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사이트 캠페인이 기존 뉴스 미디어 의제와 공중 의제에 미치는 영향: 의제설정기능을 중심으로

        구교태 한국언론학회 2002 韓國 言論學報 Vol.46 No.5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mpact of website campaigning on the traditional news media agenda and the public opinion during the 2000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ing. This study used divers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pearman's rho correlation, partial correlation, the Rozelle-Campbell baseline, path analysis, etc., to assess the hypothesis and questions. The study had several implications of political candidate websites on political dialogue. First, this study revealed the website campaigning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an effective PR, since the campaign agenda of candidate websites became the subsequent agenda of the traditional news media. Second, as website agenda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traditional media agenda, the website agenda is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public agenda. As with the shaping of public opinion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website agenda had greater agenda-setting impact on the public than any other media examined in this study. Thus, another theoretical implication regarding agenda-setting function is that online users exposed to candidate websites are more likely to learn campaign agenda than traditional media users. In addition, the two path models indicated that candidate website agenda in the campaign initial phase had some significant direct agenda-setting impact on the public's agenda, and the agenda-setting impact persisted throughout the 2000 presidential campaign period. This finding might indicate that a political candidate who wants to run a website needs to focus on direct website strategies to reach online users, as well as provide news releases for the traditional news media. 본 논문은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기간 중, 기존 뉴스 미디어 의제와 공중 의제에 관한 웹사이트 캠페인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국의 웹사이트 캠페인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사이버 공간을 통한 정치적 담론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인터넷 캠페인의 가능성과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터넷의 정치적 이용에 대해서, 연구자들은 온라인 네트워크들이 기존 뉴스미디어를 위한 주요 뉴스원이 될 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캠페인 정보획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해 왔다. 따라서, 미디어에 대한 내용분석과 여론조사 자료를 토대로, 어떻게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현상이 기존 미디어의 의제에 관여하고 또 공중은 어떻게 미디어의 의제에 반응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각 후보자의 웹사이트나 전체 웹사이트들은 기존 뉴스 미디어들의 캠페인 의제를 설정하는 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특히, 각 후보자의 웹사이트 캠페인은, 기존 뉴스 미디어의 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효과적인 PR을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공중에 대한 미디어의 의제설정기능 분석은, 분석된 웹사이트의 의제가 신문과 방송의 의제보다 공중의 의제설정에 더 많이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웹사이트 캠페인은 정치 후보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이슈를 효과적으로 언급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의 잠재력은 유권자들로 하여금 정치적 이슈들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공중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은, 공중의 의제에 대한 후보자의 웹사이트 단지 직접적인 의제설정기능 효과만을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 후보자는 기존 뉴스 미디어를 위한 주요한 뉴스 소스로서의 목표뿐만 아니라, 온라인 사용자를 위한 직접적인 웹 전략들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온라인 미디어의 의제설정 효과

        김병철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genda-setting effects of online news media like Internet newspapers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online media. Through the framework of agenda- setting theory, this study analyzed online data collected from OhmyNews, one of the leading Internet newspapers in Korea. Rank order correlations revealed that the online news media has the first-level issue agenda-setting effects on audience. After controll- ing the upload time of online news, the level of exposure to agenda by audie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agenda determined by OhmyNews. And the level of discussion to agenda by audience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agenda determined by OhmyNews.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media agenda determined by OhmyNew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agenda determined by audience, indicating that the agenda-setting process of the online news media might be one-sided like other traditional newspapers. That is, in spite of the online news media's technological advantages of two-way or interactive communication, the agenda- setting process would not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mass media. Therefore, it might be necessary for online news media like Internet newspapers to consider introducing a new agenda-setting system designed to open and share its agenda-setting power with the audience. 본 연구는 의제설정 이론을 적용하여 온라인 미디어가 특정 사건 혹은 이슈를 중요한 것으로 강조해서 보도하면 온라인 수용자 역시 이를 중요한 사건 혹은 이슈로 인지함으로써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도 미디어 의제가 공중 의제를 결정하는 의제설정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처음부터 온라인상에서 출발한 독립형 인터넷 신문인 ≪오마이뉴스≫를 대상으로 가르시아(M. Garcia)가 제기한 뉴스 배열의 현저성을 사용해 미디어 의제의 중요도를 측정한 뒤 미디어가 보도한 특정 사건 혹은 이슈에 대한 수용자들의 조회 수 및 댓글 수를 근거로 미디어 의제에 대한 수용자의 노출 정도와 토론 참여도를 측정해 미디어 의제 중요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인터넷 신문과 같은 온라인 미디어 역시 특정 사건이나 이슈를 중요한 것으로 강조해서 보도하면 온라인 수용자도 이를 중요한 것으로 인지해 해당 사건 혹은 이슈에 대한 노출과 토론이 늘어나면서 미디어 의제가 공중 의제화되는 1단계의 이슈 의제설정(issue agenda-setting)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온라인 미디어가 결정한 기사 배열 순위와 수용자가 결정한 기사 배열 순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수용자와의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을 중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는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도 미디어의 의제 설정 과정이 수용자와 유리된 채 일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우리 사회의 현실을 다르게 보이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제설정 과정에 수용자를 참여시키거나 수용자와 의제설정 권한을 나눠 갖는 의제 설정권의 공유 혹은 개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 포털미디어의 의제와 포털 이용자의 의제 간의 상호작용성 연구

