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사 자기효능감에 대한 개념도 연구

        홍윤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17 美術治療硏究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 of self-efficacy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in order to confirm the areas and factors of art therapist’s self-efficacy. 8 novice art therapists and 8 seasoned art therapists were interviewed and core items were extracted. After conduct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factors that affect self-efficacy recognized by novice and seasoned art therapists were classified under 2 dimensions. The 2 dimensions of the factors from novice art therapists were ‘therapeutic attitud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Art based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Art therapist competence’–Art therapist external factor’ and the four categories were performing therapeutic skills and intervention, handling challenging art therapy situation, performing therapeutic skills and intervention through art, managing therapeutic attitude. The two dimensions of the factors from seasoned art therapists were ‘Art therapist competence’–Art therapist external factor’ and ‘Art based therapeutic intervention-Art therapist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5 clusters were handling challenging art therapy situation, performing therapeutic skills and intervention through art, performing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rapy-client relationship dynamics, therapeutic helping skills, and managing and focusing self awareness as an art therapist.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 method)을 활용하여 미술치료사들이 치료사로써 경험하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직무 영역과 역량 요소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심미술치료사 8 명과 경력 상담자 8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여 핵심문장을 추출하고,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과 위계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심미술치료사와 경력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사의 자기 효능감 요소는 각각 2차원의 군집 4개와 5개로 분류되었다. 초심 미술치료사 집단에서는 ‘미술을 매개로 한 치료적 개입-치료자 태도와 자질’차원, 그리고 ‘치료사의 치료적 역량-치료사 외적 요인’ 차원에서 심리치료 계획과 진행, 미술치료 난제 다루기, 미술의 치료적 활용을 통한 치료 개입 기술, 미술치료사의 치료적 태도와 자질이라는 군집이 도출되었고 경력 미술치료사 집단에서는 ‘미술을 매개로한 치료적 개입-치료자를 매개로한 치료적 개입’차원, 그리고 ‘치료사의 치료적 역량-치료사 외적 요인’ 차원에서 미술치료 난제 다루기, 미술의 치료적 활용을 통한 치료 개입기술, 치료적 관계역동 활용능력, 심리치료 조력기술, 치료사로서의 개인내적 경험에 대한 자각과 조절이라는 군집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예술치료사와 예술치료전문가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최세민,오승주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19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needs of arts therapists and arts therapy professionals for research ethics. This study includes 109 people who were 103 arts therapists and 6 arts therapy professionals. The arts therapists majored in arts therapy at graduate school and have working as therapist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rts therapi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academic credential, research exper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publishing an article. And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asked to give their opinions on the necessity of research ethics and which themes should be dealt with in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rts therapists weren't well aware of research ethics in general. Nex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m in research ethics awareness according to the themes of research ethics areas and their own background variables was analyzed.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confidentiality,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 and the code of ethics for therapist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data management, author qualifications, conflicts of interests, data manipulation, the method of citation and the publication of finding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Finally, the awareness and needs of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highly cognizant of the need for research ethics education. Second, as for the major areas of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y commented that research methodology including how to write a paper should be included as one of the major areas. Third, as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of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y commented that a college or graduate school which was to education arts therapists would be most appropriate. Fourth, concerning the reason why research ethics was important for arts therapists, their opinion was that those whom arts therapists research were socially disadvantaged, and that it focused on humans. Fifth, regarding how to make research ethics take root among arts therapists, they stressed that not only the rol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those of related academic societies were of importance. 본 연구는 예술치료사와 예술치료전문가의 연구윤리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대학에서 예술치료를 전공하였거나 대학원과정에서 예술치료를 전공하고 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치료사 103 명과 예술치료 전문가 6명 등 전체 109명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다음 학력, 연구경험, 연구윤리 수강경험, 학술논문 출판경험 등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예술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는 전문가가 인식한 연구윤리의 필요성과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등과 관련된 요구 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윤리 영역별 주제 및 치료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첫째, 비밀보장, 표절, 중복게재 및 치료사 윤리강령 등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데이터 처리방법, 저자 자격기준, 이해충돌, 데이터 조작, 인용방법, 연구결과 발표 등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예술치료 전문가들의 인식 및 요구는 첫째, 예술치료사의 연구윤 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둘째, 예술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윤리의 주요 영역에는 논문작성방법을 포함한 연구방법론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셋째. 예술치료사를 대상 연구윤리 교육기관으로는 예술치료사 양성대학(원)이 가장 적합하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넷째, 예술치료사들에게 연구윤리가 중요한 이유에 대하여는 예술치료사의 연구대상이 사회적 약자이고 또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이라 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술치료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뿐 아니라 관련 학술단체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 하였다.

