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출산력 가정치의 설정

        전광희(Kwang-Hee Jun)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래인구추계를 위하여 논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코호트별 출산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의 추정과 추계를 위하여 Coale-McNeil 모형을 일반화한 로그감마분포모형을 선택한다. 다음은 보정형의 연령별 출산율 모형을 재생산을 완료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젊은 출생코호트를 포함하는 실적치 자료에 맞추기 위하여, 출산력 파라메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일련의 출생코호트의 출생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을 역출하여, 장래의 특정연도 대하여 연령별 출산율을 추계한다. 가령, 2010년의 20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90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0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이고, 2010년의 21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89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1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에 해당한다. 결국 2010년에 태어난 코호트까지의 연령별 출산율의 추계치를 얻게 되면, 2055년도까지의 기간별(연도별-령별 출산율에 대한 가정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와 통계청의 2005년 장래인구 특별추계의 가정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것은 본 연구의 출산예측모형에서 혼인연령의 상승과 독신여성의 증가로 인한 출산력 저하의 최근 추세를 제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래인구추계와 관련하여, 출산력 가정치 설정을 위한 출산예측모형의 본질적 과제는 어떻게 기간효과(를 슬기롭게 다루느냐 하는 것이다. 코호트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실적치를 바탕으로 약간의 기간적 수정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간효과를 별도로 취급하기는 쉽지 않다. The major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hypothetical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are logically derived and reasonably accurate in the projection of future population. The first procedure is to select a generalized log-gamma distribution model, which includes Coale-McNeil nuptiality model, in order to estimate and project a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y birth cohort and birth order. The second is to apply the log-gamma model with an empirical adjustment to the actual data to estimate and project the future fertility rates for relatively young birth cohorts who did not complete their reproductive career. This study reconstructs or translates a set of cohort age-specific fertility rates into a set of perio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must be hypothesized in order to establish the broader framework of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For example, the fertility at age 20 in the year of 2020 is the fertility at age 20 for the cohort born in 1990, while the fertility at age 21 in the year of 2020 is the fertility at 21 for the cohort born in 1989. In turn, once a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for the cohorts who were born up to the year of 2010, it is possible for one to establish an hypothetical set of perio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will be needed to project the future population until the year of 2055. The difference in the hypothetical system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etween this study and the 2005 special population projection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skillfully exploited to reflect better actual trend of fertility decline caused by rise in marriage age and increasing proportion of those who remain single until their end of reproduc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the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derived from this study is more logical and reasonably accurate than the set of those used for the 2005 special projection. In the population projection, however, the fundamental issue of the hypothetical setting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in relation to the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is about how skillfully one can handle the period effects. It is not easy for one to completely cope with the problem of period effects except for the a minor period adjustment based on recent actual data, along with the given framework of a cohort-based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 KCI등재

        시도별 출산력 예측에 대한 연구

        김순영,오진호 한국통계학회 2019 응용통계연구 Vol.32 No.2

        우리나라 출산율은 2000년 이후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시도별 출산율도 대체적으로 동일한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시도별 출산율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저출산 고령화 대책, 교육 및 복지 등의 지역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필수 자료이다. KOSTAT (2017) 시도별 출산율 추계 방법은 최근 10년(5년)간 전국 평균 출산율 정보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질적인 시도별 추이를 반영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도별 출산율 추계에서 중요한 연도별 안정적 패턴 유지와 시도 출산율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제안 1, 2)는 연도별 출산율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연령별로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출산율의 변동 추이 및 전국과 시도의 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안3은 전국과의 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시도의 연령별로 출산율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독자적 추이를 반영한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 출산율과 시도 출산율 패턴이 유사하므로 제안1, 2와 같이 시도 출산율 예측시 전국과의 관계를 이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볼 수 있다. 이런 제안은 연령별 출산율 추이에 안정성을 개선시켰다. The Korean fertility rate has been declining rapidly since 2000 with the fertility rate among provinces following a uniform tendency. In particular, the province-specific fertility rate is an essential tool for local governments to prepare local policies for low fertility aging policy, education and welfare policies. However, there is limitation on how to reflect different trends on the province-specific fertility rate because the KOSTAT's (2017) province-specific fertility rate projection estimates information use the national average birth rate date of vital statistics for the last 10 years (5 years).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mprovement plan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important stable pattern maintenance and provincial fertility rate differentiation for an annual birth rate estimation.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proposal 1 and 2) can reflect birth rate changes from past to present and national and provincial differences by age that use time series data of the annual fertility rate. Proposal 3 also reflects the unique fertility rate tren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by age according to province regardles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national tre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relationship to the national rate when predicting the birth rate, as in proposals 1 and 2 because the national and the provincial fertility rate pattern are similar. These proposals show improved stability in terms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 KCI등재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한 연령별 출산율 예측에 대한 연구

