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기적 감사인 지정 가능성이 재무제표의 보수성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유승원 한국공인회계사회 202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4 No.3

        In this paper, we suggested the evidence that when the possibility of auditor’s client firms being subject to auditor periodic designation was high, current auditors increased the level of conservatism for their client’s financial report.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etc’ in 2018,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a subsidiary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designates an external auditor for all listed companies and unlisted companies whose ownership and management are not separated. With the enforcement of the revised‘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etc’, listed and unlisted firms that have been audited by freely contracted auditors for more than six years are audited by an external auditor designated by the financial authorities for the next three years. The initial complement of the‘External Auditor Designation Rule’ would increase the risk of disagreement between the current auditor and incoming designated auditor and of restatement of the financial statements, caused by this disagreement. The designated auditors who are directly assigned to the firms by the regulatory authorities may conduct strict audits based on high independence, which may increase the audit risk of existing auditors before the designation. The strict audit by the designated auditors will lead to an increase in the audit risk of the existing auditors due to the possibility of disagreement between the existing auditors and the designated auditors, the risk of financial report restatement, and the risk of litigation. The current auditors who expect their client firm to be designated within a few years will consider the implementation of ‘External Auditor Designation Rule’ as an audit risk and this increased audit risk will affect the quality of the current financial report. Because current auditors have incentives to alleviate the future risk caused by audit failure, they would require firms to report more conservatively, right before a year of complementing the ‘External Auditor Designation Rule’. Using a sample of firm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security market from 2016 to 2019, we found evidence that is consistent with this argument. The firms expected to be designated in 2020 reported more conservative financial statements in 2018 and 2019 than before. In particular, among the firms expected to be designated within few years, those having been audited by auditors with which firms had freely contracted for under 6 years reported even more conservatively than those audited by auditors freely contracted for over 6 years. This result means that the preliminary effect of the auditor designation rule is remarkable when the free contract period is relatively short, and the independence of the existing auditors is maintained hi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 auditors perceive their client firms being designated as an audit risk and increase the level of conservatism in financial reports of client firms to alleviate the audit ris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pre-emptive effect of the periodic designation rule by presenting empirical evidence that the level of conservatism of financial reporting can be improved by the possibility of auditor designation. 본 연구는 주기적 감사인 지정 가능성이 존재할 때 기존 감사인의 보수성이 증가한다는 실증증거를제시한다. 주기적 감사인 지정의 시행으로 새로운 지정 감사인과 기존 감사인 간의 감사의견 불일치리스크는 높아질 것이다. 금융당국으로부터 직접 피감사기업을 배정받는 지정 감사인은 높은 독립성을바탕으로 엄격한 감사를 수행할 것이며, 이는 지정 직전 기존 감사인의 감사위험을 높일 수 있다. 즉, 지정 감사인의 엄격한 감사로 증가하는 기존 감사인과 지정 감사인 간 의견불일치 가능성과 그로 인한 재무제표 재작성 위험, 소송위험 등은 기존 감사인의 감사위험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주기적 감사인 지정 시행에 앞서 증가한 미래 의견불일치 또는 감사실패로 인한 소송 및 제재 위험을 경감시키고자, 기존 감사인은 보다 보수적인 재무보고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실증분석 결과, 2020년 회계연도부터 감사인을 지정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의 2018년과 2019년 재무제표는 그 이전에 비해더 보수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지정 예상 기업 중 동일 감사인과의 자유수임 기간이 6년을 초과하지 않는 기업들은 자유수임 기간이 6년을 초과하는 기업에 비해 회계처리의 보수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자유수임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기존 감사인의 독립성이 높을 때 주기적 감사인지정제도의 사전적 효과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존 감사인이 주기적감사인 지정의 가능성을 감사위험으로 인식하여 사전적으로 감사위험을 낮추고자 하며, 이러한 감사인의 의도는 재무보고의 보수주의 수준에 반영되는 것을 나타낸다.