      • KCI등재

        한국 미술치료사의 현황과 전망

        이성희,최외선,김영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7 美術治療硏究 Vol.24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rapist's current status and to predict their prospect. We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therapists’ qualifications, employment status, therapy tasks, and environment of art therapy room. It was conducted for 234 art therapists through one-to-one interviews or via e-mail on March 4-25, 2016. Most of art therapists, who responded to this survey, were women with master degree, and 40% of them were specialized in art therapy. Gaining the appropriate qualification took on average 547 hours for art therapists(level 2) including 240 hours for theoretical training and 300 hours for clinical training,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raining time among levels of qualifications. Sixty-seven percent of respondents were based in Seoul, Incheon, or Gyeonggi-do province and most were engaged in a temporary/part-time at an art therapy institute, or therapy center. Respondents had on average 5.8 years’ work experience, although art therapists with less than one year experience were the most numerous in our survey. The art therapists’ clients were mainly pre-school 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art therapist provided mostly either individual art therapy(63%) or a group art therapy(23%). Educational institutions most often requested the art therapy, followed by a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a medical institution subsequently.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discussed the prospect of art therapists. 본 연구는 국내 미술치료사의 활동 현황을 조사하여, 미술치료사의 전망을 조망해 보고 향후 미술치료사 자격 및 정책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2016년 3월 4일부터 25일까지 직접 또는이메일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34명의 자료를 최종분석하였다. 미술치료사의 일반적 특성, 자격관련특성, 고용현황, 업무의 특성, 그리고 미술치료실 환경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사들은 대부분 여성이었고, 석사 이상의 학력으로 40%가 미술치료를 전공하였다. 미술치료사(2급 포함)의 자격취득까지 총 수련시간의 평균은 547시간(이론연수 240시간, 임상실습 300시간)이었으며, 자격등급간의 수련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67%가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 분포되어 있었고, 기간제(계약제), 시간제 등이가장 많았으며, 미술치료연구소와 상담기관에 소속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들의 미술치료 평균경력은 5.8년이었으며, 1년 미만의 경력자가 가장 많았다. 주된 내담자로 유아와 초등학생이 가장 많고, 주로 개인미술치료(63%), 집단미술치료(23%)를 제공하고 있었다. 의뢰기관으로는 교육기관이 가장 많고, 이외 사회복지기관, 의료기관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치료사의 전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술기반 미술치료사가 지각하는 예술적, 치료적 성취와 관련된 창의적 취업 성공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김솔,박보람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연기예술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취업에 성공한 예술기반 미술치료사들이 지각하는 취업 성공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념 도 연구(concept mapping)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취업에 성공한 미술치료사 18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미술치료사의 구직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술치료사들은 그들의 취업 성공 요인을 ‘부수적인 사항-필수적인 사항’과 ‘미술치료사로서의 태도-구직 자로서의 태도’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미술치료사들이 인식하는 구직 성공 요인은 ‘구직 준비과정,’ ‘미술치료사에게 필요한 경험,’ ‘미술치료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미술치 료 전문성 외 추가적 노력,’ ‘미술치료 이용자가 선호하는 미술치료사,’ ‘구직기관에서 선호하는 미술치료 사’ 총 6개이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사들이 취업에 성공하기 위해서 미술치료 업무 능력 이외에 일반 구직자들과 동일한 구직 준비과정이 동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정의되어 있지 않던 미술치료사들의 구직 성공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미술치료사라는 직업적 특수성을 고려한 구직 성공 요 인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concept mapping to examine the job-seeking success factors that art therapists succeeding in finding a job perceived. For this, the researcher processed the study of success factors to a job-hunting for the 18 art therapists who succeeded to get a job after applying the study method of the concept mapping into the factors. As a result, first, it was shown art therapists were recognizing the cluster of their job-seeking success factors as two dimensions: ‘subordinate-essential’ and ‘Attitude as an art therapist-attitude as a job-seeker’. Second, it was revealed the job-seeking success factors that art therapists recognized were total 6 things: ‘art therapist experience,’ ‘Art therapist preferred by the service users,’ ‘Art therapist preferred by institution,’ ‘effort to improve the art therapy professionalism,’ ‘Additional effort in addition to the art therapy professionalism,’ and 'job-seeking preparation process’. This study implies that art therapists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same job-seeking preparation process as general job-seekers in addition to the art therapy ability in order to succeed in finding a job.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being able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on the job-seeking program production considering the occupational distinctiveness of the art therapist by suggesting the job-seeking success factors of the art therapists which were not defined before.

