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의식 변화

        한상근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9 노동연구 Vol.39 No.-

        I analyzed the change of job consciousness in Korean society from the generational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eco generation and baby boom generation. The analytical data of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Vocation every four years since 1998. For generation comparison, the analysis was performed in two dimensions. First, the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work consciousness of eco-generation and baby boomers in 2006,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work consciousness between eco-generation and baby boomers in 2018. Second, through the longitudinal analysis, changes in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current baby boom generation 12 years ago were analyzed, an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the eco generation in 2006 and the eco generation in 2018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aby boomers consistently value work more than eco generations, and recent eco generations value work more than ever. The eco generation valued leisure, schooling and ability development more than the baby boomers in their lives, and the baby boomers valued the importance of leisure life more than 12 years ago. Baby Boomer’s self-assessment of job professionalism was lower than that of the eco-generation, and changed more negatively over tim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aby boomers consistently value work over the echo generation, and the recent echo generation valued the importance of work higher than in the past. Eco-generation values leisure life, study and ability development over baby boomers, while baby boomers value the importance of leisure life more than 12 years ago. Baby boomers’ self-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was lower than that of the Echo generation, and more negatively changed over time.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의 직업의식 변화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1998년 이후 4년 마다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세대별 비교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차원에서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횡단분석을 통해 2006년 시점의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직업의식을 비교하고, 2018년 시점의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의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종단분석을 통해 12년 전 베이비붐 세대와 현재의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의식 변화를 파악하고, 2006년 에코 세대와 2018년 에코 세대의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는 에코 세대보다 일관되게 일의 가치를 중시하고 있으며, 최근의 에코 세대는 과거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에코 세대는 베이비붐 세대보다 여가생활, 학업 및 능력개발을 삶에서 중요시하였으며, 베이비붐 세대는 12년 전보다 여가생활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직업의 전문성에 대한 베이비부머의 자기 평가는 에코 세대의 자기 평가보다 낮고, 시간 경과에 따라 보다 부정적으로 변화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질적연구 - 서울 거주 중산층을 중심으로 -

        이지현,김선우 한국마케팅학회 2012 ASIA MARKETING JOURNAL Vol.14 No.2

        A lot of interest in the baby-boomer generation, those who were born after World War II, has emerged since their retirement has been accelerated. The retirement of baby-boomers has caused many health, public welfare, social policy and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However, their increased purchasing power has made them more attractive consumers than any other generation, and they have become a fascinating niche market in the depressed economy. This research selected middle-class women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who have had powerful effects on society and have emerged as an attractive niche market,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ir lives intensively. Based on research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baby- boomer generation middle-aged women’s life valu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and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marketing implications to connected industr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1.understanding the lives of baby-boomer middle-class women who have powerful effects on socio-economic phenomena 2. identifying the life values of baby-boomer middle-class women 3.generating marketing implication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baby-boomer middle-class women’s lives and life values *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jong University ** Doctorate Course,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research conducted FGIs(focus group interview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o figure out baby-boomer middle-class women’s life values intensively and selected 10 women living in Seoul for data collection. The qualitative data of collected FGIs were analyzed with spiral data analysis methodology proposed by Creswell(2007). The most effective factors to influence these middle-class women’s lives powerfully were ‘time’ and ‘independence’. Their consciousness of the importance of using time affects their life pattern generally, and their independence also impacts greatly on the way they exploit time and on their diverse relationships. They maximized their self-realization and showed long-term partnership with their surrounding circumstances because of those effective factors. Baby-boomer middle-class women’s self-realization was divided into two areas. One was their outside activities and another was perfect management of their physical appearance and home interior. Lik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ir need for social entrance will be reinforced more strongly since their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aim for the achievement of self-realiza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baby-boomer middle-class women’s activities are connected with their management of their physical appearance and home interior decorations, and that such management is caused not only by a simple interest in fashion and beauty but also a profound desire for self-realization. On account of their consciousness,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generations, Korean baby-boomer middle-class women are able to maintain positive partnerships with their surrounding circumstances; however, they also show ambivalent emotions to retain effective partnerships. To overcome those stressful situations, they make greater efforts to keep up their health and youth, and also engage in diverse activities to maintain their mental health. Finally, they generat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economic situation and extra time to develop self-realization and pursue happy, youthful and healthy lives.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dustries targeting the baby-boomer generation should develop innovativ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help the baby-boomer generation maximize their efficiency of time since tim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powerfully impacting the baby-boomer generation. They will engage in var... 본 연구에서는 가족 내 높은 의사결정권을 가진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이들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간, 관계, 젊음과 건강, 자아실현, 의식의 총 5개의 핵심가치를 도출했다. 상위범주들의 맥락적 관계를 구축하여 모형을 도출한 결과,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은 시간적 여유의 증가와 이전/이후세대와는 다른 의식을 인과적 조건으로 하여 자아실현과 타인과의 관계맺기 현상을 나타내며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이들은 이와 같은 현상을 대처하기 위해 건강과 젊음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취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고 경제적으로 크게 고통 받지 않는 현재의 삶에 감사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모형을 보다 추상적인 중심현상으로 축약화하여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베이비부머 중년여성이 여러 가지 활동과 노력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건강하고 젊고 행복한 삶’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간을 잘 활용하도록 도와주는 상품, 서비스가 필요하다. 둘째, 자아실현 욕구가 높은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자아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이들의 감각, 능력, 인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이들의 집안과 외모 가꾸기는 자아실현의 방법이므로 이 시장에 대한 세분화가 필요하다. 질적인 방법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과 소득계층을 포함하는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상의 결과를 확인하고 보완하는 차원의 양적연구가 후속으로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이들 삶의 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더욱 깊이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한 베이비 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

