예비부모교육과 저출산 방지를 위한 정책 수립에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성소수자 부모로의 커밍아웃 체험에서 나타난 실존적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이은지 ( Lee Eunji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성소수자 부모의 사례를 중심으로 커밍아웃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 질적 연구다. 이를 위해 자녀로부터 커밍아웃을 받고 스스로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커밍아웃하게 된 부모들을 만나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이들이 활동 중인 성소수자부모모임에서 3년 간 참여관찰을 진행하였다. 이들은 비성소수자라는 점에서 다수자의 입장에 있었으나, 자녀의 커밍아웃 이후 성소수자 부모라는 위치에 처하게 되었다. 이후 겪게 된 일련의 체험은 이들을 이전과는 다른 실존적 과정으로 나아가게 했다. 이는 “존재에 대한 압제”, “몸틀의 전환”, “존재의 해방”으로 나타났다. “존재에 대한 압제”에서는 성소수자의 존재가 사회적으로 ‘망각’되고, ‘왜곡’되는 상황과 이들의 권리에 대한 논의가 ‘유예’되는 상황, 이를 토대로 성소수자 자신이 존재를 ‘은폐’하게 되는 상황을 살펴보았다. “몸틀의 전환”에서는 성소수자의 존재를 압제하는 대상황에 길들여졌던 부모들이 성소수자부모모임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이전과는 다른 ‘시간’, ‘공간’, ‘관계’를 체험하며, ‘삶의 형식’이 변화하는 측면을 탐색하였다. “존재의 해방”은 스스로가 내면화했던 존재에 대한 압제에서 벗어나는 것이자,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압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양방향성을 띠고 있었다. 이와 같은 해방은 ‘자유’, ‘참여’, ‘책임’, ‘존재물음’의 네 가지 하위 주제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더 나은 문화를 조성하는 것으로서의 교육은 각 인간이 실존적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과도 관련이 있었다. 이 연구는 자녀의 소수성을 알게 된 후 이와 같은 되기의 과정을 겪게된 부모들의 사례를 드러냄으로써, 소수자의 문제를 타자화하며 내부의 이질성을 망각해 온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문제에도 접근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oming-out experiences, focusing on the case of LGBTQ parents. To this e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ents who came out as LGBTQ to their children, and participated in a three-year participatory observation at the LGBTQ parent group in which they were active. They were in the position of the majority in terms of being non-sexual minorities, but after their children came out, they were placed in the position of LGBTQ parents. The series of experiences they experienced afterwards led them to an existential process different from before. This appeared as “oppression against existence,” “frame transition,” and “liberation from existence.” In “oppression against existence,” the situation in which the existence of LGBTQ people is socially ‘oblivion,’ and 'distorted,' and the situation in which discussions of their rights is 'deferred', and the situation in which LGBTQ people 'conceal' their existence. In “frame transition,” parents who were accustomed to the big situation of oppressing the existence of LGBTQ people experience 'time,' 'space,' and 'relationship' that are different from before through the medium of LGBTQ parents' meeting. We explored the changing aspects of 'form of life'. The “liberation from existence.” was to escape from the oppression of beings that had been internalized by itself, and had a bidirectional nature to change the oppression at the social level. Liberation like this could be explored as four sub-themes: ‘freedom,’ ‘participation,’ ‘responsibility,’ and ‘questions about existence.’ In this study, education by creating a better culture was also related to the process of each human being becoming an existential subject.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the universal problem of our society, which has been forgotten about internal heterogeneity by otherizing the problem of minority by revealing the case of parents who went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like this after learning about the minority of their children.

