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산업의 동향에 따른 거시경제적 전망과 심리학의 과제: 1997년~2008년 산업통계를 바탕으로

        양병화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1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rends of the Korean advertising industry and to discuss the issues of future research in Psychology. Specifically, we explore socioeconomic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advertising industry. In addition to this, we suggest some issues of psychological research in studying the advertising industry as a macroeconomic approach. To achieve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national statistics of the ‘Advertising Yearbook’ from 1998 to 2009, which includes media, business types and main advertisers as well as general indices such as GDP, price index, and international payments. Results show that advertising expenditures of traditional media (i.e., public TV, radio, newspaper, and magazine) tend to be diminished while those of new media (i.e., cable TV, Internet,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nd to be rapidly increased in the total amount of advertising industries for the last 12-years. Also, the result indicates that advertising expenditure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conomic indices of Korean industry such as GDP, price index, and international payments. We suggest that the growth of Korean advertising industry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trend which entails the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s and consumer trends. Finally, we discuss 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거시경제의 관점에서 광고산업의 동향과 추이를 살펴보고 향후 전망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특히 외환위기를 겪은 지난 1990년대 말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광고산업의 변화를 살펴보고 산업의 성장 동력과 사회․경제적 변동요인에 따른 광고산업의 발전방향을 탐색하였다. 이와 더불어 그 동안 소비자행동과 광고효과 연구에 기여해 온 심리학이 거시경제의 관점에서 광고산업에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광고연감의 자료를 바탕으로 1997년부터 2008년까지의 광고 및 경제일반 산업통계를 분석하였으며 총 12년간의 매체별, 업종별, 광고주별 통계와 GDP, 물가지수, 국제수지 등의 경제지표를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12년간 국내 광고산업의 동향은 지상파TV, 라디오, 신문, 잡지의 4대매체 광고의존도가 현저히 낮아진 반면 케이블TV와 온라인을 포함한 뉴미디어 광고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산업의 성장은 국가경제의 일반지표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산업적 특징은 사회․경제적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 테크놀로지의 발전, 비즈니스와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 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광고산업의 향후 전망과 심리학의 과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방송광고산업 인프라 구축방향에 관한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염성원(Sung-Won Yeo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2 No.-

        본 연구에서는 광고산업의 인프라가 아직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는 입장에서 현재 국내 광고산업의 인프라 구축현황과 효율적인 구축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거시적인 관점으로 하드웨어 인프라(hardware infra), 소프트웨어 인프라(software infra), 브레인웨어 인프라(brainware infra) 등의 3가지로 구분하였다. 하드웨어 인프라의 경우 방송의 디지털화,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인해 체계적인 구축이 시급한 형편이다. 그러나, 광고회사들은 상호 경쟁관계에 놓여있기 때문에 광고계 공용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기는 어렵다. 따라서, 정책적으로 광고산업의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을 위해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체계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인프라의 경우 현재 국내 광고업계는 시청률자료 광고거래관련 정보, 소비자 동향, 광고업계 동향, 연구동향, 해외동향, 광고물 관련 정보 등 광고활동과 관련한 중요한 정보에 대한 교류와 신뢰감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광고 관련 정보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체계적으로 축적하는 것이 필요하다. 브레인웨어 인프라의 경우 지금까지 유명무실하게 유지되어 온 광고업계와 대학간의 산학연계를 좀더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대학은 현업 광고인을 초빙하여 현장감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광고업계는 광고계에 진출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현장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많이 부여함으로써 광고산업의 질적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방송광고산업은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이 같은 과제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해결해야 한다. 또한 광고업계는 급변하는 광고환경 변화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방송광고산업의 국제수준 도약을 위해 체계적으로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The opening of advertising market and introduction of the free competition doctrine make the competition harsher among advertising agencies. Advertising agencies do their best to execute their ad more efficiently and scientifically. But, it is the reality that broadcasting advertising industry in korea did not construct enough infrastructure to execute the systematic activities compared with that of advanced countries. So, we need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s and draw a time-table to construct primarily necessary infrastructures. In case of hardware infrastructure in advertising industry, digitalization of broadcasting and convergence of broadcasting with telecommunication make it hurry to construct that. But as the ad agencies was in the situation to compete each other, they have a difficulty to construct common hardware infrastructure enthusiastically. Thus, it is necessary to build hardware infrastructure in advertising industry for policy. And the construction of that should be executed systematically not for the short term effects but for the long term objectives. Also, it is the most important to construct reliable Software infrastructure in advertising industry from all of ad agencies. In these days, ad agencies have a tendency not to believe the important information, like the data of ratings and advertising transaction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advertising activities. And they do not share and communicate about the information of the advertising industry trends, research trends, advertisement related information. So, it is also hurry to build the on-line and off-line database system. Finally, for the development of brainware infrastructure in advertising industry, it is the most necessary to activate the cooperation relation between university and advertising agencies. Universities need to invite experts in the advertising to teach the students practical knowledge and ad agencies to recruit students who want to develop their carrier in the advertising industries. In conclusion, advertising industry in korea have to solve these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advertising industry infrastructure "in the way of cooperation and harmony of each other rationally and efficiently.

