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행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의 옥외집회 금지장소에 대한 헌법적 고찰 – 대통령 관저와 대통령 집무실의 해석을 중심으로 –

        김소연 한국헌법학회 2022 憲法學硏究 Vol.28 No.4

        In a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assemblies function as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and the realization of political expression in that they are a means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political communication. In relation to democracy, assemblies function as a supplement to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assemblies also function as a means of realizing pluralism in that they inform the majority of the opinions of the minority and reflect them within the national community. When interpreting assemblies as a connecting channel between the national will and the people's will, in order to effectively realize the freedom of assembly, assemblies must and should be held in the most efficient way to convey the will of the people. In this case, as the embodiment of the freedom of assembly, the selection of the meeting place is directly and closely related to the purpose of holding the assembly,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means that can deliver the purpose most effectively. The current 「Assembly and Demonstration Law」 considers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freedom of assembly within a democracy and the importance of choosing a meeting place in realizing freedom of assembly. Accordingly,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stipulates the contents of prohibited places in the form of permitted in principle and prohibited in exceptional cases.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stipulates a specific place as a place where gatherings are prohibited. However, it is intended to protect the freedom of assembly thickly by defining it as a relative prohibited place rather than an absolute prohibited place.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se prohibited places, the place where assembly is prohibited today is the ‘President’s Office’. Article 11 of the current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stipulates only the “President’s official residence” as a prohibited place for outdoor assembly, but not the President’s office. Accordingly, a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President’s office can be derived from the President’s official residence stipulated in Article 11, Paragraph 3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However, according to the literal interpretation and the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President’s official residence centering on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at the President’s office i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ident’s official residence. Although there is no provision for the Office of the President in the current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e interpretation that restricts the freedom of assembly near the President’s office is a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or a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due to sluggish legislative omission. Therefore, establishing a clear standard for judging illegality by stipulating which places are prohibited by law has a major meaning in realizing freedom of assembly. If Article 11 of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stipulates the President’s office along with the President’s official residence, this is to define both work space and non-work space for executive agencies. This type of regulation is also appropriate in that it has unity with the system of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for legislative and judicial institutions, which already stipulates work space and non-work space in harmony. In addition, if the President’s office, which is a work space, is separately stipulated, exceptions to the permission of assembly can be provided, such as the place for other work spaces stipulated in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Reasons for this can be considered as ‘when there is no concern about interfering with the President's work’ and ‘when there is no concern that it will spread to a large-scale assembly or demonstration’. 민주적 헌법국가에서 집회는 정치적 의사소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국민참여의 수단이라는 점에서 정치적 의사표현을 통한 민주주의의 실현으로 평가된다. 민주주의와의 관련성 속에서 집회는 대의제 민주주의의 보완책으로 기능하며, 소수자의 의견을 다수에게 알리고 이를 국가공동체 내에 반영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다원주의의 실현수단으로도 기능한다. 국가의사와 국민의사의 연결통로로서 집회를 해석할 때, 집회의 자유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국민의 의사를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집회를 개최할 수 있어야 하며, 개최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집회의 자유의 구체화로서 집회장소의 선택은 집회개최의 목적과 직접적이고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집회개최의 목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이하 ‘집시법’)은 민주주의 내에서 집회의 자유가 갖는 헌법적 의의와 집회의 자유 실현에 있어서 집회장소의 선택이 갖는 중요성을 고려하여, 집회장소에 대한 원칙적 허용과 예외적 금지의 형태로 옥외집회 금지장소에 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집시법 제11조는 옥외집회 금지장소로 특정 장소를 규정하고 있지만, -해당 장소에서의 집회허용의 예외적 사유를 규정함으로써- 이를 절대적 금지장소가 아닌 상대적 금지장소로 규정하여 집회의 자유를 두텁게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옥외집회 금지장소의 해석과 관련하여 오늘날 새롭게 문제되고 있는 장소가 바로 ‘대통령 집무실’이다. 현행 집시법 제11조는 옥외집회 금지장소로 ‘대통령 관저’만을 규정할 뿐, 대통령 집무실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집시법 제11조 제3호에 규정된 대통령 관저로부터 해석적으로 대통령 집무실이 파생될 수 있는지가 문제되는데, 관저에 대한 문언적 해석과 집시법 제11조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 해석에 의하면, 대통령 관저의 범위 내에 대통령 집무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대통령 관저에 대한 이러한 해석의 문제는 집회의 자유의 내용인 집회장소 선택의 자유가 침해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현행 집시법에 대통령 집무실에 대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해석으로 대통령 집무실 인근의 집회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법률유보원칙 위반 또는 부진정입법부작위에 의한 기본권침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집회의 자유의 실현에 있어서는 옥외집회 금지장소인지를 법률에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위법성 판단에 대한 확실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운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현행 집시법 제11조는 이미 입법기관과 사법기관에 대한 옥외집회 금지장소로서 업무공간과 비업무공간을 호응시켜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집시법 제11조에 대통령 관저 외에 대통령 집무실이 별도로 규정된다면, 이는 집행기관을 둘러싼 옥외집회 금지장소에 대한 비업무공간과 업무공간에 대한 규정이 되어 집시법 제11조의 규정형식 및 체계와도 통일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업무공간인 대통령 집무실을 별도로 규정할 경우, 집시법 제11조에 규정된 다른 업무공간에 대한 장소처럼 집회허용의 예외사유를 두어야 할 것인데, 그 사유로는 ‘대통령의 업무를 방해할 우려가 없는 경우’와 ‘대규모 집회 또는 시위로 확산...

