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자동시인용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 안전사고의 지적 구조 규명

        김경식 ( Kim Kyung-sik ) 한국융합과학회 2017 한국융합과학회지 Vol.6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저자동시인용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스포츠 안전사고의 지적 구조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안전사고 연구에서 저자동시인용 연결망 구조를 규명한 다음, 스포츠 안 전사고 연구에서 중앙성이 높고 저자인용 출현빈도가 높은 저자가 누구인지를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한국학술정보(KISS)와 디비피아(Dbpia)에서 제공하는 스포츠 안전사고에 관한 논문을 검색하여 총 71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검색 키워드를 “스포츠”와 “안전사고”로 한정하여 검색하였으며, 저자와 저자가 인용한 참고문헌을 엑셀에 정리하였다. 참고 문헌은 논문과 저서의 저자로 한정하였으며, 잡지나 신문 등은 제외하였다. 저자동시인용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NetMiner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활동중심성(degree centrality)과 매개중앙성(betweenness centrality)을 분석하였다. 활동중심성은 어떤 저자가 다른 저자들에게 많이 인용되었다면 연결망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매개중앙성은 저자와 저자의 관계를 매개하는 위치에 있는 정도를 말한다. 결론: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동시인용 연결망 구조는 거대 연결망과 하위집단 연결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들 간의 교류가 매우 활발히 전개될 수 있는 구조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평균 연결정도는 1.3명이고, 군집계수는 .20 이다. 인용된 저자의 자아연결망 크기는 Seokjung Son, Eunkyung Kim, Kiyoung Yeon, Kiwhan Go 등의 순이며, 이들 저자는 스포츠 안전 연구에서 다른 저자들에게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쳤다. 그러 나 저자동시인용 연결망에서 등장하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허브는 존재하지 않았다. 둘째, 저자동 시인용 연결망 활동중앙성은 Seokjung Son, Eunkyung Kim, Kiyoung Yeon 등의 순이며, 매개중앙성은 Seokjung Son, Eunkyung Kim 등의 순이다. 중앙성이 높은 저자들은 스포츠 안전 연구에 다른 저자들과 함께 많이 등장했다. 저자 인용과 피인용의 출현 빈도는 Seokjung Son → Seokjung Son, Youngchul Park → Youngchul Park, Doohyeon Kim → Doohyeon Kim 등의 순으로 높다. 즉, 자기 인용이 많았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sports safety accid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uthors` co-citation network. The research problem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network structure does the authors` co-citation network show in sports safety accident research? Second, who is the author who has high centralism and high frequency of author quotation in sports safety accident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71 paper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articles related to sports safety accident provided by Korean Academic Information (KISS) and Dbpia. The search keywords were limited to "sports" and "safety accident", and the references cited by author were summarized in Excel. Conclusion: First, the authors` co-citation network structure consists of a huge network and a subgroup network. There is a structural condition in which exchanges among researchers can be actively developed. Average degree is 1.3 and clustering coefficient is .20. The authors` ego network size is listed in the order of Seokjung Son, Eunkyung Kim, Kiyoung Yeon, and Kiwhan Go. These authors have had a relatively large impact on other authors in sports safety research. But This network have not significant hubs. Second, frequency of authors` co-citation are Seokjung Son, Eunkyung Kim, and Kiyoung Yeon in order. Seokjung Son, Eunkyung Kim, etc. Authors with a high degree of centralism have appeared with other authors in sports safety research. The frequency of author citation is higher in order of Seokjung Son → Seokjung Son, Youngchul Park → Youngchul Park, Doohyeon Kim → Doohyeon Kim. In other words, there were many self-quotes.

      • Identification of Authors and ethics of Research based on KODISA Case

        ZHANG, Fan,SU, Shuai,YOUN, Myoung-KIl Korea Distribution Science Association 2020 연구윤리 Vol.1 No.2

        Purpose: The author wants to specify scope of research, identify without giving burden, prevent unfair identification of the author, admit of production of the outcome, enact rules of identification, and build up foundation of development. Also, this study defines scope of publication of outcome of research to prevent unfair identification of authors and admit of the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described literary research, standard research, phenomenon research, and empirical result without methodologies, statistical analysis and scientific test and investigated operation system of KODISA cases. Results: At publication of findings of the research, researchers shall identify the ones of production of the finding to allocate help of the research. Conclusions: Scientific journals shall be controlled to develop ability and to grow up and have a system. Researchers shall give direction of other scientific journals. The study made efforts to be a model. KODISA Edition Team shall make an effort to keep and develop. So far, no regulation of identification of authors has produced disturbance so terminologies should be uniformed. Researchers shall keep rules of identification of authors to uniform and regulate identification of authors, conditions of authors, and order and correspondent authors. KODISA enacted rules of identification of author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o develop science.

