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한기 한국민요학회 2009 한국민요학 Vol.26 No.-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author’s intention in Chinese poetry connected with <Monaegino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rough the folk song materials in the collecting of works. The result is followed. The aspect of matter in Chinese poetry connected with <Monaeginore> in the late Chosun Dynasty:In the Chinese poetry being occupied by author’s thought, there are the figure of life in farmhouse being observed by author and the author’s satisfaction at life in farmhouse and the lesson being instructed by author and the author’s praise to <Monaeginore>. In the Chinese poetry being occupied by the thought of inhabitant in farmhouse, there are the farmer’s hope for the result of farming and the farm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arming and the farmer’s pain of farming and the farmer’s talking to another and the woman’s love and woman’s emotion being caused by life in farmhouse. The author’s intention in Chinese poetry connected with <Monaeginore> in the late Chosun Dynasty:Between the former times of beginning nineteenth century and the henceforth of that time, the point of sameness is followed. The farmer has hope that he can accomplish obligation and that a young rice plant well grow up. The farmer talks to another farmer and they are equal relationship. The woman falling in love turns inward and she is independent. The woman’s emotion is caused by the member of family that has a feud with her. Between the former times of beginning nineteenth century and the henceforth of that time, the point of difference is followed. In the former times of beginning nineteenth century, the author intends to exclude his intention in the poetry and to describe the life in farmhouse really. After the beginning of nineteenth century, the author’s intention intervene in the poetry. His intention is that he reports the farmer’s pain of farming to the ruling class.
‘작가의 의도’와 관련된 문학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나현수,이향근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 No.101
본 연구는 ‘작가의 의도’와 관련된 문학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최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문학교육에서 ‘작가의 의도’와 관련된 교수··학습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4차∼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용어와 내용이 중복되어 정선이 필요하나 ‘작가의 개성’, ‘작가의 세계관’, ‘사회·문화적 상황’, ‘작품 창작 동기’, ‘작가, 작품, 독자의 관계’, ‘소통 행위' 등 ‘작가의 의도’와 관련된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에는 ‘작가의 의도’와 관련된 교육내용이 대폭 축소되어오다가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초등 5~6학년 군에 ‘작가’ 관련 성취기준이 등장하였다. ‘작가의 의도’와 관련된 문학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한 결과 문학교육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작가의 의도’와 관련된 교수·학습은 작가의 삶과 작품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구현되어야 하고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작가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독자들이 작가, 작품, 독자 간의 상호 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literary curriculum related to ‘author’s intention’ and critically review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recent curriculum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related to ‘author’s intention’ i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4th to 7th curriculum, learning terms and contents overlap and need to be selected, but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author’s intention’ such as ‘the author’s personality’, ‘the author’s world view’,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the motivation for creating work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 work and reader’, and ‘communication’ is proposed specifically. Aft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 related to ‘author’s inten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for the first tim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author’ were introduced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curriculum related to ‘author’s intention’,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literature education. First, teaching and learning related to ‘author’s inten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direction of connecting the author’s life and work, and it is important to select authors that readers can sympathize with. Seco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read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authors, works, and readers.