      • KCI등재

        집회,시위에 대한 형법 제185조 (일반교통방해죄) 적용의 문제점

        신은영 ( Eun Young Shin ) 안암법학회 2012 안암 법학 Vol.0 No.37

        Controversy over the general obstruction of traffic clause in the Criminal Act had been aroused as the court approved the prosecution under that provision against the participants of the candlelight rally in 2008. The following decision on March 2010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at declared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clause intensified the debate. The reality that people who wish to exercise theft most basic constitutional rights to assembly and demonstration are subject to criminal prosecution seriously harms the rule of law: it does not satisfy the principle of ultima ratio,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s of criminal law. While article 185 penalizes traffic-obstructing behavior that endangers safety of human life, body, or property, disturbance of traffic in the course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should not be punishable under the clause as these acts are based on fundamental right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The courts hold that acts during unlawful assembly and demonstration are punishabl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x specialis, however,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or Road Traffic Act shall be applied to these behaviors instead, as these contain provisions with identical action configurations. Further, none of the terms that describe the action configurations in the article, "destroys", "blocks a road", or "by other means", do not correspond to the act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Even if a broad interpretation by courts may be permissible, acts during assembly and demonstration are not subject to punishment by the clause as there is no infringement or risk of infringement of legal interest equivalent to the social legal interest which the article intends to secure. Also, certain inconvenience to the traffic is to be endured, as the extent of right to transport lies within the boundary of maximizing the freedom of assembly. Material disadvantages that exceed the balance can be resolved through other relevant regulations of the Criminal Act. Issue of excessive intervention of criminal law is another problem that this article poses as the special laws can be taken as denying a need to punish acts that do not cause direct harm to the public;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d reduces the scope and degree of punishment against simple participants, and the Road Traffic Act provides that "a person who sits, lies, stands on a road in an obstructing manner" is subject only to minor fines. In conclusion, acts during assembly of demonstration should be subject to Assembly and Demonstration Ad or Road Traffic Act only, rather than the general obstruction of traffic provision of the Criminal Act. It is further suggested that the action configurations of the article he clarified accordingly, through amendment of law.

      • KCI등재

        집회의 자유에 의하여 보장되는 활동의 범주에 관한 연구-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의 관점에서