      • KCI등재

        인공지능 생성물의 저작자 판단

        정연덕 ( Chung Yeun-dek ),운박 ( Yun Bo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一鑑法學 Vol.0 No.48

        앤 여왕법부터 시작된 현대 저작권법에 저작자는 저작물의 주체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저작자 신분을 확인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누구에게 저작자 신분을 부여하는 것은 1884년 Burrow-Giles Lithographic Co. v. Sarony부터 계속 저작권법상 논의가 되었으며,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인공지능 생성물의 저작자 신분을 확정과 관한 법적 문제에 다시 이슈가 된다. 인공지능 생성물에 대해 법으로 보호를 받아야 된다고 생각했지만, 문제는 현행 저작권법에 따라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만 보호받을 수 있다. 그리고 판례와 학설에도 인간에게만 저작자 신분을 인정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최근에 이슈가 된 인공지능 생성물의 저작자 문제를 소개한다. 그리고 영미 및 대륙 법계 국가의 저작자 개념에 관한 내용을 통해 저작자의 개념을 검토한다. 인공지능 생성물에 대해 누구에게 저작자 신분을 부여하는 것은 각 의견(인공지능, 프로그래머, 사용자, 공동저자, 투자자, 그리고 공공영역)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입법론에 대해도 알아본다. 결론은 사용자에게 저작자 신분을 부여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 인공지능 생성물의 될 수 있는 주체에 대한 학설은 모두 이유가 있지만, 현행 법체계에서 인공지능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저작자 신분을 부여하기 어렵다. 프로그래머, 공동저자에게 부여해준 의견은 각 장점이 있지만, 이와 같이 새로운 문제도 나타낸다. 투자자가 직접 창작 과정을 참여하지 않고 저작자 신분을 인정하기 거의 불가능하다. 공공영역에 진입시키면 저작권법의 최종 목적을 위반하며, 창작에 대해서도 불이익하다. 프로그래머와 투자자에게 인정해주면 과도한 보수가 이중 인센티브를 주고 인공지능에 대한 불평등 이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추세는 인공지능의 미래 발전에 자원을 투입하려는 동기를 제한해서 프로그래머와 투자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공동저자는 새로운 공동 혹은 결합 작품의 문제를 만들어 낼 수도 있어서, 공동저작자의 경우 일부 장점이 있지만 새로운 문제를 나타내기 때문에 공동저작자에 포함시키는 것은 오히려 문제를 피하는 것처럼 보인다. 공공영역에 포함시키면 저작권법의 기본 목적에 위반되고, 사회공중에게도 가치가 있는 작품은 그만큼 줄어든다. 게다가 사용자의 불편과 혼란을 일으키고 고아저작물의 문제도 다시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 생성물의 사용자에게 저작자 신분을 부여하면 저작자를 격려하고 재창작을 촉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인공지능 생성물의 저작자로 간주하면 가장 타당하다. In modern copyright law, which began with Queen Anne’s Law, the author plays a very important role as the subject of the work. As such, identifying the author’s identity is a matter of priority. As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s, granting author status to anyone has been discussed under copyright law since Burrow-Giles Lithographic Co. v. Sarony in 1884, an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gain an issue of legal issues concerning the confirmation of author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ts. Though it was though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ts should be protected by law, the problem is that only creations expressing human thoughts or emotions can be protected under the current copyright law. In addition, only human beings can be recognized as authors in precedents and theories. This paper introduces the author problem of the distant, recent iss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ts. and review the author’s concept through content on the author’s concept of Anglo-American and continental law countries. It also looks at each opinio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er, user, co-author, investor, and public domain) to give author statu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t and to learn about legislation in this regard. The conclusion is also most relevant if the user is given the author status. There is a reason for all the theories about the possible subj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ts, but no matter how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it is difficult to give the author status. The opinions given to programmers and co-authors have their own advantages, but they also represent new problems. It is almost impossible for an investor to recognize his or her identity as a writer without participating in the creation process himself. Entering the public domain violates the ultimate purpose of copyright law and is also disadvantageous for creation. Acknowledging programmers and investors can give double incentives and lead to the use of inequality in artificial intelligence. But the trend limits the incentive to put resources into the futur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works against programmers and investors. Co-authors may create problems with new collaborative or combined works, so it seems to avoid problems rather than include them in co-authors because they have some advantages, but they represent new problems. Included in the public domain violates the basic purpose of copyright law, and the number of works of value to the public is reduced. In addition, it can cause inconvenience and confusion for users and the problem of orphan crops can reappear. Therefore, granting a user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t the author status avoids inhumane problems, and then the user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creation process. Finally, it can encourage authors and promote re-creation. In other words, it is most appropriate for a user to be regarded as the author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t.