      • 방송광고를 둘러싼 규제의 논리적 타당성 검증 시론(試論)

        방석호(Suk-Ho Bang) SBS 2003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 No.2

        방송에서의 규제 틀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제모델들과는 달리 방송광고에 대해서는 "상업적 표현 활동"으로 파악, 의도적으로 표현 자유의 연장선에서 적절한 한계를 논하고자 하는 미국식 입장과 헌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개별적으로 따져서 검증하자는 기타의 입장이 대립되고 있다. 상대적 기본권으로 언론 자유를 선언하고 있는 우리의 법제에서는 후자의 접근이 더욱 타당하다. 이렇게 본다면 현해 KOBACO는 방송사업자가 직면하고 있는 수입원인 광고 시장의 존재 자체와 이를 통한 경쟁의 현실을 부정하고 무엇보다도 방송광고시장과 방송서비스시장이 동일한 규제 원리에 의해 작동됨을 전제로 정부가 공영방송사의 존립을 광고 독점을 통해 뒷받침하여야 한다는 잘못된 이해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현재의 방송발전기금제도 역시 KOBACO의 독점판매대행체제의 산물이었던 공익자금을 단순히 수정, 보완하는 차원을 벗어남으로써 오히려 특별부담금이 갖추어야 하는 규율목적과 수단과의 특별한 관계를 일탈하였다.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s devoted to searching proper regulatory model available for Korean broadcasting advertising industry. When judging the Constitutional issue in broadcasting advertising regulation, case-by-case approach along with legislative purpose is better suited to current Korean Constitution, comparing with "commercial speech" approach unique to U.S. case law. Because the Korean Constitution itself defines freedom of speech not as an absolute one, whereas the U.S. Constitution puts the value of freedom of speech high by abridging the legislative power in enactment process.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struggled with the time-consuming job of grasping the meaning of "public interest" and "public necessity(public responsibility)" in broadcasting industry, but soon the focus was shifted to advertising industry with the basic and fundamental question underlying this paper, i.e., "Is there really a public interest and public responsibility concept in broadcasting advertising industry? and thereby the advertising industry itself can be regulated with the same regulatory logic as the broadcasting industry." So the first subject to be chosen for detailed analysis is KOBACO(Korea Broadcasting Advertising Corporation) and its existing reasons, supported by KOBACO Act. This paper concluded that KOBACO was launched by two obvious misconceptions; broadcasting advertising industry is same as broadcasting service industry in regulation process, all supported by public interest and public responsibility concept, and the public broadcasting corporation itself should be financially supported through government advertising monopoly system. But the government itself proposed a partially revised monopoly system in the year of 2000 by another legislation draft, which still showed the unique understanding about "public responsibility" toward broadcasting advertising industry. That is, Korean government has had a kind of wrong, but film belief that such a demand can be best met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of government as market monopoly player rather than as market regulator. The legal characteristic of "Broadcasting Promotion Fund", another good example for public responsibility aspect in Korean advertising industry, is also dubious especially in the sense that it is clearly out of legal annexation between the specified use of such fund and the subjects on duty at the law. Formerly, it was originated from "Public Interest Fund", gathered from public broadcasting companies and managed by KOBACO. This paper suggests that such a gray-area fund should be replaced with radiowave usage fee for the different market of advertising industry, free from capricious and subjective concept of public interest in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regulation.

