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차상위 리더의 리더에 대한 모욕행위의 적하효과(trickle-down effect)

        박오수(Oh Soo Park),고동운(Dong Woon Go) 한국경영학회 2009 經營學硏究 Vol.38 No.4

        Traditionally, leadership research has focused on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subordinates and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This perspective oversimplifies the leadership because it is impossible to ignore the impact of second-level superior on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in a real organizational setting. Thus, this study expanded the leadership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subordinate - leader - second-level superior’ and focused the counterproductive leader behavior. In this study investigating the trickle-down effects of second-level superior’s abusive supervision,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busive supervision were used as the mediating variabl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econd-level superior’s abusive supervision and outcome variables (subordinate’s trust in leader, LMX). Based on several theories such as social exchange theory, norm of reciprocity, and displaced aggression theory, the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hey were: second-level superior’s abusive supervision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leader’s abusive supervision (H1) and negatively related to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2); leader’s abusive supervision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cond-level superior’s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trust in leader (H3a), and LMX (H4a);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cond-level superior’s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trust in leader (H3b), and LMX (H4b); second-level superior’s abusive supervision will be negatively associated to subordinate’s trust in leader (H5).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6 officers and NCOs (231leader-subordinate dyads) using survey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pported all the hypotheses. The present findings have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the direct effects of secondlevel superior’s abusive supervision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der’s abusive supervision imply that leader’s leader roles are important antecedents of leader’s effectiveness, and suggest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a kind of discretionary leadership style. Second, we expanded the antecedents of the abusive supervision into second-level superior’s abusive supervision, and verified new consequences (trust in leader, LMX) of the abusive supervision. Finally, the current investigation suggests that the second-level superior’s behavior is one of the determinants of trust in leader beyond isolated leader-subordinate dyad.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larified the significant impact of a leader’s leader on the leader’s leadership effectiveness and the discretionary characteristic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perspective of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 leader - second-level superior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subordinate for explaining the leadership phenomena.

      • KCI등재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이 아동학대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주(Lee, Yong-Joo)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이 아동학대 예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근무 보육교사 278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및 아동학대 예방행동이 보육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과 학력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아동학대 예방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원장의 공정성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예방행동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이 아동학대 예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원장의 비전제시와 공정성은 보육교사가 아동학대를 예방하는 행동을 수행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은 아동학대 예방행동을 수행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은 아동학대 예방행동을 수행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는 개인의 차원뿐만 아니라 어린이집 조직의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조직적으로 아동학대를 예방하는데 필요한 원장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강력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원장 및 교사의 재교육시 관련 교육을 강화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oral leadership in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their awareness of actual child abuse on child abuse preven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78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or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the preventive behavior of child abuse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 background, and career of the child care teacher show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ral leadership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the child abuse awareness of the child care teachers and child abuse prevention behavior illustrate that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fairness of the director and the child abuse prevention behavior of childcare teachers in all sub-field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moral leadership of child care directo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 abus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 abuse prevention behavior, the director"s vision presentation and fairnes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hildcare teachers" prevention of child abuse.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child abuse, the perception of the related abuse has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director"s moral leadership and childcare teachers’perceptions of child abuse are the core factors influencing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These results provide strong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directors and teachers in preventing child abuse more actively and systematically,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the daycare center.

      • KCI등재

        고객언어폭력이 카지노 딜러의 서비스 사보타주에 미치는 영향 : 감정고갈의 매개효과와 관리자의 자기희생적 리더십을 조절효과로

        이정아 ( Lee Jeong-ah ),윤세목 ( Yoon Se-mok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Tourism Research Vol.46 No.2

        본 연구는 고객언어폭력이 카지노 딜러의 서비스 사보타주에 미치는 영향에서 딜러 감정고갈의 매개효과와 관리자의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정선군 소재의 내·외국인 카지노 딜러 4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400부의 설문지 배포 후 미응답 또는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9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언어폭력은 딜러의 감정고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딜러의 감정고갈이 서비스 사보타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언어폭력과 딜러 감정고갈의 관계에서 관리자의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3가지 하위요소인 업무분장, 보상분배, 권한행사 상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유사조절(역조절)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는 고객 언어폭력의 심각한 부작용 인지 및 딜러 감정관리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카지노 기업은 자기희생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관리자의 역량교육과 환경조성을 통해 고객 언어폭력을 적극 개입하여 서비스사보타주 등 반생산적 활동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딜러의 감정고갈을 예방· 치유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sino dealer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controlling effect of manager's self-sacrificing leadership in the impact of verbal abuse by customers on dealer service sabotag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400 domestic and foreign casino dealers based in Jeongseon-gun, Gangwon-do, and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9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unanswered or insincere responses and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erbal abuse by customers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aler emotional exhaustion. Second, dealer emotional exhaustion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sabotag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verbal abuse and dealer emotional exhaustion, self-sacrificing leadership in the three sub-components of manager's self-sacrificing leadership: work makeup, compensation distribution, and authority exercise has the effect of similar regulation.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serious side effects of customer verbal abuse and managing dealer sentiment. Casino enterprises shall endeavor to actively intervene in customer verbal abuse through the training of managers' ability to exercise self-sacrificing leadership and the creation of environments to prevent it from being linked to anti-productive activities, such as service sabotage. It is also proposed to prepare measures to prevent and cure dealer emotional exhaustion.

