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1 : 부산국제영화제 스펙트럼 ; 부산,아시아 지역성과 부산국제영화제(PIFF)의 문화윤리학

        최용성 ( Young Seong Choi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08 아시아영화연구 Vol.1 No.1

        이 논문의 목적은 부산 그리고 아시아의 지역성을 천착하되 이와 관련된 부산국제영화제의 지금까지의 성취와 가치지향성을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탈식민주의적 입장에서 부산 영화 그리고 한국 영화의 지역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시대에 할리우드 영화의 세계화와 문화제국주의가 진행되면서, 부산 영화 및 한국 영화의 식민성이 진행되고 있으며, 문화적 다양성 및 지역성 역시 손상되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에 근거하여 아시아 지역성을 천착하면서 세계적인 영화제로 성장한 PIFF는 문화적인 다양성 및 지역성을 회복하면서 진정한 세계화의 가치 지향성을 추구해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런 기획에 있어서 아직까지 근대화의 기획을 완성하지 못한 아시아 영화의 민족주의를 보듬을 필요성이 있으며, 민족주의에 의해 훼손된 다양한 주변성과 지역성을 발굴할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PIFF는 여러 생태학적인 네트워크와 함께 대안적 세계화의 문화윤리학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locality of Pusan and Asia in movie. And to study on the achievements and value directivity of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or this, this article reviews the locality of Pusan movie and Korean movie from the postcolonial standpoint. After globalization and cultural emperialism of Hollywood movie in the age of New liberalism, The Pusan movie and Korean movie had tendency which damage cultural variety and locality. Therefore PIFF must pursue the value directivity of the globalization which is genuine supports a cultural variety and a locality. PIFF must overcome nationalism of the Asia movie and pursue ecological network and alternative globalization.

      • KCI등재

        흑백버디무비와 아시아의 타자화

        임경규(Kyeong-Kyu Im) 한국영미어문학회 2008 영미어문학 Vol.- No.87

        The United States has recently witnessed old ""yellow perilism"" reemerging in anti-immigrant sentiment. Neil Gotanda has called this neo-yellow-perilism ""Asiatic racialization,"" a process characterized by ""[a] group of related yet distinct ideas - Asiatic unassimilability, the conflation of Asian Americans with Asian citizens, and the perception of Asians as a threat to the American nation."" Marginalization of Asian and Asian American people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cannot be reduced to a simple binary opposition between US and Asia; it is rather overdetermined by not only international power relations but also US"s domestic racial relations which have been historically constructed and inevitably connected with other problems such as race, gender and nation. This essay, therefore, will argue that Asian Americans and Asians have been and are being otherized and marginalized in American society by historically specific black-and-white racial logics of American nation. To do this, this essay will closely look 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American popular culture, especially, Hollywood black-white buddy movies such as Rising Sun (1993) and Lethal Weapon 4 (1998) in terms of what Brian Locke has defined as a figure of ""brinkmanship."" The figure of brinkmanship--predicated upon a black-and-white binary logic about American nation--is often ideologically employed by the dominant culture as a means of both incorporating African Americans into American nation while controling African Americans" claim for human rights. Yet such a binary logic has a dreadful impact on Asian and Asian American identity. Imagining America as a black-and-white nation requires any figure of an outside enemy threatening the unity of the nation. In many black-white buddie movies, Asian males have been constructed as the paradigmatic other-that against which the black-and-white America can in one way or another imagine its identity. The result is that Asians and Asian Americans have been constructed as eternal aliens in American popular culture.

