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른바 ‘뒷광고’와 관련된 개인에 대한 제재의 현황과 정당성 검토
박준석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22 Law & technology Vol.18 No.3
Not disclosing or inadequate disclosing of material relationship between an influencer and an advertiser(brand) when the influencer is paid or provided with any benefit by the advertiser to create contents including endorsement or testimonial could lead to a type of unfair advertising prohibited by the Act on Fair Labeling and Advertising as a deceptive advertising. The Act only contains provisons that impose penalty surcharges on business entity and business entities’ organization and accordingly amendments were proposed which include articles imposing influencers sanction such as penalty surcharges and administrative fine for inadequate disclosure of material relationship with advertisers on their endorsement or testimonial. In this context, a review on constitutional legitimacy of such sanction on an influencer based on international regulation trends is called for. As a new kind of advertisement emerges in which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speech are mixed and it is difficult to discern between the two, the ground of more lenient and relaxed judicial review standard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been applied to decision on legitimacy of restrictions to commercial advertisement is weakening. Subtle marketing using influencers’ endorsement and testimonial lacking appropriate disclosure of material link to advertisers is also an example of the novel advertising expression. Even if the more lenient approach as well as the original proportionality test is applied, there is little room for constitutional justification of sanctions against individual influencers for inadequate disclosure because the sanctions is more extensive than is necessary to achieve the goal of legislation and the additional burden imposed on individuals is greater than the public interest promoted by the introduction of sanctions. It is also difficult to justify sanctions on individual influencers in terms of the Void for Vagueness doctrine. Rather than introducing sanctions on influencers not disclosing conspicuously, alternatives like means of securing voluntary regulatory compliance(commitments decision), activating civil damages claim and development of contractual provisions influencers should comply with, and use of self-regulatory code of conduct and self-regulatory review board are the solutions which is more constitutionally justifiable and more consistent with regulatory trends for inadequate disclosure in influencers’ endorsement and testimonial.
CSR 진정성에서 광고공개의 투명성이 소비자의 설득지식과 충돌할 때: 광고공개, 인플루언서 유형, 소비자 설득지식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유은아,최지은 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6 No.1
기업이 CSR 활동의 소구를 위하여 인플루언서를 활용할 때 인플루언서가 게시하는 콘텐츠 내 광고공개는 소비자의 설득지식을 활성화하여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지만, 또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한다는 측면에서 투명성을 제고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CSR 소구 콘텐츠에 있어서 인플루언서의 광고공개에 따른 투명성과 소비자의 설득지식 간의 충돌을 조절하는 역할로 인플루언서 유형(마이크로 vs 메가)을 제안하고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기업의 CSR 소구와 관련하여 인플루언서가 게시한 콘텐츠 내 광고공개는 인플루언서 진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플루언서가 제시한 CSR 소구 콘텐츠가 광고임을 명확하게 공개하였을 시에 소비자가 지각하는 인플루언서의 진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 과정에 있어서 광고공개, 인플루언서의 유형(마이크로 vs 메가), 설득지식 수준은 삼원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는데, 설득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메가 인플루언서가, 설득지식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가 광고공개를 한 경우 인플루언서의 진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플루언서 진정성은 기업의 CSR에 대한 진정성 지각과 기업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terest in CSR activities and social media influencer marketing is on the rise, but research within these two fields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using influencers to promote CSR activities. Specifically, we examine the impact of influencer advertising disclosure on influencer authenticity. Additionally, we analyze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advertising disclosure, influencer type (mega vs. micro), and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on perceptions of influencer authenticity. The analysis revealed a positive effect of influencer advertisement disclosure on consumer perception of influencer authenticity. In other words, when influencers clearly disclose that the CSR appeal content is an advertisement, consumers perceive the influencer's authenticity more favorably. Furthermore,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 emerged between advertisement disclosure, influencer type (micro vs. mega), and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When consumers possess a high level of persuasion knowledge, a mega-influencer's disclosure of CSR appeal content as an advertisement leads to a perception of high influencer authenticity. Conversely, when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is low, the disclosure of CSR appeal content as an advertisement by a micro-influencer results in a high perception of influencer authenticity.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consumers respond more positively to influencers who transparently label CSR appeal content as advertising. Moreover, by highlighting the moderating impact of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and influencer types, this study expands the theoretical scope of CSR and influencer research. It also offers strategic implications for companies seeking to leverage CSR and influencers.