        김성용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1

        Analysis and prediction of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is one of important components for population projection. To predict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parametric models were fit to data at each time point, and parameter estimates from the model were forecasted by using time series models. However, this approach cannot take into account the uncertainty from model fitting at fixed time and the uncertainty from modeling time series of parameter estimates at the same time. Since it is well known that Bayesian approach can overcome this problem, UN (the United Nations) forecasted total fertility rates and life expectancy at birth at world population prospects by using Bayesian approach. However, this work was limited to only total fertility rates and life expectancy at birth. In this paper, Bayesian method to predict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are proposed, and applied to forecast of Korean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By using MCMC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 the uncertainty from model fitting at each time and from modeling time series of parameters can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Finally, forecasts of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and their confidence intervals are presented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연령별 출산율의 분석 및 예측은 인구추계를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연령별 출산율을 적합하고,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모수적 모형들이 이용되었다. 기존의 방법들은 특정 시점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을 모수적 모형 등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전 시점에서의 모형의 모수 추정치를 시계열 모형을 통해 적합한 후 예측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정된 시점에서의 변동성과 모수 추정치의 시계열의 변동성을 함께 고려하지 못하여, 인구추계 시 변동성이 과소평가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베이지안 통계학이 이용될 수 있다. 최근 UN(The United Nation)의 세계인구추계(world population prospects)에서는 합계출산율과 기대수명을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연구는 단지 합계 출산율과 기대수명에 한정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령별 출산율의 예측하기 위한 베이지안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우리나라의 연령별 출산율 예측에 이용하고자 한다. 각 시점에서 연령별 출산율이 모수적 모형을 따름을 가정하고, 모수적 모형의 모수가 시계열 모형을 따름을 가정한 후, 이를 MCMC(Markov chain Monte Carlo)방법을 이용하여 미래 연령별 출산율을 예측하고 신뢰구간을 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령별 출산율 적합을 위한 모수적 모형에 대한 연구

        김성용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1

        Traditionally,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have a typical bell-shaped curve. In recent years, the patterns of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have been changing to bimodal shapes in some developed countries. To fit changed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various mixture models have been suggested. It has been known that mixture models are appropriate for fitting bell shaped curves as well as bimodal shaped curve. However, mixture models are overparameterized when they are fitted to unimodal shaped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In Korea, the shape of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age is changing from asymmetric unimodal shape to symmetric one. In this paper, evaluation of mixture model is performed by using hypothesis test which has not be done in researches about fitting age specific fertility rates. Under the mixture model suggested by Peristera and Kostaki which has best-fit to Korean fertility data, the equality of means of two sub-populations is tested. Furthermore, asymmetric functions which is useful for fitting asymmetric unimodal shape as well as symmetric one are proposed. These models are compared to various other methods. 연령별 출산율은 전통적으로 종 모양의 단봉 형태를 띄고 있었으나, 서구 국가를 중심으로 쌍봉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령별 출산율을 적합하고,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혼합 모들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혼합 모형은 쌍봉 형태 뿐만 아니라, 비대칭의 단봉 형태에도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모형들은 단봉 형태의 연령별 출산율에 이용되었을 시, 비록 적합도는 뛰어나나, 과대 추정의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연령별 출산율은 과거 비대칭의 단봉 형태를 띄고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칭형으로 바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는 시도되지 않은 가설 검정을 통해 혼합 모형의 적합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자료에 적합도가 가장 뛰어나다고 알려진 Peristera와 Kostaki의 혼합 모형을 이용하여 두 하위 집단의 평균이 동일한지를 검정한다. 또한 비대칭 뿐만 아니라 대칭 형태의 출산율에도 적합한 기울어진 정규분포 및 T 분포를 소개 및 제안하도록 하며, 제한한 모형들을 쌍봉 또는 단봉 형태의 연령별 출산율을 적합하기 위해 제안된 다른 모수적 모형들과 비교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기획논문 : 여성취업비율과 모의 연령별 출산율 간의 내생성 분석