      • KCI등재

        영상저작물에서 저작자의 분류와 의미에 대한 고찰

        전홍구 ( Jeon Hong-gu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一鑑法學 Vol.0 No.40

        본고는 최근 그 역할과 비중이 커지고 있는 영상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의 올바른 해석을 통해 영상저작물에 관계되는 자들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궁극적으로는 영상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영상저작물의 권리관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저작자의 의미와 범위 등에 대해 학계의 해석과 판례 및 입법사례를 살펴보고 제작현장의 실태를 참작하여 고찰하였다. 우리 저작권법은 영상저작물의 저작자의 의미와 범위, 저작자의 인정 기준에 대하여는 불분명한 입법으로 인해 해석상 다툼과 함께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영화나 드라마의 제작에 사용하기 위해 창작되는 대본이나 영화음악과 같은 위촉저작물의 저작자는 영상제작에 창작적으로 관여함에도 학계의 다수설은 소설의 원작자와 같이 고전적 저작자로 분류하고 이들을 영상저작물의 공동저작자로 인정하지 아니하고 있다. 또한 영상저작물의 저작자 내지 저작권자의 지위를 갖는 영상제작자는 영상제작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에도 권리의 내용도 불확실한데다 영상제작자로서 경제적인 역할과 책임을 인정받는데 있어서 학설은 인색하다. 우리 저작권법은 1987년 신 저작권법 시행 이래 영상저작물의 저작권과 관련하여 수차례의 개정은 있었으나 그 개정 내용은 디지털콘텐츠 시대의 영상산업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보다는 저작권단체 등의 이해 반영에만 충실한 게 아닌가 생각된다. 이로 인해 영상저작물에 관한 규정은 사실상 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를 통해 영상저작물의 저작권 관계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함께 사실상 유명무실화된 특례규정의 개선도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tionally adjust the interests of those involved in video works through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copyright law of video works, which is recently increasing their role and importance,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video industry. For this purpose, the signification and range of authors,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relationship of rights and duties of audiovisual works, are considered by searching for the interpretation of academia, judicial precedent and pieces of legislation and taking into account actual condition of production sites. Our copyright law has been also a cause of conflict as well as dispute over interpretation due to unclear legislation on the signification and range of authors of video works and the criteria for the recognition of the authors. Especially, even though authors of commissioned contents, such as scripts or music for making movies or dramas, are even creatively involved in producing video works, the majority of academia classify them as classical authors such as the original authors of novels and don’t recognize them as co-authors of video works. In addition, although the producers of video works, who have the status of the authors or copyright holders, play a important role in producing video works, their rights are uncertain and, the theories of academia are stingy in accepting their economic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video producers. Our copyright law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in relation to the copyright of video works, since the enactment of the new Copyright Act in 1987, but it seems that the revised contents are not responding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video industry in the age of digital contents but reflecting the interests of copyright organizations. For that reason,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pecial clause on video works doesn’t actually play a role.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copyright relations of the video works and also hope to improve the special clause that has been almost nominal.

      • KCI등재

        자유주제 : 唐宋八大家(당송팔대가) 문장의 淵源說(연원설) 初探(초탐)

