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령별 여성 소비자의 기사성 광고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 피부과 병원의 기사성 광고를 중심으로

        이현선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현재 국내 병원들이 다양하게 집행하고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유형 중에서 기사성 광고에 대한 의료 소비자들의 인식 및 태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의료 소비자들의 연령대에 따라서 병원 기사성 광고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병원 기사성 광고를 일반 홍보기사와 일반 병원광고와 비교해서 소비자들의 태도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고찰했다. 분석 결과, 소비자들 중에는 병원 기사성 광고를 광고임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40-50대의 응답자들 중 60% 이상이 병원 기사성 광고를 기사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성 주체 또한 병원이 아닌 언론으로 오해하고 있는 비율이 40-50대에는 70% 정도였다. 20-30대에서도 40-50대보다 덜하기는 하지만, 기사로 인식하고 언론이 게재한 것으로 이해한 응답자의 비율이 낮지 않았다. 소비자들에게 병원 기사성 광고가 광고임을 알리기 이전의 태도를 살펴보면, 병원 기사성 광고에 대한 태도가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40-50대의 피험자들이 보이는 병원 기사성 광고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는 기사에 대한 태도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0-30대의 피험자들이 병원 기사성 광고에 대해 광고에 근접해서 태도를 보이는 있는 것과 비교하면 병원 기사성 광고에 대한 40-50대의 인식 및 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병원 기사성 광고를 광고가 아닌 기사로 인식하는 피험자들이 많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제 병원 기사성 광고에 대한 규제가 좀 더 명확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본 연구 결과는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umers' awareness and attitude for hospital advertorial which is one of marketing communication tools. Although Most of studies on the advertorial have discussed the consumers' awareness, effectiveness and problems for it, they have focused not hospital but companies being to make profit. This study considers the age of consumer as independent variable in affecting the effects of hospital advertorial, and used experiment for consumers' awareness and attitude on hospital advertoria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age of consumer is significant variable in affecting the execution of hospital advertorial. Especially, 40s and 50s group compared with 20s and 30s group don't exactly recognize the hospital advertorial as adverti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emphasizes the more strict regulation and consistent monitoring on the hospital advertorial.

      • KCI등재

        미디어 신뢰도와 제3자 보증효과가 기사식 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철영,이영삼,김진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4

        This study sees that these advertorials will continue to grow and have a great impact on the advertising markets, and aimed to define improvement measures and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advertorials, and to address various problems related to advertorials. Also, the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working data to enterprises and advertisers as well as to researchers of advertisers by researching on the effect of the media reliability and the third-party endorsement recognition on consumer attitude about advertorial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consumer re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al response have an important correlation with the media reliability and the third-party endorsement effect recognition levels. This suggested that local advertorials have a great effect on the consumer attitudes. All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supported. First, compared with general ads, advertorials with high media reliability offered high recognition, attractiveness, and purchase intention. The higher the media reliability was, the greater positive effect the consumer third-party endorsement effect endorsement had. Second, the higher the third-party endorsement effect recognition level was, the higher the advertorial recognition, attractiveness, and purchase intention when compared with general ads. The higher the third-party endorsement effect was, the higher the media reliability wa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본 연구는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발전과 매체 전략에 중요한 변수인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디어 신뢰도와 정보원의 신뢰도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고, 아울러 신문 매체의 기사식 광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전략적 광고 집행에 있어 신문 기사식 광고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 기초자료 제공과 후속 연구자를 위한 학술적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의 직장인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험적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기사식 광고와 일반 광고를 신문 형태와 동일한 크기의 인쇄물로 제작하여 설문지에 삽입하여 진행하였고, 미디어 신뢰도와 정보원의 신뢰도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오늘날 신문을 구독하는 소비자는 신문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 확률이 그렇지 않은 소비자에 비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신문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소비자는 신문의 정보원을 신뢰 한다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처럼 신문과 신문의 정보원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소비자는 일반 광고 보다는 기사식 광고가 소비자 태도에 좀 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오늘날 인터넷과 같은 뉴미디어 환경에서 기사식 광고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향후 기사식 광고의 메시지 전략 수립에 있어 미디어와 정보원의 신뢰도를 고려한 전략적 개선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기사형광고(Advertorial)가 소비자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화장품 잡지광고를 중심으로

