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벨라르의 속죄론: 도덕감화설에 대한 비판

        이성림 ( Lee Sung Lim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48 No.-

        아울렌은 1930년 속죄론에 대한 기념비적 연구를 발표하였다. 이 연구에서 그는 기독교 속죄론을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는 대속설이며, 두 번째는 보상설이며. 그리고 세 번째는 도덕감화설이다. 그러나 기념비적인 아울렌의 속죄론 연구에는 결점이 있는데 그것은 아벨라르의 속죄론을 주관주의적 모범주의로 축소하고 제한한 것이다. 이러한 왜곡은 아벨라르가 그리스도를 “위대한 스승과 모범”으로만 봤다는 아울렌의 잘못된 전제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아울렌의 주장과 달리 아벨라르는 “스승이며 모범”이신 그리스도를 본받아서 살아간다면 속죄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지 않았다. 아벨라르의 속죄론에서는 칭의와 성화가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서로 연결 되어져 있다. 그에게 있어서 칭의 없는 성화는 눈먼 성화고 성화 없는 칭의는 허무한 칭의다. 아벨라르는 그리스도의 대속적 희생을 통해서 인간이 하나님과 화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렇게 하나님과 화해한 인간이 그리스도의 사랑의 삶을 살아갈 때 비로소 진정한 화해를 완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아벨라르는 객관적 속죄이론이 중심이었던 이전 속죄론에 주관적 속죄이론을 더함으로써 속죄론을 좀 더 통전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주관적 요소의 결여된 속죄이해는 결국 성화의 결여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아벨라르는 주관적 요소를 포함한 통전적 속죄론을 통해서 신자들의 신앙생활에 실제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아울렌의 속죄론 연구에서는 아벨라르의 주관적 속죄론만 강조되었고, 이렇게 성립된 아울렌의 속죄론 연구를 토대로 한국 신학자들은 자신들의 속죄이론을 발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아직까지 아벨라르의 속죄론에 대한 비판적 재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렇게 아벨라르의 속죄론이 도덕적 모범주의설로 오해하게 된 것은 자유주의 신학자 라쉬달의 잘못된 해석에 기인한다. 그는 아벨라르의 속죄론을 도덕감화설로 소개하면서, 아벨라르의 속죄론이야말로 가장 설득력 있는 기독교 속죄론이라고 극찬을 하였다. 이와 같은 찬사에도 불구하고 아벨라르는 도덕감화설을 주장한 적이 없기 때문에 아벨라르 신학에 대한 찬사는 잘못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비평적 방법으로 아벨라르의 속죄론에 대한 잘못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고, 아벨라르의 속죄론을 아벨라르의 신학에 근거하여 재구성하려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한국 교회와 신학계에 신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아벨라르의 사랑의 속죄론을 제공하려고 한다. Gustaf Aulen published a monumental study of the idea of the Atonement in 1930. He classified the Christian idea of the Atonement into three main types: the first was the ransom theory, the second the satisfaction theory, and the last the moral influence. However, there is a flaw in his study, which reduces and limits Peter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to subjective exemplarism. This distortion originated from Aulen’s false premise that Abelard understood Christ only as “the great teacher and example.”However, contrary to Aulen’s assertion, Abelard did not claim that we are atoned by imitating Christ. In Abelard’s theory of the Atonement,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re not separate but interconnected. For him sanctification without justification is blind just as justification without sanctification is empty. Abelard argues that humans are reconciled with God through Christ’s redemptive sacrifice and that authentic reconciliation means that humans who have been reconciled with God should live the life of Christ’s love. Abelard articulates the holistic idea of the Atonement. Unfortunately, Aulen only singles out the subjectivity emphasized by Abelard, and most of theologians developed their theories of the idea of the Atonement without the critique of Aulen’s typology. Until now, there has been no critical reappraisal of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The liberal theologian Hastings Rashdall contributes to this misunderstanding of Abelard’s theory as moral exemplarism. He introduces Abelard’s theory of the Atonement as a subjective moral-influence theory while praising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as the most persuasive one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is paper, I plan to correct, in a critical way,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of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and reconstruct his theory holistically based on his whole theology. With this study, I believe that Abelard’s emphasis on love in the Atonement might help uplift authentic faith in Korean Christianity.