      • KCI등재

        미술치료사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미술치료사 역할에 대한 인식차이

        김갑숙(Kim Gab-sook),이근매(Lee Keun-mae),정현희(Jeong Hyeon-hee)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 역할의 내용을 알아보고, 미술치료사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 간에 미술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사 292명,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293명으로 총 585명이었다. 질문지는 한국미술치료학회 윤리강령과 선행연구를 참고로 구성하였고 최종 53문항이채택되었다. 자료는 요인분석, 기술통계와 독립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역할은 ‘치료 및 연구능력’, ‘인간권리존중’, ‘중재’, ‘전문적 역량’, ‘교육’, ‘심리평가’, ‘사례연구’로 나타났다. 미술치료사 역할의 인식정도는 전문적 역량이 제 1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는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보다 미술치료사의 역할 중 내담자와의 관계 맺기 능력과 치료개입능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전문가로서의 전문적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인식이 높은 반면,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는 미술치료사보다 교육자 역할과 심리평가자 역할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art therapis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is role between art therapists and staff at welfare institutions. Participants included 292 art therapists and 293 welfare institution staff members. Participants were given a 53-item questionnaire based on the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Code of Ethics and previous studi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omains of art therapist were classified into “therapist competence and research ability,” ”respect for human rights,” “mediation,” ”professional competence,” “educ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case study.” In terms of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the art therapist both art therapists and welfare institutions staff ranked professional competence first in importance. Second, art therapists were found to attach more importance to the art therapist s relational ability, therapeutic intervention ability, and professional competence, whereas welfare institution staffs were found to place greater importance on the art therapists’ role of the educator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expert.

      • KCI등재

        미술치료사 양성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최선남(Choi Seon-nam),최은영(Choi Eun-yeong),공마리아(Kong Maria),전영숙(Jeon Young-sook),정여주(Chung Yeo-ju),조용태(Cho Yong-tae),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5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 양성을 위한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국내 미술치료사의 필요 요건 및 직무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사 직무관련 자료를 토대로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본 학회 회원 중 미술치료사, 미술치료 관련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센터장, 대학이나 대학원의 미술치료학과(전공) 교수로 ‘이론적 표본추출’에 따라 선정된 11명이다. 연구는 두 개의 포커스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한 그룹 당 참여인원은 5, 6명으로 미술치료사, 센터 운영자, 교수가 고루 구성되도록 하였다. 최종 코딩결과는 22개 범주와 6개 주제이다. 6개의 주제는 ‘미술치료사는 직업적 전문성 소지’하여야 하나, ‘미술치료사 전문성에 대한 부적절한 처우’가 놓여있으며, 이에 ‘미술치료사의 구체적 능력 요구’와‘미술치료 교과목의 체계화’, ‘미술치료사의 체계적 훈련과 자격관리’, ‘미술치료사 자질향상과 성장을 위한 자각 필요’가 인터뷰 결과로 도출된 주제이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직무분석을 의해 미술치료사라는 직업이 미술치료 현장에서 어떻게 나아가야할지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study on job analysis for art therapist training, was to discover the requirements and job description of domestic art therapists. For this study, a focus group based on art therapist-related job material was constructed,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11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by the society of the Art Therapist Academy, director of the art therapy center, and art therapy-major professors from college and graduate school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This study was followed by creating two focus groups with five or six participants in each in order to evenly organize the art therapist, director, and professor among them. The six themes obtained from the interview are as follows: (a), “Should an art therapist hold a license?” (b), “Improper compensation towards art therapist professionalism,” (c), “Requirement of specialized skills in art therapists,” (d), “Systemization of the art therapy curriculum,” (e), “Systematic training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for therapists,” and (f), “Need for ability improvement and self-awareness for growth as an art therapis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based on the job analysis; the professionalism of art therapists provides a direction toward how those in this profession should proceed in the art therapy field.