        이규홍 사법발전재단 2013 사법 Vol.1 No.26

        Freedom of assembly may conflict with others' legal interest or public interest, but it is clear that it constitutes “costs assumed by free democracy” in the free democratic country. Thus, the issue is limited to the degree of restraint. Through cases where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the AD Act”) has been applied, this article will examine “categories of activities guaranteed by freedom of assembly”, and summarize solution through interpretation·application of the AD Act by the court's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 and the part requiring legal amendment, and find out whether the court has been attempting for the solution. For this purpose, constitutional review comes first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freedom of assembly and freedom of expression with the focus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s which newly presented legal principle with regards to the punishment provision about unreported outdoor assembly pursuant to the AD Act. Next a priori regulation measure regarding assembly is concerned with whether “assembly and demonstration” which is subject to the AD Act exists. Accidental assembly and emergency assembly lacking legal provisions need theoretical proof despite their importance. In case of press interview, candle light demonstration, flash mob, (modified) one-person demonstration, essence has been revealed through fact-finding in practice. And constitutionality of demonstration restraint near to the National Assembly among the absolute bans against assembly is still under dispute. Legal principle as to outdoor nighttime demonstration deserves consideration in ligh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rder as to its time restraint. The related issues are: the Supreme Court'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as to general obstruction of traffic in terms of the Criminal Act; multiple reports; interpretation related to the above advanced blockade. Posterior measures are: interpretation of the “act deviating from purpose” which the holder should comply; the issue whether an unreported assembly or an assembly deviating from the reported scope is subject to a dissolution order in terms of the Supreme Court's recent criterion. Discussion for amendment reflecting the case laws is on demand where case laws have been accumulated to establish criteria with an unclear legal provision; constitutionality can be maintained by interpretation of restraint in the direction protecting basic rights with a clear legal provision; premised on unconstitutionality with a clear legal provision. The second one commands decision-making case by case, and thus regulation by the law is more proper in terms of legal stability. 집회의 자유가 타인의 법익이나 공익과 충돌할 수 있지만 이는 자유민주국가라면 부담하여야 할 ‘민주주의의 비용’인 점이 분명하므로 쟁점은 제한의 정도에 집중된다. 그러므로 판례에 나타난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현재 대한민국에서 실현되고 있는 ‘집회의 자유에 의하여 보장되는 활동의 범주’를 살펴보아, 법원의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에 의한 집시법 해석·적용에 의하여 해결이 가능한 부분, 법 개정이 요구되는 부분 등을 정리하고 나아가 법원이 이러한 해결을 시도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집회의 자유의 의미를 표현의 자유와의 관계정립이 가지는 의미를 중심으로 헌법적으로 재검토하며, 최근 집시법상 미신고 옥외집회 처벌규정에 관한 법리를 새롭게 제시한 대법원판결을 주목한다. 다음 집회 등에 관한 사전적 규제 조치를 보면, 먼저 과연 집시법 적용대상인 ‘집회 및 시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 우발적 집회, 긴급집회 등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법 규정이 미비되어 있는 집회에 관한 규율은 이론적인 논증이 필요한 주제로 보이고, 기자회견, 촛불시위, 플래시 몹, (변형된) 1인 시위 등의 경우는 실무적으로 사실관계 인정에 의하여 본질이 규명되는 경향이 있어 보인다. 그리고 집회 등의 절대적 금지사유 중 국회의사당 인근 시위 제한의 합헌성은 논란이 여전하고, 야간옥외집회의 시간적 제한에 대한 기존의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비추어 향후 내려질 야간옥외시위 관련 법리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실무상 많이 적용되는 형법상 일반교통방해죄에 관한 대법원의 제한해석과 그 적용문제, 중복신고의 해결문제, 소위 원천봉쇄관련 경찰관직무집행법 해석문제 등이 관련주제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고, 사후적 규제조치 중에는 주최자의 준수사항 중 ‘신고한 목적 등을 뚜렷이 벗어나는 행위’의 해석과 미신고집회나 신고범위일탈집회라는 이유로 바로 해산명령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라는 점에 관하여 대법원이 최근 제시한 기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렇듯 사안별로 조항은 명확하지 않으나 판례집적에 의하여 그 기준이 정립될 수 있는 부분, 조항은 명백하나 그 적용 시 기본권보호방향으로 제한하여 해석함으로써 합헌성을 유지할 수 있는 조항, 그렇지 못하고 조항은 명백하나 위헌성논의를 전제한 법 개정이 필요한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두 번째 경우도 사안별로 판단이 내려지는 관계로 법적 안정성이라는 면에서 볼 때 법률에 의한 규율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여, 판례의 취지를 반영한 법 개정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해상집회,시위에 대한 연구