      • Robin Collins’ Incarnational Theory: An Evaluation of Collins’ Attempt at Overcoming the Problematic Elements of Peter Abelard"s Moral Exemplary Model

        Jae-Eun Park(박재은)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3

        본고의 목적은 과연 로빈 콜린스의 속죄 이론이 피터 아벨라르드의 도덕 모범설(혹은 도덕 감화설)의 문제 요소들을 성공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속죄 이론인지 규명하는데 있다. 아벨라르드 속죄 이론의 문제 요소들은 크게 두 가지인데 ‘지나친 주관적 경향성’과 ‘펠라기우스주의적 성향’이다. 콜린스는 자신이 주창한 속죄 이론인 ‘성육신적 이론’을 통해 아벨라르드의 속죄 이론에 내포된 문제 요소들을 극복하려고 한다. 콜린스의 성육신적 이론은 크게 두 가지 개념으로 구성되는데 ‘주관성’과 ‘성령 하나님’이 바로 그것들이다. 콜린스는 아벨라르드 속죄 이론 속에 결여된 객관적 속죄 영역을 보충하기 위해 ‘주관성’ 개념을 도입한다. 게다가 아벨라르드의 펠라기우스주의적 성격을 제거하기 위해 ‘성령 하나님’을 강조한다. 하지만 아벨라르드의 속죄 이론을 극복하려는 콜린스의 노력은 ‘반쪽’ 성공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속죄 속에서 성령 하나님의 역할을 강조함을 통해 아벨라르드의 펠라기우스주의적 성격을 다소 극복하긴 했지만 여전히 콜린스의 주관성 개념과 그 개념에 내포된 신학적 함의는 여전히 속죄의 객관적 성격을 뚜렷하게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먼저 객관적 속죄와 주관적 속죄와 관련된 현대적 논의 방향성을 살펴본 후(1장), 아벨라르드 속죄 이론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콜린스의 성육신적 이론을 면밀하게 분석하도록 하겠다(2장). 그 후 콜린스의 이론의 신학적 기여와 문제점을 고찰한 후(3장) 전반적으로 글을 정리하며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4장).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Robin Collins’ atonement theory successfully overcomes the problematic elements found in Peter Abelard’s moral exemplary model(or Moral Exemplary/Influence Theory). The problematic elements of Abelard’s view have been pointed out as having two components: a ‘too subjective tendency’ and ‘Pelagianism.’ Collins’ chief aim is to overcome these possible problematic elements of Abelard’s view by proposing his own theory, namely, the Incarnational theory. This theory consists of two main notions: ‘subjectivity’ and the ‘Holy Spirit.’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ack of objective atonement in Abelard’s view, Collins proposes the notion of ‘subjectivity.’ Also, for eliminating a possible critique with regard to Pelagianism in Abelard’s view, Collins emphasizes the role of the ‘Holy Spirit.’ Thus, Collins’ study will be explored by examining whether his two concepts—i.e., subjectivity and the Holy Spirit—successfully overcome Abelard’s problematic elements. This will be accomplished through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these scholars’ thoughts; however, Collins’ attempt at overcoming Abelard’s problematic elements achieves half success; for, even though Collins’ emphasis on the role of the Holy Spirit contributes toward erasing the element of Pelagianism in Abelard’s view to a certain degree, Collins’ subjectivity and its theological implication fail to overcome Abelard’s ‘too subjective tendency’—that is, lack of objective atonement. For this study, therefore, after situating their theories within the current scholarship pertain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atonement (Section I), this paper will scrutinize Collins’ proposed solutions for overcoming the problematic elements found in Abelard’s view (Section II), evaluate Collins’ proposed solutions (Section III), and then make theological contributions and critiques based on this examination (Section IV).

      • KCI등재

        12세기 지식인상 -Peter Abelard를 중심으로-

        이희만 ( Hee Man Lee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03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11