        홍민주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최근에 광고흐름을 살펴보면, 광고의 다양한 유형중에서 기사형광고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잡지내 기사형광고는 자세한 정보제공과 시각적인 비주얼을 통해 독자들의 주목을 이끌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사형광고에서 시각적인 요소가 소비자 관여도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즉, 시각적 구성 비율이 다른 기사형광고를 감성적 소구(시각성)와 이성적 소구(정보성)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유형에 따라서는 사용자후기, 유명인모델, 전문가 추천으로 분류하였고 이들 중 어떤 광고를 독자들이 가장 선호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온라인 설문조사와 면접조사(FGI)가 행하여 졌다. 연구 분석의 결과, 잡지 매체에서 화장품 기사형광고는 유형에 따라 관여도가 다르며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다양한 형식이 독자들에게 관여도를 높이고 주목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소비자들의 실제 사용 경험담을 증언하는 사용 후기 기사형광고가 높은 관여도를 보였다. 즉, 텍스트와 이미지가 결합될 때 보다 독특하고 창의적인 광고형식은 주목도를 높이고 독자들로부터 광고효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기사형광고 전략은 시각적 요소를 높이는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함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기사형광고의 유형을 시각적으로 분석하여 더 향상된 화장품 기사형광고의 접근을 시도하는데 의의가 있다. Looking at the recent flow of advertising, there are the trends in which advertorial is increasing rapidly among various types of advertising. In particular, advertorial in magazines increases the attention of readers through detailed information and visual beau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visual factors in advertorial on consumer involvement. In other words, advertorials with different ratio of visual composition were analyzed with emotional appeal (visual) and rational appeal (informative) and classified into user's reviews, celebrity models and recommendation by experts depending on the type. I analyzed which one was the most favorite advertising of readers among them.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and FGI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research analysis showed that cosmetics advertorial had different involvement depending on types. A variety of types to convey the information visually to readers increased the involvement of readers and led to increasing attention. In particular, advertorial with consumers' reviews which demonstrate consumers' actual experience showed high involvement. In other words, more unique and creative advertising format increases attention and is more effective to increase the effect of advertising rather than combination of text and image. Thus, it is revealed that an effective strategy for advertorial is to increase the visual el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try to approach more advanced cosmetics advertorial by analyzing types of advertorial visually.

      • KCI등재
      • KCI등재

        기사형 광고와 언론매체의 손해배상책임 - 대법원 2018.1.25. 선고 2015다210231 판결 -

        황원재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고려법학 Vol.0 No.91

        The Supream Court in Korea has clearly affirmed in this judgment whether the nature of the advertorial is an article or an advertisement. In this judgment, the court also considered that when a newspaper publishes an advertorial, it must explicitly indicate that the advertorial is an advertisement. Furthermore, the court saw that the newspaper should clearly separate the advertorial from the article so that the reader would not be mistaken. Finally, newspapers should not use verbal or non-verbal expressions similar to the articles in the advertorial so that readers do not mistake the advertorial as an article. Recently, advertising techniques have been diversified. Therefore, Article 6 (3)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Newspapers stipulates the “duty to clearly distinguish articles from advertisements” in order to prevent the trust of articles from being transferred to advertisements and causing harm to readers. Especi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court acknowledged the joint tort liability of the newspaper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reader if the newspaper has inadvertently posted illegal and untrue advertisements. It is a characteristic of this judgment that newspapers published advertorial differ in the degree of duty of care according to whether they comply with the “duty to clearly distinguish articles from advertisements”. In this judgment, however, the court did not regard the violation of Article 6 (3)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Newspapers as a direct cause of liability for damages. This is because the victim’s damage was not caused simply because he mistook the advertisement for an article. Rather, the damage is caused by illegal or false content contained in the advertisement. 이 판결은 기사형 광고의 본질이 기사인지, 아니면 광고인지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었으며, 기사형 광고를 게재하는 경우 이 기사형 광고가 광고임을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기사와 분명하게 구분하여 편집함으로써 독자의 오인을 예방해야 하며, 기사로 오인할 수 있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표현을 지양해야 할 광고매체의 주의의무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판결이다. 특히, 최근 광고의 기법이 다양해짐에 따라서 기사의 신뢰가 광고로 전이되어 독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신문법 제6조 제3항에서 정하는 “기사와 광고의 명백한 구분편집의무”가 강조되고 있으며, 더불어 독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위법하고 진실하지 않은 광고를 부주의하게 게재한 언론매체에게 과실 방조에 의한 공동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였다는 점에서 이 판결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기사형 광고를 게재한 언론매체가 기사와 광고의 구분편집의무를 지켰는지에 따라서 과실을 판단하는 직무상 주의의무의 정도를 달리하였다는 점과 광고내용을 예외적으로 조사하고 확인할 의무를 신문사 등이 부담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 판결에서 법원은 신문법 제6조 제3항의 위반만을 바로 손해배상책임의 근거로 삼지 않았다. 피해자인 원고의 손해가 단순히 광고를 기사로 오인하여 발생한 것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배상의 책임이 있는 손해는 위법하거나 허위의 광고를 피해자가 기사로 오인하였고, 따라서 그 내용이 일반 보도기사 작성의 경우와 같은 직무상 주의의무로 작성되었다고 신뢰하였기 때문에, 그 내용을 사실로 믿어 발생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신문법 제6조 제3항이 정하고 있는 구분편집의무 위반으로 피해자가 광고를 기사로 오인하였고, 더불어 그 광고의 내용이 위법하거나 허위인지를 언론매체가 확인하거나 조사하지 않고 게시하여 자신의 주의의무를 위반한 경우, 그 내용을 진실로 믿었기 때문에 발생한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이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사형 광고와 손해배상 - 대법원 2018.1.25. 선고 2015다210231 판결 -

