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관점에 따른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경험 측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신희진,김세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8 No.-

        이 연구는 학습관점에서 칙센트미하이와 로빈슨(Csikszentmihalyi & Robinson, 1990)의 미적 경험 구조 이론을 적용하여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이론적·실증적 틀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한 경험, 미적경험, 관람객(학습자), 교육 전시 등의 선행이론을 검토하여 관람객의 미적 경험 요인을 도출하고(지각적 영역, 감정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 타당성 있는 측정도구로서의 설문 문항을 개발한다. 전시교육이론에 따른 학습과 지식전달로서의 전시유형을 구분하고, 관람객의 전반적인 판단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을 찾았다. 전시하는 오브제나 형태가 다르더라도 학습하는 관람객의 미적 경험의 구조는 유사하며, 동적이며 현장적인 입체적 전시의 증가와 ‘이벤트’적인 감각의 소통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에버스만(Eversmann, 2004)의 미적 경험의 영역별 4가지 구조영역의 세부측정항목인 지각적 영역(자발적인 신체의 반응, 관람지속시간, 전시요소들 간의 지각 결합), 감정적 영역(내러티브에 대한 감정이입, 주제와의 감정교류, 감정을 동반한 신체적 반응), 인지적(지적) 영역(전시의미에 대한 이해, 지적인 자극, 작품/오브제 또는 주제에 대한 인식, 설명문에 대한 인식), 소통적 영역(작가 또는 기획자와의 의사소통, 관람객과의 의사소통, 집단성의 느낌)으로 도출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설문 문항은 전문가와 일반관람객을 상대로 안면타당도와 통계적으로 내적 일관성을 예비 검증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설명/해설 전시와 구성주의 전시 관람객을 우리나라의 미술관 평균관람객 프로필을 근거하여 표집한 자기기입식 설문지 방식으로 2016년 11월 25일부터 12월 3일까지 264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반적으로 전시유형과 상관없이 관람객의 미적 경험이 전시의 전반적인 판단에 유의하였고 4가지 영역별 유의수준은 구성주의 전시에서 지각, 인지, 소통적 영역이 높은 영향을 주었다. 설명/해설 전시에서는 지각과 인지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끼쳤다. 한편 선행연구와 다르게 감정적 영역은 동반가족여부와 전시디자인이 주는 영향으로 낮은 수준의 유의를 보였다. 연구결과 검증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의 측정 틀로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학습의 질을 대안적으로 평가하고 나아가 관람객의 수준 높은 지적 욕구를 충족시켜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Aesthetic experience is distinguished from ordinary experience and has aesthetic quality and is the most complete and ideal experience that is an element which becomes the base on which the visitor understand artworks in the exhibition and which gives pleasure to the visitor. Despite the fact that aesthetic experience plays an important part in human experience, researches on aesthetic experience have been minimal in the researches done in the past. So the necessity arises to examine how the visitor actually have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exhibi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framework in which the visitor’s aesthetic experience can be measured by applying the aesthetic experience structure theory of Csikszentmihalyi and Robinson (1990) and to find the decision factor,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visitors’ overall judgement on the exhibition, among the “aesthetic experience” factors (the perceptual dimension, the emotional dimension, the cognitive dimension, and the communicative dimension). Through this, this research aims to raise the visitor’s needs for intellectual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the basic data with which the qualitative part of the museum exhibition can be evaluated. To measure the exhibition visitor’s aesthetic experience and to find the decision factor,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visitors’ overall judgement on the exhibition, among the aesthetic experience factor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dult visitors who viewed the museum exhibition. The opposite types of exhibition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that uses the education theory of Hein (1998), and two museum exhibitions were chosen as the explanation/interpretation exhibition and the constructivism exhibi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November 25, 2016 to December 3, 2016,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and AMOS 24.0 statistics progra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xhibition visitor’s aesthetic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all judgement on the exhibition and that the similar results were produced in both type of exhibition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detailed dimension, which are the structural factors of aesthetic experience, on the overall judgment on the exhibition showed that the perceptual dimension, the emotional dimension, the cognitive dimension, and the communicative dimension had all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all judgment on the exhibition but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significance probability between these organizations. The detailed dimensions that showed the highest significance probability in didactic/interpretation mode were the perceptual dimension and the cognitive dimension, but in constructive mode, the visitor’s perceptual dimension, the cognitive dimension, and the communicative dimension showed the highest significance levels. In the researches done in the past performed by Boerner, Jobst & Wiemann (2010) on the audiences of performances, the emotional dimension and the cognitive dimension showed high significance levels, and this difference in the research results is interpreted that the sound, the collections, the exhibition design, and diverse things experienced in the exhibition had effects on the visitor’s perceptual dimension. Also, it is considered that the purpose of viewing the exhibition and the family visitor of the exhibition also had effects on the forming of aesthetic experience. This research is the research on the audience, and unlike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museum experience, it is the first research that has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xhibition as the main theme and has significance of the ...