        이종하 ( Jong Ha Lee ),황진영 ( Jin Young Hwa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2 여성경제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1981~2010년의 우리나라 시계열 자료를 이용해 여성취업비율과 모의 연령별 출산율 간의 내생적 관련성 및 장·단기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모의 연령은 주요 출산연령 구간인 20~39세를 5년 단위, 즉 20~24세, 25~29세, 30~34세 및 35~39세로 구분해 사용했다. 또한 본 연구는 이상의 2변수로 구성된 기본모형과 소득수준 및 여성실업률을 통제한 모형(통제모형)의 결과를 비교했다. 실증분석 결과 여성취업비율의 변동이 출산율 결엊에 미친 영향의 크기는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해 크게 추정됐다. 구체적으로 그 영향의 크기는 기본 모형의 추정결과에서 11.70&(20~24세)~41.6%(25~29세)로 나타났으며, 통제모형의 추정결과에서 13.69%(20~24세)~47.91%(30~34세)로 관측됐다. 또한 여성취업비율과 일부의 출산연령, 즉 25~29세와 30~34세 모의 연령층 출산율 간에는 장기적인 관계가 성립했으며, 인과관계 검정 결과 여성취업비율이 출산율에 미친 영향이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취업비율과 모의 연령별 출산율 간의 단기적인 영향은 모의 연령층에 관계없이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관측됐다. 이상의 결과는 출산장려정책이 여성의 연령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ndogenous relationship and casuality analysis between female employment rate and age-specific fertility rate using Korea data over the period 198~2010. We use 4 groups of maternal age-specific, that is, 20~24, 25~29, 30~34, and 35~39 fertility rate. In addition, we compare the results of two models, such as the basic model comprised the above two variables and an extended model controlled both income level and female unemployment.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act of the change in female employment rate on the determination of maternal age-specific fertility rate is larger than the reverse impact. Specifically, the impacts of the changes in female employment rate on the determinations of maternal age-specific fertility rate varies between 11.70%(20~24) and 41.06%(25~29) in the basic model: the corresponding figures in the extended model are 13.69%(20~24) and 47.91%(30~34). Further, it is established a long-run relationship exists between female employment rate and 2 groups of maternal age- specific, that is 25~29 an 30`34 fertility rate. Howev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short-run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rate and maternal age-specific fertility provide little evidence. Based on the findings, we can infer that the efficacy of childbirth-encouraging policy will increase if we can differentiate the policy based on the age groups.

      • KCI등재

        연구논문 : 확률적 출산율 모형과 한국의 미래인구 구조

        박유성 ( You Sung Park ),김미리 ( Mi Ri Kim ),김성용 ( Seong Yong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 조사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출산장려정책의 사례와 효과를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3단계 출산율 변이과정을 이용하여 출산장려정책의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은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모형과 연령별 출산율(agespecific fertility rate)모형으로 구분되며 다변량 시계열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선진OECD 국가의 출산율 경험치 및 모수화 모형의 모수 시계열을 종속변수로 한 모형이다. 또한 출산율 및 사망률의 확률적 신뢰구간으로부터 구축된 9개의 인구 시나리오가정에서 2100년까지의 총인구, 생산가능인구, 핵심생산인구, 학령인구에 대한 출산율 및 사망률의 영향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부양부담지수와 고령화 측정지수를 이용하여 한국의 미래인구 구조를 논증하고 OECD 국가 대비 한국의 고령화 속도의 심각성과 한국의 미래가 출산율 제고 여부에 달려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We summarize the pronatalist policies and their effects carried out in OECD counties and we propose a new probabilistic model for fertility rates using the three phases of fertility transitions. This new model forecasts total an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y employing the fertility rates that OECD countries have experienced into a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with autocorrelated noise process. Using nine population scenarios calculated by probabilistic confidence intervals of fertility mortality rates, we investigate impacts of the fertility and mortality rates on total population, work population, power-work population, and school age population until year 2100. We inspect the future population structure by presenting dependency ratios and aging indices, show that aging speed in Korea is too fast compared to OECE countries, and demonstrate that the future of Korea depends on how to successfully raise the fertility rate during the coming 10 years.

      • KCI등재

        한국에서 여성의 고용, 출산 및 성장 간의 상호관련성

        황진영 ( Jin Young Hwang ),이종하 ( Jong Ha Lee ) 한국경제통상학회 2012 경제연구 Vol.30 No.3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endogeneity among women`s employment, fertility, and growth using 16 regional panel data in Korea over the period of 1997~2009. We use total fertility rate and the maternal age-specific (that is, 15~24, 25~39, and 40~49) fertility rate to denote the fertility rate. Specifically, we estimate an appropriate model based on the existence of long-run relationship, and then analyze the endogeneity among women`s employment, fertility, and growth using the methods of panel variance decomposition and dynamic OLS. On the basis of empirical results, we are able to find several conclusion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the change in the three variables themselves. Second, the negative impact of the change in women`s employment on the determination of fertility is much larger than the reverse impact, except the case of fertility rate in maternal age 40~49. Third, the impact of the change in women`s employment on the determination of growth is positive, while the size of influence is a low level. Finally, the impact of the change in growth on the determination of fertility rates depends on the selection of fertility variables. Particularly, in the determination of fertility rate in maternal age 25-39, the effect of the change in growth is about 16.10%, which shows a relatively higher level.

