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박물관과 황야: 에머슨의 미국적 자연

        송은주 ( Eun Ju Song ) 한국영미문화학회 2015 영미문화 Vol.15 No.1

        This paper aims to analyze Ralph Waldo Emerson’s transcendental view of nature through the process that he conceptualizes nature as a “museum” and “wilderness.” He has been underestimated as an ecological thinker compared to Thoreau, because the former``s observation of the nature tends to be abstract rather than concrete or specific. However, his transcendental view of nature has influenced deeply on naturalist writers including Thoreau, and provided the basic foundations for the ecological thoughts in America. When Emerson traveled in Europe, he was deeply impressed by the exquisite displays of natural species in Jardin des Plantes in Paris. He discovered the totality and unity in nature from the method of these arrangements and classifications the exhibition used. He acquired the principle on the studies in nature. He interpreted each natural fact as a metaphor that carried out the intention of God. Moreover, he believed that he could reconstruct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nature via recognition. After returning to America, he attempted to transform an American wilderness into a space where an American can be perceived as an independent subject free from the European influence and the one morally superior being to Europeans. His presentation of nature is newly proposed not through a museum, but through the American wilderness. It could be considered as a post-colonial attempt to become independent not only politically but also mentally and culturally, but his idealization and mythicization of the American wilderness have led him to an obsession that made him perceive the wilderness as pure and untouched nature in modern American ecocriticism.

      • KCI등재

        Human Emotion and Perception of Nature in John Burroughs’s Wake-Robin

        Xiyue Zhang,손석주 한국영미어문학회 2020 영미어문학 Vol.- No.138

        The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in John Burroughs’s Wake-Robin by focusing on human emotion and perception of nature. It also studies the role of nature writing by tracing the history of American nature writing.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perception and emotion in nature writing, Wake-Robin is used as an example to illustrate how different forms of nature, such as birds, flora, and fauna, interact with the human psyche. Burroughs also uses nature, birds and their daily activities, forest, and rivers to stress the importance of respecting and protecting the ecosystem. He employs an emotional language and creates different images of nature that help readers to feel attached not only to humans but non-humans.

      • KCI등재

        미국 자연기의 원형서사: 존 제임스 오듀본 자연기의 생태비평적 위상

        이동환(Dong-hwan Lee) 문학과환경학회 2020 문학과 환경 Vol.19 No.1

        본 논문은 19세기 미국의 조류학자이자 화가인 존 제임스 오듀본의 저술을 연대기순으로 점검하면서 생태비평 계보에서 차지하는 오듀본의 위상을 그의 미국적 성격을 모색과 연관지어 분석한다. 오듀본은 탐험을 통해 획득한 미국적 자연의 실체를 무미건조하게 전달하기보다 흥미를 자극하는 대화적 수사를 활용하여 자연환경 전반에 관한 독자의 관심을 환기시킨다. 이런 전략적 글쓰기는 사냥을 비롯한 인간의 활동이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의식하면서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의 야생자연 변화상을 사실적으로 기록하여 미국적 자연의 가치를 고양하는 효과를 자아낸다. 이를 통해, 그는 인간이 문명화의 사명을 안고 야생자연에 들어가 보존과 개발 사이에서 갈등 상황에 처할 때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지에 관한 생태적 사유의 핵심 의제를 건드린다. 특히 그의 후기 저술은 자연물상을 심미적으로 대상화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자연 질서에 관한 심층적 이해를 지향하는 생태비평적 의의를 내비친다. 이와 같이, 오듀본의 저술은 생태적 사실, 여행과 탐험, 자연 감상 및 법칙에 관한 감상과 묵상 등 쏘로우 이전의 다양한 문학 유형을 매력적으로 혼합하였다는 점에서 미국적 자연기의 원형서사라는 위상을 지닌다. This study examines the ecocritical implications of John James Audubon in the genealogy of American nature writing. The quest for Audubon’s multiple American identities brings forth a heap of comprehensive looks on the American nature: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of wilderness,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unknown nature, the vanishing pristine natural scenes, and the plea for natural habitat preservation. Scientist Audubon incorporates each natural object into his scientific classification system, assigning an American value to it. Artist Audubon captures the truth of the American nature with minute fidelity. Writer Audubon recalls the American reading public quite a lot in his works for the purpose of drawing their sensational interest by dramatically depicting the animals’ mating and hunting with excessive details. Audubon the ecocritic points out the infiltration of civilization into the wilderness, feeling concern about the disappearing American nature palpable with life, and finally showing the recognition of an ecosystem’s complexity.