        With respect to the intellectuals in the Middle Ages, Le Goff applied an intellectual-sociological analysis, and his method is still valid. In my view, however, it failed to catch the realistic aspects of the intellectuals. This paper aims to grasp both the concrete reality and the dynamism of the intellectuals in the 12th Century. To do this, I chose Peter Abelard,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is contury. Abelard developed a new self-awareness regarding intellectuals. He defined the intellectual as one who seeks knowledge and teaches it. It was very different from the view of monastic scholars, who regarde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knowledge as opus dei. According to Abelard, the main function of the intellectual is to search for a reasonable basis to explain the order of things and find the truth. Thus Abelard applied his critical and analytical approach to theology as well as philosophy. His method could be summed up in three part; doubt, investigation, and the search for truth. Furthermore Abelard did not accept any knowledge without a rational ground or validation as true. Abelard was also an intellectual worrier armed with dialectic, and criticized false intellectual tradition. He extended his academic concerns into theology. This caused serious opposition from his rivals includingthe disciples of St. Anselm of Laon, and St. Bernard of Clairvaux. His intellectual greatness, however, derived not from his attack on the contemporary academic traditions, but from searching for new nethods and applying them. His own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the intellcetual, his belief in concordance between reason and revelation, and gis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pseudo-intellectual traidtion of the time contributed to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scholasticism. In sum, we find a combative, but productive scholar in Peter Abelard.

      • KCI등재

        아벨라르두스 윤리학의 ‘의도’ 개념 연구

        강상진 한국중세철학회 2009 중세철학 Vol.0 No.15

        One of the issue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Abelard's 'intention' is how to reconcile the tension between the inner subjectivity and the absoluteness of the moral laws. For example, how are the Jews to morally evaluate who prosecuted Jesus in the conviction that their persecutions were pleasing God.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layers of meaning in the concept of intention in Abelard and interpret the position of Abelard in a strongly intellectualistic way. 'Intention' has (1) an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the goal, which an agent through his actions aims, (2) as the second thought of the mind (cogitatio animi), against the first and natural movement of the will, (3) the function of mediating the insight of the goal and the individual will. According to Abelard the main reason of denying the Jews the correctness of the intention is their intellectual failure, to understand correctly what should be the goal of their actions. So Abelard's concept of intention seems to assume an order or providence that lies outside the intentions, and accordingly judges the rightness or wrongness of the intentions. This is a strong support for the intellectualistic way of understanding the 'intention' in Abelard's ethics. 아벨라르두스의 의도 개념 해석을 둘러싼 쟁점 중의 하나는 의도 개념이 강 조하는 내면적 주관성과 도덕적 자연법의 절대성 사이의 긴장을 어떻게 해 소할 것인가이다. 단적으로 예수를 박해한 유대인들의 경우처럼 자신들의 행 위가 신의 뜻에 맞는 것이라고 굳게 믿어 행위한 경우와 같이 순수한 의도 로부터 나왔지만 잘못된 양심에서 비롯한 잘못된 행위를 어떻게 평가할 것 인가의 문제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아벨라르두스 의도개념의 층위를 분석 하고 이 분석으로부터 아벨라르두스의 입장을 주지주의적인 것으로 해석한 다. 의도는 자신이 지향하는 목적에 대한 통찰에 의해 자신의 자연적이고 일차적인 의지를 매개하는 성격을 갖는다. 예수를 박해한 유대인의 경우에는 의지의 일차적 방향을 매개할 지적인 계기가 올바르지 않았기 때문에 순수 한 의도일 수 없다는 것이 아벨라르두스의 분석이다. 아벨라르두스의 ‘의도’ 개념은 의도 바깥에서 의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게 하는 질서 내지 섭리에 대한 믿음을 전제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며, 필자는 이것을 그의 의도 개 념이 갖는 상당히 강력한 주지주의적 색채로 평가한다