      • KCI우수등재

        감사인의 명성효과와 타 감사인에 대한 전이효과

        하석태 ( Seok-tae Ha ),조성표 ( Seong-pyo Cho ) 한국회계학회 2018 회계학연구 Vol.43 No.3

        감사인의 감사품질은 피감사기업의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들이 있는데 이를 명성효과라고 한다. 따라서 감사인이 감사실패를 경험하게 되면 감사품질에 대한 명성이 훼손되어 당해 감사인에게 감사를 받은 피감사기업의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로 국내 한 대형감사인이 감리와 영업정지 및 유죄판결을 받게 되었다. 감사인에 대한 감리와 영업정지, 유죄판결은 감사인의 명성이 훼손되는 감사실패의 한 증거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의 감사실패가 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명성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특정 감사인의 감사실패가 다른 감사인의 감사품질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다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감사실패를 의미하는 감리와 영업정지, 유죄판결에 관련된 사건일 여섯 개를 선정하고, 각 사건일과 직전일의 피감사기업들의 초과수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리시작일(2015년 12월 30일)에는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은 음(-)의 초과수익률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른 대형감사인(이후 Big3)의 피감사기업과 비대형감사인(이후 non-Big4)의 피감사기업은 유의한 음(-)의 값이 나타났다. 형사기소일(2016년 12월 27일)에는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과 non-Big4의 피감사기업이 유의한 음(-)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다. 감리결과 발표일(2017년 2월 23일)에는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만이 아니라 모든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에서 유의한 음(-)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다. 영업정지 건의일(2017년 3월 24일)에는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과 Big3의 피감사기업이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으며, 영업정지 의결일(2017년 4월 5일)에도 유사하게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과 Big3의 피감사기업에서 양(+)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으나, 오직 Big3의 피감사기업에서만 유의한 양(+)의 값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1심 선고일(2017년 6월 9일)에서는 세 번째 사건일인 감리결과 발표일과 동일하게 모든 표본에서 유의한 음(-)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각 사건일에 감사실패 감사인과 다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초과수익률이 유의성 유무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한 감사인의 감사실패로 인한 감사품질의 저하는 당해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명성효과가 있으며, 이와 함께 다른 감사인의 감사품질에도 영향을 미쳐서 다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에 대한 영업손익의 가치관련성이 다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에 대한 가치관련성이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비기대영업손익의 가치관련성은 다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실패 감사인의 감사품질에 대한 명성이 훼손되어, 이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에 대한 영업손익의 가치관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각 사건일에 Big4를 구성하는 대형감사인들의 피감사기업들의 주가반응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한 대형감사인의 감사실패는 당해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Big3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자본시장에서 한 대형감사인의 감사실패는 당해 감사인만이 아닌, 다른 감사인의 감사품질에도 부정적인 인식을 초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증거는 자본시장에서 대형감사인들의 감사품질이 상호간에 차별적이기보다는 동질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 대형회계법인의 감사실패가 당해 회계법인만의 문제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회계법인 전반에 걸치는 문제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감사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정 감사인을 개별적으로 제재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감사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환경과 인프라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audit failure on auditor reputation. Specifically, we examine clients’ stock market impact surrounding six dates on which audit procedure and independence were under severe scrutiny, prosecution or juridical decision. We also examine stock market impact of the clients of other auditors surrounding the event dates. We identify six events: enforcement actions, prosecution, fraud recognition, penalty suggestion, penalty decision and first trial. In addition, we compare the value relevance of operating incomes of audit failure auditor’s clients and that of other auditors’ clients. We find that the clients experienced a statistically negative market reaction on the dates of prosecution, fraud recognition and first trial, suggesting that investors downgraded the quality of the audits performed by auditor under severe scrutiny. We find that the clients of other auditors also experienced a statistically negative market reaction on the dates of fraud recognition and first trial, suggesting that audit failure of an auditor has spillover effects to other auditors’ audit quality. Additionally, we fin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unexpected operating incomes of audit failure auditor’s clients is lower than that of other auditors’ clients. The evidence suggests that investors consider audit quality of Big 4 auditors to be homogeneous rather than discrimina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for external auditing as well as sanction individual auditors in order to improve the audit quality.