        이기훈 ( Ki Hoon Lee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59

        본고는 당송팔대가와 한대 이전 문장과의 ‘연원관계설’을 수집하고 정리한 것이다. 송대 이후 많은 문인들이 선집을 제작하였고 이때 수록 작품에 대해 간명한 평론을 가하였다. 그때 특정 문인의 문풍을 말하면서 주로 漢 이전의 문장과 관련시켰고 그 문장의 연원을 언급하곤 하였다. 당송팔대가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명대 복고주의가 유행한 후 팔대가에 대한 관심이 팽창하였고 다수의 팔대가 선집이 출간되었으며 역시 팔대가 각각의 연원을 제기하였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러한 역대 평론들이 같은 내용이 중복되는 점이 많고 하나의 연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여러 대에 걸쳐 여러 선록자들이 유사한 관점을 말하고 있다면 상당히 근거할 만 하다. 따라서 필자는 팔대가에 대한 역대 평론을 통해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연원설을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그 내용은 韓愈와 『孟子』, 柳宗元과 『國語』, 歐陽脩와 『史記』, 王安石과 法家, 蘇洵과 戰國縱橫家, 蘇軾과 『戰國策』, 蘇轍과 『春秋』, 曾鞏과 劉向이다. 이상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향후 각 문인들의 작품과 관련성과 실제 여부 등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The this paper, search of the a reconsider on the origin relations view of TangㆍSong Eight Authors. Since the Song dynasty, many writer made a selections. At this moment, about the work added a critical works. Saying the writing style, mostly associated with Before Han dynasty. TangㆍSong Eight Authors was no exception. In particular, to the Ming Dynasty for Eight Authors care after expansion, a lot of publication all Eight Authors every time prompted that the origin of the Eight Authors. Striking is repeated one thing in common. Therefore, the author firstly to collect on the majority of Eight Authors``s generation comments. In the future, selected common origin of the article appeared. After doing some process, the origin relations view of TangㆍSong Eight Authors as follows:HanYu & 『MengZi』, LiuZongYuan & 『GuoYu』, OuYangXiu & 『ShiJi』, WangAnShi & Legalists, SuXun & The strategists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SuShi & 『ZhanGuoCe』, SuZhe &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CengGong & LiuXiang. After fully using the foundation work content, to study the origin of Eight Authors of the actual situation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작가론의 활용방안 연구

        성은혜 ( Seong Eunhy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8 No.-

        본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작가론이 지식과 정보로 머물면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작품 이해의 한 관점으로서의 작가론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문학교육과정에서는 작가와 작품의 관계를 불가분의 관계로 인식하여 관련성 속에서 작품을 이해하도록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방향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문학교과서의 작가론은 크게 작가 정보와 학습활동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작가소개’는 거의 대부분의 교과서가 천편일률적으로 작가의 기본적인 인적 사항과 작품 경향, 대표작들을 나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본시 학습에서 다루는 작품과의 관련성이나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라기보다는 피상적이고 형식적으로 제시되고 있어 교육적으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학습활동 역시 주로 시대적 배경과 관련된 작가의 상황을 제시하여 작품을 한정적으로 이해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작가를 시대성, 대표성의 관점에서 생각하기보다는 한 인간으로서, 작품을 창작해 내고 작품 속의 인물의 삶과 문제를 풀어나가는 생산자적 존재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 또한 ‘작가소개’와 ‘학습활동’ 역시 본시 학습 대상인 작품과 관련하여 어떤 고민과 문제적 상황, 심리가 작품의 창작 및 작품 속 인물의 삶의 구현과 관련이 되었는지에 대한 탐구를 통해서 작가론을 인간의 문제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ays to apply the theory on authors in literature education. This is by bringing up the instructional problem in the literature education, where the theory on authors is treated only as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learning content, especially on authors or their works. In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present the relation between authors and their works perceived as inseparable in the classroom but this instructional condition is not embodied in the textbook, which is operated as a data source, for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The theory on author in the textbook is used through information providing and learning activity which is equivalent to learning content, but information on authors is enumerat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items, the tendency of their works, representative works, etc.. oreover, in teaching theory on authors, teachers must approach it as a problem of human being and learning participants may explore the source of authors’ trouble, problem of the time, psychological mechanism by authors.