      • KCI등재

        인식적․평가적 경험으로서 미적 감상

        서원주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硏究 Vol.- No.58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our experiences of the same object may considerably differ from one another. When two persons listen to Beethoven's Fifth Symphony, one can surreptitiously tap the floor according to the tune while the other can see heroes and shipwrecks in the music's flood. What is not obvious is whether either of them is having an aesthetic experience. We can have non-aesthetic experience of aesthetic objects. To resolve this issue, we need a proper account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is paper, I argue that aesthetic experience requires something more than just experiencing an object, though it is necessary to experience the object perceptually or otherwise (perhaps conceptually). Aesthetic experience also requires that we perceive the object as possessing at least some aesthetic properties, though the properties perceived in an object by two persons may differ. So, I argue that our aesthetically experiencing an object involves our seeing it as possessing non-instrumental value, whether it is negative or positive. Granted that at least one of a Beethoven's audiences is having aesthetic experience, it remains open whether either of them aesthetically appreciates it. It has traditionally been assumed that a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can be treated similarly, as the aesthetic attitude is meant to play the same role in both, I would like to consider some ways in which they may differ. I argue that aesthetic appreciation is more basic of the two concepts, since aesthetic appreciation requires aesthetic experience, but not vice versa. We can aesthetically experience an object without aesthetically appreciate it. Appreciation requires a minimal level of understanding of an aesthetic object, which aesthetic experience may lack. One virtue of my account is that it fits the aim of art appreciation classes. When we enroll such a class, we do not just wish to have positive aesthetic experiences, but also to learn which aesthetic experiences are appropriate. The aim of such a class is to raise out aesthetic experiences to the level of appreciation by helping us understand the objects of our experience. A proper understanding of an aesthetic object reveals to us its aesthetic potential by helping us see it as possessing aesthetic properties that uninformed experience would lack. So, we may say that one aesthetically appreciates an object if and only if he has sufficiently informed aesthetic experience of it. 동일한 사건이나 대상에 대한 사람들의 경험이 각자가 처한 상황이나 개인사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널리 수용되는 사실이다. 두 사람이 베토벤의 5번 교향곡을 들을 때, 한 사람은 곡조에 맞춰 가볍게 장단을 맞출 수 있고 다른 사람은 범람하는 음악의 물결 속에서 영웅과 난파선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누가 미적 경험을 하고 있는지는 명백하지 않다. 전통적으로 미적 경험과 미적 감상은 유사하게 취급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나는 미적 경험이 미적 감상보다 더 기초적이라고 논증할 것이다. 미적 감상은 미적 경험을 요구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미적 감상은 미적 경험과 달리 미적 대상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 미적 감상을 이런 식으로 보는 것은 ‘감상’ 개념의 일상적인 용법에 잘 들어맞을 뿐만 아니라, 예술 감상의 목표에도 부합한다.