      • KCI등재

        논문 : 아벨라르두스 윤리학의 "의도" 개념 연구

        강상진 ( Sang Jin Kang ) 한국중세철학회 2009 중세철학 Vol.0 No.15

        아벨라르두스의 의도 개념 해석을 둘러싼 쟁점 중의 하나는 의도 개념이 강조하는 내면적 주관성과 도덕적 자연법의 절대성 사이의 긴장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이다. 단적으로 예수를 박해한 유대인들의 경우처럼 자신들의 행위가 신의 뜻에 맞는 것이라고 굳게 믿어 행위한 경우와 같이 순수한 의도로부터 나왔지만 잘못된 양심에서 비롯한 잘못된 행위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아벨라르두스 의도개념의 층위를 분석하고 이 분석으로부터 아벨라르두스의 입장을 주지주의적인 것으로 해석한다. 의도는 자신이 지향하는 목적에 대한 통찰에 의해 자신의 자연적이고 일차적인 의지를 매개하는 성격을 갖는다. 예수를 박해한 유대인의 경우에는 의지의 일차적 방향을 매개할 지적인 계기가 올바르지 않았기 때문에 순수한 의도일 수 없다는 것이 아벨라르두스의 분석이다. 아벨라르두스의 `의도`개념은 의도 바깥에서 의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게 하는 질서 내지 섭리에 대한 믿음을 전제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며, 필자는 이것을 그의 의도 개념이 갖는 상당히 강력한 주지주의적 색채로 평가한다. One of the issue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Abelard`s `intention` is how to reconcile the tension between the inner subjectivity and the absoluteness of the moral laws. For example, how are the Jews to morally evaluate who prosecuted Jesus in the conviction that their persecutions were pleasing God.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layers of meaning in the concept of intention in Abelard and interpret the position of Abelard in a strongly intellectualistic way. `Intention` has (1) an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the goal, which an agent through his actions aims, (2) as the second thought of the mind (cogitatio animi), against the first and natural movement of the will, (3) the function of mediating the insight of the goal and the individual will. According to Abelard the main reason of denying the Jews the correctness of the intention is their intellectual failure, to understand correctly what should be the goal of their actions. So Abelard`s concept of intention seems to assume an order or providence that lies outside the intentions, and accordingly judges the rightness or wrongness of the intentions. This is a strong support for the intellectualistic way of understanding the `intention` in Abelard`s ethics.

      • 아벨라르두스와 원죄론: 아벨라르두스는 펠라기우스주의자인가?

        이성림(Sung Lim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0

        이 논문의 목적은 아벨라르두스의 원죄론을 통해서 12세기의 베르나르두스나 근대 신학자들이 이해하듯이 그가 펠라기우스주의자가 아니라는 것을 밝히려고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의 논쟁이후,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이 에베소 종교회의(Council of Ephesus, 431)와 오렌지 종교회의(Council of Orange, 529)에서 정통 교리로 받아들여졌다. 12세기에 아벨라르두스는 그의 『윤리학』에서 민감한 교리에 해당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을 다시 해석을 하였다. 새로운 해석으로 인해 그가 펠라기우스주의자라는 오해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아벨라르두스의 원죄론과 펠라기우스적 원죄론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 글에서 아벨라르두스의 『윤리학』과 『로마서 주석』에 근거하여서 그의 원죄론이 무엇인지 재구성하고, 그의 원죄론이 펠라기우스의 원죄론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비판적 검토를 할 것이다. 펠라기우스와 그의 사상은 인본주의적 현대 자유주의적 신학자들에게는 무척이나 매력적인 인물과 사상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고대든, 중세든, 현대이든지 간에 펠라기우스주의를 극복하지 않고서는 그리스도의 수난과 대속적 죽음을 이해할 수 없게 되며, 기독교의 구원과 은총의 교리는 무너져 내릴 수 있다. 아벨라르두스도 이점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 아벨라르두스는 원죄론뿐 아니라, 은총론과 속죄론에서도 펠라기우스적 위협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아벨라르두스는 그의 원죄론을 통해 키르케고르 이후의 등장한 펠라기우스적 인본주의 또는 자유주의 신학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신학담론을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rough Abelard’s theory of original sin that Abelard is not a Pelagianist as understood by Bernard of the 12th century and modern theologians. After the controversy between Augustine and Pelagius, Augustine’s theory of original sin was accepted as an orthodox doctrine at the Council of Ephesus (431) and the Council of Orange (529). In the 12th century, Abelard reinterpreted Augustine’s theory of original sin in his Ethics, a sensitive doctrine in his time. The new interpretation led him to be misunderstood as a Pelagianist. However, Abelard’s theory of original sin and Pelagius’ one of original sin are fundamentally different. In this article, I will reconstruct what his original sin theory is based on Abelard’s Ethics and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and critically examine how his original sin theory differs from Pelagius’s theory of original sin and Augustine’s theory of original sin. It is clear that Pelagius and his ideas are very attractive to humanistic liberal theologians. But whether it is ancient, medieval or modern, without overcoming Pelagianism, the suffering and atonement of Christ cannot be understood, and the doctrine of salvation and grace in Christianity can collapse. Abelard knew Pelagian problems exactly so that he tried to overcome the Pelagian threat not only in the theory of original sin, but also in the theory of grace and of atonement. In conclusion, Abelardian theory of original sin provides us with an alternative theological discourse that can overcome the Pelagian humanism or liberal theology that appeared after Kierkegaard.