안호준(Ahn, Hojoon) 한국신약학회 2024 신약논단 Vol.31 No.1
본 논문은 공관복음서의 ‘저자’(author)로 불려 온 마태, 마가, 누가를 ‘저자’로 부르는 것이 적절한지, 또한 각 공관복음서의 특징을 과연 ‘저자의 의도’의 결과라고 단정할 수 있는지에 관해 비판적 고찰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공관복음서 ‘저자’들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학자들이 가져온 입장들을 정리해 보고(특정하지 않음, 기록자[ἀναγραφή], 복음서 기자[εὐαγγελιστής], 구성자[Verfasser], 편집자[editor], 저자[author], 혼용의 사례), 이 입장들을 텍스트에 대한 영향력의 관점에서 분류해 본 뒤, 과연 마태, 마가, 누가를 저자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한지를 살피고,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공관복음서 형성 과정에서 영향을 주었을 여러 요인(구전 전승의 보존, 각 작성자의 정체성 등)을 고려할 때, ‘저자의 의도’라는 표현이 공관복음서에 무비판적으로 쓰이는 것이 적절한지를 살핀다. 초대 교부들을 비롯하여 많은 이들은 마태, 마가, 누가를 ‘저자’로 간주하지 않았다. ‘저자’라는 개념은 다분히 현대적 저술가들을 통해 나오게 된 명칭이다. 현대적 관점에서 저자는 텍스트의 주인이라는 의미가 강한데, 이러한 표현을 마태, 마가, 누가에게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관해 재고할 필요를 느낀다. 물론 충분한 정의를 내린 뒤, ‘저자’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할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구전 전승을 보존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일정 부분 자신의 관점을 바탕으로 각 자료를 선택하고 배치하여 본문을 구성한 것으로 보이는 공관복음서 작성자의 명칭으로서 무엇이 적절할지에 관해 본 논문은 비판적 고찰을 시도했다. 요컨대, 본 논문은 공관복음서와 관련하여 ‘저자’ 대신 ‘구성자’(constructor)라는 표현 사용의 가능성을 제안하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저자(혹은 구성자)의 의도’라는 표현을 보다 더 신중하게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refer to Matthew, Mark, and Luke as the “authors” of the Synoptic Gospels, an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ynoptic Gospel can be definitively attributed to the “author’s intention.” In this process, this article surveys the positions that scholars have taken regarding the so-called “authors” of the Synoptic Gospels (unspecified, writer [ἀναγραφή], evangelist [εὐαγγελιστής], composer [Verfasser], editor, author, conflation of two or more designations) and classifies these posi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influence on the text. Moreover,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at could have influenced the Synoptic Gospels’ construction process (e.g., the preservation of oral tradition and the unique identities of Matthew, Mark, and Luke), this study assesses whether the uncritical usage of the term “author’s intention” for the Synoptic Gospels is appropriate. From the analysis of scholarly positions, it is evident that many early Church Fathers did not consider Matthew, Mark, and Luke as “authors,” a designation that has largely emerged through modern writers. Given the modern connotation of an author as the proprietor of a text, this article pursues a reevaluation of directly applying such a term to Matthew, Mark, and Luke. While it may be possible to use the term “author” with a detailed definition, this article shows the problems of applying the term “author” to Matthew, Mark, and Luke, who, while preserving oral tradition, also seem to have selected and arranged their materials which may have reflected their perspectives to some extent.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is article proposes the possibility of using “constructor” as an alternative to “author” in relation to the Synoptic Gospels and, accordingly, suggests that the expression “author’s(or constructor’s) intention” should be used more cautiously.
저자의 의도가 번역문에 반영된 방식 -<아저씨의 훈장>의 영역본 분석에 근거해서-
박옥수 ( Ock Sue Park ) 겨레어문학회 2013 겨레어문학 Vol.50 No.-
문학번역에서 언어적, 문화적 한계 때문에 원작의 양식이나 저자의 의도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한영 문학번역처럼 소수의 언어가 다수의 언어로 번역되는 환경에서 충실성의 규범을 따르기 어려운 번역 항목들이 있다. 단편소설의 경우 장르의 특성상 고유 언어나 문화의 전달에서 충실성만을 지향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원작과 번역물 독자 사이의 소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번역물 독자가 원작의 의사소통 규칙과 배경 지식을 공유해야 한다. 이 두 가지를 더 많이 공유할수록 등가의 효과는 커진다. 그러나 한영문학 번역의 경우 서양 독자들은 원천 문화에 대한 지식이 미약하기 때문에 번역자는 불가피하게 대상 독자의 가독성을 위해서 개입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원문의 의도가 번역문에 어떻게 정착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춰서 분석하였다. 원문의 의도는 충실성의 추구를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중점을 둔 자료 분석 항목은 저자의 의도를 반영한 번역 항목이다. 그 결과 작품 속의 중심 인물을 묘사한 부분과 이 작품의 주제를 완성하기 위한 두 가지 장치인 과거와 현재의 규범에 관한 항목, 그리고 작품 속에 개입하기도 하는 화자의 어조를 비교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번역문 분석의 틀은 미시적 항목의 개별 분석보다는 저자의 의도를 얼마나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췄다. 원작은 ‘박완서 문학선``의 ‘그 가을의 사흘 동안’에 수록된 ‘아저씨의 훈장’이고, 번역본은 My very Last Possession에 수록된 Mr. Hong`s Medals으로 번역자는 전경자이다. 