      • KCI등재

        시각문화 속 미적 체험에 관한 매체적 고찰

        최수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3 No.-

        Members of modern society cannot avoid getting experience through media. Media change their life as well as make their life. The most important role is that media is contacted and taken in the process of experience. This experience about doing by oneself is more close than common experience. Now, modern electronic media are not imperceptible only one sense but can be made perceptibly using every senses. Perception experience used all of senses is aesthetic experience in media. In phenomenology, experience is not experience passed through routinely but essence of object. It is directly contacted and felt that the experience about essence of object is. The experience that is course learning on right way about world, and this way is a part about experience through media. The aesthetic experience is not only subjective active but also gets potential in relation to intelligence, the ability to think and intuition of variety individual. In art education, the subjective character of aesthetic experience conducts educational directi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xperiences in individual background should be explained to put emphasis the student for education. The aesthetic experience in visual culture is different to one from the past. The aesthetic experience in visual culture focuses on the aesthetic subject, one an end in itself as well. This study would illuminate an element and character of aesthetic experience changed the past as well as conduct the direction of aesthetic experience. 현대의 매체는 문화와 사회의 일부이며 시각문화안의 사회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경험의 대부분을 매체를 통해 얻는다. 매체를 통해 접하게 되는 경험은 구성원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삶의 구성요소로 작용한다. 이런 경험은 매체를 직접 접하며 지각하는 과정으로 경험보다는 체험에 가깝다. 매체를 접하고 받아들여 자신의 일부로 만드는 과정 속에 체험의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의 전자 매체는 한 가지 감각으로만 지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지각하도록 만들어졌다. 모든 감각이 동원된 지각의 체험이 매체 속의 미적 체험이다. 현상학에서 체험은 개인이 일상적으로 겪는 경험이 아닌 대상의 본질에 대한 경험을 의미한다. 대상의 본질에 대한 바른 경험은 본질을 직접적으로 느끼는 것이며 접촉하는 것이다. 몸으로 지각하는 경험, 즉 체험이야 말로 개인이 세계를 바르게 알아갈 수 있는 과정이며 이 같은 과정은 매체를 통한 체험의 과정과 통하는 부분이다. 미적 체험은 주관적인 활동이며 다양한 개인의 직관과 지성, 사고 능력까지 연관 지을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미적 체험의 주관성은 미술교육 안에서의 미적체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개인의 배경에 따른 체험의 질과 양은 미적체험 교육에서 체험의 주체 중심의 교육을 해야 하는 당위성을 설명해준다. 시각문화 환경 속의 미적 체험은 과거 사회 속의 미적 체험과는 성격이 다르다. 시각문화 속의 미적 체험은 미적 주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과정뿐만 아니라 미적 주체 그 자체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와 달라진 시각문화 속의 미적 체험 요소와 미적 체험의 성격을 밝히고 시각문화 속 미적체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미적체험’예술교육이 청소년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창의예술 중점운영학교’를 중심으로

        하수연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2 문화예술경영 Vol.2 No.-

        이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흐름이 단순한 장르통합의 수준을 넘어, 심미적 사고를 지닌 다차원적 문화예술향유자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참여자의 ‘미적체험(Aesthetic Experience)’을 극대화하는 예술교육과 더불어 그와 연계된 ‘미적체험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문화예술향유를 일상으로 여기고 예술을 옹호하는 적극적인 미래의 문화소비자를 양성하는 목표로 연결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관람・교육・활동’이라는 ‘미적체험활동’에 대한 문화예술 향유인식의 관계를 지적, 정서적, 실천적 범주에 따라 살펴보았다.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가 청소년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예술교육’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미적체험예술교육에서의 심화된 문화예술 ‘체험’에 대한 향유인식 확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더불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체험’활동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와 ‘인식’에 따라서 문화예술 ‘관람’ 위주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문화예술참여에 대한 욕구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술교육 각각의 효과를 측정한 것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과 연계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를 위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루브릭 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각각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 분야를 연계하여,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 가능한 미적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제도적 지원과 관심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began from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in which the flow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which is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in various fields needs i) to exceed the level of simple integration of genres, and ii) to be converted in the direction of training the multi-dimensional cultural and art enjoyers who have aesthetic thinking.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the art education that maximize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xperience’, suggested the direction in terms of regardi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s the daily life as well as training the active cultural consumers of future who support the arts. In this paper, the focus was made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aesthetic experienc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be distinguished in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nd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bout the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called ‘cultural art watching-education-activities’. The hypothesis for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on the expansion of recognition of cultural art enjoyment of the adolesc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clusion that wa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intellectu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maximize the cultural art ‘viewing’ and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expanded. Also, it was shown that as the ‘recognition’ increased, the expansion of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intensified cultural art ‘experience’ in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was affected as well. Secon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art ‘experience’ activities that allows them to directly participate in along with viewing the cultural arts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being expanded. Thir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practical educational effects, the cultural art ‘viewing’ - oriented cultural art enjoy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desire’ and ‘recognition’ was being expanded. Eventu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bout the desire and importanc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and develop systematic and phased cultural art enjoyment progra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each of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and relate it to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For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s by utilizing the Rubric Model that measures the effects of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and to have social, cultural, and systematic supports and interests about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experience programs that can influence the recognition expansion to be realized.