      • KCI등재

        미술치료 회기에서 다뤄진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강은진,장연집 한국미술치료학회 2017 美術治療硏究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rapists during art sessions in dealing with clients’ artworks. This study followed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 total of 13 art therapists who have acquired master’s degrees or above in art therap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May to December 2016. As a result, eight essential the me sand 23 sub-themes were derived and examined. The four primar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ists communicate with clients through their artworks, which are the language of the clients use; as a result, therapists experienc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clients. Second, art therapists experience the therapeutic advantages of artworks. Art therapists apply this experience to their upcoming sessions and discover the growth of their clients. Third, art therapists notice how their life experiences influence the way they work with the clients’ artworks; in turn, the experience the therapists gained from working with the clients’ artworks influenced the lives of the art therapists. Fourth, as the therapists go through the continuous training necessary for dealing with clients’ artwork, they gain capabilities to lead art therapy flexibly, experiencing their own growth as art therapist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의 석사학위를 취득한 미술치료사가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면서 체험하는 내용들을 기술하고, 그들의 체험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이상의 취득자로 총 13명이다. 2016년 5월부터 12월에 걸쳐 진행된 자료 수집을 토대로 총 8개의 대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로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회기에서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언어인 미술작업을 접하면서 내담자와 소통하며 내담자에 대한 이해가 점점 깊어지는 체험을 한다. 둘째, 미술치료사는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심리적인 어려움을 시각화하여 탐색하고, 내면의 쌓인 감정을 해소하는 등 미술작업이 가지고 있는 치료적인 이점들을 생생하게 체험하며, 이를 통해 내담자가 성장해가는 것을 느낀다. 셋째, 미술치료사는 자신의 삶의 경험이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 과정에 영향을 주며, 역으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 또한 미술치료사의 삶으로 이어지는 것을 체험한다. 넷째,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데 필요한 훈련을 지속적으로 받으면서 내담자와 미술치료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미술치료를 이끌어 가며 미술치료사로서 성숙되어 감을 체험한다.

      • KCI등재

        아동미술치료에 대한 미술치료사들의 치료접근방법 연구

        김인자(Kim, In J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0 No.-

        본 논문은 아동미술치료에 대한 미술치료의 노하우를 미술치료사들을 통해서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들은 자격취득이 가장 엄격한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사로 자격증을 취득한 후 2년이상의 현장미술치료 경험을 가지고 있는 미술치료사들로 선정하였다. 설문지 구성을 위한 자료는 박사과정이상으로 미술치료 임상경험이 오래된 미술치료사들의 인터뷰와 연구자료를 참고로 하였다. 설문조사방법은 선 설문조사를 거쳐서 내용을 수정하였으며, 인터넷을 통해서 자료를 회수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한 결론은 미술치료사는 다양한 지식과 임상경험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지속적인 자기관리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경력 2-4년과 경력 5년 이상을 나누어서 t-test 분석한 결과에서는 미술치료의 평가 부분에서 경력 5년 이상의 미술치료사들은 ‘미술치료에서 일반적인 평가도구로 사후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에도 높은 점수를 보이는 차이점이 있었으며, ‘미술치료사는 자신의 관리 및 세심한 배려와 인내심이 있어야 한다’에 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차이점이 있었다. 미술치료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부분은 모든 미술치료사들이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론은 아동미술치료가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만큼 아동미술치료를 하고 있는 미술치료사는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겠다. This paper was aimed at finding know-how of art therapy for children art therapy through art therapis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for the method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Art therapists who have experiences of art therapy at fields more than 2 years after obtaining the license as a art therapist which is qualified by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that is the strictest institute in obtaining a license were select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for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was referred to interviews and research data of art therapists who have clinical experiences of art therapy for a long time and doctoral degrees. The method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that the contents were amended through pre-questionnaire surve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net. Th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an art therapist was required to have various knowledge and clinical experiences and sustainable self-management and to do research. Besides, as a result of t-test analysis by dividing the group into one group who has experiences for 2-4 years and the other group who has experiences for more than 5 years, there was a difference that art therapists who had experiences for more than 5 years showed a high score in ‘In art therapy, it is not desirable that it is evaluated by a general evaluation method after the art therapy.’ in the evaluation sector of art therapy, and that they considered ‘art therapists must have self-management and delicate consideration and patience’ more important. The part that the art therapists’ role is important turned out to be empathized with all art therapis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art therapists who are doing children art therapy must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since children art therapy is getting higher attention.