        강상경 ( Sang Kyoung Kah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4

        Baby boomers became the center of our attention due to the rapidly aging society and social burdens accompanied by the rapid aging. Few previous studies, however,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generation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through several generational comparisons. Data include 14,850 adults aged 18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 specifically, 2,269 baby boomers, 6,044 younger people, and 6,537 older peopl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baby boomers differ from other generations, both bivariate(e.g., Chi-test and F-test) and multi-variate analyses(e.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 revealed that baby boomers differ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distributions of gender, chronic illnesses, public assistance, and disability. The results of F-test also showed that baby boom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levels of education, income, family relations, subjective health, and medical service uses. But they did not differ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levels of preventive health examination services. Controlling for related factors, the results of SEM showed that the levels of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indic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life satisfaction is U-shaped and that the happiness levels of baby boomers may be the lowest among the three generations. Multi-group SEM revealed that many life satisfaction predictors of baby boomers differ from those of other generations. Based on the finding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베이비부머와 기존노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행상품선택속성에 대한 영향

        이성철,한상일 한국상업교육학회 2013 상업교육연구 Vol.27 No.5

        우리나라는 2011년에 들어서면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게 되었다. 이제 곧 전후세대인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 퇴를 하게 되면 고령화 사회는 하층 가중될 것이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이 다. 또한 이전과는 달리 노년층의 노인들은 여가활동을 즐기려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여행업체에서 는 실버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예비실버층인 베이비부머와 노년층에 대한 라이프스타일과 여행상품선택속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라이프스타일을 요인분석한 결과, 자기중심형, 가족중심형, 여가추구형, 사회참여형, 실용주의형 , 유행추구형의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여행상품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분석에서는 여행지, 여행사. 교통 수단, 숙박시설, 안내원, 음식식사, 여행상품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요인들의 요인적재치를 이용하여 판별분석과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판별분석 결과, 베이비부머는 노년층보다 가족중심형과 여가추구형 의 라이프스타일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베이비부머와 노년층을 판별해주는 여행상품 선택속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라이프스타일과 여행상품 선택속성의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용주의형과 가족중심형의 실버층들은 여행사와 여행상품을 중요시하여 여행상품을 선택하는 경향 이 있으며, 자기중심형과 여가추구형의 실버층들은 여행지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crease of the silver or senior class in the society means the entrance to the aging society, and Korea is also experiencing the rapid increase of the aged. With the increase of life expectancy and baby -boomers generation who started to retire in 2010, Korea is now seeing a rise in silver consumers. The generation prefer to travel for their leisure activities after retirement, indicating a potential increase in the demand for traveling. The travel industry interest in the baby-boomer generation. This Study targeted customers in their 50 age over people to analysis how behavior affects selection attributes for traveling products and the lifestyle so that travel products that satisfy the customers for consumer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This study classified Korean generation in aging society into baby-boomer generation(51-55 age) and older class(56 age over). This study extracted self-centered type, family-centered type, leisure-oriented type, society-participated type, realization-oriented type and fashion-oriented type from factor analysis in lifestyle. Also this study extracted travel commodity, travel place, travel company, guider, transport means, food facilities and lording facilities form factor analysis in travel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This study did discrimination analysis of lifestyle factors and travel product selection attribute factors on baby-boomer generation and older class through factor loading data. And this study di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of lifestyle factors and travel product selection attribute factors in silver clas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lifestyle factors have discriminated significantly on baby-boomer generation and older class. baby- boomer generation had more significant lifestyle factors of family-centered type and leisure-oriented type than older class. Baby-boomer generation had Lifestyle factors of self-centered type, family-centered type, leisure-oriented type, society-participated type and fashion-oriented type, older class had realization-oriented type. Second, travel product selection attribute factors have not discriminated significantly on baby-boomer generation and older class. But Baby-boomer generation had travel place, lording facilities, food facilities and older class had travel company and travel commodity. Third, lifestyle factors had significant canonical correlation with travel product selection attribute factors. Silver consumers of realization-oriented type and family-oriented type have considered importantly travel -company and travel commodity but silver consumers of self-centered type and leisure -oriented type have considered importantly travel place at travel product selecting.