      • KCI등재

        전환기의 자연문학과 유동성의 생태학: 바트람의 『여행기』에 재현된 미국의 남동부 자연

        이동환 문학과환경학회 2023 문학과 환경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윌리엄 바트람의 _여행기_에 재현된 미국 남동부 자연을 통해 18~19세기의 사상, 정서, 사회, 그리고 생태환경 변화라는 전환기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_여행기_는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위압적 자연과 쾌감을 주는 목가적 자연, 야생자연과 변경 개척지, 그리고 식민지와 신생국이라는 사회적 배경처럼 다양한 층위에서 상충하는 가치들을 하나로 통합하지 않고 교차하여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비인간 존재들이 인간보다 지적으로 열등하여 하층에 자리한다는 인간중심주의와 모든 존재들에게 각자만의 신성함이 체현된다는 생태평등사상이 혼재된 상태로 재현된다. 이런 _여행기_의 혼종성은 자연만물의 사실적 정보의 분류에 집중하는 18세기 박물학이 19세기로 넘어가면서 생물학, 인류학, 지리학 등으로 갈라지는 사상적 변화와 더불어 무성하지만 다듬어지지 않아 지리적 정체성이 고정되지 않은 남동부 자연의 유동성을 체현한다. 독립된 주제가 병립하는 _여행기_의 다층성은 바트람이 남동부 자연 탐사를 기회로 삼아 그간의 실패와 좌절을 딛고 생태사상가로 재탄생하는 구도 속에 포섭된다. 이런 사실은 복수의 선율이 독자적 논리를 유지하면서도 서로 조화를 이루는 대위법으로 _여행기_의 서사 구조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_여행기_의 대위법적 서사는 하나로 고정되지 않는 남동부 자연과 다양한 인식과 감성이 맞부딪치는 18~19세기 전환기적 속성을 오롯이 포착하되 특정한 입장을 편들지 않는 한편, 생태적 자아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큰 틀로 삼아 최소한의 주제적 통일성을 유지함으로써 완성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William Bartram’s _Travels_ portrays the American Southeast during a period of multiple transitions from the late eighteenth to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Bartram explores two contrasting aspects of neoplatonism─anthropocentricism and biocentricism─by gathering physical evidence that showcases the divine plan, which assigns distinct hierarchical positions to each natural entity. This epistemological complexity aligns with the diverse and conflicting ideas present in the text: the overwhelming untamed wilderness versus the idyllic pastoral landscapes, the untouched natural environment versus the newly cultivated territories, and the colonial America versus the emerging nation. These various narrative layers are manifested in Bartram's deep appreciation of the American Southeast; its vibrant yet untamed nature and ever-changing topography symbolize the upheaval of the transitional era. The intricate nature of this transition is further explored through Bartram's personal journey towards ecological self-discovery, which contributes to maintaining thematic coherence throughout the text.

      • KCI등재

        생명과 무생명의 경계

        이동환(Lee, Dong-hwan) 문학과환경학회 2013 문학과 환경 Vol.12 No.1

        This study aims to speculate on the ecocritical implications in nineteenth-century American Western nature writing, especially focusing on the descriptions of non-living things such as rocks, rivers, and other geological features. Little water, sunlight, uneven rocky formations, and even cloud drifts in the blue sky create a sense of liveliness in the dry region where living things have seldom come in sight. Nineteenth-century writers who explored into the wilderness of the American West described peculiar beauties of the Far West―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iveliness of the non-living entities. With the help of aesthetic appreciation, they brought on the geological imagination linked with certain types of aesthetic appreciations, to perceive what the rock, the river, and the sunlight says to them about liveliness and the meaning of life. The land of little water lays bare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life resides in complicated web of connections between living and non-living things. The ecological diversities and abundance in the Western territory, too, do not resort to the number of living things but the ecological and aesthetic harmony between living and non-living things. The latter especially sheds a new light on the issues on American character, discussed around the abundance and exploitations of natural resources until now.