      • KCI등재

        1950년대 대중가요의 아시아적 이국성과 국제성 욕망

        이영미 상허학회 2012 상허학보 Vol.34 No.-

        The tendency of Asian exoticism can be detected in many Korean pop songs in the 1950s. In the lyrics, these songs mentioned some Asian countries or adopted those countries' musical characteristics which provided the songs exotic sound. This paper will analyse the meaning of such Korean songs, by considering their relations with their predecessor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or looking into various cultural contexts in the 1950s, etc.. These songs which came after <Moon-lit Night of Silla(1949)> and <Far Away Home(1949)> enjoyed a considerable popularity until the mid 1950s. However, the pictures they painted about Asian countries in their lyrics had hardly anything to do with those countries' realities of the time, repeated stereotyped images which were in stories and folk tales and didn't go further than show-casing musical characteristics of some Asian countries. These songs which were of Asian exoticism of the 1950s are similar to those su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Sino-Japanese War to the Pacific War. The songs with Asian exoticism which particularly came out at the end of the Japanese rule reflected the widely publicized interest in Asia with the Japanese campaign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erefore, their interest in Asia was more specific and realistic, compared to the songs of the early and mid 1950s, however, was limited to a occupier's point of view loyal to the ruling ideology or that of a tourist. In this regard, the songs of the 1950s were in line with those during the Japanese rule but lost the contact with the reality which their predecessors had managed to maintain. Furthermore,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nd the Korean War increased people's interest in internationality. People had a desire to adapt to the new world order centered on the U.S. but failed to quickly learn the American music and culture. So, in return, they turned to songs with Asian exoticism to which they were familiar. Not the least, the mass influx of popular Hollywood movies in the 1950s made people yearn for the U.S.-centered internationality and they seemed to satisfy such desire by repeating the images of Asia which represented the Westerner's point of view. 1950년대 대중가요에는 아시아적 이국취향을 드러내는 일군의 작품이 발견된다. 이들 작품은 가사에서 아시아 여러 지역을 언급하거나, 음악에서 아시아 여러 지역의 음악적 특성을 이국적으로 보여주는 노래들이다. 이 글은 1950년대의 이러한 대중가요가 가진 의미를, 식민지시대 대중가요와의 관련성, 1950년대 다양한 문화적 맥락 등을 고려하여 분석해보고자 시도한 글이다. 1949년 <신라의 달밤>, <고향만리>에서 시작한 이러한 노래들은 1950년대 중반까지 상당한 인기를 모은다. 이들 노래가 보여주는 아시아 여러 지역에 대한 형상화는, 당대 아시아의 현실성과 무관하며, 설화나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형상화되어온 상투적 이미지들이고, 음악적으로도 아시아 음악의 제스처를 보여주는 데에 그치고 있다. 1950년대 아시아적 이국성을 띤 이들 노래는, 중일전쟁에서 태평양전쟁으로 이어지던 일제 말기의 노래들과 매우 흡사하다. 일제 말기에 집중적으로 등장한 아시아적 이국성을 띤 노래들은, 일제의 대동아공영권 주장과 함께 이루어진 아시아에 대한 대대적 관심과 맥을 함께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들 노래가 보여주는 아시아에 대한 관심은 1950년대의 노래들에 비해 다소 구체적이고 현실성이 있으나, 지배이데올로기에 조응하는 점령자의 시선이거나 관광적 시선을 드러내고 있다. 1950년대의 노래들은, 일제 말의 이러한 노래 경향의 연장선상에 있으면서, 그나마 지니고 있던 현실적 근거도 상실한 상태였다. 그러나 분단과 한국전쟁으로 대중들은 국제성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 상태였다. 대중들은 미국 중심의 새로운 세계질서에 적응하고 싶은 욕망을 갖고 있으나 빠르게 미국식 음악과 문화를 체득하기 힘들었으며, 대신 자신들에게 이미 익숙해진 아시아적 이국성을 띤 노래들의 국제성에 기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중들은, 1950년대에 대량으로 소개된 대중적인 할리우드 영화를 보게 되었고, 그러한 백인중심적 시선으로 재현된 아시아 이미지를 노래로 반복하는 방식으로 미국 중심의 새로운 국제성에 대한 욕망을 위로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동아시아 여성영화의 모성신화(母性神話)와 문화번역: 한국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2016)와 리메이크 중국 영화 <너를 찾았다(找到你)>(2018)의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최영희,문현선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21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8 No.-

