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기청소년의 그릿이 마음챙김과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권명희,조성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grit of adolescents at-risk on mindful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temporal relationships experienced by at-risk adolescent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mindfulness, and interpersonal tendencies of at-risk adolescents who enrolled and trained in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0 psychological equivalent student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grit of adolescents at risk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indfulnes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rit of adolescents at risk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grit on mindful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of adolescents at risk. It is considered to be a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improve mindful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y of adolescents at risk.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그릿이 마음 챙김과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이 경험하는 시회적 관계에 주목하여, 심리상담센터에 등록하여 교육을 받은 위기청소년들의 그릿, 마음챙김, 대인관계성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심리상당 교육생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위기청소년의 그릿은 마음챙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위기청소년의 그릿은 대인관계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그릿이 마음챙김과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위기청소년의 마음챙김과 대인관계성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학습장애 위험군 청소년들의 성격 특성 탐색 연구 -Big 5 성격 요인을 중심으로-

        홍성두 한국학습장애학회 2011 학습장애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학습장애 위험군 청소년들의 성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5개 지역 6개 중고등학교 총 31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 개인별 전체 학업성취 평균 성적을 알아보고, 성격 5요인에 근거한 NEO 청소년 성격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성격 5요인의 변화추이, 학업성취와 관련이 있는 성격 요인 파악, 학습장애 위험군 유무에 따른 성격 5요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 기술통계, 시각적 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성격 5요인 중 성실성과 신경증이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체계적인 증감을 보였고, 성격 5요인 중 학업성취에 유의한 관련성을 지닌 성격 변인들로써, 학습장애 위험군 청소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성격 요인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sonality trait of At-Risk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ll 317 adolescents were tested NEO-PI-R: Korean version. And on the basis of test data collected for understanding about personality traits of At-Risk adolescents and comparison between At-Risk and Non At-Risk adolescents, descriptive statistic, correlation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were main factors for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t-Risk adolescents and identifying whether At-Risk adolescents or not.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일반청소년과 위기청소년의 생활역량 비교분석

        윤명희,장아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life competency between adolescents and adolescents at risk.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six subareas of life competency are analyzed: self-control competency, self-fulfilling competency, relationship competency, community competency, creativity competency, and situation handling competen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dolescents who are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nd adolescents at risk who are counseled at Youth Counseling and Support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area.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for two groups are performed to analyze life competency and life skills. According to the results, Adolescents' overall life skills show better performance in harmful substance handling skill, manner skill, listening skill, and internet addiction skill, but performed poorly in time handling skill, expenditure skill, volunteer skill, and leadership skill. Meanwhile adolescents at risk showed better results in harmful substance handling skill, manner skill, listening skill, and cooperation skill, but showed poor performance with regard to time-handling skill, expenditure skill, goal setting skill, and volunteer skill.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As adolescents are requested to possess various life competencies necessary to their daily lives, and school-based attention and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ir life competency.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life competency and life skills, both adolescents and adolescents at risk are need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to enhance life competency. Teachers and parents are also needed to provoke their attention to develop adolescent's life competency. 본 연구에서는 일반청소년과 위기청소년의 생활역량을 진단ㆍ비교함으로써 집단별 청소년 생활역량 특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활역량을 구성하는 자기조절역량, 자기성취역량, 대인관계역량, 공동체역량, 창의성역량, 상황대처역량의 6개 하위역량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중ㆍ고등학교의 일반청소년과 부산광역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의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청소년은 위기청소년에 비해 6개의 하위역량과 이를 구성하는 22개 생활기술에서 모두 높은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청소년이나 위기청소년이나 생활기술 중에서 유해물질대처기술과 매너기술, 경청기술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활용기술, 합리적소비기술, 목표설정기술, 봉사참여기술 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중ㆍ고등학교의 재량활동시간이나 집단상담활동을 활용하여 일반청소년과 위기청소년들에게 부족한 시간활용기술, 합리적소비기술, 목표설정기술, 봉사참여기술, 리더십기술 등을 향상시키고, 생활지도나 부모교육 시 생활역량 개발에 대한 교육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분석

        차명호,양종국,정경용 한국소년정책학회 2010 少年保護硏究 Vol.15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influence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n adolescent's runaway behavior. A sensation seeking tendenc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isk factors,negative pressure of peers, risk factors of family and risk factors of school as risk factors were selected to base on previous studies. A active measure strategy, peers' support,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parents and positive experiences in school as protective factors were presented by a prior researchers. The subjects are 3,965 2nd grade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country. Scales for measuring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n adolescent's runaway behavior are all ten. For this study the t-test an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SPSS WIN 17.0 was used. The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the representative risk factors of adolescent's runaway behavior are sensation seeking tendenc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isk factors, negative pressure of peers, risk factors of family and risk factors of school. Second, the representative protective factors of adolescent's runaway behavior ar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parents, positive experiences in school and active measure strategy. This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at considering an treatment effect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for preventing adolescent's runaway behaviors is importance.