      • KCI등재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미술치료사 현황 및 발전방향

        김갑숙,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2

        This study purports to grasp general information about art therapists produced from KATA(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entering upon its 15th anniversary, and their understanding regarding qualification criteria for becoming an art therapist, so a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art therapy. First, most of the art therapists are women in their forties, of which 85% received master's degree and have a religion. As to academic majors, 40% of the therapists majored in art therapy followed by counseling psychology. And more than half of them live in Gyeongsang province. Second, it took an average 3.9 years in order to obtain a certificate of art therapist with an average 5.82 years of art therapy practice, each therapy practice being an average 8.86 hours a week. For the therapy clients or targets, there has been a high ratio of the disabilities or disorders with the highest on emotional disorder with depression and anxiety. The clients are of all age groups with a higher frequency with adolescents. Third, the KATA art therapist's understanding about the existing qualification criteria or standards to be an art therapist and to maintain the status are reasonable. In regards to the events of monthly meeting, case conference, workshop and other programs, the therapists feel rather burdened than comfortable to reinforce, whereas about 20% of them insist that hours for individual analysis, group art therapy, supervision, and workshops by invited experts need to be extended or enhanc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will proceed with a discussion as to the future direction for KATA and its art therapists. 본 연구는 한국미술치료학회가 창립된 지 15주년을 맞이하면서 그 동안 배출된 미술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미술치료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알아보고, 미술치료사 자격기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미술치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 현재의 미술치료사들은 대부분 여성이며 40대가 가장 많았고, 85% 정도가 석사학위 이상의 학위를 소지하고 있고 대부분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은 미술치료전공이 4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상담심리로 나타났다. 거주지역은 경상권 지역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평균 3.9년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술치료 실시 경력은 평균 5.82년, 미술치료 실시 시간은 일주일에 평균 8.86시간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 대상은 장애를 가진 대상을 치료하는 비율이 높았고, 특히 우울이나 불안 등의 정서장애가 가장 많았다. 대상연령층은 전 연령층에 걸쳐있으며, 특히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자격취득 및 자격유지 기준에 대한 인식도는 대다수가 적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월례회, case conference, 미술치료워크숍, 기타시간의 경우는 보강되어야 한다는 비율보다 부담이 된다는 비율이 높았으나, 개인분석이나 집단미술치료, 슈퍼비젼, 전문가초청워크숍시간은 보강을 해야 한다는 비율이 20%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치료적 동맹과 전문적 역량에 관한 미술치료사의 인식 연구

        김희정,정여주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2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provide the materials helpful for art therapy education and art therapist training by exploring the intervention processes and professional competency factors of art therapists which facilitate therapeutic alliance through the art therapists’ actual clinical experienc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art therapists, and analysis of the materials was divided into 5 sections and 41 categories using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CQR). According to study results, the art therapist’s intervention process for the promotion of therapeutic alliance signifies the structuralization of a safe environment through basic items of consideration for a therapeutic alliance and the three dimensions of its composition, and the art therapist’s professional capacity interacts with the art therapists intervention factor to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he therapeutic alliance. Subsequently, it is essential for art therapists to reinforce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relevant to conceptualizing unique individual cases with clinical problems, sufficient clinical experiences, the ability to utilize art as therapeutic treatment, and efforts to maintain professional capabilities for therapeutic purpos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presenting the materials to be used in educating and training the art therapists by deriving the developmental tasks necessary for structuralizing the facilitation of the therapeutic alliance and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 expertise of the art therapist.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실제 임상 경험을 통해 치료적 동맹을 촉진하는 미술치료사의 개입 과정 및 전문적 역량 요소들을 탐색하여 미술치료 교육과 미술치료사 수련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9명의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 분석(CQR)을 사용하여 5개 영역과 41개 범주로 정리되었다. 연구 결과, 치료적 동맹 촉진을 위한 미술치료사의 개입 과정은 치료적 동맹을 위해 기본적으로 고려할 사항과 치료적 동맹을 구성하는 세 가지 차원을 토대로 안전한 환경으로 구조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미술치료사의 전문적인 역량은 치료적 동맹을 위한 미술치료사의 개입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치료적 동맹 효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술치료사는 치료적 동맹을 촉진하기 위해 임상적인 문제를 가진 독특한 개별 사례를 개념화할 수 있는 능력, 풍부한 임상경험, 미술을 치료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치료적 대상으로 존재하기 위한 노력 등과 관련된 전문적인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치료적 동맹을 촉진시키기 위한 구조화와 미술치료사의 전문성 강화에 필요한 발달과제들을 도출하여 미술치료사의 교육과 훈련에 활용될 자료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