      • KCI등재

        A Study on Advertising Future Development Roadmap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Jong Bae, Ahn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12 No.2

        W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re characteristics of super-intelligence, hyper-connective, and ultrareality, has been actualized.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the Internet of Things, and high-tech video have begun to be applied to media and advertising.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in the advertising field, innovative changes in advertising types, advertising effects, advertising methods, and advertising contents are expected. Accordingly, We intends to design a future advertising roadmap development by predicting how future advertising will change and develop through future technolog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o design the roadmap,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advertising technology, consumer, and media as changes in the advertising environmen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identifies the core changing trends, advertising factors in future advertising through the Delphi Survey on experts in advertising and future fields. We identifies how the future advertising technology, types, media, effects, and fields are developed by the changes of future advertising environments, including technology, consumers, and media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ence it is expected to help the advertising industry and experts to prepare for future changes.

      • KCI등재

        광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산관학 협력 방안

        이희복(Lee, Heebo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2

        광고산업에서 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고 중요하다. 현업에서는 전문인력 부족이 심각한 반면, 대학에서는 예비 광고인을 충분히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광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산업, 학계, 정부 공동의 지원과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산업의 안정적인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어떻게 하면 광고 전문인력을 양성해 나갈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심층면접 분석 결과, 광고 전문인력 양성 일반, 광고 전문인력의 현황과 전망, 광고 전문인력 양성 방안, 산관학 협력방안 평가와 개선방안 4가지의 출현 주제를 발견하였다. 각 주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관련 법안의 토대위에 추진 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 향후 업계, 학계, 정부의 지속가능한 협력으로 모두의 상생을 위한 광고 전문인력 양성과 광고산업 진흥이 가능하다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ortion of the workforces in advertising industry is very big and important. However, not to mention of the lack of expertise in the field, education for the pre-professional manpower in the university is urgently needed. Therefore, joint support and cooperation among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is necessary.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educate the advertising professional manpower to solve the stable development measures of the advertising industry. Through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we found 4 main themes such as common Problems of advertising professional manpower, status and prospect of advertising professionals, advertising professional manpower education plan,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industry-academia-government cooperation. To achieve the goals it is required the organization for propulsion on the basis of the relevant legisl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 that both education for Advertising experts and advancement of advertising industry are possible with industry, academia sustainable cooper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우리나라 광고주의 매체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박원기(Won Kee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4 No.1

        지금 방송, 광고 분야에서 최대 현안은 종편PP 및 보도전문PP의 도입, KBS의 수신료인상, 민영미디어렙 도입 등이다. 이러한 현안이 부각되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언론이나 광고업계에서 많이 지적되고 있는 이른바 ``광고재원의 부족``에서 비롯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그동안 광고업계에서 부족하다고 지적되어 온 우리나라의 광고 재원이 국내 경제 규모(즉, GDP)와 대비하여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특히 산업 구조의 변화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분석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2000년 이후 GDP의 성장속도와 총광고비의 성장속도의 차이가 점점 커지고 있다. 만약 이러한 추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국내 경제 규모에 비해 광고산업은 향후점점 더 위축될 수 있고, 광고비를 주요 운영재원으로 하는 국내 기존 매체산업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1998년 이후 GDP성장률과 각 매체별 광고비성장률을 분석한결과 국내 총광고비, 지상파TV광고비, 신문광고비가 플러스 성장을 시작하는 경제성장률 임계점은 각각 3.09%, 3.52%, 4.4% 등임이 확인되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 광고산업 급성장기의 매체별 광고비 구성비를 살펴보면 그 당시 국내 광고산업을 급성장시킨 것은 지상파TV가 아니라 신문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내 광고시장에서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신문광고비가 지상파TV로 전이된 것으로 보이며, 2006년 이후는 전통매체인 지상파TV와 신문 광고비가 그 당시 뉴미디어인 케이블TV와 인터넷으로 전이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그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Major issues surrounding today`s broadcasting and advertising industry in Korea may include new comprehensive channels launch, new news channel launch, raise of subscription rates to KBS TV and legalizing private media reps for terrestial TV. The fundamental reasons these issues draw primary attention from the industries are, as many professionals in the industries pointed out, so called ``the lack of advertising resource``.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with two objectives; how the long lasting claims of the lack of advertising resource in relation to the scale of economy in Korea(named GDP) has been changed past years and what insight would be found particularly in relation to change of industry structure. Study found that the gap between growth rate of GDP and growth rate of total advertising volume has gradually become wider since year 2000. If this pattern continues, the advertising industry would be more subsided in versus GDP and consequently this may possibly cause a negative influence on Korea`s media industry which is heavily dependent on advertising resources. Critical point of domestic economy growth which led total advertising volume, terrestrial TV advertising volume and newspaper advertising a positive growth were 3.09%, 3.52% and 4.4% respectivel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GDP growth rates and advertising growth rates of there advertising volume since 1998. It is also fund that newspaper advertising, not TV advertising, was a major contributor in making advertising booming period emerge from 1990 to 1997 and the role was shifted to TV during the period of 2000 to 2006. Since then, Cable TV and Internet started taking over the role from traditional media and the trend continues by today.