        안종묵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9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1 No.1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al media's agenda and the Portal Users' agend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flow of media agenda and the pre-agenda of users.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reveal following as: Newspapers which were published on morning have an effect on the Broadcasting agenda, and its agenda affects Portal media agenda. This current study shows that the phenomenon of transition of the media agenda. Portal media agenda more influence the user of the Portal media than the Newspaper agenda and the Broadcasting agenda, and its make the pre-agenda of Portal users. And this pre-agenda again have an effect on Portal media agenda on the process of the editing. With regard to this,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o observe that the flow and influence of media agenda which was begun from the Newspaper agenda take shape the Portal media agenda, and its agenda have an effect the pre-agenda of Portal users. Finally, the flow of media agenda and the pre-agenda of users can affect the process of the agenda setting of Portal media.

      • KCI등재

        한국의 국방의제설정과정 : 유형과 특징, 그리고 정책적 함의 - 전작권 전환 연기 및 재연기, 한반도 사드 배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을 중심으로 -

        최영찬,김경진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3 군사 Vol.- No.128

        본 논문의 목적은 역대정부의 주요 국방정책 의제가 어떻게 설정 및 확산하고 진입되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의 주요 국방정책 의제설정과정 유형은 정부 외에 있는 시민들이나 민간집단들에 의해 문제가 제기되어 사회적 쟁점을거쳐 정부에 의해 적극적으로 해결이 표명된 정책의제로 전환되는다원화되고 민주화된 선진국에서 많이 나타나는 외부주도형(outside initiative model)보다 정부기관 내부에서 문제가 생성되어 자동으로정책의제화하거나, 정부기관 내의 관료집단 주도로 사회문제를 정책의제로 설정하는 시민사회와 민간부문이 취약한 후진국에서 많이나타나는 동원형(mobilization model)과 내부접근형(inside access model)으로 분석되었다. 전작권 전환 시기 연기 정책 결정시에는 정부 의제화 후 대중의 지지와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공중의제화하는동원형으로, 전작권 전환 재연기, 한반도 사드 배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정책 결정시에는 모두 공중의제화 과정을 생략한 내부접근형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국방정책 의제설정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볼수 있다. 먼저, 한국의 국방정책 결정은 북한의 도발과 위협 양상의변화와 미국의 국방정책의 틀 속에서 이루어졌다. 둘째, 정부의 의견이 주도적으로 반영되었고, 대부분의 의제설정과정이 정부 주도로 이루어졌다. 셋째, 정부는 자신들이 준비한 정책 내용을 결정하거나, 집행하는데 필요한 집단에게 내용을 전파하고 정책의제를 설정하는 경향이 존재했다. 넷째, 정책의제설정과정에서부터 국방정책결정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설득 노력이 부족했다. 끝으로 정책의제설정 과정에서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하지 못했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볼 수 있다. 먼저, 국방정책 의제설정에서부터 대미협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둘째, 정책의제설정 과정에서 하향식보다는상향식 의제설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이제 국방정책 의제설정과정도 다양한 정책행위자와 함께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으며, 국가이익을 고려하여 그 내용과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 라인도 설정해야 한다. 넷째, 국방정책 의제설정 단계부터 논리적인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해야 한다. 다섯째, 적극적인 싱크탱크의 활용이 요구된다. 끝으로, 국민적인 공감대를형성하고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국방정책 의제설정 단계부터 국민의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들이 수반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how the major defense policy agendas of previous governments are set, spread, and entered, and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Korea's major defense policy agenda was analyzed as a more diverse and democratic model in which problems were raised by citizens or private groups outside the government and turned into policy agendas actively resolved by the government. When deciding on a policy to postpone the Transfe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t was analyzed as a mobilization model to secure public support after the government's agenda, and an inside access model that omitted the process of Transfe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HAAD deploy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igning a Korea-Japan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defense policy agenda setting proces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outh Korea's defense policy decision was made within the framework of North Korea's provocations and threats and the U.S. defense policy. Second, the government's opinions were reflected in the initiative, and most of the agenda setting process was led by the government. Third, the government tended to decide on the policy contents they prepared or spread the contents to groups essential for implementation and set policy agendas. Fourth, there was a lack of public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efforts for defense policy decisions from the process of setting policy agendas. Finally, logical consistency and continuity were not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setting policy agendas. Based on this,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presented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negotiating ability with the U.S. from setting the defense policy agenda. Second, in the process of setting a policy agenda,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bottom-up agenda rather than top-down. Third, the process of setting the defense policy agenda needs to be carried out with various policy actors, and clear guide-lines for how to set the content and scope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national interests. Fourth, consistency and continuity must be maintained from the stage of setting the defense policy agenda. Fifth, active use of think tanks is required. Finally, unlike in the past, various efforts should be accompanied to gain public support from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defense policy agenda so that public consensus and support can be formed.