      • KCI등재

        新외감법의 감사인 지정제도 개정시행으로 인한 영향: 외부감사인 등급 하향신청 기업을 중심으로

        염승훈,김종일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5

        The recently revised External Audit Law was designed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companies and auditors on the effect of implementation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this study reviews how the system is being affected in accounting practice and its policy suggestions. According to this study, firstly,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was expected to increase, and secondly, for audit quality, where auditors expected the audit quality to be higher in 2020 and the previous year, companies expected the audit quality to be the same or similar as in the past, indicating a specific difference in perspective between auditors and companies. Third, both companies and auditors were calling for improvement on the downward grade application system for external auditors. Finally, auditors were generally in favor of the designation system, but companies were not in favor of it, so even i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is maintained, more detailed improvement is needed. This study is the first result of examining the perspective of companies and auditor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under the revised External Audit Law. It also contributes to examine specific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 of companies and auditor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also suggests directions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policy for improvement on the auditor designation system by specifically examining areas, such as the downward grade application system for external auditors. 최근 개정된 외감법은 감사인 지정제도 확대시행을 통해 기업의 회계 투명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新외감법의 감사인 지정제도 개정 도입 효과에 대해 회사와 회계법인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동 제도가 회계실무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와 이를 통한 정책적 제언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첫째 감사인의 독립성은 제고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둘째 감사품질에 대해서 회계법인은 개정된 지정제도 첫 시행 연도인 2020년 뿐만아니라 직전 연도인 2019년의 감사품질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회사의 경우는 감사품질이 과거와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서 감사인과 피감사인간에 시각차이가 분명히 존재하고 있었으며, 셋째 외부감사인 등급 하향신청제도에 대해서는 회사측이나 회계법인 모두 개선이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감사인인 회계법인은 지정제도에 대해 대체로 찬성하고 있으나 피감사인인 회사측은 반대의견이 많아서 감사인 지정제도를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보다 세부적인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新외감법하의 감사인 지정제도 개정 시행 이후 그 시행에 따른 감사인과 피감사인의 의견을 알아본 최초의 연구결과로서, 감사인 지정제도 개정 시행으로 인한 영향에 대해 감사인과 피감사인이 받아들이는 입장차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뿐만아니라 외부감사인 등급 하향신청제도 등 제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부분과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보여줌으로써 금융감독 당국의 제도 시행 유지와 향후 개선방향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경영자-감사인간의 의견불일치와 감사인교체

        손성규,이은철 韓國公認會計士會 200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8 No.-

        우리나라의 감사인 선임 제도는 자유수임제도이다. 자유수임제도하에서는 감사인을 선임할 권한이 피감사인에게 있기 때문에 감사인은 교체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의견구매(opinion shopping)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의견불일치로 인한 감사인 교체는 감사품질 제고와 관련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그러나 의견불일치는 관찰이 힘들고 적절한 대용치를 찾는 것도 쉽지 않다. 이로 인해 의견불일치로 인한 감사인 교체는 사안의 중대성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수시공시를 통해 공시되는 감사전 결산이익(잠정이익)과 감사 후 실제이익의 차이를 이용하여 의견불일치로 인해 감사인 교체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수시공시로 발표되는 감사전 잠정이익은 경영자의 주장인 반면, 감사후 실제이익은 경영자와 감사인간의 협상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 차이는 경영자와 감사인 간의 의견불일치 정도를 잘 반영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사인 유지제도와 감사인 강제교체제도를 고려하여 2000년부터 2004년까지로 표본을 제한하였다. 연도별로 감사인을 교체할 수 있는 표본 중 잠정이익을 공시한 총 574개 기업-연도 표본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의견불일치가 발생한 기업의 차기 감사인 교체비율이 의견불일치가 없는 기업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사인 교체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통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의견불일치가 감사인 교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자와 감사인간의 의견불일치로 인해 감사인이 교체될 가능성이 크다는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정책당국의 회계투명성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예를 들어 잠정실적과 실제실적의 차이가 큰 기업들이 감사인을 교체하려고 할 때 이에 대해 감사인 지정 조치를 내리는 등의 방안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사점 외에도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잠정실적과 실제실적의 차이는 재량적 발생액과 관련한 측정오차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계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uditor changes have been an important issue to practitioner, regulators, and academics. But the empirical researches finds little evidence of auditor change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disagreement between auditor and client causes the auditor change. Currently, client(auditee) selects the auditor based on the market mechanism. Under the current system, since the auditor is chosen by client, there is a chance for opinion shopping. Disagreement between these two parties has not been fully examined even though it is very essential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is relationship because it is not observed and at the same time, it's not easy to find a proxy. While the preliminary earnings number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management, the reported earnings number is the outcome of negotiation between two parties even though it can't be observable. We believe that this difference represents the auditor-client disagreement. The sample firm is composed of non-financial companies which are listed in Korean Stock Exchange for 5 years from 2000 to 2004. We collect from DART system(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on preliminary earnings. Financial data is collected from TS2000 and Kis-Line database. We eliminate samples which do not disclose preliminary earnings. Finally we use 574 firm/year samples. To determine whether the auditor change is associated with auditor-client disagreement, we estimate the logistic regressions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is dummy variable(auditor change or not). We measure auditor-client disagreement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ctual earnings. And we control for Altman's z-score, accrual change, audit opinion and audit quality, proxied with big4 or non-big4.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disagreement causes the auditor change. We believe that this empirical evidence signifies a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 For example, when these two numb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regulatory body may exercise caution if there is an auditor change. Measurement of the disagreement has been an issue. Sometimes, this was measured with the discretionary accrual. However, it has a serious measurement problem. Our measure for auditor-client disagreement could be used extensively in the auditing literature.