      • 아벨라르두스의 의도론: 신학적 윤리학

        이성림(Sung-Lim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2

        아벨라르두스는 12세기에 학문으로써의 신학적 윤리를 처음으로 착수하였다. 그의 『윤리학』은 매우 독창적이고 파격적으로 새로운 그리스도교 윤리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아벨라르두스에 의해서 윤리학이 신학의 한 독립된 분과가 되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이 기념비적인 저술을 통해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의지의 윤리학을 수정하여 의도의 윤리학으로 발전시킨다. 그에게 있어서 의지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죄와 관련해서 이해할 때에 모호한 개념이었다. 이 모호한 개념에 근거하여서 무죄와 유죄를 판단하는 행위는 인간에게 희극보다 비극을 양산해 낼 수 있다고 아벨라르두스는 판단하였다. 그는 “의심에서 탐구, 탐구에서 진리”라는 학문방법론을 가지고 의지의 윤리학을 수정하여 의도의 윤리학으로 재구성한다. 의지에서 의도로의 전환을 통해서 인간의 책임 있는 윤리성을 재발견했다.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더 이상 변명거리가 없어졌다. 인간에게는 하나님과 자기 자신 중에서 하나만 선택해야 할 결단만 남아있게 된다. 아벨라르두스의 윤리는 인간을 다시 자유로운 윤리의 주체로써 세워준다. 이럼으로써 주체로서의 인간은 일하시는 하나님과 더불어 새 하늘과 새 땅을 희망할 수 있게 된다. Abelard first launched theological ethics as a science in the 12th century. His Ethics presented a very original and radically new direction of Christian ethic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Abelard made ethics an independent branch of theology. Through this monumental work, he modified Augustine"s ethics of will and developed it into ethics of intention. For him, the will was an important concept, but it was ambiguous when understood in relation to sin. Abelard judged that the act of judging innocence and guilt based on this ambiguous concept could produce more tragedy than comedy for humans. Abelard revised the ethics of will and reconstructed it as an ethics of intention with the academic methodology of “doubt to inquiry, inquiry to truth.” Human ethical responsibility was rediscovered through the shift from the will to intention. Man has no more excuses before God in this ethics. He is left with only the decision to choose whether he is with God or with himself. Abelard"s ethics establishes man again as a free ethical subject. In this way, human beings as subjects can hope for a new heaven and new earth together with the working God.

      • KCI등재

        아벨라르두스의 관계 범주 이해 -유명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강상진 한국중세철학회 2019 중세철학 Vol.0 No.25

        Abelard(1079-1142) provides a consistent and systematic solution to the problems which have been a source of confusion in understanding Aristotle’s Category of relation. This article tries to show the overall structure of this systematic solution and to evaluate its achievements. In his commentary on Aristotle’s Categories, Abelard explains some textual or interpretative difficulties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definition of relatives, and addresses the problem of fundamental principle regulating the location of species and genera in the categories. Above all, this systematic solution comes from his nominalistic position, which shows clearly the distinction between relation itself and relatives, and the way how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to be transferred to the relations between species. All these explanations are to be evaluated as one of the major achievements in the 12th century understanding of Aristotle’s Category of Relation. 아벨라르두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편의 관계 범주(7장)을 주석하면서전통적으로 해석상의 난점을 제공하던 몇몇 문제에 대해 하나의 체계적이고 일관된해석을 제공한다. 이 해석을 소개하고 그것의 성취를 평가하는 것이 이 논문의목표이다. 관계 범주의 첫 번째 정의와 두 번째 정의 사이의 관계 문제나, 관계범주의 일종으로 제시된 자세(positio)와 태세(situs) 범주 사이의 관계에 관한 문헌학적 난제들도 이런 틀에서 일관되게 해명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포함하여 다른난제들도 이 틀에서 해결되고 있고, 무엇보다도 그의 유명론적 입장으로부터 관계자체와 관계항 사이의 선명한 개념적 구별, 관계 범주가 개체 차원과 종 차원에서구별되는 방식에 대한 해명을 제공할 수 있고, 이것들은 중요한 철학사적 성취로평가할 만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장이다