      • KCI우수등재

        컨벤션 의제(Agenda) 채택 과정에 대한 연구 -정보채택모델의 적용-

        김종철,이예린,구철모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lection of the agenda, which is the core content of convention events and the mechanism of agenda decision-makers' adoption of the agenda. In the convention industry, the agenda is the most important keyword faced by society. Although it plays a role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the convention, related research is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an empirical study model was presented by referring to the decision processing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usefulness of th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ttitude and impact on the agenda were analyzed by adding social norms and government policy agenda variables, which are social impact variable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tion context.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with convention experts, a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03 data were colle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ssociation and timeliness of the agenda as a quality factor of the agenda act as a leading factor in the usefulness of the agenda and the necessity of the agenda. On the other hand, agenda necessity and source credibil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usefulness of the agenda.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norms and government policy agendas showed different results in attitude and intention. This is expected to be an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useful barometer by further organiz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research on the convention agenda selection process, which was conducted without a rationale by using the information adoption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컨벤션 행사의 핵심 콘텐츠인 의제(agenda)선정과 관련하여 그 영향 요인이 무엇이고, 의제 결정자들의 의제 채택 매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있다. 컨벤션 산업에서 의제는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이기 때문에 컨벤션 성공을 좌우하는 가늠자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의제의 특성에 적합한 변수를 도출하고, 개인의 정보처리과정을 설명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온 정보채택모델을 차용하여 개인의 정보 처리 과정(논거의 품질․정보 원천의 신뢰성․정보의 필요성)과 정보의 유용성을 통한 의사결정(태도․채택의도) 절차를 참고하여 실증연구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컨벤션 맥락을 고려하여 사회적 영향 변인인 사회적 규범과 정부정책의제 변수를 추가하여 의제에 대한 태도와 채택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컨벤션 전문가들의 질적 인터뷰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3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의제의 품질 요소로 의제의 연관성과 시의성이 의제의 유용성에 선행 요인으로 작용함을 밝혀냈으며, 의제의 필요성 역시 의제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의제의 태도, 나아가 채택의도에도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의제 내용의 정확성과 의제 원천의 신뢰성은 의제의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영향 변인인 사회적 규범과 정부정책의제는 의제에 대한 태도와 채택의도에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보채택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이론적 근거 없이 진행되었던 컨벤션 의제 선정 절차에 대한 연구의 이론적인 틀을 한층 체계화함으로써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유용한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20대 젠더 갈등에 대한 뉴스 의제 및 프레임 분석 : 토픽 모델링과 텍스트 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한 2022년 선거 국면에서의 ‘이대남·이대녀’ 현상에 대한 언론보도 탐색