        이희훈 ( Hie Houn Lee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34 No.1

        Considering that participants in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 sea can manifest their own personality, supplement democratic justification under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protect the minority by opening assembly or demonstration and that an effect of assembly or demonstration against ludicrous statements related to Dokdo will be maximized when opened rather on the sea than on land, the place on the sea is pertinent to the protected area of freedom of assembly. On the other hand, it is valid to apply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to peaceful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 sea. For, the place on the sea is pertinent to `where general people can pass through freely` out of Article 2, Clause 2 of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since most of participants in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 sea don`t use large-scale ships besides hybrid vessel. And it is pertinent to `Behaviors which have an effect on diverse unspecific people`s opinions or control them by showing power and force to others` out of Article 2, Clause 2 of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since, if participants in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 sea argue their common opinions by moving a lot of ships on the sea at once, it will have an effect on diverse unspecific peopl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apply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 sea to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the present. However, it is invalid to restrict or regulate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 sea by applying sea related laws such as public order in open ports act and sea traffic safety act enacted to protect sea traffic since it restricts freedom of assembly by sea related laws with different purpose of legislation, which restricts natural rights in constitution which is freedom of assembly without clearly stated ground law.

      • KCI등재

        대통령 집무실 및 전직대통령 사저 인근에서의 절대적 집회금지를 규정한 집시법 제11조 개정안의 위헌성

        이종훈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3 인권법평론 Vol.- No.31

        Recently, some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proposed an amendment to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in order to ban on assemblies in the vicinity of the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and former President's residenc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onstitutionality of this proposal. Absolute no-assembly zones have historically been used by military regimes as a means to curb citizens' freedom of assembly. These zones are generally thought to be unduly restrictive of freedom of assembly and do not pass the proportionality test. In fact,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ruled several parts of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unconstitutional. Before examin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is amendment proposal, we must first define the concept of “Presidential residence” in Article 11(3)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Taking into account the dictionary meaning of the term, the structure of Article 11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and the guarantee of freedom of assembly, the term “presidential residence” refers to the living quarters of the President and his family. The absolute prohibition of all assemblies in the vicinity of the President's residence is aimed at protecting the constitutional functions of the President, and the absolute prohibition of all assemblies in the vicinity of the residence of former presidents is aimed at ensuring the personal safety of former presidents and the tranquility of their residences. These legislative objectives are legitimate. However, the above provisions uniformly prohibit all assemblies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no need to regulate small and peaceful assemblies. Also, the legislative objective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the Criminal Code, and the Presidential Security Act. Therefore, these provisions violate the right to freedom of assembly. The amendments should not be passed. 최근 일부 국회의원들은 집시법 제11조에 대통령 집무실 인근과 전직대통령 사저 인근을 추가하는 내용의 집시법 개정법률안을 발의하였고, 행정안전위원회는 절대적 집회금지장소에 대통령 집무실 인근 및 전직대통령 사저 인근을 추가하는 내용의 대안을 위원회안으로 제안하였는바, 그 위헌성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집시법상 절대적 집회금지장소 조항은 연혁적으로 군사 정권이 시민의 집회를 억제하기 위해 도입한 것으로서, 태생적으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절대적 집회금지장소를 설정하는 것은 집회의 자유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으로서 비례성 심사를 통과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헌법재판소는 집시법 제11조 중 상당 부분에 대하여 과잉금지원칙 위반을 이유로 헌법불합치결정을 내렸다. 우선, 대통령 집무실 인근에 절대적 집회금지장소를 설정하는 개정안의 위헌성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는 집시법 제11조 제3호의 ‘대통령 관저’의 개념을 먼저 검토해야 한다. 관저의 사전적 의미, 집시법 제11조의 조문 구조, ‘대통령 관저’를 대통령 집무실을 포함한 ‘광의의 대통령 관저’로 해석할 경우 집회의 자유에 대한 침해의 정도가 커지게 된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집시법 제11조 제3호의 ‘대통령 관저’란 대통령과 그 가족의 생활공간인 대통령 관저 자체, 즉 ‘협의의 대통령 관저’만을 의미한다고 보인다. 협의의 대통령 관저 개념을 취한 다음에야, 집시법 제11조 제3호에 대통령 집무실을 추가하여 그 인근에서의 집회를 금지하는 집시법 개정 논의가 가능하다. 대통령 집무실 인근의 모든 집회를 절대적으로 금지하는 조항은 대통령의 헌법적 기능 보호를 위한 것으로서 그 입법목적은 정당하다. 그러나 위 조항은 소규모 집회 등 규제가 불필요한 집회까지도 일률적으로 금지하고, 대통령의 헌법적 기능 보호라는 입법목적은 집시법, 형법, 대통령경호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 조항은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된다. 다음으로, 전직대통령 사저 인근에 절대적 집회금지장소를 설정하는 개정안의 위헌성을 살펴본다. 전직대통령은 현재 국가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 않은 사람으로서 기본적으로 사인에 해당하고, 사저 역시 어떤 공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전직대통령의 신변 안전과 주거의 평온을 도모하는 것이 특별한 중요성을 지닌 공익이라고 볼 수 없다. 전직대통령 사저 인근에서의 집회를 절대적으로 금지하는 조항은 전직대통령 등의 신변 안전과 그들의 주거의 평온을 철저히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입법목적은 정당하다. 그러나 위 조항은 소규모 집회 등 규제가 불필요한 집회까지도 일률적으로 금지한다. 또한 전직대통령 등의 신변 안전과 그들의 주거의 평온이라는 입법목적 역시 집시법, 형법, 대통령경호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 조항 역시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된다.