      • KCI등재

        임파워링 및 비인격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와 팀워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 -

        김달원,박재춘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4

        This study focuses on how empowering and abusive leadership affect members' job engagement and teamwork behavior which means cooperative behavior, and through what process(mediated effect) it affects. As a result, First, the empower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ee's job engagement, while the abusive leadership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ee's job engagement. Second, the empowering leadership positively affected the teamwork behaviors of the members, while the abusive leadership lowered the teamwork behaviors of the members. Third, the empower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abusive leadership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Fourth,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job engagement. Fifth,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found to increase the teamwork behavior of members. Sixth, psychological empower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Seventh, psychological empowermen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Eighth, psychological empowermen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teamwork behaviors. Ninth, psychological empowermen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leadership and teamwork behaviors. In summary, Empowering leadership is an important antecedent to increase the level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job engagement, and teamwork behaviors, but abusive leadership has been identified as a variable that destroys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job engagement, and teamwork behavior. 본 연구는 임파워링 및 비인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열의와 협력적 행동을 의미하는 팀워크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 그리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영향을 주게 되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고용노동부 313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비인격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팀워크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인격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팀워크 행동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비인격적 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구성원의 직무열의 및 팀워크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여섯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비인격적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일곱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워크 행동 관계 및 비인격적 리더십과 팀워크 행동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虐待式管理对组织成员工作行为的影响研究 : 以组织公正性及成员的传统性为中心

        康东伟,王志成,张路腾 한국동북아학회 2017 한국동북아논총 Vol.22 No.1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busive leadership on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n Chinese companies.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turnover intention is analyzed. The moderating roles of tradition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justice are also investigated.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abusive leadership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engageme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Secondly organizational justice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busive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Thirdly, traditiona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justice such that employees with high traditionality responded more positive on the abusive leadership than those with low traditionality. 중국 종업원들의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조직생활에서도 자기결정과 자기주장의 욕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른 새로운 종업원 관리방식의 요청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중국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이 직원의 조직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 구명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직원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과정에서는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상사의 비인격적인 리더십과 조직공정성 간의 전통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조사의 결과는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은 직무열의와는 부의 관계를 이직의도와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조직공정성은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과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전통성은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과 조직공정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전통성이 높은 종업원에게서 낮은 종업원보다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조직공정성과 가지는 부의 관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의 종업원들의 긍정적 조직열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의 개선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비인격적인 감독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관리자 교육이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발언과 침묵 : 리더십의 영향과 조직효과성

        권석균(Seog Kyeun Kwun),윤선영(Sun Young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3