      • KCI등재

        영상저작자의 정당한 보상을 위한 「저작권법」 개정안 연구

        유정주,차승재 한국영화학회 2022 영화연구 Vol.- No.9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eate an amendment of the Copyright Act for the equitable remuneration of audiovisual authors. The equitable remuneration of the audiovisual author means the additional compensation that the author will receive in proportion to the profits generated in the secondary market of the audiovisual work.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thesis, previous studies will be reviewed, overseas cases will be investigated, the necessity of revising the Copyright Act will be asserted, and finally, an amendment of the Copyright Act will be proposed.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ways in which the authors of audiovisual works can receive equitable remuneration. Most of these studies were interested in the movement of copyright created by the imbalance of power between authors and producers in the audiovisual industry, suggesting that the rights of authors should be restored through revision of the Copyright Act. The equitable remuneration rights of audiovisual authors have been legislated invarious countries. In Europe, including France, the author has the right to receive equitable remuneration, even though it is presumed that the author has transferred the copyright to the audiovisual producer. And this right is the unwaivable and inalienable right. The rights of these audiovisual authors are expanding to Latin America, such as Chile and Colombia, and Africa and Asia. There is a valid reason for the revision of the Copyright Act in Korea. First, it went through a public debate process to the extent that researchers’ research and the legislative activities of the National Assembly have been conducted for more than 10 years. Second, internationally, many countries legislate the equitable remuneration rights of audiovisual authors. Third, copyright fees for Korean films that have already been collected from various countries should be recovered. Finally, equitable remuneration will be the foundation for maintaining the ecosystem of the audiovisual industry in Korea. For this reason, an amendment of the Copyright Act should be proposed now. Finally, this paper ended with proposing a revision to the Copyright Act. 이 논문은 영상저작자의 정당한 보상을 위해 「저작권법」개정안을 만드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영상저작자의 정당한 보상이란 영상저작물의 2차 시장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비례하여 저작자가 받는 추가적으로 받는 보상을 의미한다. 논문의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검토할 것이며, 해외 사례를 조사할 것이며, 「저작권법」개정안의 필요성을 주장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저작권법」개정안을 제안할 것이다. 많은 연구자들은 영상저작물의 저작자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방안들을 연구하였다.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영상산업에서 저작자와 영상제작자 사이의 힘의 불균형이 만들어내는 저작재산권의 이동에 관심을 가지면서, 법안 개정을 통해서 저작자들의 권리를 복원해줄 것을 제안했다. 영상저작자의 정당한 보상 권리는 다양한 국가에서 법으로 명문화했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 저작자가 영상제작자에게 저작 재산권을 양도한 것으로추정함에도 불구하고, 저작자는 정당한 보상을 받을 권리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권리는 포기할 수도 양도할 수도 없는 권리이다. 이런 영상저작자의 권리가 칠레나 콜롬비아 등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와 아시아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국내에서 「저작권법」 개정이 지금 이루어져야 하는 타당한 이유가 있다. 첫째, 10년이상 연구자들의 연구와 국회의 입법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을 정도로 공론화과정을 거쳤다. 둘째, 국제적으로 많은 국가들에서 영상저작자들의 정당한 보상권리를 법으로 명문화하고 있다. 셋째, 이미 여러 나라에서 징수한 한국영화에 대한 저작권료를 회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당한 보상은 대한민국의 영상산업의생태계를 건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이런 이유로 지금 「저작권법」 개정안이 지금 발의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마지막으로 「저작권법」개정안을 제안하는 것으로 끝마쳤다.

      • KCI등재

        저작재산권 양도와 저작물 이용허락의 비교 고찰

        노현숙(Roh, Hyeon Sook),구천을(Qiu, Tian Yi)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8 No.-

        저작권 계약이 저작재산권 양도인지 또는 이용허락 계약인지의 문제는 많은 경우에 계약 체결 시에 명확하게 약정되지 않거나 계약 당시에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추후에 발생함으로써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 저작권 계약이 저작재산권 양도 계약인지 저작물 이용허락 계약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저작권법상 명시적 규정이 없으므로 해석을 통해서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 계약에 관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저작권 보호를 중심으로 하는 저작권법의 정책에 입각하여, 저작권 계약에서 불분명한 부분이 있을 때에는 저작물 이용자가 자신의 주장을 증명할 수가 없다면 저작권자에게 유리하게 추정해야한다는 것이 학계의 다수의 견해이자 법원의 입장이지만, 이와 관련한 일관된 해석 기준이 정립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저작권 계약이 저작재산권 양도 계약인지 저작물 이용허락 계약인지를 구별함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약자인 저작권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계약 체결 이후의 상황에 따라서는 저작권자가 계약 변경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저작권법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또한 저작권 계약 문서를 저작권자가 작성한 경우에는 저작권자가 반드시 계약상의 약자라고만 할 수 없으므로 저작권자와 이용자의 이익과 권리를 비교교량하여 정당한 권리자의 권리가 보호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Whether a contract agreement is an agreement as a transfer of author’s property right or as an authorization to exploit works is not easy to be distinguished, because a transfer of author’s property right and an authorization to exploit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there is no rule or agreed standard to distinguish the two. When a dispute to draw a line between a transfer of author’s property right and an authorization to exploit occurs, a principle favorable to authors and a principle unfavorable to contract drafters are generally applied to resolve the dispute.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or no clear standard to distinguish an authorization to exploit from a transfer of author’s property right, and users" rights as well as authors" rights are needed to be protected. Therefore, authors" right to claim on contract changes would be needed to protect authors, economic stands. Also, when a principle favorable to authors and a principle unfavorable to contract drafters collide, because authors are contract drafters, more protectable rights should be determined, comparing users" and authors" rights and their interests.