      • KCI등재후보

        학교 내 청소년문제행동의 유형과 교육적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신동업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guidance method from the educational viewpoint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t school which is an important social issue and also an educational issue that all the nations in the world are faced with recently. As for the ensuing research method, defi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root causes, and types were analyzed in detail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studies on the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Then, the contents were examined after dividing into eight categories related to the past problem behaviors including normative, legal, cyber, covert and overt problem behaviors, and into 10 categories related to the current problem behaviors that are emerging as issues today such as smart phone addiction, tattoo, verbal violence, self-mutilation, safety frigidity(smombie, driving with no license), sports gambling, forced errand (shuttle), loan sharking, idolizing popular BJs, cyber bullying and (pekka, Kakaotalk prison, explosion chat room and other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patterns were discussed by dividing them into past and current types in general. Second, three risk factors (adolescents’ stress, effect of the mass communication and impulsiveness) and three protection factors including adolescents’ active coping strategy which can b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for curtailing or mitigating problem behavior by mediating adolescents exposed to the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self-respect and self-control were organized the factors that affect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for discussion. Third, it was claimed that the scope, classific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by type that the previous studies applied regarding adolescents’ problem or concept of problem behavior need to be reviewed anew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ra. Fourth, educational implications to prevent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were searched. 본 논문은 최근 각 국가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사회문제이며 교육의 문제라고 인식되는 학교 내 청소년문제행동의 일반적인 문제점을 찾아 이를 위한 예방적 접근은 무엇이 있는지 교육적 관점에서 지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방법은 청소년문제행동과 관련 선행연구에서 청소년문제행동의 특성에 관한 정의, 발생원인과 유형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후 규범적 문제행동, 법률적 문제행동, 사이버 문제행동, 내현적 문제행동, 외현적 문제행동 등과 관련된 과거 문제행동 유형 8가지, 최근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현재 문제행동 유형인 스마트폰 중독, 문신, 언어폭력, 자해, 안전 불감증(스몸비, 무면허운전 등), 스포츠도박, 강제심부름(셔틀), 사채놀이, 인기BJ 우상화, 사이버불링(페카, 카톡감옥, 방폭 등) 크게 10가지로 범주화하고 그 내용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문제행동의 유형을 일반적으로 과거유형과 현재유형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둘째, 청소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청소년의 스트레스, 매스컴의 영향, 충동성 등 위험요인 3가지와 청소년문제행동에 노출된 청소년을 중재하여 억제하거나 완화시켜 문제행동들을 낮추는데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청소년의 적극적 대처전략,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등 3가지 보호요인을 정리하여 논의하였다. 셋째, 청소년문제나 문제행동의 개념에 대해 선행연구들이 적용한 범주와 분류방식, 유형의 특징도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검토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주장하였다. 넷째, 청소년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학습부진 프로그램, 수준별 이동수업 및 사교육이 저성취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허유성,남창우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change patterns in low-achieving adolescents' or LD at-risk adolescents' achievements (Korean and Math)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SRLS) skill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se change patter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the dataset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test scores of both Korean and Math increased significantly across all levels of adolescent achievement(low-achieving, mid-achieving, and high-achieving adolescents), whereas SRLS skills decreased significantly across all levels of adolescent achievement. Especially, low-achieving adolescents showed lower level of SRLS skills across the three year (from the middle school 1st grade to the high school 1st grad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1) between low-achieving and mid- or high-achieving adolescents, and 2) between mid-achieving and high-achieving adolescents with respect to their SRLS. Both SRLS and private tutoring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initial status (the middle school 1st grade) and the change rates with respect to the Math scores, but low-achieving support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m. In addition, controlling the initial status, neither private tutoring nor level-based cla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hange rates with respect to the Math scores. When private tutoring, level-based class, and low-achieving support had effects on SRLS, private tutoring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 rates with respect to the Math scores, but low-achieving support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m. 본 연구는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저성취 혹은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조절학습 변화패턴을 추정하고, 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의 4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저성취, 중성취, 고성취 집단에 관계없이 모두 국어 및 수학 과목의 성취수준이 중학교 기간 동안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청소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성취수준에 관계없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성취 학생들의 경우에는 동료들에 비해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저성취와 중성취 학생 그리고 중성취와 고성취 학생 간에 모두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3년간 수학 성취도의 변화율에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교육은 정적으로, 학습부진 프로그램은 오히려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치의 사교육 효과를 통제한 결과에 의하면, 사교육과 수준별 이동수업은 수학 성취도의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는 저성취 학생을 구별하는 데 양호한 수준의 도구로 나타났다.

