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이 각기 고유한 영역특수성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전반적 욕구충족으로 수렴되는 위계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특히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욕구충족의 연속체를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초등학생 427명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여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측정모형을 검증한 결과, CFA, ESEM, B-CFA 모형에 비해 B-ESEM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을 각각 일반요인으로 상정한 이중 일반요인 모형에 비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을 포괄하는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단일 일반요인 모형이 자료에 더 부합하여 욕구만족과 좌절의 단일 연속체 가설을 지지하였다. 유능성만족과 유능성좌절이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중심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반면, 자율성좌절은 가장 높은 영역특수성을 나타냈다. 욕구충족 일반요인은 본 연구에서 살펴본 모든 적응변인(수업참여, 친사회적 행동, 긍정정서, 내재동기와 동일시조절) 및 부적응변인(수업이탈, 공격성, 부정정서, 외적조절, 내사조절, 무동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각 욕구별 영역특수요인은 욕구충족 일반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각기 다른 결과변인들과 여전히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각 욕구만족 및 욕구좌절의 고유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서로 독립적이고 구별되는 개념이지만 동시에 단일 연속체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의미와 요인구조, 및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dimensionality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bifactor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ESEM) framework.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ere better represented as two opposite ends of the same continuum or as two distinct constructs. Using a sample of 427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upported the multidimensional B-ESEM representation including on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and six specific factors as the combination of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dicators of both competence satisfaction and competence frustration loaded strongly on the general factor, suggesting that competence was crucial for students’ global level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ulfillment. Most items dropped into meaningful specificity once the global factor was accounted for, while autonomy frustration showed the highest specificity. Furthermore, global need fulfillment significantly explained all adaptive outcome variables (class engagement,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s,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all maladaptive outcome variables (class disengagement, aggression, negative emotions, introjected 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Specific factors explained the variance in certain outcome variables over and above the variance already explained by th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or specific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factors in addition to the global level of need fulfill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ualization of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hould be as two opposite ends of the same continuum rather than as two distinct constructs.

      • KCI우수등재

        교사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

        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사들이 경험하는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고찰을 토대로 교사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397명의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B-ESEM을 적용하여 욕구만족과 좌절을 아우르는 일반적 욕구충족과 개별 욕구의 만족 및 좌절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기본심리욕구의 중심개념을 파악하고, 일반적 욕구충족과 개별 욕구의 만족 및 좌절과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경험하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은 욕구충족이 아니라 욕구미충족으로 수렴되었으며, 욕구미충족을 구성하는 중심 개념은 유능성의 만족과 좌절이었다. 기본심리욕구의 미충족은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욕구미충족이 통제된 후에도 자율성 좌절과 유능성 좌절이 심리적 소진을 예측하였으며, 자율성 좌절과 더불어 자율성 만족, 유능성 만족, 관계성 만족이 직무열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교사들의 직무열의를 높이고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들의 유능성 욕구가 만족되어야 하며, 특히 유능성 욕구가 좌절되지 않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of teachers. In that comprehensive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hould be a primary step, bifactor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ESEM) was applied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of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B-ESEM represents on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and six specific factors as the combination of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Using a sample of 397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B-ESEM showed that teachers’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converged to need unfulfillment rather than need fulfillment, and competence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as crucial for their global level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unfulfillment. The general factor of need unfulfillment significantly explained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Even after general need unfulfillment was taken into account, autonomy frustration and competence frustration maintained unique effects of increasing psychological burnout. Satisfac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s well as autonomy frustration had unique effects of increasing job engagement. This suggests the establish the conditions that can promote competence satisfaction and block competence frustration to reduce teachers’ burnout and to enhance their job engagement.

      • KCI등재

        고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좌절과 학업소진, 수업이탈의 관계

        이은주 한국교육심리학회 2023 敎育心理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의 좌절이 욕구만족과 독립적으로 개인의 부적응에 고유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에 따라 기본심리욕구좌절이 학업소진, 수업이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좌절의 측정모형으로 B-ESEM을 적용하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좌절을 아우르는 욕구좌절 일반요인과 각 욕구좌절 영역특수요인으로 구분하여 욕구좌절의 중심개념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욕구좌절과 학업소진 및 수업이탈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능성좌절이 전반적 기본심리욕구좌절을 구성하는 중심 개념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좌절 일반요인은 학업소진 및 수업이탈을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전반적 욕구좌절을 통제한 후에도 자율성좌절은 여전히 독립적으로 학업소진과 수업이탈을, 유능성좌절은 학업소진을 높이는 고유한 효과가 있었지만, 관계성좌절은 모든 결과변인에 대해 유의미한 예측효과가 없었다. 학생들의 학업부적응을 낮추기 위해서는 욕구좌절의 경험을 야기할 수 있는 욕구좌절적 조건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학업소진 및 수업이탈을 낮추기 위해서 학생들의 유능성욕구의 좌절을 막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교육적 함의 :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생들이 경험하는 일반적 기본심리욕구좌절의 중심에 유능성욕구의 좌절이 있으며, 일반적 욕구좌절을 통제한 후에도 유능성좌절은 학업소진에 대해, 자율성좌절은 학업소진과 수업이탈에 대해 고유한 효과가 있었다. 수업이탈 및 학업소진을 막기 위해 기본심리욕구좌절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유능성욕구의 좌절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