        황원재 ( Hwang Won Jae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고려법학 Vol.0 No.91

        이 판결은 기사형 광고의 본질이 기사인지, 아니면 광고인지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었으며, 기사형 광고를 게재하는 경우 이 기사형 광고가 광고임을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기사와 분명하게 구분하여 편집함으로써 독자의 오인을 예방해야 하며, 기사로 오인할 수 있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표현을 지양해야 할 광고매체의 주의의무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판결이다. 특히, 최근 광고의 기법이 다양해짐에 따라서 기사의 신뢰가 광고로 전이되어 독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신문법 제6조 제3항에서 정하는 “기사와 광고의 명백한 구분편집의무”가 강조되고 있으며, 더불어 독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위법하고 진실하지 않은 광고를 부주의하게 게재한 언론매체에게 과실 방조에 의한 공동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였다는 점에서 이 판결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기사형 광고를 게재한 언론매체가 기사와 광고의 구분편집의무를 지켜졌는지에 따라서 과실을 판단하는 직무상 주의의무의 정도를 달리하였다는 점과 광고내용을 예외적으로 조사하고 확인할 의무를 신문사 등이 부담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 판결에서 법원은 신문법 제6조 제3항의 위반만을 바로 손해배상책임의 근거로 삼지 않았다. 즉, 피해자인 원고의 손해가 단순히 광고를 기사로 오인하여 발생한 것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배상의 책임이 있는 손해는 위법하거나 허위의 광고를 피해자가 기사로 오인하였고, 따라서 그 내용이 일반 보도기사 작성의 경우와 같은 직무상 주의의무로 작성되었다고 신뢰하였기 때문에, 그 내용을 사실로 믿어 발생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신문법 제6조 제3항이 정하고 있는 구분편집의무 위반으로 피해자가 광고를 기사로 오인하였고, 더불어 그 광고의 내용이 위법하거나 허위 인지를 언론매체가 확인하거나 조사하지 않고 게시하여 자신의 주의의무를 위반한 경우, 그 내용을 진실로 믿었기 때문에 발생한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이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The Supream Court in Korea has clearly affirmed in this judgment whether the nature of the advertorial is an article or an advertisement. In this judgment, the court also considered that when a newspaper publishes an advertorial, it must explicitly indicate that the advertorial is an advertisement. Furthermore, the court saw that the newspaper should clearly separate the advertorial from the article so that the reader would not be mistaken. Finally, newspapers should not use verbal or non-verbal expressions similar to the articles in the advertorial so that readers do not mistake the advertorial as an article. Recently, advertising techniques have been diversified. Therefore, Article 6 (3)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Newspapers stipulates the “duty to clearly distinguish articles from advertisements” in order to prevent the trust of articles from being transferred to advertisements and causing harm to readers. Especi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court acknowledged the joint tort liability of the newspaper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reader if the newspaper has inadvertently posted illegal and untrue advertisements. It is a characteristic of this judgment that newspapers published advertorial differ in the degree of duty of care according to whether they comply with the “duty to clearly distinguish articles from advertisements”. In this judgment, however, the court did not regard the violation of Article 6 (3)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Newspapers as a direct cause of liability for damages. This is because the victim’s damage was not caused simply because he mistook the advertisement for an article. Rather, the damage is caused by illegal or false content contained in the advertisement.