      • KCI등재

        미적 경험의 인과성과 인간-기계의 상호작용

        이재준 ( Jae Joon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5 美學·藝術學硏究 Vol.43 No.-

        인간-기계 상호작용 연구는 인터랙티브아트를 포함해서 지능형 기계에 이르기까지 관련 기술문화를 다루는 초학제적 영역이다. 인간-기계 상호작용 연구에서 인간과 기계의 작용/행동(action)은 유기체의 운동에서처럼 순환적 인과성을 지닌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자신의 둘레세계에 적응하기 위해 인간이 수행하는 행동의 다양한 집적은 유의미한 경험으로 정의된다. 나아가 이는 기계와의 상호작용에서도 적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 경험주의자들은 인간이 기계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정서적 고양과 더불어 미적 경험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러한 주장은 미적 경험을 기술 개념과 함께 추상적으로 다룰 뿐만 아니라 실제 인간-기계 상호작용의 실험 연구에 적용하기에도 개념상 과도하게 복잡하다. 따라서 본고는 인간과 기계 상호작용의 성격에 부합하는 미적 경험의 순환적 인과성을 해명하고, 이를 HMI의 한 분야인 인간-로봇 상호작용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단순화된 체계적 도식을 설명한다. 기계 메커니즘을 선형적 인과성에 따라 설명하려는 근대적 사유는 기계주의 개념을 통해 비판 가능하며 사이버네틱스와 자기생성이론은 기계의 순환적 인과성을 옹호한다. 기계의 순환적 인과성은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적 관계에도 적용되며, 이러한 관계에 미적 경험을 도입할 수 있는 이론사적 근거들이 마련된다. 다른 한편 미적 경험의 구성에서 순환적 인과성은 이미 근대미학의 발생기에 흄의 취미론에서 발견된다. 세련된 취미능력의 상징인 ‘진정한 비평가’는 미적경험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지속적인 반복 훈련, 즉 ‘시간의 테스트’를 통과한 인물이다. 나아가 미적 경험을 시간적 운동에 의한 인지적 구성작용으로 이해함으로써 그러한 경험에서의 ‘정서’와 ‘가치’를 근대적 잔재로서 부정하고 미적 경험을 비판하려는 논의를 극복한다. 이를 통해 미적 경험을 지속적인 반복에 의존하는 인지적-정서적 요소들 간의 의미 구성작용으로 정의한다. 또한 인지정서이론의 인지-정서-적응 체계와 첨단 로봇의 시스템을 미적 경험의 개념적 논의들을 토대로 재해석함으로써 HMI 연구에 적용되기 위한 조건들에 충족시키고, 궁극적으로 실제 실험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비교적 단순화된 미적 경험의 체계적 도식이 제시될 수 있다. 본고의 논의는 미학에게 생소한 것이기는 하지만, 미학의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와 관련해서 몇몇 심화 연구가 요구된다. 도식에 포함된 요소들 가운데 특히 대상의 미적 속성을 정의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으로 본다. Human-Machine Interaction(HMI) i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domain that includes techo-cultural topics from interactive art to robotics. Man``s/machine``s actions in HMI are defined as movements with circular causality like actions of organism. For human, different actions are ecological behaviors in oder to adapt to his/her Umwelt, and continuous accumulation of his/her actions can be called meaningful experience. These conditions of human actions is also pertinent to his/her interactions with machine. In the context contemporary empiricists insist that humans have life-enhanced emotions and an aesthetic experience in those interactive situations. But their arguments for technology without concrete evidences of mechanism are relatively ambiguous and complex for HMI experiments. Thus the research explains the circular causality of aesthetic experience corresponded to interactivity of HMI and presents simplified systematic schema of that experience. The machinism based on F. Guattari``s theory of Chaosmosis, cybernetics, and F. Varela``s theory of Autopoiesis supports circular causal properties of mechanical movements and criticizes the modern theory of linear causal mechanism. The theoretical backgrounds hereby are prepared to apply the circular causality into aesthetic experience of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 On the other hand circular causal properties in constructive processes of aesthetic experience are found on Humean theory of taste with the birth of modern aesthetics. For Hume a symbol of fine taste, ‘a true critic’ is a man who is trained constructive elements of aesthetic experience repeatedly and passes ‘the test of time’. And arguments of comtemporary aesthetic theories criticize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with denying aesthetic emotion and values as the last vestiges of the modern. But the definition of aesthetic experience as epistemic construction by temporal movements undermines their criticisms. Thus aesthetic experience are defined as the meaningful constructions of repetitive temporal movements between cognitive-emotional elements. Furthermore the research explains more clearly the constructive schema of aesthetic experience with the cognition-emotion-adaptation system of cognitive science and recent robotic systems. The explain meets the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to HMI, and finally the relatively simplified systematic schema of the experience for HMI experiments be presented. These theoretical topics for experimental issues may be unfamiliar to aesthetics but can contribute to its scientific diversity from a different angle. Of course it is needed to deepen the studies. Particularly the research can be complemented by defining ‘aesthetic properties of object’ in elements of the schematization in detail.