박완서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문학의 대표적 작가로 주목 받았다. 한국문학작가상, 이상문학상 등을 수상 하였다. In literary translation, the translator sometimes is not able to transfer the style or the intention of the author in its fullness. In particular, there are some translating items which cannot pursue the norms for fidelity in the environment translating minor languages into major languages such as Korean-English literary translation. Translation of short stories makes it harder to get faithfulness due to the features of the text type.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source text and the target readers, the target readers should share the communicating rules and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ource text. The more the readers share them, the more effective of the equivalent effect. However the western readers hardly have the source culture knowledge and the translator inevitably intervenes for the readerbility. In that case it is desirable that the intervention should be at a minimum. In this study the present author examined how the intention of the original author has been established in the target text. The selected items for analysis are the ones which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author. In specific detail, they describe the main characters and norms defining the past and the present of Korean society, and the tone of the narrator who sometimes intervenes into the work. The main frame of the analysis focuses how the text performs the contextual and macro equivalent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individual analysis of the micro units. The source text is Ajussiui Hunjang(The uncle`s medals) written by Pak WansO and the target text is ``Mr. Hong`s Medals`` translated by Chun Kyung-Ja. Pak Wan Seo is most respected and wildly read contemporary writers in Korea. She has attracted attention as one of the greatest author of feminism literature since mid 1980s. She received the Writer`s Award of Hankuk Munhak and Isang Munhak Award.
강해 설교의 저자 의도와 본문 해석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류병수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설교는 성경 해석과 시대의 담론들을 성경 본문을 통해 청중에게 바르게 적용하고 전달하는 것으로써 설교자들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이다.1) 이 고귀한 사명의 부르심 앞에 모든 설교자는 소위 성경적 설교를 위해 오늘도 성경과 씨름하며 수고스러운 해 석의 과정을 마다하지 않는다. “무엇이 성경적 설교인가?” 성경적 설교는 성경적이어 야 한다는 것에는 다툼의 여지가 없다. 그동안 한국교회 안에 행해지는 설교에는 다 양한 방법론들이 존재해 왔는데, 다수의 설교자들은 성경적 설교로 강해 설교를 선택 했다. 그 이유는 강해 설교만이 제공하는 중요한 이미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성경 스스로 드러내도록 하여, 성경 자체가 그 본질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으로”2) 성 경에 기록된 본래의 의미를 찾아 그것을 시대에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강해 설교의 핵심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이는 여타 다른 설교 방법론들과 달리 단순한 방법론과 이론에 의존하지 않고 성경 해석의 과정 그 자체로써 강해 설교라는 기준점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바로 그 해석의 중심에는 ‘저자 의도’가 있다. 강해 설교의 정의인 ‘역사적, 문법적, 문자적, 신학적 연구를 통해 발굴하고 알아내고자 하는 것이 바로 저 자 의도이다.’3) 저자 의도는 강해 설교의 성경 해석의 기준이며, 설교자가 반드시 찾 아내야만 하는 원석과 같은 것으로 모든 설교의 내용과 적용의 핵심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강해 설교의 핵심이라고 말할 수 있는 저자 의도에는 해결해야 할 중요 한 이슈가 존재한다.4) 그리고 이것에 대한 연구사례를 찾기 어려운 것은 강해 설교 안에 저자 의도는 ‘성경적 설교’라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근간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 럼에도 필자는 시시각각 변하는 시대 속에 강해 설교가 더욱 ‘성경적 설교’와 ‘시대를 담아내는 탁월한 설교’로 세워지길 바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강해 설교에서 다루지 않는 저자 의도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고 본문 해석의 다양성의 관점과 새로운 설교학 에서 제공하는 예언자적 해석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 저자 의도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reaching is the Unique rights given to preachers by correctly applying and communica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the discourses of the times to the audience through the text of the Bible. In the face of this noble mission call, all preachers struggle with the Bible today for so called biblical preaching and do not hesitate to interpret the laborious process of interpretation. “What is Biblical Preaching?” There is no dispute that biblical preaching must be biblical. In the meantime, various methodologies have existed for preaching in the Korean church, but many preachers chose expository preaching as biblical Preaching. The reason is that th ere is an important image that