The Effects of Social Media Influencers’ Advertising Disclosure on Consumer Responses on Instagram
Fartun Abdullahi 한국콘텐츠학회(IJOC)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6 No.1
As many brands use social media influencers (SMIs) on Instagram to advertise, not disclosing advertised content affects how consumers perceive these influenc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wo objectives: 1) recent advertising disclosure types on Instagram and 2) the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responses towards Instagram influencers posting advertised content. Using an experimental 2x2 between-subjects design (N=200), the findings show that “sponsored” and “paid partnership with” are two recent types of ad disclosures. However, both factors are in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lso, ad disclosure condition enhances the trustworthiness of the influencer than no disclosure. Ad skepticism, source credibility, and the level of persuasion strongly relate to how consumers perceive Instagram influencers advertising for brands. These factors enable consumers to assess if the influencer is a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when faced with advertisement. Ultimately, using disclosure gives full information to consumers about the persuasive intent, as well as increases positive consumer responses towards the influencer who discloses, thereby, enhancing the ethical use of the influencer advertising strategy and long-term consumer relationship.
금융광고에 사용된 공시정보와 공시제도에 대한 소비자 기대인식의 설득효과
이태준(Lee, Taejun (David))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8 No.1
금융소비자보호 시대에 직면하게 되면서 금융회사, 금융소비자, 정부는 제도적으로 금융시장의 투명성과 소비자 금융리터러시 및 금융역량을 강화하여 한층 더 높은 수준의 금융복지(financial welfare)와 금융행복(financial wellbeing)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보개선 및 커뮤니케이션 개입의 일환으로 강화되고 있는 공시정보제도의 설득효과를 금융광고 조건에서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사회계약이론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론에 입각하여, 금융광고에 사용되는 공시정보의 설득위계 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구성하는 요인들의 관계성을 서베이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에 공시정보의 효용성, 공시정보의 가독성, 광고의 사회적 책임감에 대한 인식, 기업에 대한 신뢰, 기업에 대한 태도, 제품 구매의도가 포함되었고, 소비자 개인의 금융소비자보호 관련 공시제도에 대한 규제인식에 따라 모형의 설득위계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금융소비자보호 시대의 공시제도가 어떠한 정책적 기대효과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효과 및 한계점은 무엇인지 고찰해 보았다. On the basis of theoretical framework of social contract theor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marketing and advertising literature, this study explores the consequences of mandated disclosure information and consumers’regulatory expectations of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in the context of financial services advertising. Data from a survey of 316 average financial customers show that the effects of mandated disclosure information in perceived utility and readability of disclosure information used in financial services advertising, perceived advertising responsibility, trust in financial company, attitude toward financial company, and purchase intention varied across different levels of consumers’expected regulatory concerns on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nd market transparency, particularly in light of information interventions. Providing empirical support for the theory of social contract theor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 findings call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terventions that enhance financial market transparency and improve the institutional roles of financial services advertising in financial welfare and wellbeing.
유튜브 유료광고 표시에 대한 인지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20, 30대 여성 사용자를 중심으로 -
이슬기,윤재영,나재휘,신영미,이은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4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3
연구배경2020년 유튜브 ‘뒷광고’ 논란 이후, 공정거래위원회는 유튜브 플랫폼의 6가지 유료 광고 표시 가이드라인을 배포하였다. 유튜브 플랫폼 사용자들에게 이러한 광고 표시에 대한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는 진행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료 광고 표시에 따른 인지가 사용자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정거래위원회가 배포한 유튜브 유료 광고 표시 가이드라인에 맞춰 5가지 유형으로 실험 영상을 제작하였다. 실험 대상은 20-30대 여성 사용자 50명으로 선정하였고, 실험 영상 시청 후 준비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유료 광고 표시 유형에 따른 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는 선호도,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 광고 표시가 인지될수록 콘텐츠의 선호도와 신뢰도가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불쾌함 항목은 모형의 적합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유료 광고 표시의 인지는 콘텐츠의 선호도,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인지 변수는 콘텐츠의 선호도와 신뢰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사용자들이 유료 광고 콘텐츠라는 것을 인지하는 경우 콘텐츠의 선호도, 신뢰도가 증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fter the controversy over undisclosed advertisements on YouTube in 2020, it became mandatory to display paid advertisements on the platform. The Fair Trade Commission announced six types of paid advertisement disclosures for the YouTube platform.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these advertisement disclosures affect users who watch the cont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recognition of paid advertisement disclosures affects user experience and to draw conclusions accordingly. Methods Following the guidelines for disclosing paid advertisements on YouTube distributed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experimental videos were produced in five different types. The experiment targeted 50 female users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asked to complete a prepared questionnaire after watching the experimental videos. Result The study found that user preferences and trust levels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y recognized the type of paid advertisement disclosure. It was observed that as the recognition of paid advertisement disclosure increased, the content's preference and trust levels also increased. The discomfort variable, however, did not achieve model fit significance. Conclusion The recognition of paid advertisement disclosur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tent preference and trust. The recognition variable positively influenced the enhancement of content preference and trust. This suggests that when users recognize content as being paid advertisements, their preference and trust in the content can increase.