      • KCI등재

        검도 실천자의 미적 체험구조

        이상호,이동건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the meaning of aesthetic experience of occurring in sport aesth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er. The aesthetic experience having Kumdo's performer is one of many methods to appreciate the essence of Kumdo.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oundation of aesthetic comprehension in the sport performer is ‘aesthetic’ concept involving the sensuous meaning.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erformer, first of all, has to understand in connection with the sensation felt in body. Whenever we do exercise, we have the kinesthesia that performer‘s body experiences. The performer has the ’feeling‘ based on kinesthesia. I will consider the performer's kinesthesia as ‘feeling of Ki’. Second, the aesthetic experience rising in performer depends on according to the given exercise situations. Namely, aesthetic experience differently evolves according to objective constituent element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esthetic experience in Kumdo are as follows: spatial beauty, ontological beauty, technical beauty, time beauty. This constituent elements are based on ‘feeling of Ki’ that Kumdo performer might feel. Thir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erformer becomes operative when both the kinesthesia and in which aesthetic feeling represented are in harmonizing flow each other. The 'feeling of Ki of performer in Kumdo experiences as taste in Kumdo performer in connection with objective constituent elements of Kumdo. In conclusion, the 'feeling of Ki' of performer in Kumdo is ‘taste in feeling of Ki’. We feel the satisfaction when we accurately get the attack point. And have self-satisfaction Kumdo’s technique, the unification of the Ki(氣), Jian,(劍) and Ti(體), innately feels. That gives the ‘taste’ that aesthetic experience has fulfilled. In which performer experiences ‘taste in feeling of Ki’. 본 연구는 검도 실천자가 가지는 미적 체험의 입장에서 검도 미학의 의미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검도 실천자가 가지는 미적 체험구조는 검도의 본질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검도 실천자의 미학적 이해의 기초는 감각적인 의미를 가진 ‘미적’개념이다. 신체가 느끼는 감각에서 먼저 실천자의 미적 체험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리가 운동할 때 신체가 체험하는 것은 운동감각이므로 실천자는 운동감각을 기반으로 하는 ‘감’을 가지고 있다. 검도에서 실천자의 운동감각은 ‘기감’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실천자에게 일어나는 미적 체험은 주어진 운동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즉 미적 체험을 형성하는 객관적인 구성요소에 따라 미적 체험은 다르게 전개된다. 검도에서의 객관적인 미적 체험의 구성요소는 공간미, 존재미, 기술미, 시간미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검도 실천자가 느끼는 ‘기감의 맛’의 근거가 된다. 셋째, 검도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운동감각과 그 속에서 표출되는 미적 감정이 조화롭게 양자의 흐름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을 바탕으로 하는 실천자의 ‘기감’은 검도의 객관적인 미적 체험의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검도 실천자에게 ‘맛’으로 체험된다. 따라서 검도에서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한마디로 ‘기감의 맛’이다. 검도의 실천자는 검도의 격자 부분을 정확히 가격하였다는 느낌과 기․검․체일치가 이루어진 기술이었다는 자신의 만족감, 즉 ‘맛’을 볼 때 ‘기감의 맛’을 체험한다.