      • KCI등재

        「광고산업 진흥법안」의 목적 및 정의 규정에 관한 검토

        양승광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3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7 No.1

        While academia and industry have long recognized the nature of the advertising industry as a high-value-added industry and a knowledge industry based on human resources, the government still seems to view it as an auxiliary industry. For this reason, the advertising industry has been devalued despite its economic impact. In the face of this reality, the "Advertising Industry Promotion Bill" has been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pplement the need for the bill to be enacted and to examine the definitions of key terms in the bill.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need for the promotion of the advertising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the culture state and the fulfillment of the state's duty to promote effective employment. Furthermore, the article examines the arguments that may be raised against the need to promote the advertising industry and examines their validity. Next, we examined the definitions in Article 2 of the Advertising Industry Promotion Bill. As the scope of advertising is rapidly expanding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defining terms based solely on the existing state of the industry may halve the expected effect of the legislation. After reviewing key terms from a legal system perspective and a techno-social environmental perspective, we proposed alternatives. 광고산업은 전통적으로 보조산업으로만, 미디어의 재원형성산업으로만 이해되어 왔다. 광고는 기업 경영에 있어서 부수적 요소에 불과하며, 내수 경기가 살아나면 광고산업 역시 살아나는 것으로만 생각되어 왔다. 다른 산업에 비해 정부의 육성 정책이 현저히 미흡한 것은 이러한 인식 탓이다. 학계나 업계에서는 광고산업의 성격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적자원을 기반으로 한 지식산업으로 인식한지 오래됐지만, 정부는 아직 광고산업을 보조산업으로 보는 것에 머물러 있는 것만 같다. 이러한 이유로 광고산업은 그 경제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가치가 평가절하되어 왔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국회에서는 「광고산업 진흥법안」이 발의되었다. 이 연구는 이 법안이 제정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충하는 한편, 법안에서 행한 주요 용어의 정의규정을 검토하기 위해 행해졌다. 먼저 이 글에서는 먼저 광고산업 진흥의 필요성을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와 국가의 효과적 고용 촉진 의무 이행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그치지 않고 광고산업 진흥 필요성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반론을 살펴본 후 그 타당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광고산업 진흥법안」 제2조의 정의규정을 검토하였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광고의 범위도 급속하게 확산되는 터라, 용어들을 기존의 산업현황에만 기대어 정의한다면 애써 제정된 법률의 기대효과가 반감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주요 용어들을 법체계적 관점 및 기술사회환경적 관점에서 검토한 후 대안을 내어놓았다.