      • KCI등재후보

        평화시위구역제도에 대한 헌법적 검토 -집회 및 시위의 자유의 본질론을 중심으로-

        김종철 ( Jong Cheol Kim ) 한국경찰법학회 2008 경찰법연구 Vol.6 No.2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criticize what is called “the Peaceful Demonstration Zone Policy”(“PDZP”) propos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as soon as Lee Myong Bak was elected as president. Peaceful Demonstration Zone is a zone intended to promote peaceful demonstration by guaranteeing assembly organizers and participants less police regulation within that zone and/or providing other incentives like parking lot and toilet for assembly participants while outside the zone the routinized police regulation such as police bus barricade is applied. In analysing PDZP, I started to tie it up with the overall legal regime in this field the thrust of which is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because if the legal regime governed by the Act is very harsh, the privilege of PDZP is nothing but a means to support such harsh legal system, though the benefit of PDZP itself is not harsh. And then, I moved to prove the harsh character of the Act. In so doing, I delved into the ‘relational’ nature of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FAD”), as opposed to ‘atomised’ nature of other liberties like personal freedom. The relational nature means one that something like FAD is by nature guaranteed to involve other people and have an impact on their opinions so that it should not be restricted by law only because any assembly and demonstration may cause inconvenience to general public whatsoever. I believe that the Ac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Korea has various legal devices to excessively restrict FAD such as prohibition of outdoor assembly after sunset. The second justification for challeng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Act lies in the ‘preferred position’ of the freedom of political assembly compared to other assembly because without political assembly, the democratic formation of the state is unthinkable. I concluded that PDZP may be compatible with the constitution only under the condition that general legal regime governing Assembly and Demonstration guarantees FAD in a proper way within constitutional boundary.

      • KCI등재

        인권친화적 집시법 개정을 위한 제언- 제21대 국회 입법안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중심으로 -

