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차별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탐색적 조사연구

        김욱(Wook Kim)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2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노인차별경험정도와 이와 관련된 요인을 탐색해보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편의표집으로 추출된 60세 이상 노인 427명을 대상으로 노인차별경험정도와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인구사회적 변인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almore의 The Ageism Survey Instrument로 측정된 응답노인의 노인차별경험의 점수평균은 40점 기준으로 6.55였고, 응답자의 86.2%가 최소 한가지 이상의 노인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차별경험의 유형은 약간 다를지라도 그 전체적인 경험의 정도의 정도는 미국이나 캐나다 같은 구미선진국의 경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노인차별경험이 높은 영역은 '의사나 간호사가 나의 병이 나이로 인한 것으로 추정함', '타인이 당신을 그 일을 하기에 너무 늙었다라고 말함', '나이로 인하여 선심을 받는 대상이 되거나 낮추어서 대우받음', '타인이 내가 나이 때문에 잘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추정함' 등의 순이었다. 셋째, 이원적 분석결과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수 중 주관적 생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그리고 주관적 나이가 노인차 별경험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중분석결과 한국노인의 차별경험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는 주관적 나이(B=130), 주관적 생활수준(B=123),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B=114), 순이었으며, 이 변수들은 노인차별경험의 변량 중7%를 설명하고 있다. 즉 주관적 나이가 많이 들었다고 생각 할수록, 낮을수록,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노인차별의 경험정도가 높아지고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노인차별 이 한국에서 전개되는 정도와 양상을 이해하고 이러한 차별의 내용과 상대적으로 차별에 노출이 쉬운 노인들을 도와 차별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제도나 서비스가 시급히 요망되며 향후 노인차별을 유발하는 새로운 변인을 찾아나가는 후속연구도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위의 결과를 배경으로 본문에서는 한국사회의 노인차별을 완화시키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정책 및 실천방안,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level of ageism experienced by the elderly and its related facto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427 Koreans over 6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elderly Koreans' mean score of ageism measured by Palmore's Ageism Survey Instrument was 6.55/40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reported several incidents of ageism and 86.2 percent of them reported one or more incidents of ageism, suggesting that the experience of ageism was widespread and frequent frequent among these respondents.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ageism experienced by elderly Koreans is similar to similar to those of the elderl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types of ageism. Second, the most frequent types were ' A doctor or nurse assumed my ailments were caused by my age', followed by ' Some one told me, "You're too old for that," I was patronized or "talked down to" because of my age, and 'Someone assumed I could not understand because of my age, etc. Third, the bivariate analyses resulted that the self-assessed life condition, self-rated health, and subjective age were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ageism. Fourth, multiple egression analysis showed hat the subjective age (β=-130), self-assessed life condition (β=.123), and self-rated health(β=.114) of the elder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level of ageism, accounting 7% of the variance of ageism. This result provides some information in reducing the prevalence of ageism in our society.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Revisiting Ageism: Theoretical Review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Wook Kim 한국노인복지학회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14 No.-

        Ageism can be seen as a process of systematic stereotyping and discriminating against the elderly, just as sexism and racism, accomplish this with gender and skin color. The concept of ageism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social work profession. Insights on ageism can provide new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the needs and problems of the elderly. The elderly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uffer from personal and institution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ey are oppressed groups and experience the consequences of oppression through ageism. However, discussion of ageism has been very limited in Korea.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ageism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It defines ageism as an aspect of oppression and reviews how ageism is manifested toward the elderly, applying five faces of oppression - exploitation, marginalization, powerlessness, cultural imperialism, and violence. Also, the effects of oppression are discuss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lderly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experience all aspects of oppression to some degree, but marginalization and cultural imperialism have the greatest impact. Traditional attitudes and values are gradually losing their power and the problem of ageism is increasing in Korea, as it is in the United States. Social work has an important role in addressing the issues of ageism on two levels, empowerment of the elderly as individuals and as a community, and facilitating change within society as a whol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on issues of ageism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The Impact of Ageism and Wellbeing Strategies for Older Adults

        김용환 한국대학선교학회 2024 대학과 선교 Vol.0 No.59

        This paper discusses ageism, including its definition, causes, and characteristics, the effects of ageism on older people, and older people’s responses to their experiences of ageism. The term ageism was first used by Robert Butler in 1968 and refers to the emotional, behavioral, customary, and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against older people based on prejudice against them because they are older. Ageism has various social and psychological roots, including civilization, fear of aging, materialism, and fear of disease.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unconscious nature of ageism, the scapegoating of both older people and ageists, and the polarization of ageism. Although many older adults are negatively affected by ageism, they are able to maintain a positive self-identity through defense mechanisms. One of these mechanisms is identity assimilation, in which older adults control the information process and only take in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ir positive self. In contrast, identity accommodation, another response to aging and ageism, involves acceptance of age-related changes while also despairing of those changes. In order for older adults to overcome ageism, they need to identify and affirm that they are still who they are, even though they are changing during the aging process.