      • KCI등재

        The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Going-Concern Audit Opinion between Big4 and Non Big4 Auditors

        박주철 한국세무회계학회 2019 세무회계연구 Vol.0 No.61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factors affecting going-concern audit opinion between Big4 and Non Big4 auditors. The smaller scale of auditors may take into account other factors than the bigger scale of auditors when they express going concern audit opinion to their financially distressed clients. In issuing going concern opinion the smaller scale of auditors may consider economic perspective more positively to survive their existence in the audit market than the bigger scale of auditors. We examine audit reports for 120 Korea Exchange listed companies entering into legal reconstruction during the years 2002-2017. Our research hypothesis i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factors affecting going concern audit opinion between Big4 and Non Big4 auditors. To verify our research hypothesis, we use a logistic regression where the type of audit opinion issued immediately prior to bankruptcy filing is dependent variable(GC) and audit tenure(SUC), company size(SCA), financial health(CUR, LIA), earning ability(ROA), cash supply from operating activity(OPE), bankruptcy lag(DIS), and type of security market listed(MAR) are independent variables. Ou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Big4 auditors, the coefficient of LIA, ROA is significant. This result shows that Big4 auditors consider financial health and earning abililiy in expressing going concern audit opinion. Second, in the case of Non Big4 auditors, the coefficient of SCA, MAR is significant. This result shows that Non Big4 auditors consider company size and type of security market listed in expressing going concern audit opinion. Thus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factors affecting going concern audit opinion of Big4 auditor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Non Big4 auditors.