      • KCI등재

        기사형 광고의 내용 형태, 광고표식 및 작성자 형태에 따른 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이현선(Hyun Seo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0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9 No.2

        본 연구는 기사형 광고의 내용 형태와 제시되는 광고표식 및 작성자 형태에 따른 효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기사형 광고의 내용 형태 측면에서는 기본적인 기사형 광고의 제품 안내 형태와 유명인이 등장하여 제품 또는 브랜드에 대해 사용 소감을 밝히는 형태, 일반인의 사용소감, 그리고 해당기업 CEO와의 인터뷰 형태로 구분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기사형 광고에 유명인이 등장하여 제품 사용 소감을 제시하는 경우가 전체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사형 광고가 광고임을 명시하는 조건은 이를 감추기 위해 사용하는 special topic으로 광고를 표시하거나 광고표식이 없는 경우보다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n the advertorial contents formats and labeling and writer types. For an analysis of advertorial contents formats, this study classifies four formats; product presentation, celebrity testimonial, non-celebrity tesimonial, and CEO interview. The result shows that in a condition of celebrity testimonial it is most effective than any other formats. This study also shows that advertising labelling in advertorial is less effective than ``special topic`` labelling or non-labelling which have potential to make consumer misperceive advertorial as media editorial.

      • KCI등재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일 연구

        이현숙(HyunSook Lee),김병철(ByungCheol Kim),김정순(JeongSoon Kim) 한국정치정보학회 2012 정치정보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급변하는 매체 환경 속에 오늘날 제1의 광고매체로 자리매김하게 된 뉴미디어를 활용한 광고 유형 중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메시지 관여도, 오해율, 태도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실증 분석한 것이다. 인터넷 광고소비자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별, 연령별, 학력별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에 대한 메시지 관여도, 오해율, 태도 및 그 영향력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여성, 50대 이상, 고졸 학력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3·40대와 대학원 졸 학력에서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 메시지 관여도와 오해율 및 태도는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의 영향력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에 대한 메시지 관여도가 높을 때, 오해율이 높을 때, 태도가 긍정적일 때 이러한 유형의 광고 형태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This empirical study is what’s the differences of consumer awareness depending on the message involvement, miscomprehension, attitude about the advertorial Internet Newspaper. Today, the advertorial Internet Newspaper is one of the most popular advertising type to take advantage of the new media in a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The online survey of 1,000 Internet advertising consumer panel results have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ssage involvement, miscomprehension, attitude on the advertorial Internet Newspaper by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Specifically, women, over 50’s, high school-graduate consumer has a positive effect of the advertorial Internet Newspaper. But 30’s or 40’s and the Graduate School consumer has a negative effect of that. Also, the message involvement, miscomprehension, and the attitude has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consumer awareness of the advertorial Internet Newspaper. So, when the rate of message involvement, miscomprehension, attitude has a high level, the consumer’s confidence appears to be high.

      • KCI등재

        소비자의 분쟁 유발 가능성을 촉진하는 기사형 광고의 설득 영향 : 언론 중재 위원회의 시정 권고 심의 대상을 중심으로

        김재영(Jea-young Kim) 한국중재학회 2021 중재연구 Vol.31 No.2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il ennials and familiar with various devices and SNS enabling hyper con ection, such as smartphones, the Internet, and the Internet of Things. People are sustaining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by using the latest technology and cut ing-edge devices at wil . Some purchases are made at of line stores through online information, but products are checked through of line stores and purchased online. The MZ generation, which does not always have a fixed and constant behavioral response pat ern, was considered a participant in this study because the response pat ern may vary depending on one s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with the MZ generation,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al dependent variables. Advertorial and general ads tre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f ected the participants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In other words,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and interaction ef ect were fou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 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ads type. In an advertorial, the group with low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ies showed higher dependent variable ef ects than the group with high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ies; in general ads,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ies were higher. The higher group showed higher dependent variable ef ects than the lower group. Therefore, the group with a low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has a high level of dependent variable ef ects in the advertorial, and the group with high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performs self-interpretation in general a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