        김선일 한국경찰법학회 2024 경찰법연구 Vol.22 No.2

        제21대 국회에서 다수의 집시법 개정안들이 발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단 한 건도 실제 법률 개정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이렇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있겠지만, 집시법 개정안을 마련하면서 집시법 전반을 관통하는 패러다임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나 해결방안 마련에 골몰하기보다 특정 시점에서 이슈화된 현실 상황에 대한 단기적인 처방을 현행 법률에 대입시키는 데 더 천착하지는 않았을지 의구심이 든다. 집시법 제정 이후 60여 년이 지나는 동안 많은 개정이 이루어졌지만, 평화적 집회를 보호·촉진하는 데 주안점을 두기보다는 주로 ‘적법-위법’ 패러다임에 따른 규제 대상으로 집회·시위를 바라보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루어진 집시법 개정도 적지 않은 부분에서 헌법재판소의 결정이나 법원의 입장을 소극적으로 반영하는 데 그쳤다는 비판도 가능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고에서는 최근 임기가 종료된 제21대 국회 집시법 개정안의 주요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평가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제22대 국회에서 더욱 인권친화적인 집시법 개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입법 방향 역시 제시하고 있다. 그간 규제일변도의 집회·시위 입법정책이나 대응기조가 집회·시위를 관리·통제해 왔던 국가 당국과 이를 개최하고 그에 참가했던 시민들 모두에게 이른바 ‘win-win’의 효과를 발산시켜왔다고 단언할 수 없다면, 이제는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폭넓은 참여하에 이들의 의사가 최대한 반영된 집시법 개정안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Although a number of amendments to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were propos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not a single one led to actual amendments to the law. There may be a variety of reasons for this, but in preparing the amendment to the above Act, rather than focusing on fundamental concerns about the paradigm that penetrates the entire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or preparing solutions, it raises doubts whether it simply applied short-term solutions to specific issues that were highlighted at certain points in time. Although many amendments have been made in the last 60 years after the enactment of the above Act, the limitation is that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were mainly viewed as objects of regulation according to the 'legal-illegal' paradigm rather than focusing on protecting and promoting peaceful assembly. In addition, it can be criticized that the revision of the above Act in the 2000s merely passively reflected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r the court's position in many aspect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d and evaluated the major issues in the amendments to the above Act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whose term of office recently ended. In addition, through this, the legislative direction is also presented so that the 22nd National Assembly can revise the above Act to be more human rights-friendly. If it cannot be said with certainty that the regulation-oriented legislative policy or response to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has had a so-called 'win-win' effect on both the state authorities who have managed and controlled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and the citizens who have held them and participated in them. We are now at a point where an amendment to the above Act must be prepared with the broad participation of members of our society and to reflect their opinions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후보

        사이버 집회·시위에 대한 헌법적 고찰

        이희훈 홍익대학교 2010 홍익법학 Vol.11 No.2

        사이버 집회·시위는 1995년 6월에 미국에서부터 시작이 되어 우리나라에서 2010년 5월 현재 트위터를 이용한 사이버 집회·시위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사이버 집회·시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유로 집회의 자유가 아닌 언론의 자유의 보호영역에 속하는 행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첫째, 전 세계적으로 헌법에서 집회의 자유를 최초로 규정하여 보호하였던 집회의 자유에 대한 미국의 역사적 유래에 비추어 볼 때 미국에서 집회의 자유의 보호영역에 속하는 장소는 인터넷 이라는 가상공간이 아닌 2인 이상의 여러 사람이 직접 현실적·실제적 장소였다는 점이다. 둘째, 만약 사이버 집회·시위를 언론의 자유의 보호영역에 속한다고 본다면 이에 대한 규제 및 제재는 명백·현존하는 위험의 원칙 등에 의해 가해져서 보다 넓은 자유가 보장되는 반면에 집회의 자유의 보호영역에 속하는 행위로 본다면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의 여러 제한 규정을 적용받게 되어 사이버 집회·시위가 보호되는 정도가 작아지게 된다는 점이다. 셋째, 사이버 시위의 여러 방법들 중 새로고침 버튼(F5)누르기 방법과 항의성 이메일의 보내기(대량살포)와 같은 방법은 형법 제314조 제2항,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8조 제3항과 제71조 제10호, 정보통신기반보호법 제12조와 제28조에 의해 처벌될 위법적인 의사표현행위라고 할 것 이므로 법으로 보호할 필요가 없고, 해당 인터넷 홈페이지 화면에 리본(Banner)달기나 해당 인터넷 홈페이지의 게시판에 의견개진 정도가 사이버 집회·시위에 해당하는 행위라고 할 것인바, 이러한 행위에 대해 굳이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을 적용해야 할 실익은 거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새롭게 온라인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거나 또는 현행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사이버 시위에 대한 장을 추가로 신설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Cyber assembly and demonstration was started from USA in June, 1995. In South Korea, cyber assembly and demonstration with twitter is being carried out in May, 2010. It is valid to put such cyber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the protected area of freedom of speech, not freedom of assembly, because of the below three reasons. First, considering the history of USA prescribing and protecting freedom of assembly for the first time in Constitution, the place in the protected area of freedom of assembly in USA was a realistic and practical place that diverse people more than two persons had an assembly, not a virtual space which was internet. Second, if putting cyber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the protected area of freedom of speech, an extensive freedom is secured since its regulation and restriction are executed by the principle of clear and present danger. On the other hand, if putting it in the protected area of freedom of assembly, cyber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protected to the minimum since it is applied to diverse limited regulations of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ird, out of diverse methods of cyber demonstration, how to push a button for new correction (F5) and to send remonstrative emails in mass will be an illegal action of declaration of intention to be punished by Article 314 Clause 2 of Criminal Law, Article 48 Clause 3 and Article 71 Number 10 of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and Article 12 and Article 28 of Act on Foundation Prote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herefore, they don’t need to be protected by law. Putting a banner in a screen of the pertinent internet homepage or comments in a bulletin board of the pertinent internet homepage is regarded to be an action of cyber assembly and demonstration. It is almost unprofitable to apply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to such action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enact a new act on cyber assembly and demonstration or to add a chapter of cyber demonstration to the present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by revising it.