        조직 구성원들이 얼마나 자유롭게 발언 혹은 침묵하는지는 해당 조직의 활성화 정도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조직 내 발언과 침묵은 동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본 연구에서는 친사회적 및 방어적 동기에 따라 친사회적 발언, 친사회적 침묵, 방어적 발언, 방어적 침묵 등 4개 유형으로 구분하여 그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실증하였다. 선행요인으로는 세가지 리더십, 즉 변혁적, 권위적 및 남용적 리더십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고, 결과요인으로는 혁신행동과 이직의도라는 조직효과성 변수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은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변혁적 리더십은 적극적 행위로서 친사회적 발언만을 높이고 그 외의 친사회적 침묵, 방어적 침묵과 발언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동 리더십이 소극적 행위를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없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권위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방어적 발언과 방어적 침묵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그 효과가 독특하다. 즉, 동 리더십이 기대한 것처럼 발언을 억누르는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었고 구성원의 저항 또는 대응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의 조직 구성원들에게 과거와는 달리 권위에 대한 순응성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남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발언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친사회적 침묵, 방어적 발언과 방어적 침묵 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변혁적 리더십과 완전히 대응되는 결과인데, 남용적 리더십의 부정적 효과가 여러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조직에서 남용적 리더십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조직효과성 변수로서 채택된 혁신행동에는 친사회적 발언과 방어적 발언 모두가 정의 관계이어서 어떤 동기에서든 조직 내 활발한 발언이 변화와 혁신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방어적 발언도 곧 서로 다른 입장과 관점을 표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이직의도는 친사회적 발언과 부의 관계를, 방어적 침묵과정의 관계를 갖고 있었고, 다소 중간적 형태에 가까운 친사회적 침묵과 방어적 발언은 이직의도에 이르기까지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조직 내 구성원들의 진취적이고 주도적인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리더십 특성에 따라서 구성원의 행동에 각각 다른 형태의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주목을 필요가 있다. 이 결과는 조직에서 긍정적 효과를 창출하는 리더십에 치우친 노력보다는 부정적 효과를 낳는 리더십 행위를 배제하는 노력을 동시에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아울러 활성화된 조직을 만드는데 종업원의 발언과 침묵이 중요한 만큼 그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In many of today's organizations, employees are being exhorted to make proac-tive and voluntary contributions, and voice is a major behavior employees can exhibit in this perspective. Whether, or how much, the employees raise a voice, or keep silent,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can explain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activ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leadership as the most critical antecedent, focused on the voice, and silence, of the employee, both of which are vital for activated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s. To highlight how leadership affects, this study adopted transformational, author-itative, and abusive leaderships to be examined. Also examined are the con-sequences of voice and silence, namely innovative behavior as a positive result and intent to leave as a negative on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23 employees, in 17 work organiz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at all three types of leadership exert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e voice and silence, but their effects var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pro-social voice, but not on others. In other words, it does not soothe negative attitudes and behaviors. Authoritative leadership positively affected both defensive voice and silence, suggesting it stimulates defensive behavior (either voice or silence) rather than an obedient one. Abusive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 three behaviors, namely pro-social silence, defensive voice and silence as well. The results suggest strong needs for controlling abusive leadership in workplace. On the other hand, innovative behavior turned out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types of voice behavior, namely pro-social and defensive voice. It suggests that, regardless of its motives, voice can make change and innovation. Intent to leav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fensive silence, and negatively with pro-social voice. These findings are suggestive to the effectiveness values of employee voice and silence.

      • KCI등재

        남용적리더십이 구성원의 수동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계약위반과 분노반추의 직렬다중매개를 중심으로

        구자규,신제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3

        직장 내에서 구성원 또는 조직에 피해를 끼칠 의도를 가지고 적절한 행동을 보류하거나 하지 않음으로써 적대감을 표현하는 수동공격성이 능동적 형태의 공격성보다 훨씬 더 일반적이고, 이러한 태도가 초래하는 은밀 한 형태의 유해 행동이 최근에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그것이 초래되는 과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용적리더십이 수동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계약위반 인식과 분노 반추의 직렬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원 300인 이상이 근무하는 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72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구성원의 남용적리더십 인식은 수동공격성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남용적리 더십 인식과 수동공격성 간에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 남용적리더십 인식과 수동공격성 간에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는 정(+)의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성원의 남용적리더십 인식과 수동공격성 간에 심리적 계약위반과 분노반추는 정(+)의 직렬다중매개효 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용적리더십이 구성원의 수동공격성을 초래하는 심리적 상태에 대한 매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가 갖는 한계 와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lthough passive aggressive which involve withholding appropriate actions with the intention of harming someone or an organizational entity is much more prevalent than active aggression and the covert form of misbehaviors caused by the passive aggressive member in the organization has increased in recent year, research on the process in which it results is not enough.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serial multi mediated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anger rumination in the process of abusive leadership on passive-aggressive. To verify the hypothesis, an online survey of members of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was conducted and 372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rstly, abusive leadership has a positive relationship to passive-aggressive. Secondl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as not significant between abusive leadership leadership and passive aggressive. Thirdly, anger rumination between abusive leadership leadership and passive-aggressive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Lastly,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anger rumination between the abusive leadership leadership and passive-aggressive have positiv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mechanism of abusive leadership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anger ru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we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의료관광기관의 비인격적 감독, 조직침묵, 혁신저항의 영향관계

