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농업 R&D 키워드 분석

        김지훈(Ji-Hoon Kim),김성섭(Seong-Sup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2

        본 연구는 농업 R&D의 추세를 살펴보고자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농업 R&D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NTIS의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정보를 활용하였으며, 2003년부터 2018년까지의 농업 R&D의 주요 키워드를 연도별 및 연구개발단계별로 구분하였다. 텍스트마이닝을 위해 키워드의 TF-IDF를 계산하여 점수별로 순위를 매기었으며, 유사한 키워드별로 그룹화하여 해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신기술의 도입과 외부환경에 변화에 따른 농업 R&D 트렌드가 변화해가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새로운 키워드가 대두되고 있으며, 기초연구 단계에서는 ‘기후변화’가, 응용연구 단계에서는 ‘ICT’와 ‘스마트팜’이, 개발연구 단계에서는 ‘수출’ 키워드가 주되게 등장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개발 단계에서 시차를 가지고 키워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기초연구-응용연구-개발연구 순으로 주요 키워드가 변화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기후변화’와 ‘신품종’ 키워드가 연구개발단계별로 연계되어 있었다. 세번째, 농업 R&D의 대표적인 키워드는 ‘벼’ 키워드로 나타났다. 그러나 "녹색 및 기후변화 대응"과 "가공 및 유통기술" 같이 국내외 농업 환경 변화에 따라 연구의 방향성과 목적이 변화하고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keywords for agricultural R&D using the textmining method to examine the trend of agricultural R&D.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d R&D project information provided by NTIS, an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step by year from 2003 to 2018 were classified and applied. The TF-IDF approach wa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and ranking was derived based on score. Furthermore, we analyzed by grouping for similar keyword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ricultural R&D trends are changing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and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econd, keyword changes appeared with a time lag in the R&D step. The main keywords are changing in the order of basic research - applied research - development research. Third, the main keyword of agricultural R&D was "rice." However,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the research were changing according to change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agricultural environments.

      • KCI등재

        국가 기술개발 전략 실증분석을 통한 R&D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김은정(Eun Jeong Kim),전은진(Eun Jin Ju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 기술혁신학회지 Vol.15 No.2

        농림수산식품 산업은 기존의 생산 중심의 1차 산업을 탈피하여 미래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농업 R&D 패러다임의 전면적인 전환을 도모하고 있으며, 특히 농생명자원을 활용한 생명산업등의 육성을 주요 과제로 선정하고 범부처?청 차원에서 R&D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산업의 핵심자원인 농생명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 등 전 단계에 걸친 국가 R&D 정책, 기술개발 전략, 사업 추진현황, 성과 등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실용화 조기 달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제안된 개선방안으로부터 농생명자원 R&D 분야의 정부/민간, 부처(청) 내 역할분담 및 협력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부 R&D 투자의 전략성?효율성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민간기업의 참여를 통한 생명산업의 산업화 성공사례 조기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Once a production focused on primary industry,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dustry is now trying to shed away and plans to totally transform the paradigm of agricultural R&D with a leaping goal towards being a new growth engine. Promoting the bioindustry through utilizing agricultural bioresources was selected as the primary task and also made all efforts to support by all government department and ministry. In this study, we are raised problems and planned the improvements by the empirical analysis of national R&D policy, investment strategy, the recent progress of R&D program, and the performance of R&D investment to achieve early commercialization in fields of agricultural bioresources utilizing. We also propose the R&D role sharing and cooperations of public/ private sector to commercialize the agricultural bioresources from the comprehensive empirical analysis results. It will eventually strengthen the national R&D investment strategy and efficiency and then will contribute towards a successful earl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in bioindustry through utilizing agricultural bioresources.

      • Problems with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and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Foreign Examples with a Focus o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ang, Chung Han,Moon, Jung Hun,Kim, Nam Jung,Yun, Young Duk,Lee, Sung Chul Korean Society of Food and Agricultural Informatio 2011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Vol.3 No.1

        The dissemination process of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results has somewhat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at of typical R&D results.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are not adequately considered on the basis of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performance system, the resulting management plans, and strategies for the applic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results of agricultural R&D in Korea.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 exposed the problem of the inadequat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se areas, particularly the lack of unified R&D-related institutions and the inadequacy of the system to monitor outcomes. To address these shortcomings in the agricultural R&D programs in Korea, the policies pertaining to agricultural R&D performance, results management, and dissemination in the U.S. and Japan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we proposed strategies to improve the agricultural R&D policies in Korea.

      • KCI등재

        농업 R&D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사전경제성분석체계 구축 연구 -농촌진흥청 R&D과제를 중심으로-

        윤진우(Jin-Woo Yun),채용우(Yong-Woo Chae),이동현(Dong-Hyun Lee),이동수(Dong-Su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우리나라는 R&D 투자의 양적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구하여 양적 기반은 이미 세계적 수준이나 질적 성과는 OECD국가 중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농업 R&D를 대표하고 있는 농촌진흥청은 농업 부문 R&D 예산의 약 3분의 2를 사용하고 있으나, R&D의 경제적 효율성이 낮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신규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사전경제성분석을 강화하여 연구개발활동지침(2014.11)을 개정하고 연구개발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지침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사전경제성분석에 대한 세부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체계화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사전경제성분석의 더욱 신뢰성 있는 분석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농업분야 R&D의 현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편익 추정에 활용되는 변수들을 구체화하여 제시하고, 추가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제적 성과 창출 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부가적으로는 농촌진흥청 연구자들이 R&D를 통한 경제적 성과 창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Korea has continuously pursu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R&D investment, and its quantitative basis is already at a global level. However, its qualitative performance is the lowest among OECD countries. In particular, the RDA, which represents Korea"s agricultural R&D, uses about two-thirds of the R&D budget in the agricultural sector. Still, it is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ir R&D is low. In response, the RDA has revised the R&D Activity Guidelines(2014.11) and continuously improved R&D efficiency by strengthening the pre-economic analysis of new R&D projects. Despite the revision of the guidelines, a detailed methodology for pre-economic analysis has not been systematized y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ore reliable system for the RDA"s pre-economic analysis. To reflect the reality of R&D in the agricultural field, the variables used for estimating benefits are specified and presented, and the research direction to pursue further i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agricultural R&D efficiency and further increase the awareness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conomic performance creation through R&D.