      • 아벨라르두스의 윤리학

        이성림(Sung Lim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7

        12세기의 기인 중 하나인 아벨라르두스는 많은 진영에서 자신들의 이념에 따라 평가해왔다. 그의 전체적인 사상과 생애에 근거하기보다 그의 일부분 사상과 생애를 가지고 평가해왔다. 인본주의자들이나 프로테스탄트주의자들은 개인주의와 종교개혁의 선구자로 이해하기도 했다. 이 소고에서는 편협한 이해보다 아벨라르두스의 주장에 근거한 그의 윤리학을 이해하려 한다. 그 윤리학은 주체를 없애기보다 주체를 강화시킨다. 그가 주장하는 주체는 인본주의자들이 원하는 주체가 아니라 하나님 없이 주체가 있을 수 없는 “하나님 앞에 선 주체(coram Deo)”이며 “하나님 때문에 생겨지는 주체(noverim Te, noverim me)”이다. “너 자신을 알라”라는 제목을 가진 그의 윤리학은 주체의 윤리학이다. 그는 의도(intentio)와 동의(consensus)의 개념으로 주체의 내면과 윤리를 접목시키고 있다. Peter Abelard whose romance with Heloise has been on everyone’s lips throughout ages was a maverick in the twelfth century. For some modernists he was acclaimed as a harbinger of individualism. For some philosophers he was belittled as a flashy thinker without universality. For some theologians he was denounced as a heretic who loved pagan philosophy. All of them are true. He was a forerunner of individualism based on true subjectivity, a flashy thinker shedding light on controversy regarding universals, and a heretic to untruthfulness. In this essay Abelard’s ethics shall be reappraised in terms of subjectivity. Not deed but intention (intentio), for him, is one to be judged as good or evil. Sin is the contempt of God by our intentional consent to evil. According to Abelard God can be pleased only by our true good intention, rather than our external deeds.

      • 아벨라르두스의 『비교토론』(Collationes): 디비니타스와 신학적 윤리

        이성림(Sung Lim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9

        두 번째 르네상스를 경험하고 있던 12세기 중세 유럽은 새로운 시대의 신 새벽과 같았다. 도시와 대학이 세워지고 또 새로운 사유들이 등장하면서 시대는 새로운 방향으로 장식되어져 갔다. 페트루스 아벨라르두스는 이 새로운 시대를 장식한 사상가이다. 엘로이즈와의 연애 사건으로 많이 알려졌던 아벨라르두스는 실은 시대를 뛰어넘는 신학자였다. 그의 신학은 근대 사조와 더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놀라운 사실은 시대를 초월하는 아벨라르두스의 신학을 이해하는 열쇠가 윤리학이라는 점이다. 바로 아벨라르두스의 미완성적인 신학을 풀 수 있는 해석학적인 도구가 윤리학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윤리학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아벨라르두스의 윤리학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그의 신학을 이해하기 매우 어렵다. 노예와 주인의 변증법이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해석하는 열쇠인 것처럼 아벨라르두스의 윤리학은 그의 신학 전체를 관통하는 라합의 붉은 줄과 같다. 윤리학이 신학(Divinitas)이라는 정의를 내림으로써 그는 처음으로 신학적 윤리학을 시작한다. 그의 윤리학은 인간은 도덕적이지 않다는 기독교의 인간이해에서 시작한다. 인간은 선하지 않기에 인간에게는 도덕이 없다. 오직 선하신 이는 오직 하나님이다. 그러기에 인간에게 도덕이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다. 그리스도 사건을 통해서만 인간에게 선이 주어지고 도덕이 가능하다. 그의 신학적 윤리학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믿음 없이는 도덕이 불가능하다”이다. 이 소고에서 그의 『비교토론』 통해 디비니타스로써의 기독교 윤리학을 구성하려 한다. The 12<SUP>th</SUP> century of the Medieval Latin Europe in the middle of the Second Renaissance was situated at the dawn of the new age when new cities, universities, and thoughts were emerging. One of new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starting to decorate the new age was Peter Abelard who was famous of the love story with Heloise but also of a dialectician, theologian, and teacher. It has been not assessed properly that he was a Christian moral theologian. He was the first theologian who defined what Christian theological ethics was. Abelard’s ethical thought was a hermeneutical key to unlock his unfinished theology. Abelard’s ethics was to his whole theological works what dialectics of slave and master was to Hegel’s The Phenomenology of the Spirit. For him the essence of ethics was Divinitas. Divinitas was like Rabab’s Red Ribbon in the his theological system. According to him, morality did not belong to humanity. If man had morality, it was given by God through Christ-event. That was why man could not be moral without having faith in Christ. In Christ-event man can be moral. In this perspective Divinitas as the theological ethics will be constructed through his work of Collati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