      •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실태와 재취업 인식분석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안성조 ( Sung Jo Ahn ),이주현 ( Ju Hyun Lee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13 한국균형발전연구 Vol.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실태와 재취업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관련정책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았고 실증분석을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실태와 재취업 인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퇴직 3년 이내의 베이비붐세대이다. 한편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실태와 재취업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2013년 4월 23일부터 5월 31일까지 39일간 대면접촉, 이메일, 팩스 등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700부를 배부하였고 이중 유효조사부수는 391부이다. 조사된 설문지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빈도문석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퇴직전 직장규모는 실무급 퇴직자가 임원급 퇴직자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퇴직전 경력은 임원급 퇴직자가 실무급 퇴직자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세대 퇴직자는 임원급과 실무급 공히 고문 등 외부계약직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원급 퇴직자는 퇴직후 재취업에서도 실무급에 비해 임원급 직위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버이비붐세대 퇴직자의 희망고용형태는 임금 근로를 선호하였으나 희망근무형태는 계약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선호는 낮게 나타나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시간제 일자리 활성화 정책과 괴리를 보였다. 넷째, 베이비붐세대 퇴직자의 재취업 희망보수는 퇴직전 직장의 보수보다 낮아도 수용성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취업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이수의사는 높았으나 비용분담비율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status of retirees in the baby-boomer generation and their perception on re-employment. For this, firstly, by reviewing the related policies and previous studie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tirees in baby boomer generation were studied and then the positive analysis on the topics follow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baby boomers who had been retired in less than 3 years and a questionnaire survey on 391 people was conducted. The researched data was processed in cross-tabulation and frequency analysis by using SPSS 18.0.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size of workplace of baby boomer retirees before their retirement, case of retirees who worked for practical offices was bigger than that of who worked for management while work experience before retirement was longer in retirees from management. Second, retirees in baby boomer generation from both practical offices and management showed higher preference in external contracting jobs such as advisories and consultants. And especially for retirees from management wanted similar positions in re-employment compared to who retired from practical offices. Third, desired forms of employment for retirees in baby boomer generation were higher in paid jobs but they preferred contracting ones for work service. However, they did not prefer part time jobs, showing gap with the government`s invigoration policies of part time jobs, recently. Fourth, desired income from re-employment of retirees in baby boomer generation was more acceptable even though it was lower their fanner income. And their intention to take course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re-employment but for ratio of paying for the cost was lower.

      • 베이비부머세대(baby-boomer generation) 특징에 관한 연구

        정경환(Jung, Kyung Hwan)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2013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논문집 Vol.3 No.2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세대(baby-boomer generation)의 특성을 파악하고 세대의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전환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베이비부머세대(baby-boomer generation)가 내재한 사회적 영향력은 매우 크며 이에 따라 세대의 문제가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는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종합화하였다. 연구결과 베이비부머세대(baby-boomer generation)는 사회적으로 경제개발시대의 주역이었으나 IMF경제위기와 노년으로 접어듦에 따라 주변인이 되어가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경제발전의 혜택을 누려왔으나 부모세대와 자녀세대를 봉양해야하는 이중적 경제적 책임을 짊어지고 있고 심리적으로 IMF경제위기와 노령화로 인해 심리적 위축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depend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and identifying that generation problems can be converted into a problem of social problem. To achieve this aim, the methods such as literature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by-boomer generation was the leading role of economic growth but becoming marginal group. Second, baby-boomer generation have double economic responsibility for both children and parents generation. Third, baby-boomer generation have experienced psychological atrophy could confirm that.