      • KCI등재

        연령주의(Ageism)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연구

        김주현(Kim Ju-Hyun)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연령주의(Ageism)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노인집단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관련된 측정도구들을 평가하고 이에 기초하여 노화불안, 노인에 대한 인식(편견, 고정관념, 기피), 차별행동 등 연령주의에 대한 다차원적인 내용이 포함되도록 문항을 개발했으며 이에 대한 검증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연령주의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다차원적 문항을 정리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예비문항 44개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사전조사 분석을 통하여 31개의 예비문항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18세 이상 1,535명을 대상으로 문항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내적신뢰도 분석을 통해 8문항을 정리하여 23개 문항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7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21개 문항이 구성되었다. 하위 요인으로는, 노화에 대한 인식으로서 노화에 대한 불안, 외모변화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요인과 한편 노년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나타내는 요인도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에 대한 편견, 기피/회피를 나타내고 극단적으로 노인집단과의 분리를 나타내는 요인, 연령(고령)에 대한 차별 행동이 주요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연령주의 척도는 사회구성원으로서 노인집단의 위치와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이 결과는 노인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노인관련 업무를 실천하는 현장에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태도에 대해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contents of ageism and to develop instrument of ageism. Ageism instrument development remains a necessary in aging research, for the explication of actual condition of ageing. The current study describes multidimensional view of ageism toward aging and the elderly. After pre-test and review of professionals, 31 items was constructed. Data were obtained from KGSS Survey of 1535 participants. The sample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Finally, the 23-items with seven factor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internal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first group. Another group were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nal 23-item scale with seven factors had a good model fit.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ageism scale are necessary elements for proceeding beyond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in ageism. It also provides a implications for current views of ageism and strategies for reducing ageism.

      • KCI등재

        프랑스의 연령주의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척도에 대한 연구

        손동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8 국제지역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 ageism in France based on various studies of social understanding and attitudes by age group.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into ageism yet. Many studies’ have been used the term 'age discrimination’ instead of ‘ageism’. There are studies of social prejudice and perception of the elderly, image of the elderly and individual or social perception of aging, with regard to age in most cases, but not many studies on ageism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e image of the old people in France is positive and there has been a lot of studies about the ageism in France for a long time. Nevertheless, there has not been much introduction of ageism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ageism in france. In conclusion, the case of France emphasize a new perspective on all discrimination arising from age, so their perspective of the ageism has a lot of suggestion in the koran society, which has not much research on ageism. 본 연구는 프랑스의 연령집단별 사회적 이해와 태도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바탕으로 연령주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인종주의, 성차별주의처럼 오늘날 만연한 사회적 현상이 연령주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연령주의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나이와 관련한 많은 연구에서는 ‘연령차별’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해왔다. 그리고 대부분 연령과 관련해서는 부분적인 연구로 노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인식, 노인 이미지그리고 노화에 대한 개인 혹은 사회적 인식에 대한 연구들은 있지만 포괄적인 관점에서 연령주의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프랑스는 노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지 않고, 연령주의에 대한 연구가 오랜 동안 활발하게 되어져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프랑스의 연령주의가 소개가 많이 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프랑스의 연령주의를 소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프랑스는 연령으로 인해서발생하는 모든 차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연령주의에 대한 접근방식하고 있다는 점에서아직 연령주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The Comparison of Strategies Combating Ageism among Korea, Japan, and US

        Ju-hyun Kim,Jina Han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3

        This study compares strategies combating ageism among Korea, Japan, and US to identify its implications for Korea’s aging society. In the US, anti-ageism movement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ivil right that supports the right of elderly to participate in society. In Japan and Korea, however, there have not been comparable anti-ageism movements for the right of older people. Instead, Japan has focused on developing aging policies to protect older people’s security which play roles to buffer negative effect of ageism. Korea has shown, however, small incremental development in aging policies. Interestingly, although three countries have different levels of strategies combating ageism, all three countries share a discourse: ‘New Ageing’. This stud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ageism and the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of social policies for older people and finds ways to reduce ageism and to facilitate cross-generational integration in Korea.