      • KCI등재

        감사인과 이익조정 : 감사인 지정을 중심으로

        김은(Kim Eun),신용준(Shin Yong-Jo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0 국제회계연구 Vol.0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인 관련변수와 이익조정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사인 지정 여부 및 지정과 관련된 감사인 규모가 이익조정의 대용치인 재량적 발생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감사인 관련 자료와 재무자료는 한국신용평가(주)의 Kis Value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하였고 감사인 지정 자료는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입수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이익조정의 대용치인 재량적 발생액이다. 재량적 발생액 추정치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재량적 발생액을 세 가지 방법(수정 Jones 재량적 발생액, 성과통제 재량적 발생액,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기간은 2002년부터 2007년의 6년으로, 검증 대상은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및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중 비금융업에 속한 12월 결산 법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이익조정행위가 감사인 지정에 의해 억제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지정기업 대비 비지정기업, 신규 지정기업 대비 신규 지정 이외기업으로 구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실증분석을 한 결과, t-검정과 Wilcoxon 순위합 검정에서는, 수정 Jones 재량적 발생액에서 감사인 전체 지정기업이 비지정기업보다. 신규 지정기업이 신규 지정 이외기업보다 각각 이익조정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반면 성과통제 재량적 발생액과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에서는 모두 비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더 나아가, 상향지정기업과 수평지정기업, 수평지정기업과 하향지정기업 간 각각의 t-검정과 Wilcoxon 순위합 검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미를 보여주지 않았다. 감사인 지정과 재량적 발생액의 회귀분석 결과는 전체 지정기업이 비지정기업보다. 신규지정기업이 신규 지정 이외기업보다 재량적 발생액이 낮게 나타나, 독립성이 제고된 지정 감사인의 감사를 통하여 이익조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지정방향과 재량적 발생액의 회귀분석 결과는 지정방향은 재량적 발생액에 의미 있는 차이를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auditor-related variables and earnings management.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empirically analyze what effect auditor designation imposed by the Korean SEC have on discretionary accruals, proxies of earnings management in this study. Moreover, dichotomized auditor size(Big4 versus NonBig4) is used as an interaction variable to see if the effects on discretionary accruals of auditor designation vary on the auditor size. Auditor-related data and financial variables in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Kis Value database, and auditor designation data are obtained from the Korean SEC. Three measures of discretionary accruals are measured in this study; discretionary accruals using modified Jones model, performance(ROA) controlled discretionary accruals, and performance(ROA) 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Both bivariate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are performed for listed non-financial institutes Korean firms during 2002-2007, of which fiscal year ends at Decemb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o see if earning management by firms is suppressed by auditor designation, this study performs some empirical analyses for both newly designated firms sample and all(newly and continuingly) designated firm sample. Statistical test results produce some evidences that firms whose auditors are newly or continuingly designated by regulatory bodies tend to have significantly lower discretionary accruals than non-designated firms. This result suggests that designated auditors be more conservative than free-engaged auditors. As to auditor size, there seem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cretionary accruals among auditor-designated firms. These results cast a strong doubt on the argument that auditor quality may differ depending on the auditor size, at least in Korea.

      • KCI등재

        감사인 특성과 조세회피

        박미영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와 회계저널 Vol.13 No.3

        Tax Avoidance decreases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Balakrishnan et al., 2011;Kang, 2012). Accordingly as well as earning managements, tax avoidance will increase audit risk, too. If audit quality is high, tax avoidance might decrease. Auditor's characteristics are primary factors of audit quality. So we can expect that tax avoidance is different depending on auditor's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auditor's characteristics and tax avoidance using firms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during 2002 to 2010. We use a corporate tax avoidance measure developed in Desai and Dharmapala(2006) and focus on four auditor's characteristics;auditor size,audit fees(or unexpected audit fees), whether auditor changes and whether auditor provides tax return service together. The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unexpected audit fees and auditor changes are statistically positively related to tax avoidance. Second, whether auditor provides tax return service together are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tax avoidance indivisually. But tax return service negatively affects the association between unexpected audit fees and tax avoidance, auditor changes and tax avoidance. Lastly, auditor size is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tax avoidance. we expect this study help investors to understand which of auditor's characteristics affect on tax avoidance and to infer tax avoidance second hand using auditor's characteristcs. 조세회피는 회계정보의 질 및 회계투명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Balakrishnan et al. 2011;강정연 2012), 이익조정과 마찬가지로 감사인의 감사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감사품질이 높다면 이익조정과 마찬가지로 조세회피도 감소할 것이므로 감사품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인 감사인 특성에 따라 조세회피정도가 다를 것이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0년까지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감사인 특성과 조세회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세회피 측정치는 Desai and Dharmapala(2006)의 재량적 BTD이며, 감사인 특성 변수로 감사보수, 감사인규모, 감사인 교체여부 및 감사인에 의한 세무조정서비스 제공여부 등 네 가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감사보수 측정치 중 실제 감사보수는 조세회피와 유의적인 관련성이 없으나 비정상감사보수는 조세회피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체계적 요인에 따른 비정상감사보수가 높을수록 감사인과 해당 기업과의 경제적 유대관계가 증가해 감사품질의 저하로 조세회피행위를 적절히 억제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감사인교체도 조세회피와 유의적인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인교체기업인 경우 감사보수할인이나 피감사기업에 대한 이해부족 등으로 인해 계속감사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사품질이 저하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세무조정서비스 제공여부는 그 자체로서는 조세회피와 유의적인 관계가 없으나 비정상감사보수와 조세회피, 감사인교체와 조세회피간의 관련성에 음(-)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인의 세무조정서비스 제공이 법인세비용 회계처리 등과 관련한 감사품질을 증가시켜 법인세비용이나 BTD를 통한 이익조정을 감소시켜 회계정보의 질을 증가시킨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되는 결과이다. 그러나 감사인규모의 경우는 개별 분석이나 상호작용효과분석에서 조세회피와 유의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투자자 등의 외부정보이용자들이 어떤 감사인 특성이 조세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이해하고 감사인 특성을 이용하여 조세회피를 간접적으로 추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감사인의 세무서비스가 기업의 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