      • KCI등재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김우성(Kim Woo-Sung),허은정(Huh Eunjeo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07 소비문화연구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 및 라이프스타일의 주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 부산, 울산 및 인접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었고, 365부의 서베이 설문지들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관련 가치 영역에서 베이비붐세대는 다른 두 세대들에 비해 가족 중심적 가치를 가지고 있었고, Y세대는 다른 두 세대들에 비해 다양성의 허용, 자아존중, 자아실현, 성취감,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 삶에서의 즐거움 및 흥분/짜릿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X세대는 소비관련 가치의 대부분 변수들에서 베이비붐세대와 Y세대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냈다. 둘째, 소비관련 라이프스타일 영역에서 베이비붐세대는 다른 두 세대들보다 절약/검소한 소비행동, 계획적인 소비, 시간절약에 민감함의 특성들을 보인 반면, Y세대는 다른 두 세대들에 비해 컴퓨터와 인터넷을 중시, 쇼핑 자체를 즐김, 감각적/쾌락적 소비행태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X세대는 소비관련 라이프스타일의 대부분 변수들에서 베이비붐세대와 Y세대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mpare and analyze the important factors of consumption-related values and lifestyles of Korean baby boomers,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consumers in Pusan, Ulsan, and nearby Kyungnam areas, and 365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consumption-related values, baby boomers were more family-oriented than the other two generations. Generation Y allowed more diversity, and had more self-respect, self-fulfillment, sense of accomplishment, warm relationships with others, fun and enjoyment in life, and excitement than the other two generations. Generation X showed intermediate tendencies between baby boomers and Generation Y in most areas of consumption-related values. Second, in the area of consumption-related lifestyles, while baby boomers showed more frugal consumption behavior, planned consumption, and emphasis on time saving than the other two generations, Generation Y showed more emphasis on computers and internet in daily lives, enjoyment of shopping itself, and sensory/hedonic consumption patterns than the other two generations. Generation X showed intermediate tendencies between baby boomers and Generation Y in most areas of consumption-related lifestyles.

      • KCI등재

        디지털 환경 경험에 따른 베이비붐과 MZ세대의 공간 선호도 차이 연구

        한경훈,이선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현대 사회는 공간 인식 측면에서 새로운 양식을 취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배경은 2022년 문광부 국민문화 예술 활동 조사·국민 여가 활동 조사를 확인한 후 연령대별 선호 공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의 근거를 찾아가면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세대(1955년~1963년까지 태어난 세대)와 MZ세대(1980년~1994년 사이에 출생한 M세대와 1995년~2005년 사이에 출생한 Z세대를 포함하는 세대)의 선호 공간이 차이 나는 원인의 근거를 밝히기 위해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의 관계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세대별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한 리서치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연구의 범위는 디지털 환경 경험 격차가 가장 큰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로 한정한다. 연구의 방법은 공간방문을 위한 디지털 활용 방식에 대해 고찰한 후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의 특성과 디지털 수용 차이점을 파악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피에르 부르디외 아비투스 관점으로 바라보면서 연령별 선호 공간 자료를 기반으로 두 세대의 선호 공간을 아비투스 관점으로 분석한다. 이후 아비투스 관점으로 공간 선호도와 세대별 디지털 환경 경험의 관계성을 밝힌다. (결과) MZ세대의 성장기에는 디지털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었고 자연스럽게 아날로그 문화보다는 디지털 문화에 오랜 시간을 보냈다. 성장기에 형성된 디지털 경험 아비투스는 무의식적으로 기존 환경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습성을 가지며 이러한 성향 체계는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공간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베이비붐세대의 아비투스는 유년 시절 오랜 시간 동안 경험해 온 아날로그 문화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급변하는 디지털 사회에서 무의식적으로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익숙한 공간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결론) 아비투스 이론의 관점에서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의 선호 공간과 각 세대의 디지털 활용 특성을 연구한 결과 두 세대의 서로 다른 공간방문 방식이 밝혀졌고, 이를 통해 익숙한 공간을 선호하는 베이비붐세대와 다양한 공간을 경험하는 MZ세대는 서로 다른 아비투스의 영향으로 선호하는 공간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아비투스 관점에서 바라볼 때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가 관계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information age, the modern society has adopted a new style in terms of spatial perception.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lies in 2022 when the Ministry of Culture’s culture and arts activity survey and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ere confirmed, and thereafter, the basis for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space by age group was determi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and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space between the baby boomers (generation 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the MZ generation (generation including Generation M born between 1980 and 1994 and Generation Z born between 1995 and 2005).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s and differences in spatial preferences. The study scope encompasses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who have the largest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gap. The research method examines the manner of use of digital tools for spatial visit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and the differences regarding digital acceptance. The preferred space of the two generations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Pierre Bourdieu Avitus based on the preferred space data by age. There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preference and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by generation is revealed. (Results) During the growth period of the MZ generation, digital culture became common, providing this generation greater exposure to the digital rather than the analog culture. The digital experience Avitus acquired during the growth period forms a habit of subconsciously remaining in the existing environment. This propensity manifests as visiting various spaces using digital information. Conversely, the baby boomers' Avitus is formed by the analog culture. This manifests as visiting a familiar space without subconsciously using digital information in a dynamic digital society. (Conclusions) A study of the preferred spaces of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and the digital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vitus theory revealed the manner in which the two generations visit spaces. The baby boomers who prefer familiar spaces and the MZ generation who experience various spaces differ in terms of their preferred spaces because of the influence of different Avitus. Consequently, the difference in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and spatial preference is rel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vitus.