only expository preaching provides. It is “so that the Bible itself reveals itself, the Bible itself reveals its essence.” This is because it understands the core of the sermon by expounding on the series of processes of finding the original meaning recorded in the Bible and applying it to the times. This is because, unlike other preaching methodologies, it does not depend on simple methodologies and theories, and can establish the standard of expository preaching through the process of biblical interpretation itself. at the center of that Interpretation is the ‘author’s intention’. It is the author's intention to discover and find out through historical, grammatical, literal, and theological studies, which is the definition of expository preaching. It can be said that the author's intention is the standard of biblical interpretation of expository sermons, and is the core of the content and application of all sermons as a gemstone that preachers must find. However, there are important issues to be resolved in the author's intentio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expository preaching. And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cases on this because the author's intention in expository preaching is the basis for providing the image of biblical preaching. Nevertheless, I hope that expository preaching will become more biblical preaching and excellent sermons that capture the times in the ever-changing time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 development plan for author's intention by pointing out the problem of author's intention that is not addressed in expository preaching, and by suggesting the need for prophetic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of textual interpretation and new homiletics.
의도주의와 반의도주의 논쟁의 재구성 ― 의도 개념을 중심으로
신현주 ( Shin Hyun Joo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4
예술작품의 의미 해석 문제와 관련하여 분석미학에서 중심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의도주의와 반의도주의 논쟁’이다. 양측은 ‘예술작품의 의미는 작가의 의도와 동일한가?’라는 질문에 대해 대립적인 입장을 보이는데, 의도주의에 따르면, 예술작품의 의미는 작가의 의도와 동일하며, 작품을 해석할 때 우리는 작가의 의도를 고려해야 한다. 반면 반의도주의에 따르면 작품의 의미는 언어의 공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되며, 작가의 의도는 작품의 의미 결정에 무관하다. 이 논쟁은 굉장히 복잡하게 진행되어 왔고, 특히 각자의 주장이 한정된 전제 하에서만 타당해지는 경우에도 상대에게 그 전제를 설득하지 않고 논의를 강행하면서 해결이 나지 않을 듯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각 진영에서 전제되고 있는 ‘의도’ 개념을 드러내고, 그것이 좋은 해석 이론의 구성에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의도주의와 반의도주의 논쟁을 그 안에서 전제되고 있는 상이한 의도 개념들을 밝히면서 재구성한다. 반의도주의가 의도주의에 던지는 두 공격을 의도의 ‘인식론적 문제’와 ‘무관련성 문제’로 정리할 수 있는데, 필자는 전자가 데카르트적 심성 개념을 전제하고 있음을 밝히고, 의도주의가 대안적 의도 개념을 이용한다면 그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지 고찰한다. 후자에 대해 필자는 반의도주의가 실재론적 의도 개념을 전제함을 밝히고, 의도주의가 반실재론을 도입하면 그 문제를 피할 수 있을지 고찰한다. 이후 인식론적 문제에 관해서는 의도주의가 우세하나 무관련성 문제와 관련해서는 아직 어느 쪽도 우세가 아니라고 평가하고, 이 논쟁의 해결을 위해 주목해야 할 격전지가 어느 곳인지 진단한다. One of the central topics in analytic aesthetics regarding interpretations of artworks is the debate between intentionalism and anti-intentionalism. The two sides are in conflict concerning the question of whether the meaning of an artwork is identical with the author’s intention. Intentionalists argue that it is, while anti-intentionalists deny it. The debate has been evolved to a complex situation where any resolution seems out of sight, due to the fact that both are reluctant to discuss their fundamental assumptions about ‘intention’, while their arguments are valid only with the assumptions of their own. Given this, I find it necessary to disclose different notions of intention in each side and discuss which will lead to a better theory of interpretation. With this aim in mind, I begin by re-formulating the debate as centered on two problems raised by an-ti-intentionalists. Concerning the ‘epistemological problem’, I show that the problem only works within the Cartesian notion of intention and exam-ine whether intentionalists can solve it by adopting alternative notions. Concerning the ‘irrelevance problem’, I show that the problem is depend-ent upon the realist notion of intention and examine whether intentionalists can avoid it by using the anti-realist notion. Finally, I argue that in-tentionalists can defeat anti-intentionalists regarding the first problem, while the debate is almost at a dead-end regarding the second, which then leads to my analysis on what should be examined further to achieve a breakthrough.