      • KCI등재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에 따른 광고산업의 쟁점과 과제

        한상필 ( Sang Pil Han ),김병희 ( Byoung Hee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7 언론과학연구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타결이 한국 광고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분석함으로써 협정비준 및 발효 시 광고계의 적절한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한·미 FTA의 타결에 따라 예상되는 국내 광고산업의 주요 문제점은 광고전문 인력의 부족, 국제광고 수행 능력의 부족, 외국계 광고주의 확대에 따른 광고업계의 변화, 그리고 광고의 과학화 및 전문화의 결여로 나타났다. 또한, 한미 FTA 타결에 따른 한국 광고업계의 과제로는 국제적 수준의 광고 전문인력 양성, 광고의 과학화·전문화를 통한 질적 향상, 국제광고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 그리고 국제적 수준의 광고회사 설립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광고회사와 광고주 차원의 대응방안 6가지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uitable program in advertising community after ratifying agreement and coming into effect by analysing how the settlement of Free Trade Agreement(FTA)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affects the advertising industry in Korea. Findings showed that major expected issues after the settlement of FTA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are the lack of advertising professionals, the lack of ability to perform the international advertising, the change of advertising industry due to expanding foreign advertiser, and the lack of making science and specification of advertising. Furthermore, the urgent tasks of Korean advertising industry due to the settlement of the FTA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are the training of ad professionals toward international level, the qualitative upgrade through making science and specification of advertising, the effort for upgrading performing ability in international advertising, and the foundation of advertising agency to international level. Based on the following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five alternative plans for the future of advertising agency and three for the advertiser.

      • KCI등재

        디지털 옥외광고산업 진흥을 위한 중소사업자 지원 방안 연구 -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지원배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경제 상황이 악화된 옥외광고 중소사업자에게 뉴노멀(New Normal) 환경에 맞는 지원책과 디지털 옥외광고산업 진흥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우선 코로나19로 인해 옥외광고 중소사업자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정부의 지원이 시급하였다. 둘째, 디지털 옥외광고산업의 전환을 인식하고 있으나 기존 중소사업자의 입장을 반영한 지원과 육성 정책을 요구하였다. 셋째, 디지털 옥외광고산업 진흥을 위한 중소사업자 단기적 지원 방안으로 신소재∙신매체 개발 지원, 디지털 옥외광고 교육, 공공목적 디지털 옥외광고물 운영사업자 선정 참여 기회 제공이 제안하였다. 장기적인 지원 방안으로 신기술 개발을 위한 관련 법 규제 완화, 공공 디지털 옥외광고물 사업자 입찰 참여 방식 완화, 신매체∙신기술 전환을 위한 대형사업자와의 업무 제휴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order to suggest support measures suitable for the New Normal environment, and measures to promote the digital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to small and medium-sized outdoor advertising businesses whose economic situation has deteriorated due to COVID-1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small and medium-sized outdoor advertising business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COVID-19, so government support is urgently needed. Second, although small and medium-sized outdoor advertising businesses are aware of the transition of the digital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they demanded support and fostering policies that reflected the position of existing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ir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new media, education on digital outdoor advertising, and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electing operators of digital outdoor advertising for public purposes were suggested. The suggestions were made for a short-term support plan targeted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o promote the digital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As long-term support measures, it was proposed to ease regulations on related law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to ease public digital outdoor advertising companies' participation in bidding, and to cooperate with large business operators for new media and new technologies.

      • KCI등재

        광고 제작 산업의 인프라 구축과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정책연구

        김병희(Byoung Hee Kim),김지혜(Ji Hye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4

        최근 광고 제작 산업이 스마트 미디어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 이 연구는 변화된 광고 제작 환경에 주목하여 광고 제작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초점집단면접(FGI) 결과, 광고 제작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방안에는 ‘스마트 광고콘텐츠제작센터 설립’과 ‘한국의 광고 크리에이터 아카이브 구축’이라는 두 가지가, 광고 제작 산업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취업지원 방안에는 ‘광고 제작산업 관련 취업 박람회 개최’와 ‘광고인 대상의 스마트 광고 제작 재교육’이라는 두 가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제작 산업의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정책적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Recent advertising production industry has turned into a smart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has been trying by focusing on the changed production environment to find ways to activate advertising production industry. As a result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FGI), for infrastructure plan for the activation of advertising production industry, a ``establishment of smart advertising content production centers`` and ``ad creator archives building in Korea`` by the two kinds were needed. Professionals for training and employment support measures for activation of commercial production industry, the ``advertising production industry job fair held`` and ``retraining advertising man for producing smart advertising`` the two kinds were requir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d the specific activating program of advertising production industry in the context of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