      • KCI등재

        취약계층 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멘토링 슈퍼비전의 요소

        강민철(姜旻哲),김수임(金秀任),이아라(李아라)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청소년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에 대한 멘토링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멘토링 슈퍼비전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취약계층 멘토링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 144명과 일반 중학생 418명을 대상으로 개인내적 특성, 사회성, 진로, 학업의 4가지 영역에서 잠재적 능력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멘토링 슈퍼비전 경험을 가진 상담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Kruger(1997)가 제시한 단계별 지침에 따라 실시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우선 취약계층 멘티의 특성과 이들에게 효과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요구되는 멘토의 역량에 대해 확인한 후, 이를 바탕으로 멘토들을 성공적으로 지도하는데 필요한 슈퍼비전의 내용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취약계층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에 비해 자신감, 자기조절, 진로목표설정, 진로가치 건전성, 진로목표달성 효능감, 학습태도, 학업적 효능감에 있어 유의하게 낮은 잠재력 수준을 보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취약계층 멘티의 특성으로 자신감부족, 낮은 진로포부, 사회적 기본교육 부족, 비행의 위험 등의 네 범주가, 취약계층 멘티들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 멘토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 멘티 특성의 이해, 신뢰감 형성, 다양한 교육 및 생활지도 기술 등의 세 범주가 각각 도출되었다. 효과적인 슈퍼비전의 요소는 멘토 역량 강화와 멘토 지원의 두 범주로 구분되었고, 전자는 멘티 이해 교육과 멘티 정보 제공, 신뢰할 만한 관계형성 및 경계설정 지도, 다양한 교육 콘텐츠 제공의 세 가지 하위범주로, 후자는 격려 및 지지, 책임한계 설정의 두 가지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멘토링과 상담영역에 갖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adolescents, and sought to identify factors essential to mentoring supervision in order to implement effective mentoring for at-risk adolescents. For this, potential capacity in domains of intra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ity, career, and academics of 144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mentoring program for at-risk adolesc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418 regular middle school students. The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mentees and the essential competencies required by mentors as well as the contents of supervision that will successfully guide the mentors. Quantitativ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at-risk middle school students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confidence, self-control, career goal setting, career value integrity, career goal attainment efficacy, study attitude, and academic efficacy compared with the regular student group. According to the focus group interview, at-risk students showed lack of confidence, low career aspirations, insufficient basic social education, and vulnerability to delinquency. To effectively help these students, mentors should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se characteristics of mentees, establish trusting relationships, and possess capacity for diverse teaching and guidance capabilities. Lastly, supervision for mentors should include educating about mentee’s characteristics, delivering information on mentees, giving guidance for developing trusting relationships and setting adequate boundaries, offering diverse educational contents, establishing clear-cu lines of responsibility, and providing encouragements.