        이영한,허원,윤성만,최원석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회계정보연구 Vol.28 No.4

        Recently IFAS has revised Auditor Ethics Code in order to regulate specific tax services that make significant effects on financial statements. So, KICPA and FSS are going to adopt this code. At this point, it is critical to evaluate effects of auditor-provided tax service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rovision of tax services reduces manager/client' tax burden. Especially, manager purchasing tax services from current auditor has lower accumulated effective tax rate(Acc. ETR), respectively. And this paper tries to evaluate trend of Acc. ETR in retaining and dismissing phase of tax service contract.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Acc. ETR of client purchasing auditor provided tax services is lower because auditor reduce effectively client's tax by using knowledge spillover effect between audit and tax field. Second, Acc. ETR is also lower in retaining tax service contract. The Acc. ETR, however, is higher in the case of dismissing this contract. This study executes OLS regression analysis on 1,444firm-years from FY2004 to FY2008. And these samples are from Audit Report disclosed on the DART system. Results of this paper show that provisions of auditor tax services decrease client's tax burden and retaining this service contract also lower tax burden. But dismissing auditor as tax agent immediately does not make higher Acc. ETR. In dismissing phase, there is lagging effect for larger-sized firms because they retain sufficient human resources in dealing tax strategies as tax professional do. And case of dismissing auditor in order to make perception of auditor's independence to market participants is same effects. Consequently, our empirical findings imply that auditor use effectively knowledge spillover in running tax planning.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in preparing to regulate auditor provided tax services, FSS and KICPA should not only consider auditor's independence perspective but also efficiency of knowledge spillover in order to adopt revised Auditor Ethics Code. 최근 국제회계사연맹(IFAC)에서는 감사서비스와 함께 재무제표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세무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위를 제한하는 감사인의 윤리규정을 개정하였으며, 이에 우리나라도 2011년부터 도입․시행예정이다. 본 연구는 감사인이 감사와 함께 세무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피감사인의 조세부담을 절감시키는지를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감사인으로부터 세무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효법인세율을 낮추는지를 분석하고, 감사인의 세무서비스계약이 계속 유지되는 경우와 본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에 유효법인세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1,444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인의 세무서비스를 구매한 기업들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조세부담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인은 감사와 세무서비스분야 사이에 지식이전효과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피감사인의 조세부담을 줄인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감사인의 세무서비스를 계속하여 제공받는 경우에 조세부담이 더욱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감사인인 세무대리인이 피감사인의 조세부담을 절감하는 성과를 보임으로써 계약관계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세무서비스 계약을 해지한 회계연도에는 예상과 일치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규모가 큰 기업은 고도의 세무전문성이 있는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감사인의 외관상 독립성의 사유로 계약이 해지되는 경우에도 세무대리인이 교체되더라도 조세부담이 급격히 증가되지 않는다는 것을 추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사인의 세무서비스 제공에 따른 감사인의 독립성측면과 납세자의 조세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율성측면 모두를 고려한 균형된 시각으로 정책을 판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KCI등재

        감사인의 업무과부하에 따른 차별적 감사품질

        하미혜 ( Mi-hye Ha ),박희진 ( Hee-jin Park ),이세철 ( Se-chul Lee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1