        Countries in East Asia have been on a path to similar social changes under the patriarchal family ethic that follows rapid modernization and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The Korean film <MISSING>(2016) has created a new model for women's films that reflect on their survival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and the psychology of women, which has been remade into a Chinese film, <Lost, Found>(2018). The reverberations that the two movie texts have caused in both Korea and China confirm that the issues of motherhood myth and "women-mother" subject, which are shared by the texts, are shared in the East Asian region.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analysis of two film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tratum, region, and culture background from the difference of stratum, region and culture background to the powerlessness, conflict, effort, belief and will of the 'mother' I tried to reveal the maternal myth of family ethics in East Asia and examine how the symbolic symbol of the two movie texts reflects the different conditions of Korea and China as different aspects. The Korean film <MISSING> and the Chinese film <Lost, Found> are both based on the suffering narrative of the lower woman, and pay attention to the difficulties faced by modern women as an individual with a traditional role of 'mother' do. Women in these two texts are in a completely conflicting position: employers and employees, lawyers and clients, full-time housewives and professional women, but they are subject to double-faced oppression as a neo-liberal system that follows the logic of family ethics and capital under patriarchy. By realistically describing the impossibility of the 'work-to-work compatibility' of these women's subjects, we sought the possibility of East Asian solidarity of the 'women' subject, who is abstaining from the 'mother' image of 'motherhood myth' , The significance of the link between two texts and text can be sought. 근대 이후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각국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며 현대화를 추구해왔다. 동아시아라는 특정한 인문지리 환경 속에서 각국의 여성들은 급격한 사회 질서의 변화에 적응하는 현대적 여성상과 유교적 가족 윤리에 기초한 강력한 가부장제의 전통적 여성상 사이에서 갈등을 겪어왔다. 한국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2016)는 여성의 시각, 여성의 심리로부터 여성의 생존 상황을 반성하는 여성영화의 새로운 전형을 창조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동아시아 각국에서 반향을 일으켰고, 중국에서는 <너를 찾았다(找到你)>(2018)라는 제목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두 영화 텍스트가 한국과 중국 양국에서 일으킨 반향은 텍스트들이 공유하고 있는 모성신화와 ‘여성-엄마’ 주체의 문제가 동아시아 지역에서 공유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본고는 두 영화의 서사 분석을 통해 계층, 지역, 문화 배경의 차이로부터 현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직업’을 가진 여성으로서의 ‘엄마’들이 드러내는 무력감, 갈등, 노력, 신념과 의지의 관철 등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 가족 윤리의 ‘모성신화’를 확인하고, 두 영화 텍스트의 상징적 기호가 한국과 중국의 서로 다른 조건을 어떻게 다른 양상으로 반영하는지 살펴보는 데 우선적인 목적을 두었다. 한국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와 중국 영화 <너를 찾았다>는 모두 하층 여성의 수난 서사를 바탕으로 구축되었으며, ‘엄마’라는 전통적 역할과 ‘직업’을 가진 개인으로서의 현대 여성이 맞닥뜨리는 곤경에 주목한다. 두 영화 텍스트 속의 여성들은 고용주와 피고용인, 변호사와 의뢰인, 전업주부와 전문직 여성이라는 상반된 입장에 서 있지만, 가부장제 하의 가족 윤리와 자본의 논리에 철저히 따르는 신자유주의 체제의 이중적 억압에 시달리는 주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미씽: 사라진 여자>의 <너를 찾았다>로의 문화 번역은 여성 주체의 ‘일-가정 양립’의 불가능성을 사실적으로 서술함으로써 주류 대중매체가 설파하는 ‘모성신화’의 ‘엄마’ 이미지가 지닌 허구성을 폭로하고 행동하는 ‘여성’ 주체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카자흐스탄 최초의 무성영화 <켈린>에 재현된 고대 튀르크 전통과 텡그리(Tengri) 신앙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영화학회 2012 영화연구 Vol.0 No.53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Ermek Tursynov’s film <Kelin> through the category of ancient Turkish history and tradition, primitive faith and tengri belief, and the representation of a belief in the coexistence of life in order to examine how the film works as a driving force for the recovery of Kazakhstan’s identity in the post-Soviet era.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urrent trends of Kazakhstan’s film industry to revive the spiritual and cultural heritage of Central Asian mythology and folk beliefs, which had been forbidden for the Soviet period. From this perspective it is clear that the revival of the heritage of Central Asia will be a valuable subject. In this film, first of all, an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tructure of mise en scene, of which the director takes advantage to represent his confidence in the spirit and power of the Turks. He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through continuous close-up shots, creates the atmosphere of animistic world through the bird’s eye view, and establishes an aura of shamanism through the eyes of wolves and falcons, the totems of the Turks. Of all things, we should take the fact that <Kelin> is a silent film into consideration, in which appears no difference between the language of human and the sounds of animals. These are to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director, who tries to highlight the world that animals and humans live in harmony with each other. <Kelin> is not a simple film which reproduces the ancient customs of the Turks, but a film with strong messages. What the director Ermek Tursynov tries to reestablish in this film is new values for the future of Kazakhstan since he believes that it is possible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generations of Kazakhstan recovering their national identity only when they are able to keep the memories of the past.