신운화 ( Oon Hwa Shin ) 한국미학회 2011 美學 Vol.68 No.-
의도주의의 미덕은 무엇보다도 해석적 의미의 기준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저자의 의도를 우선시하는 절대적 의도주의는 의도주의의 오류로 알려진 전통적인 비판에 직면해 왔으나, 텍스트와 맥락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는 온건한 의도주의는 일반적인 직관에 부합하면서 올바른 해석을 위한 의미의 고정에 기여한다. 온건한 의도주의는 예술 작품을 발화와 유비적으로 보는 화용론적 입장에서 접근하며, 해석의 목적상 작품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우선시한다. 온건한 의도주의에는 가설적 의도주의와 온건한 실제 의도주의가 있는데, 이 두 입장은 저자의 의도 중시, 텍스트 및 맥락, 수용자의 이해에 대한 고려 등의 일반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의미 파악이라는 해석의 이상은 가치 평가 문제와 원칙적으로 구별된다. 의도주의는 작품의 의미를 분명하게 밝혀내는 것을 우선으로 하되, 그와는 별개로 다양한 해석의 목적과 가치 평가를 인정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허용한다. 온건한 의도주의에서 이 두 목표는 양립불가능하지 않다. 다만 가설적 의도주의는 정확한 의미 파악과 가치 최대화 이상 사이의 딜레마를 보이며, 실제 의도에 대한 견해는 의도주의의 근본적 성격에 위배된다. 따라서 이 글은 의도주의의 원칙과 목적에 비추어 온건한 실제 의도주의가 더 설득력 있는 관점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The merit of intentionalism in aesthetics is to suggest the standard for determination of work-meaning in interpretation. Intentionalism has been criticized for many problems, namely intentional fallacy. Absolute intentionalism will be vulnerable for this typical criticism, but moderate intentionalism can overcome that weakness by considering textual evidences and contextual/conventional aspects as to serve artistic interpretation relevantly. Moderate intentionalism is based on Grice`s pragmatics so that it counts artworks as utterance analogously and claims that the primary purpose of interpretation is to find the work-meaning in question. This essay discusses two typical forms of moderate intentionalism, that is, hypothetical intentionalism and moderate actual intentionalism. Those two have the points of the intention of author, textual evidence, context and convention, communication in community and audience`s understanding in common. Interpretation and artistic evaluation are quite distinct matters for purpose and moderate intentionalism puts the determination of meaning before evaluation but allows various purposes of interpretation and multiple values so that those two ideals are compatible in this theory. This essay concludes moderate actual intentionalism can be the more preferable one, for hypothetical intentionalism faces the dilemma between value-maximizing theory and actual intentionalism, and its point of view on actual intention can seem to be inappropriate for intentionalism.