      • KCI등재

        지역파급성을 고려한 농업R&D 우수성과 순위 분석

        윤진우(Jin-Woo Yun),채용우(Yong-Woo Chae),안용진(Yong-jin An),김성섭(Seong-Sup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농업R&D 평가의 중요한 요소인 생산성, 시장성, 지역파급성을 기초로 우수한 농업 R&D의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농업R&D 개발방향의 시사점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대상은 2006년부터 2018년까지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에 선정된 농촌진흥청의 R&D이며, 우선순위는 계층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위 평가기준의 중요도는 시장성(0.423) > 지역파급성(0.360) > 생산성(0.216)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 평가기준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시장성의 경우 사업화 가능성(0.515)이, 지역파급성의 경우 보급확대 가능성(0.538)이, 생산성의 경우 품질향상(0.464)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우수성과는 원예작물의 농업경쟁력 향상과 관련된 기술이 다수 포함되었다. 특히, 원예작물의 품종개발 및 수출, 환경변화에 취약한 원예작물의 병해충 진단 및 친환경 농약 개발, 벌의 대량 생산 및 실용화를 통한 원예작물과의 시너지 효과 창출 등과 관련된 R&D의 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농업R&D는 농업기술혁신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견인해 왔다. 다만, 농업환경이 빠르게 변화되고, 다양한 스마트기술이 농업현장에 접목되고 있는 상황에서 생산성의 향상 보다는 시장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함께 지역의 특성에 적합하고, 비교우위 가진 기술의 지역적 보급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가 농촌진흥기관이 지역특화작목을 육성하고, 경쟁력을 향상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농업R&D의 개발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R&D through a priority analysis of excellent agricultural R&D performance considering productivity, marketability, and effects on regio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of agricultural R&D evaluation.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R&D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which was selected as national R&D excellent Performance from 2006 to 2018, and the priority was analyzed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riteria decreased in the order of marketability(0.423) > regional impact(0.360) > productivity(0.216).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ub-criteria,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0.515) was high in the category of marketability. The possibility of technology expansion(0.538) was high in the category of effects on region and the quality improvement(0.464) was high in the category of productivity. Third, the excellent agricultural R&D performance that had high relative importance was the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improving th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of horticultural crops.

      • KCI등재

        농촌진흥청 연구개발 평가체계의 성과지향적 발전 방향

        이찬구(Chan-Goo Yi)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는 농업 연구개발사업의 객관적인 성과와는 달리 농촌진흥청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업 연구개발사업의 핵심 주체인 농촌진흥청의 내부 연구개발 평가체계를 대상으로 평가기조, 평가자원, 평가수행, 평가활용이라는 4가지 관점에서 메타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평가기조에 해당하는 평가대상의 설정이 최하위 수준인 세부 연구과제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선적으로 평가목적과 평가대상 등의 평가기조를 과학기술정책 및 평가정책 등의 외부의 정책환경 변화와 조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서 현행 농업 연구개발사업의 평가제도를 성과지향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대안을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work comes from that there have been disputes for the governance and roles of the Rural Development Agency (RDA), despite of rather excellence performances of Agricultural R&D program supported by RDA. For this reason, I metaevaluated the internal evaluation system of Agricultural R&D program in RDA, in terms of the four meta-evaluation components such as evaluation paradigm, evaluation resources, evaluation execution and evaluation utiliz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is rather lower level of evaluation object, one of the evaluation paradigms in the R&D evaluation system of the RDA. So, this work suggested the policy alternatives which may lead the R&D evaluation system of the RDA to be developed for the performance-oriented R&D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기술수준 향상을 위한 R&D기획에 대한 고찰 -유기농업 분야를 중심으로-

        박정규,박영선,신중훈,Park, Jung-Kyu,Park, Yeong-Seon,Shin, Choong-Hoo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on the R&D planning scope to acquire highly technology quality level and to show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strategy by each technology fields in organic agriculture field. To achieve this,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xcellent R&D performance using the patent bibliography information analysis based on the count data models.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 find out that the determinants are different from each technology field, and show that these determina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R&D planning.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성과분석에 근거한 농업부문 연구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정회종(Jung Hoi-Jong),고정호(Ko Jung-Ho)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 기술혁신학회지 Vol.9 No.4

        농림부와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사업은 농업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해 왔으나, 최근 들어 산ㆍ학ㆍ관ㆍ연 간의 연계연구의 강화에 따라 연구주체가 확대된 이후로 부청간의 역할분담 등의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부청간 농업 세부기술 분야별 성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부청의 사업들은 연구 분야에 있어서 차별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은 향후 부ㆍ청간의 역할분담, 농업분야 연구개발사업의 활성화, 연구성과 생산성 개선 등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gricultural R&D Programs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 an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re important for improving agricultural technology in Korea. However, the roles of these two agencies have been overlapped as the research fields and funds are extended through educational-industrial-governmental-institutional cooperation program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formances of two agencies. As a result, these programs of these agencies do not show much difference in the research area. A new direction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solving problems of programs, with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role of two agencies and activation of agricultural R&D programs, will be provided by this performance analy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