      • KCI등재

        한중합작 영화 왜 실패할까?

        송원찬 문학과영상학회 2011 문학과영상 Vol.12 No.3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have been tied between Korea and China for almost 20 years,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Joint venture in film industry is one form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m that is truly thriving at the present. Despite full-scale investments and intense and extensive publicity campaigns, however, films co-produced by the two countries have almost invariably been commercial failures. Although film, which is an art-form, should not be judged solely by its commercial viability, the commercial aspect of film-making cannot be down-played, considering the extent of financial risk that producing a film involves.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why these films have failed commer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담론과 문화 스토리텔링의 가능성

        최성실(Choi Sung-sil)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아시아문화연구 Vol.20 No.-

        이야기란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내용을 포함한 인간의 모든 언어구조물이다. 역사적 시공간 배경이 있으며, 사건이 있고 구체적인 인물에 의해서 발화되는 이야기는 단순한 ‘서사’가 아니라 문화적 정보와 인간의 욕망을 드러내는 중요한 담론으로 작용하며, 특정한 문화의 요소들이 이야기를 통해 재현되고 발화되는 방식은 다양하다. ‘문화 스토리텔링’이란 영화나 소설, 애니메이션 등 넓은 의미의 서사담론에서 인물이나 배경, 화자 등의 발화나 언어적 표상이 새로운 문화담론의 장 안에서 전략적으로 구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 스토리텔링은 텍스트를 넘어서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의미로 스토리텔링의 기능이 확대되어 적극적으로 담론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 스토리텔링에 주목하는 것은 영화나 서사의 스토리텔링을 담론형성의 과정으로 확대 심화하여 특수성과 보편적 가치를 동시에 사유하고자 하는 기획에 근거한다. 문화적 특수성뿐만 아니라 지식/권력에 대항하는 보편적 가치를 함께 강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거대한 역사를 일상의 소소한 역사적 실체로 재구성하는 전략적 가치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한ㆍ중ㆍ일 영화들은 여성 섹슈얼리티, 낭만적 사랑 등을 통해 지배문화를 되받아 쓰는 문화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공상적이고 반사회적인 가치를 통해 무엇보다 분명하게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일국(一國)의 국민(國民)이 아닌 개인(個人)의 취향, 감수성, 쾌락과 욕망의 문제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문화담론의 가능성이다. 이 가능성이 국민국가를 넘어 지역으로서 아시아를 사유하는 방법론적 모색, 나가서 월경(越境)하는 문화담론의 보편적 가치를 어떻게 구상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과도 맞물릴 수 있다는 사실을 좀 더 심층적으로 논구해야 할 것이다. Cultural storytelling in genres like novel, film, animation etc. reveals how characters and the background were molded through notions of a new cultural discourse as there appears to be a shift from traditional storytelling techniques to a more meaningful and collec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e that unites all humanity. The motivation that is amplified towards an emphatic civilization is far removed from objectivity and mere historical facts. Notions such as patriotism and nationalism are associated with that of film, women, sexuality, romantic love and culture. Such elements which are particular in the culture are encouraged in the recreation of stories and the many ways they form profound interest. Reconstructing an entirely new way of thinking and doing requires deeper sense of awareness on universal value and the significance of a more contemporary cultural narrativ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