        오다슬,이신행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3

        This study identifies the political and social attributes of the "Men and Women in their 20s" agenda and analyzes the framing of the media coverage during the 2022 election campaign.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tendency of young adults in their 20s, who have been highlighted as a new political force, to be consumed by gender-based political conflicts, and capture how the media limited the complex agenda attributes of the 'Men and Women in their 20s' agenda to gender-conflicting issues in the 20s. First, we conducted topic modeling on 3,431 relevant news articles to identify agenda attributes, and extracted detailed topics of the 'Men and Women in their 20s' agenda and clustered them based on policy-social agenda attributes and male-female agenda attributes. Most of the extracted topics were related to the campaigns of political candidates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confirming the consumption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 a political context. Next, we analyzed the composition of gender frames in the coverage of the 'Men and Women in their 20s' agenda through an automated text classification algorithm. We, then, examined the effect of agenda attributes on three gender frames: gender issue analysis frame, gender representation frame, and gender conflict frame, and found that among the agenda attributes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the female-policy agenda attribute 'female quota system', the male-social agenda attribute 'man-hating controversy', and the male-policy agenda attribute 'soldier meal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use of gender conflict frame. Moreover, at the agenda attribute level, only the female-policy attribu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gender conflict frame, unlike other agenda attributes, suggesting that women-oriented policy issues tend to be limited to social conflict and controvers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genda attributes and gender representation frame, we found that the 'Men in their 20s' are represented as a group attacking feminism and a far-right populist image, while the 'Women in their 20s' are represented as a socially vulnerable group such as victims of crime and a group opposing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e also found that the new media reported male-policy agenda attributes, such as the 'soldier meals' topic, or female-policy agenda attributes, such as the 'female quota system' topic, in a gender-conflicted manner, turning the issue into a kind of gender confrontation by associating election promises for young people with a specific gender.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ws agendas and gender-related frames based on attribute agenda-setting theory and frame theory, and explored a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topic modeling and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t the research methodological level.

      • KCI우수등재

        웹사이트 캠페인이 기존 뉴스 미디어 의제와 공중 의제에 미치는 영향

        구교태(Ku Gyotae) 한국언론학회 2002 한국언론학보 Vol.46 No.4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mpact of website campaigning on the traditional news media agenda and the public opinion during the 2000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ing. This study used divers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pearman's rho correlation, partial correlation, the Rozelle-Campbell baseline, path analysis, etc., to assess the hypothesis and questions. The study had several implications of political candidate websites on political dialogue. First, this study revealed the website campaigning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an effective PR, since the campaign agenda of candidate websites became the subsequent agenda of the traditional news media. Second, as website agenda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traditional media agenda, the website agenda is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public agenda. As with the shaping of public opinion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website agenda had greater agenda-setting impact on the public than any other media examined in this study. Thus, another theoretical implication regarding agenda-setting function is that online users exposed to candidate websites are more likely to learn campaign agenda than traditional media users. In addition, the two path models indicated that candidate website agenda in the campaign initial phase had some significant direct agenda-setting impact on the public's agenda, and the agenda-setting impact persisted throughout the 2000 presidential campaign period. This finding might indicate that a political candidate who wants to run a website needs to focus on direct website strategies to reach online users, as well as provide news releases for the traditional news media.

      • KCI등재

        ‘유네스코 3관왕’ 관련 ≪한라일보≫ 기획보도의 특징과 정책의제 형성과정에서 미디어의 역할

        이서현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1

        The Halla-Ilbo has been covering the agenda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of Jeju through feature reports.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World Heritage of Jeju’s process of agenda formation and the transition of its agenda. The feature reports showed specific characteristics. First, there was continuous coverage of related topics for 13 years, centering on one reporter. This indicated there was a dedicated reporter who was familiar with Mt. Halla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f Jeju. This arrangement and utilization of manpower has been a driving force in securing the consistency of the World Heritage feature report. I also found the media agenda has transformed the public and policy agenda successfully. The World Heritage of Jeju’s agenda was the agenda of the media itself. The media could form public opinion, and the social consensus of the public turned into policy agenda. Finally, continuous agenda setting in the media was carried out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its agenda, showing that when the media keeps an agenda, it is possible to switch media agendas, public agendas, and policy agendas. 본 연구에서는 제주의 ‘유네스코 3관왕’ 달성 과정에서 지역언론사로는 유일하게 13여년에 걸쳐 11개의 기획보도를 통해 해당 의제를 꾸준히 다루어 온 ≪한라일보≫에 주목했다. ≪한라일보≫ 기획보도의 특징은 첫째, 한 명의 기자를 중심으로 구성된 특별취재팀을 주축으로 13여 년 동안 지속적인 기획취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이는 환경 분야에 능통한 전담기자 중심의 기획보도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러한 인력 배치와 활용은 기획보도의 일관성과 연계성 확보로 이어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둘째, 미디어 의제가 공중의제 및 정책의제로 성공적으로 전환된 사례다. 제주의 유네스코 관련 의제가 미디어 의제에서 출발했던 만큼, 미디어는 여론 형성의 추동 주체가 되었고, 이를 통해 확보된 사회적 공감대는 정책의제로 전환되게 하는 동력이 되었다. 셋째, 유네스코 관련 의제에 대한 장기간의 기획보도를 통해 이에 대한 아젠다 키핑이 이루어졌다. 이는 미디어가 의제를 지속적으로 끌고 가는 힘이 있을 때, 미디어 의제, 공중의제, 정책의제로의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미디어의 지속적인 아젠다 세팅이 해당 의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유지시킴으로써 아젠다 키핑의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정치인 트위터와 신문,방송뉴스의 의제 상관성에 관한 연구