        최사라,정은성,양동민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10

        Abusive supervision, a negative type of leadership, has been explored extensively during the last few decades. Many studies on abusive supervision have not only predominantly employed abusive supervis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but hav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 and subordinate-level consequences such as organizational silence and innovation resistance. In the medical tourism context, this study is one of few studies empir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innovation resistan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through organizational silence. Previous studies mainly conducted research on their abusive supervision, subordinates’ organizational silence and innovation resistance by setting nurses as employees of medical institutions only, but this study recognized nurses as core human resources of medical tourism institutions. To examine the hypotheses, the study carried out a self-conducted online survey of a sample of registered nurses and assisted nurses who worked at S general hospital. In total, 451 participants were completed in the online survey, and 422 were deemed suitable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outliers were elimina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in several steps. Preliminary statistic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test,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alculated using SPSS version 26.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alculated by AMOS 26.0. The results showed that abusive supervision had positive effects on two sub-factors such acquiescent silence and defensive silence, and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sil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innovation resistanc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was partially mediated by both acquiescent silence and defensive sil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position that medical tourism organizations should have a zero-tolerance policy toward abusive supervision. Furthermore, managers should encourage employees to express their opinions on matters and offer assistanc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help them achieve their goals and lead innovative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nurses, the core human resources of medical tourism institutions, are able to freely communicate their skills and experiences; furthermore, the supervisors of medical institutions should manage their employees through personal supervision in order to improve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medical institutions. 리더십의 부정적 형태인 비인격적 감독에 관한 연구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진행되어 왔는데, 주로 비인격적감독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조직, 상사, 부하 특성으로 구분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그간 선행연구들에 의해 단편적으로 수행되어 온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침묵, 혁신저항 간의 관계를하나의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이들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실증분석을 하고 있다. 더불어 비인격적 감독과혁신저항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비인격적 감독의 영향력에 대한 프로세스를검증하고자 하였다. 서구에 비해 미흡한 비인격적 s감독에 대한 국내 연구 실정에 비추어, 비인격적 감독과관련된 단편적 연구를 극복하고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미치는 영향력의 프로세스 규명을 통해 이론적 확장과더불어 실무적 시사점 제공을 위해 본 연구가 실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의료관광기관 종사자인S종합병원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를 표본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최종 분석에 422부의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SPSS 26.0 및 AMOS 26.0을 사용하여 요인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구조모형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비인격적 감독은조직침묵의 하위 차원인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직침묵은혁신저항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비인격적 감독과 혁신저항 간의 관계는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에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기여점 제시와 함께 의료기관 내 핵심인적자원인 간호사들의 자유로운 의견제시와 조직 내 혁신활동에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필요한비인격적 감독을 근절하기 위한 교육, 조직문화 및 조직 내 시스템적 개선 활동과 같은 다양한 실무적 시사점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The Trickle-down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to Abusive Supervision : A boundary condition of leader’s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오민주,조윤경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2022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Vol.48 No.2

        In this paper, we focus on cascading effect of second-level empowering leadership on direct leader’s leadership and related subordinates. We suggest that second-level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demotes direct leader’s abusive supervision and subsequently subordinate’s task performance. Further, we suggest that direct leader’s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moderates such negative cascading effect(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cond-level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direct leader’s abusive supervision) that strengthen these negative relationship.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98 leader-subordinate dyads in Sou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supported. Out of those results, the moderating effect of OBSE is supported but the direction is contrary to expectation that the higher direct leader’s OBSE, that is, the more the leader feels credited for the organization, the weaker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cond-level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direct leader’s abusive supervision. Through this, it shows that if second-level leader do empowering leadership while direct leader recognizing high OBSE, the direct leader may fall into excessive pride and abuse the authority and support from organization.

      • KCI등재

        상사의 개방행동이 비인격적 감독행동, 이직의도,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비인격적 감독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인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1

        An understanding of the effective operation of a sales organization on the sales front is essential to achieving business results in an uncertain business environment.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in which the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nega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and subordinates in the sales organization. Recently, interest in ambidextrous leadership is increasing as a type of leadership, and the opening behavior of the bos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open behaviors and abusive supervis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t also demonstrates whether abusive supervision plays a role in opening behavior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and sales performance. In this study, sales representatives working in domestic home appliance-related seller companies were sampled an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samples. Also, to verify the validity and hypothesis of variab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SPSS 20.0 and AMOS 18 statistical packages were us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upervisor's opening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abusive supervision. The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ordinates' turnover intention, but it was prov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ales performance. And the opening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sales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abusive supervision plays a partial mediation role in opening behavior to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bu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is not secured in the path that open behavior affects sales performance. The author suggest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글로벌화되고 불확실한 경영 환경 하에서 경영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판매 일선 현장에 있는 판매조직에 대한 효과적 운영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판매 조직 내 상사와 부하 직원 간의 업무관계에 있어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동이 조직유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누적되어 왔다. 최근에는 리더십의 한 유형으로 양손잡이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으며 상사의 개방행동이 조직 조직유효성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국내연구로는 최초로 상사의 개방행동과 비인격적 감독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개방행동이 이직의도와 판매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방행동이 이직의도와 판매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비인격적 감독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으로 국내 가전관련 판매자회사에 근무하고 있는 판매원들을 표본으로 삼았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샘플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변수들의 타당성과 가설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델링 분석,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SPSS 20.0, AMOS 18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상사의 개방행동은 비인격적 감독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행동은 부하 직원들의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판매성과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또한, 상사의 개방행동은 이직의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판매성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방행동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서 비인격적 감독행동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개방행동이 판매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비인격적 감독행동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확보되지 못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지니고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