      • KCI등재

        베이비붐세대의 노후 경제활동 참여 동기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화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김민수,최윤정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90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베이비붐세대의 노후 경제활동 참여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79세 이하의 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베이비붐세대로 구성된 총 319명의 노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노후 경제활동 참여 동기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유형화하고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3단계 접근(R3STEP)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베이비붐세대의 노후 경제활동 참여 동기를 기준으로 잠재프로파일을 유형화한 결과 ‘생활보완형’, ‘활동추구형’, 그리고 ‘생계유지형’이라는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둘째, 노후 경제활동 참여 동기에 따라유형화된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최종학력, 노후 준비 수준, 그리고건강 수준에 따라 각 잠재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부산광역시 베이비붐세대의 노후 경제활동참여 촉진 및 확대를 위한 다양한 사업,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경제적인 지원이필요한 베이비붐세대를 위한 경제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fter retirement among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Busan.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citizens aged between 60 and 79 years old residing in Busan, and a total of 319 elderly people consisting of baby boomer generation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 In addition, a three-step approach (R3STEP) Latent Profile Analysis(LPA) was conducted to classify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fter retirement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m. Looking at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typing the latent profiles based on the baby boomer generation’s motivation to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fter retirement, three latent profiles were identified; ‘Life Supplement type’, ‘Activity pursuit type’, and ‘Liveilhood maintenance typ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latent profil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up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fter retirement, depending 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and level of health. Based on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develop various projects and programs to promote and expand the participation of baby boomer gener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fter retirement. Also it suggested the need for economics related education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 KCI등재

        베이비부머세대 은퇴에 따른 지역사회 노인복지관의 역할

        김사라(Sa rah Kim),김라경(Rah-Kyu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세대의 은퇴에 따른 노후생활에 대한 준비와 삶에 태도 그리고 이에 따른 지역사회노인복지관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결과, 베이비부머세대는 ‘누구에게도 기대지 않음’, ‘내 삶은 내가 책임짐’, ‘지금까지 삶을 인정받고 싶음’과 같은 노후생활에 대한 욕구를 보였다. 베이비부머세대는 지금까지의 나의 삶은 ‘내가 스스로 개척한 것’이라는 자부심이 있었으며 ‘많은 역할과 책임감을 감당한 삶’으로 표현하였다. 이들의 은퇴 후 삶 역시 사회나 가족으로부터 도움을 받기 보다는 자신도 사회의 책임 있는 구성원으로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베이비부머세대가 지역사회 및 노인복지관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베이비부머세대들이 복지관에 대한 심리적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복지관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베이비부머세대들이 자원봉사와 같은 활동을 통해 자신의 전문성을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베이비부머세대들이 은퇴 후에도 그들의 경제적 활동을 보장을 위한 일자리 창출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paration of life expectancy according to the retirement need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the attitude toward life and the rol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aby boomer generation showed a desire for old age life such as I do not expect anyone , my life is responsible , and I want to be recognized for life so far . The baby boomer eneration has expressed pride that my life so far has been my own pioneering and life with many roles and responsibilities . After their retirement, they want to play a meaningful role as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rather than getting help from society or family.In order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to actively participate in community and elderly welfare centers, the following support is needed.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welfare center so that the baby boomers generation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access to the welfare center.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generation of the baby boomers to contribute their expertise to the community through activities such as volunteering and to lead a healthy old age. Third, it is necessary for the generation of baby boomers to create jobs to guarantee their economic activities even after retir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