        DeAngelo (1981)는 감사품질을 감사인이 감사대상회사의 회계시스템에 존재하는 위배사항을 발견할 확률(적격성)과 발견된 위배사항을 보고할 확률(독립성)의 결합확률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감사인의 능력이 발휘되는 정도와 투입할 수 있는 노력은 항상 동일할수 없으며 감사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2월 결산법인이 90%이상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감사인의 업무는 1월부터 3월에 집중되어 있으며, 관계 법령과 실무관행이 맞물리면서 주차별 감사인의 업무 과중 정도에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주차별 업무과부하는 다른 조건이 동일하더라도 감사품질에 차이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감사인의 업무과부하 현상이 감사품질과 갖는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실무적으로 비지시즌(busy season)에 해당하는 1월에서 3월 사이에 감사보고서가 발행되는 12월 결산법인인 상장기업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인의 업무과부하가 심할수록 감사품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사인이 Non-BIG4인 경우에만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감사인의 업무과부하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재무보고 품질이 낮은 코스닥시장에서만 유의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감사인의 업무과부하가 감사품질을 결정하는 요소 중에 하나임을 시사한다. 비지시즌의 무리한 감사업무 수행은 오랫동안 이슈가 되어 왔고 개선의 목소리가 높았으나 실증분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감사업무의 과부하는 단순히 회계사의 업무 환경이나 복리의 문제가 아니라 감사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법률 제정 방향과 회계법인의 운영에 있어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투입되는 노력(감사시간 등)만을 증가시켜 감사품질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감사팀 구성원에 의해 투입되는 노력이 적정한 집중력과 주의를 기울여서 수행될 수있도록 감사업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감사업무의 과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회계법인 차원에서도 인력 운영에 있어 이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DeAngelo (1981) defines audit quality as the combined probability of (i) detecting errors in the accounting system and (ⅱ) reporting such errors. However, the extent to which an auditor can utilize his/her competence and put efforts is not always consistent and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auditor.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busy season pressures, such as auditor burnout and time constraints, can deteriorate audit quality. Despite the importance of such potential effects,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that documents whether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ultimately affect audit quality. In response, we investigate whether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is associated with lower audit quality. In Korea, audit engagements are concentrated in a short time window between January and March (practically called busy season) as more than 90% of domestic companies have December fiscal year-ends. Further, the level of audit work intensity during busy season fluctuates from week to week due to related laws and practices. We hardly expect the audit quality of any auditor to be always consistent under such changing workload condition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an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and audit quality. We use a pooled cross-sectional sample of listed companies with December fiscal year-ends which issue annual audit reports during January to March. Our sample includes 12,012 firm-year observations during the period 2003-2012. We measure a relative level of workload compression of an auditor for each week of busy season in two ways. The first variation is the ratio of the audit fees charged to engagements for which audit reports are issued in a certain week to total audit fees of an auditor. The second variation is the ratio of the number of audit reports issued in a certain week to the total number of audit reports issued during busy season. Higher values of both measurements should be associated with higher concentrations in auditor workloads, because the number of audit reports and fees reflect the amount of auditor’s works to be done during specific periods. As proxies for audit quality, we use discretionary accrual estimates from the modified Jones (19915) model and performance matching model from Kothari et al.(2005). We find that the audit quality of each engage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under which a certain engagement work is performed. In specific, audit engagements of which audit reports issued in a week of highly concentrated auditor’s work during busy season exhibit higher levels of discretionary accruals, which imply lower levels of audit quality. This correlation is significant only among Non-BIG4 auditors which have less flexible human resources. Similarly, the impact of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on audit quality is significant only for KOSDAQ companie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lower accounting quality than KOSPI companies. Our results suggest that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is one of significant determinants of audit quality. Also, our analysis shows that the significance of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and audit quality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firms and companies. Although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has been an issue for a long time, there are little empirical studies that document whether auditor’s workload pressures ultimately affect the audit quality. The severity of concentrated auditor’s workload is not only a matter of welfare and working environment of accountants, but also affects audit quality and capital market. We expect that our study helps policy makers and accounting firms pursue enhancement of audit quality. A higher audit quality cannot be obtained only through investing more audit hours and fees, unless an appropriate working environment where auditors can perform audit work with adequate due care and attention is provided. We believe that improvements of regulatory environment to minimize auditor’s workload compression are needed. Also, accounting firms consider our results for management of employees and risk management.