      • KCI등재

        산업안전보건법의 제정에 관한 역사적 의미에 관한 연구

        조흠학,이관형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법학논고 Vol.0 No.37

        Looking at the legal history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t is evident that the change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ent along with social changes in both Korea and the rest of the world. In countries with the written law system, the source of law is what is written in the statute and what constitutes the source of law has great significance. When talking about source of law in practical law system (customary law system), the emphasis is given to the written law as well as interpretation of the court. However, customs, cases, theories, and law of nature often take precedent over the written law or the court’s interpretation. On the contrary, in regards t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decisions are made solely based on the factual relation rather than the previous court rulings. The criteria for what constitutes an occupational disease are changing. The previous criterion of “clear causal relationship” has changed to “considerable causal relationship.” For example, in the case of multiple cerebral infarction, which can be caused by various factors, clinical findings that shows the base group significantly exceeding the average incidence rate of the control group (even after adjusting for age) can be interpreted as the base group having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to the hazardous substances, unless other explanations are given. This led to the change in the recognition criteria of occupational diseases from clear causal relationship to considerable causal relationship, and this brought changes to the grounds for legal decisions. Acknowledging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as a valid explanation for the occurrence of occupational disease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 case of “resipsa loquitur the thing speaks for itself”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lso this serves as a milestone for Korea because Korea’s legal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Continental law system, as it went through a partial change by adopting Anglo-American legal system, which emphasizes precedents. Against this backdrop,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f Korea shows rapid legislative process of the Act as well as the fast improvement in public awareness on safety and health, together with the fast economic growth. However, what requires attention is the effectiveness of the Act in preventing accidents in workplaces. For the Act to function as a basis for reducing accidents,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structure should better reflect the reality of Korea’s labor relations. 법제사적인 측면에서 나타난 한국의 노동관계는 구한말부터 노동관계와 산업안전보건의 인식이 미약하나마 존재하였다. 외국의 경우를 보면 노동법의 효시라고 하는 도제보건의 건강에 관한 법률이 사실상 산업안전보건법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산안법이 제정되고 이후에 근로관계에 관한 법률들이 싹터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근로기준법이 우선이고 이후에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되어 산업안전보건이 근로관계의 후속적인 조치처럼 되어지고 있어 사업장에서 지키지 않아도 되는 법률처럼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산안법이 사회적 변화에 따라 개정되면서 산안법의 질병에 관한 판단기준이 기존의 “명백한 인과관계”에서 “상당한 인과관계”로 변화되어 진 것은 고무적인 것이라 볼 수 있다. 질병인정에서 인과관계에 관한 다른 설명이 가능하지 못할 경우 위해물질에 대한 판단집단군이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인정하게 되는 것으로 직업병 판단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상당 인과관계로 전환시킨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당인과 관계는 일명 ‘일응추정의 원칙’이라 하여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최초로 도입하였다고 할 수 있으며, 현행 대륙법 계통을 따르는 한국 법률특징에서 영미법계의 판례적 특징으로 일부 전화되어진 커다란 기준이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우리나라의 산업안전보건법은 짧은 역사속에서 산안법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재해 예방에 기여하느냐가 가장 큰 문제이다. 보다 효율적인 재해 감소의 기준 틀로서 사업장에서 작동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법률체계와 구조에서 나타나는 산안법의 법적 성질과 규제방식의 변화, 산안법 적용제외의 재정비, 산안법에서 나타나는 의무충돌현상의 배제와 개인정보보호 등에 관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목가적 생태공동체의 안과 밖: 수잔 쿠퍼의 『시골 일기』(Rural Hours)에 재현된 19세기 미국의 근교 자연

        이동환 문학과환경학회 2022 문학과 환경 Vol.21 No.4

        『시골 일기』는 문명과 야생자연의 중간에 자리한 19세기 미국 시골 근교 자연의 지리환경을 묘사한다. 이 작품에서 기록하는 자연은 개간지, 근교 자연, 그리고 야생자연이라는 세 가지 범주로 이루어져 있다. 개간을 통해 인공미를 가미한 목가적 풍경이 만들어지면 그 주변으로 인간의 이익에 맞게 이용할 목적으로 성글게 가다듬은 근교 자연이 바깥의 야생자연을 경계로 하여 중간지대로 자리를 잡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계절 변화에 따라 시골 근교의 자연물상이 발산하는 생태적・심미적 속성을 신성함의 표상으로 해석한다는 점에서 초월주의를 내포하는 한편, 개간지만으로 충족되지 않는 지역공동체의 필수 자원을 제공하는 근교 자연은 자급자족에 뿌리를 둔 지역생태주의를 뒷받침하는 토대이다. 19세기 중반의 시장경제 발달로 지역생태주의가 위기에 처한 상황은 생태적 목적 이외에 전통문화 유지를 위해서라도 지역생태주의가 중요함을 암시한다. 이처럼 근교 자연의 가치는 목가적 정취라는 심미적 차원을 뛰어 넘어 시장경제 비판, 환경보호, 그리고 문화전통 계승을 아우른다. 마지막으로, 『시골 일기』는 미국 자연기 전통에서 여성작가 계보의 선두에 위치하였다는 문학사적 의미 또한 지니고 있다. 비록 원주민 인디언을 백인이 이룩한 목가적 생태공동체의 일부로 포섭하는 인종주의적 한계를 내비침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여성의 고단한 삶을 위무하면서 여성의 활동 영역을 가정 울타리 바깥의 근교 자연까지 넓힘으로써 가정성의 의미를 재정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