      • KCI등재

        존 듀이 ‘하나의 경험’의 수준에서 가창의 심미적 경험과 활동 방안

        김기수 한국음악교육학회 2017 음악교육연구 Vol.46 No.1

        John Dewey’s ‘An Experience’ is a core of concepts in his art philosophy. The levels of aesthetic experiences are summarized as are the experience of the unity for situation, is the experience of aesthetic quality, is the experience as consummation, and the experience as practice of the good. These concretely suggest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activity program of singing as connected with the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in music. Of course, the aesthetic experience for singing should be explored with lyrics and music which have their aesthetic elements. The aesthetic elements of lyrics are rhythmical language, imaginable language, and image language. The aesthetic elements of music are found by musical color, melody, company. Therefore, in the level of John Dewey’s ‘An Experience’, the ways of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can be suggested as perceiving the state of lyrics and music, practicing of the aesthetic feeling, and reinforcing the practice of the good.

      • KCI등재

        태권도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 구조

        권혁정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experienced by practitioners of Taekwondo. For this purpose, the aesthetic experience structure of the practitioner was acquired as a motor sensational perception, and based on the personality(諸性格)of aesthetic mood suggested by 樋口 聰(1987).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said to be spatial beauty as an aesthetic mood. In other words, The space is a competition place, and the movement of the practitioner is formed by the aesthetic experience. Seco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said to have been ontological beauty in competitive situations and at a high technical level. In other words, the practitioner has reached the level of the kick in the technical area above the level, and it is the aesthetical feeling that has high technical level and efficiency. Third, the technical realization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called aesthetic experience as technical beauty. In other words, it is realized by the acquisition of skills and skills as an action by the exercise sensation. Fourth,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kicking practitioner can be said to be time beauty as an aesthetical feeling in time succession. In other words, it is an aesthetic experience in which the practitioner's rotation and the kicking technique are expressed. Therefore, spatial beauty, ontological beauty, technical beauty, and time beauty by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Taekwondo revolution kick practitioner are important as aesthetic values of Taekwondo philosophy. 이 연구는 태권도 회전발차가 실천자가 체험하는 미적 체험의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천자의 미적 체험 구조를 운동감각적 지각으로서 획득하고 樋口 聰(1987)이 제시한 미적 기분의 제성격(諸性格)을 토대로 구명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미적 기분으로서 공간미라고 할 수 있다. 즉 공간은 시합장소로서 실천자의 운동적 행동이 미적 체험으로 형성된다. 둘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경쟁적 상황과 높은 기술적 수준에서 획득한 존재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가 회전발차기 수준을 기술적 영역 안에서 수준 이상까지 도달한 상태로서 높은 기술적 수준과 효율성을 지닐 때 느끼는 미적 기분이다. 셋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기술 실현은 미적 기분으로서 미적 체험을 기술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의 운동감각에 의한 행위로써 기술의 습득이나 기술에 의해 실현된다. 넷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시간 연속상의 미적 기분으로서 시간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의 회전의 연속과 발차기 기술의 연속으로 표출되는 데서의 미적 체험이다. 따라서 태권도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에 의한 공간미, 존재미, 기술미, 시간미는 태권도 철학의 미적 가치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예술과 감정 그리고 미적경험에 관하여: 불안(Anxiety)을 중심으로