      • KCI등재

        감사인 특성이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조은정,정주렴 한국공인회계사회 2021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3 No.4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auditors reported in the accounting firm’s annual report on the audit quality measured by disagreement between management and auditors. Recently, regulat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irms’ annual reports and have required the disclosure of them to the electronic disclosure system (DART) to facilitate access to relevant information, and expanded the scope of disclosure through law amendments. Based on these accounting firms’ annual reports, this study considers audit firm characteristics that could affect audit quality, which are classified into variables related to auditor’s ability(expertise) and auditor independence. We use partner ratio, auditor experience, and number of clients per partner as variables related to auditor’s ability. Then we use audit fee per partner, accounting firm debt ratio, and reserve for compensation ratio as variables related to auditor’s independence. In previous studies, audit quality was often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 financial statement error correction or audit opinion, which uses financial statements, the output of external audits. However by the conceptual definition, audit quality should be the corrected earning during the audit process. In this study, we use more direct measure to measure audit quality, which is management-auditor disagreement. In Korea, it is mandated to disclosure the earning before external audit process if the firm expects the sales, operating income or net income to change more than 30% compared to previous year (15% if large firms). We use this earning before external audits as preliminary earning, and calculate the management-audit disagreement by deducting it from reported earning after external audits. Using the KOSPI listed firm-years from 2011-2017,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various characteristics of auditors and management-auditor disagreement. As a result of analysis, we find that audit quality as measured by management- auditor disagreemen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tner ratio. accountant experience is partially related, and the number of clients per partner is negatively associated. This implies that audit quality enhances as auditors’ ability increase. In addition, the higher audit fee per partner, the less management-auditor disagreement is. This results may indicates that the higher audit fee, which could lead auditors more economically subordinate to the client, makes independent audits difficult. Another measures related to the auditor's independence, the liability ratio and the liability reserve ratio,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audit qualit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on the validity of the regulators' policy to expand the disclosure of recent annual reports by showing that the information in the accounting firm's annual report is related to actual audit quality, using more direct measure. Also,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nvestors by enhancing the users’ understanding on the various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accounting firms’ annual report and providing criteria for the investors’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audit quality. This study has some caveats. First, the results may be biased because the sample is limited to the firms which disclosure the preliminary earning. Second, we acknowledge that each firms’ specific auditor characteristic could be better proxy than current audit firms’ average characteristics, which we could not perform due to data unavailability. Future studies could extend the study if the disclosure of auditor information is extended. 본 연구는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에 보고되는 다양한 감사인의 특성이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로 측정한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규제당국에서는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에 대한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정보의 접근가능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이를 공시하도록 하였고, 법 개정을 통해 정보의 공시범위도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를 바탕으로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성을 고려하였는데, 크게 감사인의 능력(전문성) 과 관련된 변수(파트너비율, 회계사 경력, 파트너 1인당 감사기업 수)와 감사인의 독립성과 관련된 변수(파트너 1인당 감사보수, 회계법인 부채비율, 손해배상준비금율)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주로 감사의 결과물인 재무제표의 품질을 통해 감사품질을 간접적으로 측정한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감사품질의 개념적 정의에 보다 가까운 측정치인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를 이용하여 감사품질을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법인 내 파트너 비율이 증가할수록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로 측정한 감사품질은 증가하였으며, 파트너 1인당 감사기업 수는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와 음(-)의 관계가 있었다. 이는감사인의 능력(전문성)이 증가할수록 감사품질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또한, 파트너 1인당 감사보수가증가할수록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감사보수가 클수록 감사인이 피감사인에게 경제적으로 종속되어 독립적인 감사가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외에 감사인의 독립성과 관련된 측정치인 회계법인 부채비율 및 손해배상준비금율은 감사품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는 정보이용자로 하여금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상 공시되는 다양한 정보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고 해당 감사인의 감사품질의 사전적 판단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였으며, 회계법인 사업보고서상정보가 실제 감사품질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 최근 사업보고서 공시를 확대하도록 한 규제당국의 정책이 타당함을 뒷받침 하였다는 공헌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