      • KCI등재

        한글 저자명 중의성 해소를 위한 기계학습기법의 적용

        강인수 한국정보관리학회 2008 정보관리학회지 Vol.25 No.3

        In bibliographic data, the use of personal names to indicate authors makes it difficult to specify a particular author since there are numerous authors whose personal names are the same. Resolving same-name author instances into different individuals is called author resolution, which consists of two steps: calculating author similarities and then clustering same-name author instances into different person groups. Author similarities are computed from similarities of author-related bibliographic features such as coauthors, titles of papers, publication information, using supervised or unsupervised methods. Supervised approaches emplo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automatically learn the author similarity function from author-resolved training samples. So far, however, a few machine learning methods have been investigated for author resolution. This paper provide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a variety of recent high-perform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on author disambiguation, and compares several methods of processing author disambiguation features such as coauthors and titles of papers. 동일한 인명을 갖는 서로 다른 실세계 사람들이 존재하는 현실은 인터넷 세계에서 인명으로 표현된 개체의 신원을 식별해야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의 문제가 학술정보 내의 저자명 개체로 제한된 경우를 저자식별이라 부른다. 저자식별은 식별 대상이 되는 저자명 개체 사이의 유사도 즉 저자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이후 저자명 개체들을 군집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저자유사도는 공저자, 논문제목, 게재지정보 등의 저자식별자질들의 자질유사도로부터 계산되는데, 이를 위해 기존에 교사방법과 비교사방법들이 사용되었다. 저자식별된 학습샘플을 사용하는 교사방법은 비교사방법에 비해 다양한 저자식별자질들을 결합하는 최적의 저자유사도함수를 자동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 교사방법 연구에서는 SVM, MEM 등의 일부 기계학습기법만이 시도되었다. 이 논문은 다양한 기계학습기법들이 저자식별에 미치는 성능, 오류, 효율성을 비교하고, 공저자와 논문제목 자질에 대해 자질값 추출 및 자질 유사도 계산을 위한 여러 기법들의 비교분석을 제공한다.

      • KCI등재

        ‘암시된 저자 The implied author’ 연구

        최라영 한국비교문학회 2012 比較文學 Vol.0 No.58

        This script contemplates the controversy over the pros and cons regarding the ‘Implied Author' in the western world, and also examines the subsequent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Implied Author' by Booth. In addition, it studies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e concept in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based on poems of Lee Yook-sa. Ostensibly, Chatman criticizes the 'comprehensiveness' and the 'personification' of the concept of the 'Implied Author', but an in-depth look reveals that Chatman acknowledges 'the implied author' ontologically, and that he tried to re-determine and systematize it from a reader-oriented perspective. Ansgar F. Nünning was highly critical of the 'Implied Author' in regards to the form in which the 'Implied Author' was applied to reviews and to the criteria in judging the reliability of the narrator. Olson refutes the assumptions of Nünning, and instead, based on the arguments of Booth, reinforced the discussion on the types of narrators related to judgments on reliability. After such controversy, Booth revised his own opinion on the 'Implied Author', which he stressed earlier as an official, objective self, to being an intrinsic self or an avatar as an extension of the actual author. This corresponds to an indirect counter-argument at the heart of the 'Implied Author' controversy; that is, the assertion that the 'Implied Author' is neither a personification nor 'a distinct agent'. The controversy on the implied author is a clear example of how an implied author that's set up from an author-centric viewpoint, is reflected when seen from a reader-oriented perspective. Yet the 'Implied Author' presents itself ontologically during the reader's comprehension process, and it can lead the reader to fully and truly understand the literary work by grafting the autobiographical and fictional truths together. By composing 'a collection of implied authors', that is 'Career-Author', we can meet various egos, embodied metonymically by the author under the circumstances and restraints of his/her time. Specifically, the implied authors of Lee Yook-sa, who was a scholar of Chinese classics and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fought for Korea's independenc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re vivid examples of the power of autobiographical truth-cherishing a strong and genuine passion for national independence-beyond the imaginative prism of 'the guest', 'steel rainbow' and 'the seed of a humble s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