      • KCI등재

        현 시대의 부모되기: 생태주의적 해석의 시사점

        임광국 한국교육철학학회 2022 교육철학연구 Vol.44 No.4

        This study interprets today’s family crisis and the problem of avoiding becoming a parent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Specific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ecology, this study answers the questions: What is the cause of harming the ecological organicity of our society? What can we do to overcome this? The family crisis and low fertility problems that discourage people from becoming parents are the same as the crisis of organicity and sustainability in our society. From a social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cause of a social crisis is the structure in which humans dominate others.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is based on men's domination of women, and furthermore, on the structure of society's exploitation of women. This structure of domination and exploitation has been justified through beliefs such as female virtue and maternal love. The modern family, which emerged as a result of dismantling the traditional family, was also designed to oppress and exploit women to reproduce the labor force required by industrial capital. This still works even today, when women's liberation and gender equality ar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nd is allegedly the cause of the current “family crisis.” Today's families, built on the basis of individual emotions away from traditional obligations, have transfo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to a “radical psychologicalization.” Radical psychologicalization is another cause of family crisis that makes it difficult to become a parent and raise children. To overcome this and restore the ecological organicity of the family, the structure that exploits women for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must be eliminated. We also need to stop thinking that raising children is a burden only for parents. In addition, huge social support is needed to ensure the long-term stability of child rearing. 본 연구에서는 현 시대의 가족 위기 현상, 그리고 ‘부모 됨’의 기피라는 사회적 난제를 생태주의적 관점으로 해석하였으며, 주요한 논점은 사회생태론의 관점에서 오늘날 우리 사회의 ‘생태적 유기성’을 해치고 있는 원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어떠한 방향성을 견지해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부모 됨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기피현상, 그리고 이에 말미암은 가족의 위기와 저출산 현상은 우리사회의 유기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의 위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사회생태론의 관점에서 이러한 위기를 조장하는 것은 인간의 인간에 대한 지배구조로 제시되는데, 전통적 의미의 가족제도는 남성의 여성에 대한 지배, 더 나아가 사회의 여성에 대한 착취구조에 기인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는 여성의 덕목, 모성애와 같은 신념체계를 통해 정당화 되어왔다. 그리고 전통적 가족을 해체하며 등장한 근대의 가족제도 역시 산업자본의 요구에 맞는 노동력의 재생산을 위한 장치로서 여성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여성해방과 양성평등이 제도적으로 확립된 오늘날에도 여전히 통용되며 여성들을 암묵적으로 억압하는 기제로 작동하고, 이는 현대사회가 겪고 있는 ‘가족의 위기’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이다. 또한 전통적인 의무와 당위성에서 벗어나 개인의 감정과 욕구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현대의 가족은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역시 변화시켜, 교육열과 과잉보호로 대표되는 급진적인 심리화 경향으로 이끌게 된다. 이러한 급진적 심리화 경향은 부모 됨과 자녀 양육에 대하여 선택과 집중, 혹은 단념을 초래함으로 가족의 위기에 대한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고 가족의 생태적 유기성을 회복하는 생태주의적 해석의 시사점은 오늘날 아직도 남아있는 임신, 출산, 자녀양육과 관련한 암묵적 여성 착취구조를 제거하고, 자녀의 양육을 온전히 부모의 부담으로 간주하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또한 부모와 자녀 관계의 급진적 심리화 경향을 감안하여 자녀양육의 장기 지속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사회적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여대생의 부모기 인식, 부모됨 동기 및 부모역할 동의

        김은주 한국아동간호학회 2006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2 No.1

        =Correlation Study on the Motivation to Become a Parent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Role by Wome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대화모임을 통한 부모-되기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문소라,고장완,주정흔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대화모임을 통한 참여자들의 부모-되기 과정과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한 대화모임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현장은 다섯 아버지들과 미혼 여자 구성원 한 명으로 구성된 한 대화모임이며, 연구 참여자는 다섯 아버지들로 설정하였다.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지자료조사의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부호화 및 범주화를 기초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부모-되기는 ‘허물기-만들기-대화와 현실 사이의 순환적 과정’이었다. 그들은 자녀에게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고민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관점과 사회의 기준을 ‘허물었다’. 그러나 모임의 대화와 현실을 오가며 그들은 허물고 만들기를반복해갔다. 참여자들의 체험은 자녀만을 위하여 살게 되는 것이 아니라, 자녀를 통하여 더 나은 나로 성장하는 부모되기였다. 이를 통해 첫째, 대화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그들의 대화는 실존적 대화로, 자녀와 자신의 더 나은삶을 “궁리하는” 경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형식적 교육 밖에서도 부모로서의 ‘더 나음’을 추구할 수 있는 교육적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