      • KCI등재

        노인차별과 그 유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도시와 농촌지역 비교

        김일호(Kim, Il-Ho),천희란(Chun, Heeran)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노인차별은 노년기 건강과 삶의 질의 저해 요인이다. 이 연구는 문화변화이론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노인차별 경험을 유형화하고, 각 차별 유형과 신체적․정신적 건강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할당(quota) 표본 방식을 적용하여 서울시 노인복지관 중 5개 구와 충북 G군 노인정을 중심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60-89세의 노인 812명을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노인차별의 영역을 고정관념, 무시, 고용, 의료이용 차별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노인은 각 차별 영역 중 고정관념 차별을 가장 많이 보고하였으며, 의료서비스 이용에서의 차별경험을 가장 낮게 보고하였다. 특히,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이 농촌지역의 노인에 비하여 전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노인차별 경험을 보고하였다. 각 차별 유형과 건강수준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무시차별은 우울증상, 고용차별은 고혈압, 만성질환 및 우울증상, 의료이용에서의 차별은 주관적 건강수준 및 우울증상과 유의미하게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고정관념 차별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연관성이 없었다. 이 연구결과는 노인차별 유형별 건강 위험요인에 관련된 정책적 관심과, 향후 각 노인차별 유형과 건강영향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종단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Based on the cultural change theo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ur types of ageism experienced by elderly Koreans, focusing on the e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Data were taken from the 2013 Ageism and Health Study, a survey of 812 elderly Koreans, aged 60 to 89, recruited through a quota sampling method. Using factor analysis, ageism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stereotyping, ignoring, employment discrimination, and discrimination in health service u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common form of ageism experienced by elderly Koreans was stereotyping. In particular, urban elderly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ll four types of ageism than their rural counterparts. Regarding the health effects of each type of ageism, being ignored and discrimination in health service use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while employment discrimin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blood pressure,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However, the impact of stereotyping discrimination on healt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study findings imply that public health policy makers dealing with ageism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ypes of ageism. In future, longitudinal research is needed to reveal the causal links between the various types of ageism and their health effects.

      • KCI등재

        노인의 차별경험과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최수현,황종남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4

        Objectives: In the healthcare settings, ageism experienced by the older adults has a negative impact on unmet healthcare nee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o resolve the unmet healthcare needs of the older adults by analyzing the relation of ageism on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nd the reasons by gender. Methods: 9,930 older adults over 65 years old who responded to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Gender-stratifie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and male older adults tend to report higher likelihood of unmet healthcare needs as they experienced ageism in the healthcare settings(OR=2.10, 95%CI: 1.43-3.10; OR=2.84, 95%CI: 1.75-4.62). Regarding the reasons for unmet healthcare needs, female older adults who experienced ageism had more approachability- and availability-related unmet healthcare needs(OR=3.90, 95%CI: 1.99-7.64; OR=2.23, 95%CI: 1.11-4.48). In addition, male older adults who experienced ageism had higher likelihood of approachability- and availability-related unmet healthcare needs(OR=2.99, 95%CI: 1.35-6.62; OR=7.83, 95%CI: 2.90-21.17). Conclusions: To resolve the older adults’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n ageism-base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required for the healthcare staffs to reduce ageism in the healthcare settings, and ageism needs to be considered as a risk factor associated with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older adults. 연구목적: 의료시설 이용 시 노인이 경험하는 차별은 미충족 의료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Ageism을 바탕으로 의료시설 이용 시 노인의 차별경험과 미충족 의료 경험 및 이유와의 관계를 성별로 층화분석하여 노인의 미충족 의료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0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 9,930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노인 여성과 남성 모두 의료시설 이용 시 차별을 경험할수록 미충족 의료를 더 많이 경험하였다(OR=2.10, 95%CI: 1.43-3.10; OR=2.84, 95%CI: 1.75-4.62). 미충족 의료 경험 이유 관련해서는 의료시설 이용 시 차별을 경험한 노인 여성은 접근가능성, 이용가능성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R=3.90, 95%CI: 1.99-7.64; OR=2.23, 95%CI: 1.11-4.48). 노인 남성 또한 접근가능성, 이용가능성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R=2.99, 95%CI: 1.35-6.62; OR=7.83, 95%CI: 2.90-21.17). 반면 차별경험과 지불능력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 경험은 노인 여성과 남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의료시설 이용 시 경험하는 차별을 줄이기 위한 연령주의에 입각한 의료진 교육 커리큘럼이 필요하며, 노인의 차별경험이 미충족 의료 경험의 관련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노인차별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김주현(Ju Hyun Kim),송아영(Ah young Song)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5 사회연구 Vol.- No.27