Авторская интенция в повести «Похождения Невзорова, или Ибикус» А.Н. Толстого
김준석 국민대학교 유라시아연구소 2015 Eurasian Review Vol.7 No.-
This article explores Alexey Tolstoy’s intention as manifest in his «autobiographical» novel Nevzorov's adventures, or Ibycu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of this paper analyzes the work’s characters and reviews the writer’s autobiographical materials during the revolutionary era of Russia. Based on this, we could define Tolstoy's cynical view of his literary world.
사건(事件)의 기록(記錄)과 한문학(漢文學) 삽교(삽橋) 안석경(安錫儆)의 기록정신(記錄精神)과 「김영철전(金永哲傳)」
윤지훈 ( Ji Hun Yoon ) 동방한문학회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9
The study is aiming to consider how an author`s consciousness exerts on a work though 「Kimyoungcheoljeon」 Anseokkyeong changed Hongsetai`s into with his own point of view. An author`s consciousness plays a decisive role in a piece of work born. Where the work is a true record or not, an author`s consciousness intervenes in it. As having a critical mind of 「Kimyoungcheoljeon」by Hong was prone to compassion excessively, Anseokkyeong re-judged Kimyoungcheol in another way and adapted it for his intention using condensation or abridgment. This intention of description worked on it to record and report a historic model fact. Because of a limit to the genre that 「Kimyoungcheoljeon」by An was a reality based on a specific person`s traces left behind, he attempted the variation of description by selecting the origin`s details in patches, not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description in the origin over all.
윤호숙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日語日文學硏究 Vol.103 No.1
Recently,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ranslation by machine has become a societal topic. Translation by a person will eventually become unnecessary. Accordingly, the occupation of translator is at risk of becoming obsolete. However, in literary translation, limitations are felt in translations by machines. If translation by machine becomes generalized in the future, the priority task will have to be to raise the quality of translation. In the case of literary works, it is said that there is significance in the translation of literary works by people; especially when properly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the author. However, when examining the translation of already published literary works in detail, one will find a considerable amount of mistranslation. Therefore, in order to make the translation accurate and faithful, it is necessary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writer and the work as well as the original language, the language to be translated, and the knowledge of the culture of the two language areas.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atsume Soseki and the intention of the author, in detail, for the translated books of the representative novels by Natsume Soseki, which are the most translated in Korea. Additionally, I compared and considered whether the translated text is faithfully and accurately reflected through the Korean translation.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know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Soseki and the intention of expression of the writer from vocabulary, stylistic body, particle, conjunction, tense, passive, sign, etc. which are elements of language agreement and Western context. Regarding Korean translation,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remarkable mistranslations. Therefore, in order to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Soseki's work, it is necessary to faithfully translate Soseki's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最近、4次産業革命により、機械翻訳が社会的な話題にあわせて、人による翻訳は必要なくなり、将来なくなる職業として翻訳家が上位に上がっている。しかし、文学翻訳の場合、機械翻訳では限界が感じられる。 今後、機械翻訳が一般化されると、翻訳の優先的課題はその質を高めることにある。文学作品の場合、作家の意図をきちんと把握し翻訳される時、人による翻訳の意義があると言えるが、すでに出版された文学作品の翻訳を詳しく調べると、誤訳が相当数みられた。 したがって、翻訳を正確且つ忠実にするためには、元の言語と翻訳する言語及び、両言語圏の文化に対する知識だけでなく、作家と作品に対する深い理解が必要である。 本稿では、韓国で最も多く翻訳されている夏目漱石の代表小説の翻訳本を対象に、漱石の語学的特性と作家の意図などを詳しく調べ、韓国語翻訳を通じて忠実かつ正確に反映されているかを比較、考察した。 その結果、言文一致と欧文脈の要素である、語彙、文体、助詞、接続詞、時制、受け身、符号などから、漱石の語学的特性と作家の表現の意図を知ることができ、韓国語翻訳に誤訳がかなりあることがわかった。したがって、漱石の作品と正確な理解をするためには、漱石の語学的特性と意図を忠実に翻訳する必要が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