        류호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불안은 무엇으로도 명확하게 규정할 수 없는 비가시성과 부정성(불쾌)으로 인해 보편적인 쾌(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학적 전통에서 단지 주관적 경험으로만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적으로 미적경험은 외부 대상 특히 예술이나 자연의 형식에 따른 시각적 경험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외적 대상에 대한 시각적 인식에 앞서 이미 작동하고 있는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 즉 불안을 미적경험의 중요한 요소 상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근원적 감정에 관한 자크 라캉(Lacan, J.)과 키에르케고어(Kierkegaard)의 불안이론을 기초로 미적경험의 전통적 논의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탐구방식은 미적경험을 외적 대상에서 인간의 내적감정을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실존주의 철학자 키에르케고어는 '불안의 개념'에서 인간의 근원적이고 원초적조건으로 불안을 언급한다. 또한 키에르케고어에게 불안은 ‘가능성’에 의미와 다름없다.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라캉(Lacan, J.)은 불안을 주체를 압도하는 ‘실재적 경험’이지만 그것의 원인과 대상은 어떠한것으로도 환원 불가능한 ‘근원적 정서’라고 언급한바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이러한 인간의 근원적 불안에 대한 논의를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주의와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통해 살펴보고, ‘모호함’, ‘식별 불가능한 것’으로서의 불안을 칸트(Kant)와 버크(Burke, E)의 숭고의 논의와 비판적으로 연결할 것이다. 또한 내적감정을 미적경험으로 나타낸 표현주의 작가 뭉크(Munch)의 작품을 사례를 들어 불안의 문제를 조명한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시각적 경험에 선행하는 기억, 환상, 무의식, 욕망과 같은 주관적정신현상들의 근거로서 불안을 상정하고 불안이 미적경험에 중요한 요소임을 밝힌다. 이로서 대상에대한 시각적 경험의 전유물 한정된 미적경험의 한계를 불안이라는 ‘가능성’에서부터 새롭게 접근해야한다는 결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적경험에 대한 전통적 논의를 비판적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내러티브를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Anxiety has been regarded only as a subjective experience in the aesthetic tradition of pursuing ‘universal pleasure’(beauty) due to invisibility and ‘negativity’ (displeasure) that cannot be clearly defined by anything. Traditionally, In this context, aesthetic experience are centere on external objects, especially visu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forms of art or nature. This study postulates the underlying human emotion, anxiety, as an important element of aesthetic experience, prior to the visual perception of these external obj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discussion of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Lacan and Kierkegaard's theories of ‘anxiety’. This method of exploration means shifting aesthetic experiences from external objects to human inner emotions. Existentialist philosopher Kierkegaard refers to anxiety as an Essential and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beings in the ‘concept of anxiety’. Also, For Kierkegaard, anxiety is also synonymous with ‘possibility’. Lacan referred to anxiety as a “real experience” that overwhelms the subject, but says the cause and object are “essential emotions” that cannot be Reduction to anything. This study will first look at this discussion of human fundamental anxiety through Kierkegaard and Lacan, and critically link ‘ambiguous’ and ‘the Invisible’ as the Emotion of Anxiety with the discussion of the sublime of Kant and Burke. It also sheds light on the issue of anxiety by taking an example of the work of Expressionism artist Munch, who expresses inner emotions as aesthetic experiences. This analysis method assumes anxiety as the cause of subjective perception that precedes visual experience, and reveals that anxiety is an important factor in aesthetic experience. This concludes that the limits of the limited aesthetic experience of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object should be approached anew from the 'possibility of anxiety.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pand the traditional discussion of aesthetic experience and present new narratives.

      • KCI등재

        미적 경험의 예술교육적 가치

        박주희 ( Park Joo-hee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이 논문은 듀이의 예술론에 기초하여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의 개념을 명료화함으로써 예술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려고 한다. 예술적 사고의 성격을 보여주어 교육 가능성으로서 예술교육의 성격과 지향점을 도출해 낼 것이다. 교육과 예술의 연관성을 미적 경험으로 연결하여 미적 경험을 토대로 한 예술교육이 풍성한 인간의 삶을 제시하고 나아가 예술교육이 가진 힘은 민주주의 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밝히려고 한다. 미적 경험이 가진 고유한 개념적 의미를 찾아내고 교육적 시사점을 드러낸다. ‘하나의 경험’(an experience)과 미적 경험이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어 교육적 성장을 지향함을 서술한다. 예술교육이 삶과 연관되어 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되었을 때 미적 경험이 교육적 가치를 가지게 됨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 미적 경험을 토대로 한 예술교육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완성된 경험으로서 미적 경험의 의미를 명료화한다. 둘째, 예술교육이 미적 경험을 지향하면 현행 예술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준다. 셋째, 예술이 경험에 기반함을 논증하여 인간 본연의 창의성과 상상력의 힘을 제시한다. This thesis focuses on revealing what art education should be aimed at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s based on J Dewey``s aesthetic theory and educational thoughts. Characteristics and desirable directions of art education as educational objectives will be deduced by showing educational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By connecting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art with aesthetic experiences, art education derived from aesthetic experiences suggests abundant human lives. This further reveals that art education is capable of playing a pivotal role in a democratic society. Intrinsic, conceptual significance of aesthetic experiences is discovered while revealing educational connotations. Life experiences and aesthetic experiences are used similarly in terms of meaning, which aims at educational development. When links between aesthetic experiences and art education are possible, it will create educational value from such aesthetic experiences. Art education based on aesthetic experiences has implications which include the following: First, complete experiences clarify the meaning of aesthetic experiences. Second, problems of current art education are revealed if art education aims at aesthetic experiences. Third, creative and imaginative power of human nature is suggested by proving that art is based on life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