        최진호 ( Jin Ho Choi ),한동섭 ( Dong Sub Ha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1 언론과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트위터와 신문/방송뉴스의 의제를 비교하여 의제설정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정치인 트위터 의제를 전통적인 뉴스 미디어인 신문과 방송뉴스 의제와 비교하고, 속성의제를 중심으로 다른 매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트위터는 기존 미디어와 공유되는 핵심의제(대상의제)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정치인들의 정당에 따라 대상의제와 속성의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속성의제는 트위터와 신문/방송뉴스 간 유의미한 순위상관관계가 있었다. 세부 매체로 나누어 살펴보면, 대상의제와 속성의제에서 모두 한나라당 정치인 트위터와 『조선일보』가 높은 순위상관관계가 있었다. 매체 간 의제설정효과는 정치인 트위터 의제가 앞선 시점의 신문의제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방송뉴스 의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치인 트위터는 전통적인 뉴스 미디어와 일정 부분 의제를 공유하면서 나름대로의 의제를 형성하며, 매체 간 의제설정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genda-setting by comparing agendas between twitters that is based on social network and traditional news media. The present study compares the agenda of politicians` twitters with those of traditional news media and analyses empirically, focusing on the second-level agenda, what relation there is. The results showed that twitters formed the core first-level agenda, which is shared with traditional media. Moreo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depending on which political party a politician is associated with, there occur differences in both the first-level and the second-level agenda. It has been found that the second-level agenda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ank-order correlation with the traditional media. When examined one by one, it showed that there is a high rank-order correlation between ``Chosun Ilbo`` and twitters of the members of ``The Grand National Party``. Considering intermedia agenda-setting effect, agenda of politicians` twitters had the correlation with newspaper agenda of previous time and affect broadcasting news agenda.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twitter forms agenda in its own way, sharing some part of agendas with the traditional news media.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intermedia agenda-setting.

      • KCI등재

        온라인 미디어의 의제설정 효과

        김병철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의제설정 이론을 적용하여 온라인 미디어가 특정 사건 혹은 이슈를 중요한 것으로 강조해서 보도하면 온라인 수용자 역시 이를 중요한 사건 혹은 이슈로 인지함으로써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도 미디어 의제가 공중 의제를 결정하는 의제설정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처음부터 온라인상에서 출발한 독립형 인터넷 신문인≪오마이뉴스≫를 대상으로 가르시아(M. Garcia)가 제기한 뉴스 배열의 현저성을 사용해 미디어 의제의 중요도를 측정한 뒤 미디어가 보도한 특정 사건 혹은 이슈에 대한 수용자들의 조회 수 및 댓글수를 근거로 미디어 의제에 대한 수용자의 노출 정도와 토론 참여도를 측정해 미디어 의제 중요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인터넷 신문과 같은 온라인 미디어 역시 특정 사건이나 이슈를 중요한 것으로 강조해서 보도하면 온라인 수용자도 이를 중요한 것으로 인지해 해당 사건 혹은 이슈에 대한 노출과 토론이 늘어나면서 미디어 의제가 공중 의제화되는 1단계의 이슈 의제설정(issue agenda-setting)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온라인 미디어가 결정한 기사 배열 순위와 수용자가 결정한 기사 배열 순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수용자와의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을 중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는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도 미디어의 의제 설정 과정이 수용자와 유리된 채 일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우리 사회의 현실을 다르게 보이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제설정 과정에 수용자를 참여시키거나 수용자와 의제설정 권한을 나눠 갖는 의제 설정권의 공유 혹은 개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genda-setting effects of online news media like Internet newspapers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online media. Through the framework of agendasetting theory, this study analyzed online data collected from OhmyNews, one of the leading Internet newspapers in Korea. Rank order correlations revealed that the online news media has the first-level issue agenda-setting effects on audience. After controlling the upload time of online news, the level of exposure to agenda by audie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agenda determined by OhmyNews. And the level of discussion to agenda by audience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agenda determined by OhmyNews.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media agenda determined by OhmyNew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agenda determined by audience, indicating that the agenda-setting process of the online news media might be one-sided like other traditional newspapers. That is, in spite of the online news media's technological advantages of two-way or interactive communication, the agenda- setting process would not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mass media. Therefore, it might be necessary for online news media like Internet newspapers to consider introducing a new agenda-setting system designed to open and share its agenda-setting power with the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