      • KCI등재

        위기청소년의 자살사고 보고 여부에 따른 MMPI-A와 로샤검사의 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고태연,김보기,박지훈,한근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psychological tests in order to identify at-risk adolescents who may have suicidal thoughts.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Adolescent (MMPI-A), a representative self-report test, and Rorschach test, a projective test, were conducted to at-risk adolescents at the Incheon Youth Counselling and Welfare Center. Specifically, scores of each subclinical scale of MMPI-A, signs and indicators of Rorschach test, the Exner's Suicide-Constellation (S-CON, 2003) and Silberg and Armstrong's Rorschach Suicidal Index (RSI) for youth (1992) were used to identify suicidal ideation. Test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one consisted of 50 adolescents with suicidal ideation reported, and the other consisted of 32 adolescents without suicidal ideation reported.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report suicidal ideation, the scores of the group that reported suicidal ide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on L and K scales and higher on the F scale among MMPI-A validity scales,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Hs, D, Hy, Pd, Pa, Pt, Sc, Ma, and Si scales among MMPI-A clinical scales. In particular, the score on the D scale in the group that reported suicidal ideation was higher than 70T, and the scores of Hs, Pt, and Sc scales were higher than 65T, which was clinically significant. Also,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report suicidal ideation, the Rorschach sign of the group that reported suicide ide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 M, M-, and DQ+ in the cognitive section, 3r+(2)/R, (2), Fr+rF, and An+Xy in the self-perception section, and HVI, H, H+(H)+Hd+(Hd), and isolate/R in the interpersonal section. The difference between S-CON and RSI was not significant. In order to prevent suicide in adolescents at risk,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on the evaluation of suicidal ideation through psychological tests. It is also needed to identify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gende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or the level of mal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청소년들 중 자살사고의 가능성이 있는 청소년을 변별하기 위한 심리검사의 반응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의뢰된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대표적인 자기보고식검사인 MMPI-A와 투사검사인 로샤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살사고 보고 여부에 따라 50명의 자살사고 보고집단, 32명의 자살사고 비보고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의 반응 차이를 비교하였다. 특히, MMPI-A의 각 하위임상 척도의 점수와 로샤검사의 기호를 비롯하여 Exner(2003)의 자살군집(S-CON)과 Silberg와 Armstrong(1992)의 청소년을 위한 로샤자살지표(RSI)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살사고 보고집단은 자살사고 비보고집단에 비해 MMPI-A의 타당도 척도에서 L, K 척도는 낮고 F 척도가 더 높았고, 임상 척도에서는 Hs, D, Hy, Pd, Pa, Pt, Sc, Ma, Si 척도가 더 높았다. 특히, D 척도가 70T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Hs, Pt, Sc 척도는 65T 이상으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다. 또한, 로샤 기호 중에서는 인지영역에서는 M, M-, DQ+, 자기지각 영역에서는 3r+(2)/R, (2), Fr+rF, An+Xy,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HVI, H, H+(H)+Hd+(Hd), isolate/R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간에 S-CON과 RSI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위기청소년의 자살 예방을 위해 심리검사를 통한 자살사고의 평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청소년의 성별, 정서적, 행동적 문제의 유형이나 부적응 수준에 따라 분류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위기청소년의 심리적 자원 형성

        윤주리,정현주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9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nner resources of at-risk adolescents evolved through resource-oriented song psychotherapy (RoSPT). For this study, an RoSP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Eight weekly group sessions of the RoSPT program were conducted with 25 adolescents who were under probation of prosecution.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10 of the adolescents participated in individual interviews about the experience of RoSPT. Transcription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via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identified nine types of inner resources that were utilized by the participants: hope/desires, challenge, endurance, sense of achievement, sense of competence, pride, discovering true self, courage, and internal locus of evaluation. The study supports that RoSPT can be applied to enhance inner strength of at-risk adolescents who often lack contextual and relational support. Further studies on qualitative exploration of resource formation can be helpful. 본 연구에서는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해 위기청소년이 경험하는 심리적 자원을 알아보고자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구성하여, 조건부 기소유예 및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 25명을 대상으로 총 8회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프로그램 종결 후 1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원 형성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에서 참여자가 경험한 심리적 자원은 총 128개의 개념으로 나타났고, 9개의 심리적 자원 유형이 도출되었다. 9개의 심리적 자원은 ‘소망/원함’, ‘도전’, ‘인내’, ‘성취감’, ‘유능감’, ‘자부심’, ‘참자기와의 만남’, ‘용기’, ‘내적평가소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 과정을 통해 위기청소년이 경험한 다양한 심리적 자원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해 경험하는 참여자의 심리적 변화 과정 및 치료적 역동을 심도 있게 탐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 The Examination of Subgroup-Sensitive Risks and Needs among Delinquent Adolescents in the US

        Lim, Ji-Young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7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Vol.8 No.2

        While there is growing evidence regarding the subgroup-sensitive nature of risk factors among delinquent adolescents, researchers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tracking of risks and needs by subgroups (e.g., gender, ethnicity, and the timing of onset for delinquency) among youth who are currently involved in the juvenile court system. Therefore, greater empirical attention directed toward subgroup-sensitive risk factors experienced by delinquent adolescents is thought to be both timely and necessary. A final convenience sample of 2167 court-involved adolescents in the US was used to specify subgroup-sensitive risks and need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various levels of risks according to subgroups associated with gender, ethnicity, and onset for delinquency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add to the extant literature on delinquency by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ubgroups associated with gender, ethnicity, and the timing of onset for delinquency when practicing treatment or intervention programs with delinquent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