브랜디드 콘텐츠와 어린이 유튜브 채널: 광고 표식과 상업적 내용에 대한 검토
이하나,안순태 한국광고학회 2023 광고학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branded content in popular Korean YouTube channels for children and evaluate its appropriateness. As online content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daily lives of children growing up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 digital advertising market targeting children is growing rapidly, with new forms of advertising emerging. Considering children’s immature persuasive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review various commercial messages that penetrate the online spaces they frequent to create a healthy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reviews popular Korean YouTube channels for children from a commercial perspective and discusses the potential impact on children based on relevant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A total of 298 video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3 popular channels, and the influencer marketing status was examined based on the presence of advertising disclosure. Among the 298 videos analyzed, only four contained ad disclosures. In addition, 29 videos were identified as having a clear commercial nature despite the absence of ad disclosure. Furthermore, a significant number of videos without ad disclosures contained commercial messages or inappropriate content for child viewers. This study is the first to review the commercial messages in YouTube content targeted at Korean children, and it has significan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it provides direction for necessary follow-up research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유명 어린이 유튜브 채널을 중심으로 브랜디드 콘텐츠 실태를 조사하고, 상업적 내용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태어나고 성장하는오늘날 어린이들에게 온라인 콘텐츠는 너무나도 익숙한 일상이다. 동시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광고 시장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전통미디어에선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식의광고들도 등장하고 있다. 어린이의 미성숙한 설득 지식을 고려하더라도, 이들이 즐겨 찾는 온라인공간에 침투해 있는 다양한 상업 메시지에 대한 검토는 건강한 미디어 환경을 마련하는 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인기 어린이 유튜브 채널에 게시된 콘텐츠의 내용을 상업적 관점에서검토하고, 어린이에게 미칠 영향력을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논의하였다. 국내 유명 어린이 유튜브 채널 13곳에서 채널별 약 23개씩 영상을 무작위 추출한 후 인플루언서 마케팅 현황을광고표식의 노출 여부를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대상인 298개의 영상 중 광고표식을 기재한 경우는 단 4건으로 확인됐다. 광고표식은 없었지만, 광고임이 분명해 보이는 영상이 29건 확인됐다. 또한, 광고표식이 없는 영상 중 상업적 내용의 메시지나 어린이 시청자에게부적절한 내용이 담긴 경우가 상당수 발견됐다. 본 연구는 어린이 대상 유튜브 콘텐츠의 상업적메시지를 검토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더욱이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필요한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학문적, 실무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크다.
Dongwon Choi,Hyejin Bang,Bartosz W. Wojdynski,Yen-I Lee,Kate M. Keib,Camila Espina,Kacy Kim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6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16 No.7
Viral video advertising as a branded entertainment has shown its potential to overcome consumer skepticism by spreading the brand message through individuals’ social connection. Although brand placement prominence and brand disclosure may b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forwarding intention in the viral video ad context, less research has examined these relationship. To fill these gaps, this study aims 1)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rough which the brand placement prominence influences consumers’ forwarding intention of viral video advertising, and 2)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moderating role of brand disclosure timing. This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brand prominence in a viral video ad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viewers’ forwarding intention sequentially mediated by persuasion knowledge, critical processing and enjoyment.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disclosure timing investigated i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when the branded viral video has a high level of brand prominence, post brand disclosure leads to a higher forwarding intention compared to the prior brand disclosure.
이시훈 ( Si Hoon Lee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7 언론과학연구 Vol.7 No.1
인터넷 이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인터넷 광고비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인터넷 광고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증가하고 있지만, 인터넷 광고 노출의 측정방법이나 측정기준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인터넷 광고 측정기준의 표준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인터넷마케팅협회에서 제안한 인터넷 광고 측정기준 표준화 초안의 주요 내용인 노출수, 클릭수, 페이지 방문수, 사용자수, 캐시 가이드라인, 필터링 가이드라인, 공표 가이드라인, 공사 가이드라인에 대한 인터넷 광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클릭수, 사용자수, 캐시 가이드라인, 공표 가이드라인 등은 전문가들의 이견이 적어서 표준화를 추진하기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타 측정기준에 대해서는 업계간 합의가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days, Internet advertising fee has continually grown as well. In this context, it is found that research on measurement method or measurement standardization of Internet advertising has gained insufficient scholarly attention in spite of the rising academic investigation on Internet advertising itself. Based on this circumstance, this research aims to lay out a plan for measurement standardization of Internet advertising. This work explores Internet advertising experts` opinions on main contents of the first Internet advertising standardization draft made by Internet Marketing Council of Korea, including numbers of impression, click, unique user and user as well as guidelines of cache, filtering, disclosure and auditing. Findings show that it is easier to achieve standardization in the areas of numbers of click and user and guidelines of cache and disclosure because of experts` general agreements on these standards while other standards require more mutual consent within the Internet business industry.