      • KCI등재

        4대 공적연금 가입 여성의 연령별 출산율 자료구축

        조영우,김기환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2

        Based on the fact that the fertility rate of civil servants in Korea is relatively high, we searched for data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ertility rate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who enrolled the four major public pensions, but could not find any related open data. However, with the support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t was possible to build data on the fertility rate by age of women enrolled in the four major public pensions. Since all citizens are eligible to jo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it was possible to expand the target of data collection to six groups: National Pension (employees, self-employees)employees, self-employees),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Teachers Pension, Military Pension, Pension Unsubscribed period and non-pension subscription, and data construction was possible for 2002-2018. Although the data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from the data on the fertility rate of the Statistics Korea. In addition, due to the enforcement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amended in 2014, even though a woman enrolled in the Teachers Pension was classified as a woman enrolled in the National Pension in the data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birth of a woman of childbearing potential enrolled in the Teachers Pension is recorded as a childbirth of a woman of childbearing potential through the National Pension. All age-specific fertility distortions were corrected and this process was described in detail. This study was able to construct data on the fertility rate by age of women enrolled in the four major public pensions. In this paper, the total fertility rates for women enrolled in the four major public pensions and women who are not enrolled in 2002-2018 were calculated and presented as a result.

      • KCI등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1990~2010

        김한곤(Han-G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0년까지 20년 동안 한국의 16개 광역자치단체의 무자녀율의 변화 추이와 그러한 무자녀율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지역별로 무자녀율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무자녀율의 변화 추이를 알 수 있었다. 한편, 연령군별 무자녀율에는 사회발전, 교통수단, 여성의 지위 및 경제발전 등의 요인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기혼여성의 무자율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종속변수로 일반기혼여성 무자녀율을 적용하기 보다는 연령군별 무자녀율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무자녀율을 보다 잘 이해하는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년 동안 한국은 난임 부부의 임신을 위한 지원정책이 출산율 제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사회환경 및 여건의 변화로 인하여 지발적 무자녀 현상이 20대 후반부터 40대 중반의 연령층에 걸쳐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는 난임 부부의 임신 지원정책을 보다 확대하여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요구되며 자발적 무자녀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출산에 우호적인 인식과 태도를 갖도록 인식전환 정책을 비롯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childlessness trends and examine the factors impacting on the childlessness of married couples among Korean provinces between 1990 and 20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have been differences in childlessness rates among provinces and over time as well. Furthermore, social development, transportation, womens status, and economic developme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ASMCR. It turns out that age-specific marital childlessness rate is rather accurate measurement than general marital childlessness rate in terms of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childlessness among Korean provinces. Koreas government policy to aid the married couples who are suffering from in-fecundity is strongly recommended to maintain its policy and extend its subjects in order to increase married couples fertility rate. Furthermore, campaigns to change married couples recognition and attitudes from unfavorable against childbearing to favorable toward childbearing so that the married couples would be willing to have childbearing in terms of fertility rate increase.

      • KCI등재

        여성의 출산율 결정요인과 출산장려정책의 방향

        김홍배,최준석,오동훈 한국지역학회 2008 지역연구 Vol.24 No.1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age specific fertility rate(ASFR). However, it seems that researchers have little given their attention to this relationship.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the ASFR, and to present a model to estimate the ASFR specificall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ree variables including non-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e of male, economic growth rate and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e of female. Based on the result obtained, the paper directs an effective policy which can enhance the total fertility rate(TFR) of Korea. 일반적으로 사회경제환경과 여성의 출산율과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출산율 추정에서는 인구학적으로만 접근하였기 때문에 사회경제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출산율을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학적 측면과 사회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여성들의 코호트별 출산율을 추정하였다. 코호트별 출산율 추정은 과거추세모형과 사회경제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사회경제모형에 사용된 변수는 경제성장률과 남성비경제활동인구비율 그리고 여성경제활동인구비율이다. 분석결과 과거추세모형보다는 사회경제모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코호트별 출산율 추정을 위한 사회경제모형으로부터 총출산율(TFR)을 높이기 위해서 육아지원과 같은 복지정책보다 경제성장에 따른 청년층의 고용증가정책이 효과적인 출산장려정책임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