      • KCI등재후보

        야간 옥외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규정의 공백에 따른 방향 설정을 위한 비교법적 고찰

        김종천(Jong-Cheon Kim)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論文集 Vol.36 No.1

        우리는 집회의 자유에 대한 논란이 민주화를 이룬 1987년 헌법체제 후 대한민국 수도 서울에서 이렇게 열띤 논쟁의 장이 된 적이 없었다. 이렇게 집회 및 시위의 자유에 대한 논쟁은 2008년 4월 18일 우리나라와 미국간의 “미국 쇠고기 협상에 대한 안전성”에 관한 문제로 인하여 시발되었다. 이에 격분한 국민들은 정부가 졸속으로 협상을 하면서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미국에게 넘겨버렸다는 점에서 주ㆍ야간에도 계속해서 옥외집회를 개최하였다. 이에 경찰은 촛불집회를 주최한 사람들을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등의 혐의로 기소를 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2009년 2월 초에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 제7단독 박재영 판사는 ‘촛불 시위를 주도한 혐의로 기소된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조직팀장인 안진걸씨의 재판을 맡으면서, 우리나라 「헌법」 제21조에는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는데, 야간 옥외집회를 금지하고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만 허용되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10조는 헌법에 배치된다”며 헌법재판소에 위헌 법률심판을 제정하였다. 이어서 2009년 9월 24일에 헌법재판소는 야간 옥외집회를 금지한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10조의 위헌여부에 대하여 5인 위헌 대 2인 헌법불합치 대 2인 합헌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이와 더불어서 헌법재판소는 사회적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조항을 2010년 6월 30일까지 입법자에게 법률을 개정토록 했으며, 개정 전까지는 계속적으로 적용토록 결정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법자는 최근 2012년 4월초(1년 9개월 동안)까지 법조항의 효력이 상실돼 언제 어디서 집회를 하여도 集示法으로 規制할 수 없는 法律 空白 狀態하에 존재하게 한다는 점에서 立法學的인 問題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야간 옥외집회 규정과 관련하여 외국의 입법례를 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집시법 제10조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독일의 경우에는 야간 옥외집회규정을 입법화하고 있지 않고, 영국도 야간 옥외집회를 금지하는 법규정은 없지만, 경찰의 집회에 대한 폭넓은 재량권 행사를 통하여 집회 및 시위를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은 아직까지 집회 및 시위의 자유와 관련된 단일법도 없다. 다만, 각 주(州)나 지방자치단체별로 필요에 따라 관련 규정을 두고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회가 사전에 신고된 내용을 준수하지 않거나 불법시위로 발전할 경우 경찰의 법집행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더 엄격하게 집행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야간에 옥외집회를 금지하는 시간제한을 두고 있는 나라는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의 일부 국가에 한정돼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랑스는 밤11시 이후의 집회를 금지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밤 11시부터 아침 7시까지만 집회를 금지하고 있다. 중국은 밤 10시부터 아침 6시까지의 집회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면서도 예외적으로 집회를 허용하고 있다. 중국은 아직까지 사회주의 국가로 언론 및 집회, 시위의 자유 등에 관한 표현의 자유라는 원칙이 존중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참고만 할뿐 비교의 대상은 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그 외 국가에서는 별도의 야간 옥외집회를 제한하는 규정을 갖고 있지 않는 대신 불법ㆍ폭력시위를 엄단하게 처벌해 사회질서를 유지하면서 집회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우리나라는 4계절에 따라 구분하여 集會 및 示威를 禁止하는 時間을 柔軟化하여 禁止하는 方案도 考慮할 수 있겠지만, 춘하절기와 추동절기를 기준으로 “춘하절기 4월1일 ~ 9월 30일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5시까지, 추동절기 10월 1일 ~ 3월 31일까지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7시까지” 야간 옥외집회 규정을 법률(안)으로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There has never been such a heated discussion on the freedom of assembly in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since Korea entered into a constitutional state in 1987. The controversy on the freedo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has been sparked by the safety issue on the American beef between Korea and the USA on April 18, 2008. Being furious at the Korean government for giving up the minimum safety measure for its people in the negotiation with the US government, Koreans started forming an outdoor assembly, protesting day and night against the government and its poor negotiation with the US. The Korean police prosecuted the people who organized the candlelight vigil protest for violating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Judge Jae-Young Park at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took the case of Mr. Jin-Geol Ahn who was a team leader of the Anti-Mad Cow Association being indicted on charge of leading the candlelight vigil. The Judge then recommended the Constitutional Court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Act, saying that Article 21 of the Korean Constitution sets forth the freedom of assembly and association, therefore Article 10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is not constitutional as it bans an outdoor assembly at night unless it meets a certain