        노인차별은 인종차별, 성차별과 함께 사회의 주요한 차별형태이다. 노인차별은 문화, 국가와 상관없이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노인의 삶의 질 뿐 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삶의 질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노인차별의 다양한 특성을 검토하여 객관적인 평가 수준을 마련하기 위한 노인차별지표를 개발하는 데 주목적이 있다. 특히 객관적인 지표구성, 국가비교 가능 지표구성, 다양한 노인차별 특성 반영 지표구성, 또한 차별의 특성을 부각하기 위한 연령비교 가능 지표구성이라는 주요 원칙하에 이루어졌다. 우선 노인차별과 관련된 기존 노인관련 지표를 검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 연구에서 주로 포함된 주요 영역과 지표들이 추출되었다. 여기에 이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영역을 추가하였으며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준을 구성하였다. 주요평가원칙은 공신력(authority), 객관성(objective), 국가비교(comparatibility), 장기데이터 축적가능(continuousity), 마지막으로 데이터 수집가능(feasibility)이다. 평가 결과 총 6개의 영역과 32개의 지표로 축소되었으며, 노인차별 연구 전문가의 자문회의를 통해 2차 평가가 이루어졌다. 영역의 중복성, 모호성 등을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5개의 영역과 30개의 지표가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 본 노인차별 지표의 최종 영역은 재정 상태, 건강상태, 노동활동상태, 생활환경상태, 사회활동의 5개의 영역이다. 이 연구는 국가비교를 위한 노인차별지표개발의 첫 성과로서 노인차별을 다양한 차원에서 검토했다는 점, 객관적인 평가틀을 이용한 평가를 실시했다는 점, 차별의 특성을 고려한 연령비교가 가능한 지표를 구성하려 노력했다는 점 등이 주요 의의라 할 수 있다. Ageism is discrimination and stereotype based on an individual's age. Ageism is directly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furthermore, it may affect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a society. Give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dicators to evaluate ageism. For this, four main strategies were adapted; objective indicators, comparable indicators, indicators to reflect various characteristics of ageism, and finally indicators to compare age groups. We reviewed previous indicators studies on the issue of ageism or ageism related topics and extracted major dimensions and indicators. This study develops an evaluation frame to review those dimensions and indicators. The evaluation frame included authority, objectiveness, comparability, continuity, and feasibility. Through the evaluation process, we selected 6 dimensions and 32 indicators and prepared an advisory table with 7 experts on ageism and older adults. Finally, we developed ageism indicators with 5 dimensions and 30 indicators. The 5 dimensions are financial status, health status, employment status, life environments status, and social participation statu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대학생의 노인차별 인식에 대한 퍼지분석

        장윤정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2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2 No.2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stigma and ageism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presented an evaluation model that can evaluate ageism by considering their relationship as a fuzzy relationship matrix, and analyzed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ageism.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among the two types of ageism, emotional avoidance was found to be more related to elderly stigma than ageism.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elderly stigma such as temperament, ability, appearance, authoritarianism, and child obsession was more related to emotional avoidance than ageism. Second, both emotional avoidance and ageism were found to be relatively relevant factors such as authoritarianism and temperament. Third, both emotional avoidance and ageism showed that child obsession was the least relevant factor. From this point of view, in order to prevent ageism against the elderly by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elderly by approaching them in various dimensions such as temperament, ability, appearance, authoritarianism, and child obsession.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노인낙인과 노인차별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의 관계를 퍼지관계로 간주하고 퍼지관계행렬을 구성한 후 퍼지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정퍼지관계행렬을 구함으로써 노인차별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제시하고 대학생의 노인차별의인식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차별의 2가지 유형 중 정서적 회피는 차별에 비해 노인낙인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질, 능력, 외모, 권위주의, 자식 집착과 같은 노인낙인은 차별보다 정서적 회피와 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회피, 차별 모두 권위주의, 기질이 상대적으로관련성이 높은 요소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회피, 차별 모두 자식집착이 가장 관련성이 낮은 요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대학생의 노인차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인낙인을 구성하는 기질, 능력, 외모, 권위주의, 자식 집착 등 다양한 차원에서 접근하여 노인에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