“이 광고는 사실 AI가 만들었습니다.”: 인공지능 제작의 공개 여부와 제품 관여도에 따른 광고효과
나정희 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광고연구 Vol.0 No.142
본 연구는 인공지능(AI)이 생성한 광고의 효과를 탐구하기 위해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실험 자극물로서 실제로 AI가 생성한 광고물을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본 연구는 광고가 AI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표기했는지 여부와 제품의 관여도가 광고효과(광고 태도, 제품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수용자 변인으로서 혁신성, 자극 추구 성향, AI 관여도를 조절 변수로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관여 제품에 대한 광고에서 AI 생성임을 공개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긍정적인 광고 태도를 보였다. 반면, 저관여 제품의 경우 AI 생성 광고의 공개 여부가 광고 태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혁신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AI 광고 표기가 광고 태도, 제품 태도, 구매 의도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혁신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AI 광고의 명시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고관여 제품의 경우 자극추구성향에 따른 광고 태도와 제품 태도에 차이가 없었지만, 저관여 제품의 경우 자극추구성향이 높은 집단에서 더 긍정적인 광고 태도와 제품 태도를 보였다. 넷째, AI관여도가 높은 집단은 고관여제품의 AI광고에 대한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가 저관여 제품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AI관여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AI-generated advertisements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including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experimental stimuli were actual AI-created ads, analyzing the effects of disclosing their AI origin and the level of product involvement. Additionally, the study considered audience innovativeness, sensation-seeking tendencies, and AI involvement as moderating variable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high-involvement products, ads disclosed as AI-generated elicited more positive advertising attitudes than non-disclosed ads. For low-involvement products, the AI disclosure made no difference in advertising attitudes. 2. Among highly innovative individuals, AI disclosure positively affected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less innovative individua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AI disclosure. 3. For high-involvement products, sensation-seeking tendenci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dvertising and product attitudes. For low-involvement products, individuals with high sensation-seeking tendencie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4. Individuals highly involved with AI exhibit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high-involvement products. Conversely, those with low AI involvement showed no differences.
기업의 사회적 책임공시 유형의 설득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이태준(Tae Jun Lee),윤태웅(Tai Woong Yun),홍석민(Seok Min Ho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광고연구 Vol.0 No.95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광고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하고 있다. 여러 이론들과 많은 연구 결과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공시(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isclosure: CSRD)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역설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도화된 사회적 책임공시(Institutionalized CSRD)와 촉진적 사회적 책임공시(Promotional CSRD)의 유형이 각각 광고 메시지에 사용되었을 경우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성향(SocialResponsibility Orientation)과 광고회의(Advertising Skepticism)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보았다. 구체적으로 두 가지 다른 기업의 사회적 책임공시 유형이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성향과 광고회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브랜드 태도, 브랜드 구매의도에 어떠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실험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제도화된 사회적 책임공시보다 촉진적사회적 책임공시를 사용한 광고가 소비자로 하여금 광고에 나타난 기업의 사회적 책임감에 대하여 보다 더 회의적으로 반응하게 하였으며, 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및 광고를 기획하고 집행할 경우에 고려해야 할 전략적, 전술적 관점에 표적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성향, 광고회 의 수준의 유의성을 시사하고 있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become a much-discussed subject in the marketing and advertising areas. Corporations are increasingly concerned with communicating ethically and responsibly to the diverse stakeholders as well as the target customers. Recently, the CSR Disclosures(CSRD) have become one of the main tools for CS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is paper addresses a main question as to how two different types of CSRD(Institutionalized CSRD vs. Promotional CSRD) interact with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orientation and advertising skepticism in light of individual traits and their interactive effects play a role in perceived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corporati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s CSR communication effectiveness.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compared with institutional CSRD, promotional CSRD is more likely to influence consumers to be more skeptical of the intent of CSR advertising, which might be less effective at generating positive perception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