condi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reached to a decision on September 24, 2009 and ruled that Article 10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was a constitutional discord with 5(unconstitutional) - 2(constitutional discord) - 2(constitutional). In addi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recommended the lawmakers to amend the concerned article no later than June 30, 2010 in order to prevent any social confusion and to permit the article to be remained effective until the amendment. However, the provisions on such matter has been nullified until the early of April of 2012 (for 1.9 years) and it has been in legal vacuum that can’t prohibit outdoor assembly from being occurred at anytime. It may raise some legislative issue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the laws and legislation of foreign countries in regard to night-time outdoor assembly and proposes a direction to improve the Article 10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Germany does not have a statute on night-time outside assembly and the UK does not legislate against such matter but controls assembly and demonstration by granting the police a range of discretion. The US federal government does not have a law concerning assembly and demonstration, while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have some provisions in regard to such matter. However, when a demonstration or assembly does not follow the conditions that are reported in advance or becomes illegal, the law enforcement agency including the police responses even stricter than Korea does. There are a few countries which have a law putting the time limit to night-time outdoor assembly including France, Russia and China. For example, France bans an outdoor assembly after 11 at night and Russia bans it from 11pm to 7am. China puts time limit on night-time outdoor assembly from 10pm to 6am with exception. Since China is a communist country where the freedom of press, assembly and demonstration struggles, the case of China may not be comparable but only for reference. Many other countries do not have a specific provision limiting night-time outdoor assembly but are very strict against illegal and violent demonstrations in order to maintain the social order as well as to secure the freedom of assembly.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to put flexible time limit to outdoor assembly in Korea. The suggestion for night-time outdoor assembly is to put a different time limit between spring and summer time and autumn and winter time. An outdoor assembly may be prohibited from 11pm to 5am during spring and summer from April 1 to September 30, and from 11pm to 7am during autumn and winter from October 1 to March 31.

      • KCI등재

        항만해상집회·시위의 규제에 대한 고찰

        김태계(Kim, Tae-Kye) 한양법학회 2013 漢陽法學 Vol.24 No.1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on a lawful assembly and demonstrations as much as possible, and ensure interference is prohibited.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s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citizens can be protected. Port or at sea, however, Marine assembly and demonstrations are at risk due to the nature The ship’s maritime means of demonstration. Many ship’s collision occurs between the protest ship. So are more likely to see the material and human damages. Also a lot of risk because many of the sea laws and regulations. The reason the sea in a assembly or protest shall be regulated by law.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however, assembly or demonstrations can not be controlled by the sea laws. This is marine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to introduce a permit system. Therefore can not be limited by applicable law, marine assembly or demonstrations on sea.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there is no regulation on maritime demonstrations prestigious So all maritime demonstrations to police illegal regulations and enforcement. This is not a legitimate action. Rallies and demonstrations in the maritime guaranteed and should be regulated. It hink the majority of scholars is much more limited be cause of the danger should be put. Korea import and export to the country’s economy to maintain. Maritime demonstrations paralyzed maritime traffic due Wears huge blow to the livelihood of our country. Is necessary so that the revision of the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